KR101698460B1 -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8460B1 KR101698460B1 KR1020160036889A KR20160036889A KR101698460B1 KR 101698460 B1 KR101698460 B1 KR 101698460B1 KR 1020160036889 A KR1020160036889 A KR 1020160036889A KR 20160036889 A KR20160036889 A KR 20160036889A KR 101698460 B1 KR101698460 B1 KR 1016984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water
- motor
- packing
- bottom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0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76 aerato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2 lightweigh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6—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dverse conditions, e.g. extreme climate, pes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 모듈화된 형태로 건물 출입구에 간단히 설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차수가 필요할 때면 모터 구동에 의해 차수판이 하강하는 방식으로 작업자의 노동력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건물의 출입구를 안정적으로 차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평판형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편과 우편에서 서로 이격된 형태로 수직하게 세워지고, 서로 간에 대면하는 면에는 상하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주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주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프레임과; 좌편과 우편의 단부가 상기 지주프레임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승강시 안내를 받으며, 하강된 상태가 되면 하단부가 상기 바닥판에 밀착되어 상기 한 쌍의 지주프레임 사이를 차수할 수 있도록 한 차수판과;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 내부에 각각 설치되되 이 중 상기 모터 인근에 설치된 것이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전달하도록 한 상부 스프로켓 및 하부 스프로켓과, 상기 상부 스프로켓 및 하부 스프로켓을 경유한 상태에서 상기 차수판과 결속되어 상기 차수판을 승강시켜주는 체인을 구비한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평판형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편과 우편에서 서로 이격된 형태로 수직하게 세워지고, 서로 간에 대면하는 면에는 상하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주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주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프레임과; 좌편과 우편의 단부가 상기 지주프레임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승강시 안내를 받으며, 하강된 상태가 되면 하단부가 상기 바닥판에 밀착되어 상기 한 쌍의 지주프레임 사이를 차수할 수 있도록 한 차수판과;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 내부에 각각 설치되되 이 중 상기 모터 인근에 설치된 것이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전달하도록 한 상부 스프로켓 및 하부 스프로켓과, 상기 상부 스프로켓 및 하부 스프로켓을 경유한 상태에서 상기 차수판과 결속되어 상기 차수판을 승강시켜주는 체인을 구비한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듈화된 형태로 건물 출입구에 간단히 설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차수가 필요할 때면 모터 구동에 의해 차수판이 하강하는 방식으로 작업자의 노동력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건물의 출입구를 안정적으로 차수할 수 있도록 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또는 차수장치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집중호우시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여 침수되기 쉬운 상습 침수지역에 있는 건물 출입구에 주로 설치된다.
대표적인 상습 침수지역인 저지대의 경우 밀집된 주택가 또는 지하주택 및 지하상가, 공장 등과 같은 곳에서 매년 장마철이면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우려되어 불안한 생활을 반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선도로(支線道路: access road)는 지역주민의 일상생활에 밀착된 도로로서 도시 내에 있어서는 구획도로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지선도로는 대개 도로의 폭이 좁고 지역주민의 일상생활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여름철 홍수기인 7, 8월경에 주간선도로에서 유입된 빗물에 의해서 습관적으로 침수피해가 발생하여 많은 재산피해나 인명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기후 특성상 여름철 홍수기에 집중적인 호우가 쏟아져 많은 침수피해를 주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대규모의 택지조성, 도로건설 등과 같이 치밀한 도시계획 없이 개발된 시가지화 증대 등으로 물의 집중현상이 크게 변화되어 예상되지 않았던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저지대의 주택가 밀집지역이나 지선도로와 인접되어 있는 지역의 주민들은 침수피해를 조기에 방지하기 위한 방편의 일환으로 건물 출입구에 차수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의 차수장치는 고정지주가 건물 출입구 양측벽에 반영구적으로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침수피해가 예상되는 기간 이외의 기간에도 상기 고정지주를 제거하지 못하고 그대로 방치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평상시에도 건물 출입구에 방치된 고정지주는 보기에도 흉물스러울 뿐만 아니라 설치된 건물이 침수피해가 예상된다는 점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에 건물 가격의 하락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같이 고정지주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출입구의 양측벽에 상시 고정되도록 한 흉물스러운 고정지주를 세우지 않아도 압착방식에 의하여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형태의 차수장치가 한국등록특허 