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022B1 - 차수판 - Google Patents

차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022B1
KR101493022B1 KR20130145837A KR20130145837A KR101493022B1 KR 101493022 B1 KR101493022 B1 KR 101493022B1 KR 20130145837 A KR20130145837 A KR 20130145837A KR 20130145837 A KR20130145837 A KR 20130145837A KR 101493022 B1 KR101493022 B1 KR 101493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ter
wall
waterproof
toggl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이대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비 filed Critical (주)에스엔비
Priority to KR20130145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 유입을 막기 위한 차수판에 관한 것으로, 벽체 사이에 배치하여 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수판에 있어서, 상기 벽체 사이에 배치되되 벽체와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차수부재와; 상기 차수부재 중 물이 유입되는 반대 방향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재와; 상기 차수부재의 양 측면의 벽체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력에 의해 벽체와 차수부재 사이에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탄성부를 포함하고 있는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로 이루어져 있어, 탈, 부착식의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 및 측면 지수를 하기 때문에 벽체를 최초 상태로 유지하면서 설치 가능함은 물론 유지관리도 용이하고,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에 포함되어 있는 토글 클램프를 통해 차수부재의 고정 및 측면 지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압에 의한 차수부재의 밀림 현상 방지 및 설치, 해체작업이 단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받침부재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를 통해 수압이나 수위에 따라 차수부재의 기립 각도를 조정하여 요구되는 상황에 맞게 사용자가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과 맞닿으면 순간적으로 부피가 커지는 흡수성 순간 마대로 이루어진 하단부 차수부재를 통해 하부의 지수역할과 더불어 차수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차수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수판{Waterproof plate}
본 발명은 벽체에 별도의 구조물 형성 없이도 차수부재의 차수 및 고정이 가능하면서 설치 및 해체와 더불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차수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상이변으로 매년 마다 홍수에 의한 이재민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기상 이변은 장마철의 국지성 호우는 물론, 장마철이 아닌 기간에도 발생하여 국가적인 재산피해가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저지대에 위치한 가옥이나 건물 등으로 유입되는 우수는 국지성 호우 발생시 더욱 큰 피해를 보는 곳 중 하나이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고자 근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차수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6874호(2012.07.12), 『차수장치』와 같이 차수판과 상기 차수판을 고정할 수 있도록 벽체에 구조물을 형성하여 차수판을 장착함으로써 물이 한번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의 차수장치는 벽체에 차수판을 고정 및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장착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조물은 평상시 파손될 위험성이 높아 물의 유입이 발생하였을 경우 차수판을 원할히 결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벽체에 결합하는 구조물은 외부에 노출된 형태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평상시 사람이나 차량 등의 이동시 구조물의 파손 또는 차량의 훼손이나 사람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구조물은 건물 외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인식되어 설치하는 경우가 많지 않은 단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수판은 벽체에 차수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의 설치 대신 차수부재와 벽체 사이에 삽입하는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차수부재의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해 단시간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 유지관리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수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수부재를 고정 및 측면을 지수하기 위한 구조물을 벽체에 설치하지 않고 탈, 부착식의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벽체와의 고정 및 측면 지수를 하기 때문에 벽체를 최초 상태로 유지하면서 설치 가능함은 물론 유지관리도 용이하다.
또한,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에 포함되어 있는 토글 클램프를 통해 차수부재의 고정 및 측면 지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압에 의한 차수부재의 밀림 현상 방지 및 설치, 해체작업이 단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재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를 통해 수압이나 수위에 따라 차수부재의 기립 각도를 조정하여 요구되는 상황에 맞게 사용자가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물과 맞닿으면 순간적으로 부피가 커지는 흡수성 순간 마대로 이루어진 하단부 차수부재를 통해 하부의 지수역할과 더불어 차수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수판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판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차수부재(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벽체(O) 사이에 배치되어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차수부재(10)는 통상의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프로파일과 같은 프레임을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 2에서와 같이 차수부재(10)의 전체 폭(w)은 벽체(O)와 벽체(O) 사이의 거리(d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여 벽체(O)와 차수부재(10)의 끝단 사이에 이격공간(d)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30)는 상기 차수부재(10)와 벽체(O) 사이의 이격공간(d)에 삽입하여 차수부재(10)의 고정 및 차수부재(10)와 벽체(O) 사이로 유입되는 우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30)는 차수부재(10)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하는 토글 클램프 받침판(33)에 토글 클램프(31)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글 클램프(31)의 전, 후진 작동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차수부재(10)의 측면에는 측면판(32)이 볼트(B)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차수부재(10)의 측면과 측면판(32) 사이에는 탄성력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측면 지수재(34)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측면 지수재(34)의 경우 지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함은 물론, 측면판(32)이 토글 클램프(31)에 의해 밀려 벽체(O)와 맞닿을 때에 측면판(32)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스폰지와 같이 쿠션이 있는 재질로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30)의 측면판(32) 중 토글 클램프(31)와 맞닿지 않은 면, 더욱 구체적으로는, 벽체(O)와 맞닿는 면에는 제2 측면 지수재(35)가 형성되어 토글 클램프(31)를 통해 측면판(32)의 이동시 벽체(O)와의 지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30)의 측면판(32) 중 토글 클램프(31)가 작동하는 부분에는 이탈 방지턱(37)이 구성되어 토글 클램프(31)의 작동시 결합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아 직각이 맞지 않을 경우에도 토글 클램프(31)가 측면판(32)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30)는 측면 지수 및 및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우수가 진행하는 방향과 맞닿는 면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30)와 차수부재(10) 사이에는 제3 측면 지수재(36)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수부재(10)를 지지하면서 차수부재(10)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받침부재(2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20)는 상술한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30)와는 다르게 우수가 진행하는 반대방향에 형성하여 차수부재(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받침부재(20)는 도 4에서와 같이 차수부재(10)의 상단부에 제1 힌지(H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받침판(21)이 구성되고, 상기 받침판(21)의 하단부에 제2 힌지(H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차수부재(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11)에 결합하는 절곡부(22a)를 형성해 받침판(21)을 지지하는 보조 받침판(2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제1, 2 힌지(H1, H2)에 의해 받침판(21) 및 보조 받침판(22)이 접혀져 있다가 차수부재(10)를 지지할 때에는 펼쳐서 차수부재(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보조 받침판(22)에는 보조 받침판(22)이 다양한 각도로 차수부재(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부(23)가 더 구성된다.
상기 각도 조절부(23)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어떠한 매커니즘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단부 차수부재(40)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하단부 차수부재(40)는 물과 접촉하면 물을 흡수해 부피가 팽창되는 수지가 마대에 수납된 형태인 흡수성 순간 마대로 이루어져 있어, 우수의 유