제1173304호(2012.08.06)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1173304호를 통해 개시된 차수장치는 건물 출입구를 가로 질러 세워질 수 있도록 한 본체패널과, 본체패널의 좌편과 우편에서 좌우폭을 확장할 수 있도록 각각 좌우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확장패널과, 본체패널 전면에 설치되고 확장패널을 밀어주어 건물 출입구의 양측벽에 압착시켜주는 푸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출입구 양측벽에 상시 고정되도록 한 흉물스러운 고정지주를 세우지 않아도 압착방식에 의하여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지렛대 작용에 의하여 출입구 양측벽에 대하여 확장패널을 강력한 힘으로 압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높은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전면에서 작용하는 물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다는 점에서 과거의 차수장치에 비해 다양한 장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수장치의 경우 차수가 필요한 상황이 되면 작업자가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임시 시설물에 불과하여 운용에 따른 번거로움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화된 형태로 건물 출입구에 간단히 설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차수가 필요할 때면 모터 구동에 의해 차수판이 하강하는 방식으로 작업자의 노동력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건물의 출입구를 안정적으로 차수할 수 있도록 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는, 평판형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편과 우편에서 서로 이격된 형태로 수직하게 세워지고, 서로 간에 대면하는 면에는 상하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주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주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프레임과; 좌편과 우편의 단부가 상기 지주프레임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승강시 안내를 받으며, 하강된 상태가 되면 하단부가 상기 바닥판에 밀착되어 상기 한 쌍의 지주프레임 사이를 차수할 수 있도록 한 차수판과;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 내부에 각각 설치되되 이 중 상기 모터 인근에 설치된 것이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전달하도록 한 상부 스프로켓 및 하부 스프로켓과, 상기 상부 스프로켓 및 하부 스프로켓을 경유한 상태에서 상기 차수판과 결속되어 상기 차수판을 승강시켜주는 체인을 구비한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수판은 내부공간을 갖는 사각 판재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강도 보강을 위하여 그 내부공간에 다수의 이격된 수직리브와 수평리브를 서로 교차된 형태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리브는 하부 1/3 지점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는 보강부를 구비하여 차수 깊이에 따라 증가하는 수압에 대응하여 상기 차수판의 하부 강도 및 지지력을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판의 하단부에는 상기 차수판의 하강시 상기 바닥판과의 사이에서 압착되는 제1패킹이 설치되며, 상기 제1패킹은 상기 차수판 하단부의 하면에 대응하여 밀착되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판상의 천청부와, 상기 천청부의 둘레를 따라 직교하게 하방으로 형성된 내벽부와, 상기 내벽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내벽부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수평 연결부와, 상기 수평 연결부의 둘레를 따라 직교하게 하방향으로 형성된 외벽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패킹 내벽부의 하단은 상기 제1패킹 외벽부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외벽부와 내벽부 순으로 순차적으로 하강하여 이중적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판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차수판 하단부의 하면과 상기 제1패킹의 천정부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내벽부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드리워진 노즐이 더 구비되어, 상기 차수판에 의한 차수시 상기 진공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제1패킹을 진공압에 의해 상기 바닥판에 흡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차수판의 전면과 후면에 대응하여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2패킹이 더 설치되며, 상기 제2패킹은 상기 지주프레임에 지지되는 판상의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로부터 연장되되 중공 형성된 반원형의 돌출된 형태로 연장되어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면서 상기 차수판에 전면과 후면에 압착되는 팽창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킹의 팽창부는 상기 차수판 내부에 설치된 진공펌프의 공기 배출측으로 호스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제공받아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는, 모듈화된 형태로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차수판과 건물 출입구 바닥의 부조화에 따른 차수 능력 저하의 문제가 전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차수판이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수직리브와 수평리브로 강도를 보강한 구성에 의해 경량의 소재를 사용하면서도 차수 깊이를 고려한 수압에 대응하여 휨 발생이 없이 안전한 차수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수판에 구비된 제1패킹이 외벽부와 내벽부 순으로 순차적 하강하여 이중의 벽을 구성하면서 물의 유입을 이중 차단할 수도 있으며, 차량의 타이어 등에서 떨어진 작은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차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수판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하나의 진공펌프만으로 차수판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1패킹에 진공압을 부여하는 동시에 지주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제2패킹에 팽창압을 부여하여 차수판의 하측과 좌측 및 우측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의 유입을 안전하게 차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듈 형태의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지주프레임 및 그 내부에 설치된 제2패킹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차수판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 절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차수판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차수판의 제1패킹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제1패킹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승강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듈 형태의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지주프레임 및 그 내부에 설치된 제2패킹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차수판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 절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차수판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차수판의 제1패킹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제1패킹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승강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는 사각의 틀체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부재(110)와, 승강 가능한 차수판(120)과, 상기 차수판(120)을 승강시켜주는 승강부재(130)로 이루어진 하나의 모듈로 구비되어 건물 출입구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데다가 손상되기 쉬운 건물 출입구의 바닥에 차수판(120)의 하단부가 그대로 압착되게 하지 않고 프레임부재(110)를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 중 하나인 바닥판(111)을 건물 출입구 바닥에 부분 매립하여 차수판(120)의 하단부가 압착되도록 하기 때문에 건물 출입구의 바닥의 수밀성 품질로 인한 문제를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아래에서는 상기 주요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듈 형태의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지주프레임 및 그 내부에 설치된 제2패킹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차수판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 절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차수판의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에서 차수판의 제1패킹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주요 구성 중 하나인 프레임부재(110)는 바닥판(111)과, 한 쌍의 지주프레임(112)과, 상부프레임(113)과, 커버(115)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구성에서 상기 바닥판(111), 한 쌍의 지주프레임(112)과, 상부프레임(113)이 사각의 틀체를 이루며 상기 커버(115)는 차수가 필요하지 않아 차수판(120)이 상승했을 때 상기 차수판(120)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바닥판(11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평판형의 부재이다. 상기 바닥판(111)은 프레임부재(110)가 건물 출입구에 설치될 때 상면만 노출된 상태로 건물 출입구 바닥에 부분 매립된다.
또한, 상기 지주프레임(112)은 차수판(120)의 승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111)의 좌편과 우편에서 서로 이격된 형태로 수직하게 세워지고, 서로 간에 대면하는 면에는 상하방향의 가이드홈(112a)이 형성된다. 이같은 지주프레임(112)의 구성에 따르면 차수판(120)의 양단부가 상기 지주프레임(112)의 가이드홈(112a)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할 때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를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프레임(112)은 상기 승강부재(130) 중 비교적 부피가 큰 모터(131)를 제외한 상부 스프로켓(133b) 및 하부 스프로켓(133c), 체인(132)이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로써 승강부재(130)까지 하나의 모듈화된 형태로 패키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주프레임(112) 내부에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차수판(120)의 전면과 후면에 대응하여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홈(112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2패킹(114)이 더 설치된다. 상기 제2패킹(114)은 상기 지주프레임(112)에 지지되는 판상의 끼움부(114b)와, 상기 끼움부(114b)로부터 연장되되 중공 형성된 반원형의 돌출된 형태로 연장되어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면서 상기 차수판(120)에 전면과 후면에서 압착되는 팽창부(114a)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수시에는 상기 차수판(120)이 하강된 상태에서 밸브(114c)를 통해 제2패킹(114)의 팽창부(114a)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서 차수판(120)을 움직이지 않도록 안정되게 지지하는 동시에 차수판(120)과 가이드홈(112a) 사이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단, 차수판(120)의 승강동작은 제2패킹(114)의 팽창부(114a)로부터 공기가 배출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제2패킹(114)의 팽창부(114a)를 팽창시키는데 필요한 공기는 상기 차수판(120) 내부에 설치된 진공펌프(124)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2패킹(114)의 밸브(114c)와 진공펌프(124)의 공기 배출측이 미도시된 호수에 의해 연결된다. 이같이 단 하나의 진공펌프(124)를 이용하여 제2패킹(114)에 대해서는 공기를 공급하여 팽창압을 형성하고 제1패킹(123)에 대해서는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압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양자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가능한 것이다.
다만, 상기 제2패킹(114)의 팽창부(114a)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는 상기 진공펌프(124)와 별개로 구비되는 전용의 펌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전자의 구성이 전체 차수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부품비용을 줄이는데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패킹(123)은 고무나 실리콘 스펀지를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수판(120)은 건물 출입구를 차수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좌편과 우편의 단부가 상기 지주프레임(112)의 가이드홈(11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시 안내를 받도록 설치된다. 상기 차수판(120)은 상기 승강부재(130)에 의해 승강 동작하는데, 하강된 상태가 되면 하단부가 상기 바닥판(111)에 밀착되어 한 쌍의 지주프레임(112) 사이를 차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차수판(120)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공간을 갖는 사각 판재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공간에는 다수의 이격된 수직리브(122b)와 수평리브(122a)를 서로 교차된 형태로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리브(122b)는 하부 1/3 지점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는 보강부(122c)를 구비한다. 이같은 차수판(120)은 차수판 본체(121)와 수평리브(122a) 및 수직리브(122b)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차수판(120)을 전면부와 후면부가 이분할된 별개의 형태로 사출 성형하고 이들을 열접합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면 된다. 이같은 상기 차수판(120)의 구성에 따르면 승강동작을 해야 하는 차수판(120)의 중량을 줄여 모터(131)의 부하를 줄이면서도 갑작스럽게 형성되는 수압에 대해 휨 발생이 일어나지 않도록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보강부(122c)의 구성을 통해 차수 깊이에 따라 증가하는 수압에 세밀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차수판(120)을 반드시 금속성 재질로 하지 않고 플라스틱과 같은 경량의 재질로 구성하더라도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차수판(12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1패킹(123)은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스펀지를 소재로 하여 상기 차수판(120) 본체(121)의 하면(121a)에 대응하여 밀착되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판상의 천청부(123a)와, 상기 천청부(123a)의 둘레를 따라 직교하게 하방으로 형성된 내벽부(123b)와, 상기 내벽부(123b)의 외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내벽부(123b)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수평 연결부(123c)와, 상기 수평 연결부(123c)의 둘레를 따라 직교하게 하방향으로 형성된 외벽부(123d)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패킹(123) 내벽부(123b)의 하단은 상기 제1패킹(123) 외벽부(123d)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차수판(120)과 바닥판(111) 사이에서 압착될 때 그 압착되는 정도에 따라 외벽부(123d)만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하기도 하지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외벽부(123d)와 내벽부(123b) 순으로 순차적 하강하여 이중의 벽을 구성하면서 물의 유입을 안전하게 차단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같이 내벽부(123b)와 외벽부(123d)가 이중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제1패킹(123)의 구성에 따르면 차량의 타이어 등에서 떨어진 작은 이물질로 인해 내벽부(123b)와 외벽부(123d) 중 어느 한 지점이 들리더라도 안전한 차수가 보장되며 심지어 바닥판(111)이 손상되어 불규칙한 표면이 되더라도 안전한 차수가 보장된다.
이처럼 제1패킹(123)의 구성에서는 압착되는 정도에 따라 단일벽이나 이중벽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과, 그러면서도 단 하나의 성형된 부재만으로 이중벽을 이루도록 하여 제1패킹(123)의 제조 및 설치 측면에서 유리하도록 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차수판(120)의 내부공간(122c)에는 진공펌프(124)가 설치되고, 상기 진공펌프(124)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차수판(120) 하단부의 하면(121a)과 상기 제1패킹(123)의 천정부(123a) 중앙홀(121b)을 관통하여 상기 내벽부(123b)로 둘러싸인 공간(R2)으로 드리워진 노즐(124a)이 더 구비된다. 이로써, 상기 진공펌프(124)를 구동시키면 제1패킹(123)이 진공압에 의해 상기 바닥판(111)에 강하게 흡착되면서 차수판(120) 하측을 보다 안전하게 차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130)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주프레임(112)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설치되는 모터(131)와, 상기 지주프레임(112)의 상단부와 하단부 내부에 각각 설치되되 이 중 상기 모터(131) 인근에 설치된 것이 상기 모터(131)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전달하도록 한 상부 스프로켓(133b) 및 하부 스프로켓(133c)과, 상기 상부 스프로켓(133b) 및 하부 스프로켓(133c)을 경유한 상태에서 상기 차수판(120)과 결속되어 상기 차수판(120)을 승강시켜주는 체인(1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131)의 경우 그 크기를 감안하여 일차적으로는 상기 지주프레임(112) 내부에 설치하지만 그것이 어려우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모터박스(134)를 마련하여 지주프레임(112)에 상단부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인(132)과 차수판(120)의 결속은 차수판(120)에 단부에 설치된 결속단자(120a)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130)는 상부 스프로켓(133b) 및 하부 스프로켓(133c)이 좌편과 우편에 설치된 지주프레임(112) 모두에 설치되어 좌우 양편에서 균형 있게 차수판(120)을 승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10에서 언급되지 않은 도면부호 133a는 모터(131)와 상부 스프로켓(133b)을 연결하는 기어 어셈블리를 예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프레임부재 111 : 바닥판
112 : 지주프레임 112a : 가이드홀
113 : 상부프레임 114 : 제2패킹
115 : 커버 120 : 차수판
122a : 수평리브 122b : 수직리브
123 : 제1패킹 123b : 내벽부
123d : 외벽부 124 : 진공펌프
130 : 승강부재 131 : 모터
132 : 체인 133b, 133c : 스프로켓
112 : 지주프레임 112a : 가이드홀
113 : 상부프레임 114 : 제2패킹
115 : 커버 120 : 차수판
122a : 수평리브 122b : 수직리브
123 : 제1패킹 123b : 내벽부
123d : 외벽부 124 : 진공펌프
130 : 승강부재 131 : 모터
132 : 체인 133b, 133c : 스프로켓
Claims (7)
-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건물의 출입구를 차수할 수 있도록 한 차수장치에 있어서,
평판형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편과 우편에서 서로 이격된 형태로 수직하게 세워지고, 서로 간에 대면하는 면에는 상하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주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주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프레임과; 좌편과 우편의 단부가 상기 지주프레임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승강시 안내를 받으며, 하강된 상태가 되면 하단부가 상기 바닥판에 밀착되어 상기 한 쌍의 지주프레임 사이를 차수할 수 있도록 한 차수판과;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 내부에 각각 설치되되 이 중 상기 모터 인근에 설치된 것이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전달하도록 한 상부 스프로켓 및 하부 스프로켓과, 상기 상부 스프로켓 및 하부 스프로켓을 경유한 상태에서 상기 차수판과 결속되어 상기 차수판을 승강시켜주는 체인을 구비한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수판은 내부공간을 갖는 사각 판재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강도 보강을 위하여 그 내부공간에 다수의 이격된 수직리브와 수평리브를 서로 교차된 형태로 구비하고, 상기 수직리브는 하부 1/3 지점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는 보강부를 구비하여 차수 깊이에 따라 증가하는 수압에 대응하여 상기 차수판의 하부 강도 및 지지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며,
상기 차수판의 하단부에는 상기 차수판의 하강시 상기 바닥판과의 사이에서 압착되는 제1패킹이 설치되며, 상기 제1패킹은 상기 차수판 하단부의 하면에 대응하여 밀착되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판상의 천청부와, 상기 천청부의 둘레를 따라 직교하게 하방으로 형성된 내벽부와, 상기 내벽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내벽부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수평 연결부와, 상기 수평 연결부의 둘레를 따라 직교하게 하방향으로 형성된 외벽부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패킹 내벽부의 하단은 상기 제1패킹 외벽부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외벽부와 내벽부 순으로 순차적으로 하강하여 이중적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차수판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차수판 하단부의 하면과 상기 제1패킹의 천정부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내벽부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드리워진 노즐이 더 구비되어, 상기 차수판에 의한 차수시 상기 진공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제1패킹을 진공압에 의해 상기 바닥판에 흡착되도록 하며,
상기 지주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차수판의 전면과 후면에 대응하여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2패킹이 더 설치되며, 상기 제2패킹은 상기 지주프레임에 지지되는 판상의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로부터 연장되되 중공 형성된 반원형의 돌출된 형태로 연장되어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면서 상기 차수판에 전면과 후면에 압착되는 팽창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패킹의 팽창부는 상기 차수판 내부에 설치된 진공펌프의 공기 배출측으로 호스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진공펌프가 상기 제1패킹에 대하여 진공압을 형성할 때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제공받아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6889A KR101698460B1 (ko) | 2016-03-28 | 2016-03-28 |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6889A KR101698460B1 (ko) | 2016-03-28 | 2016-03-28 |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8460B1 true KR101698460B1 (ko) | 2017-01-23 |
Family
ID=5799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6889A KR101698460B1 (ko) | 2016-03-28 | 2016-03-28 |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846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8121Y1 (ko) * | 2004-10-18 | 2005-03-11 | 홍 대 박 | 와이어를 이용한 업다운 자동 침수방지 장치 |
KR101173304B1 (ko) | 2012-04-09 | 2012-08-17 | 오달성 | 침수방지를 위한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
KR20140038660A (ko) * | 2012-09-21 | 2014-03-31 | 유덕기 |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
-
2016
- 2016-03-28 KR KR1020160036889A patent/KR1016984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8121Y1 (ko) * | 2004-10-18 | 2005-03-11 | 홍 대 박 | 와이어를 이용한 업다운 자동 침수방지 장치 |
KR101173304B1 (ko) | 2012-04-09 | 2012-08-17 | 오달성 | 침수방지를 위한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
KR20140038660A (ko) * | 2012-09-21 | 2014-03-31 | 유덕기 |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2784B1 (ko) | 차수문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차수문 자동제어 방법 및 차수문 자동제어 시스템 | |
KR100710920B1 (ko) | 지하수 배수장치 | |
KR101698460B1 (ko) |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 | |
KR101321992B1 (ko) | 블록식 우수 저류조 | |
KR101664327B1 (ko) | 바닥 상승식 차수장치 | |
KR101675894B1 (ko) | 수동식 양수기 | |
KR101123989B1 (ko) | 풍하중에 안전한 수평지지력을 갖는 승강식 지하주차 설비시스템 | |
KR20060116765A (ko) | 지하수 배수장치 및 배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연결장치 | |
CN207512757U (zh) | 基坑支护结构 | |
KR101366139B1 (ko) | 배수판 조립체 | |
CN107882332A (zh) | 一体化浇注的建筑房屋施工方法 | |
CN211201313U (zh) | 节约房屋占用面积型多功能车位 | |
CN207794313U (zh) | 一种嵌入式模块建筑结构 | |
CN111827493A (zh) | 一种阳台门下口节点防水构造 | |
CN110318551B (zh) | 一种建筑防震校正构造及校正方法 | |
CN110454347A (zh) | 动能回收装置及排水系统 | |
CN220100509U (zh) | 一种与地面齐平的无缝采光井天窗结构 | |
CN118187095B (zh) | 钢混结构建筑自适应抗震支撑体系及其施工方法 | |
CN213682444U (zh) | 一种圆柱型独立复式泵房 | |
CN210482392U (zh) | 一种地下室顶板排水结构 | |
CN113186962B (zh) | 适用软土地的井点降水方法及装置 | |
CN211621876U (zh) | 一种具有防坠落、防爆功能的装配式检查井 | |
CN202338021U (zh) | 一种环保型全自动污水提升装置 | |
CN216921520U (zh) | 乡村振兴基础设施建设用可调观景亭 | |
KR102596724B1 (ko) |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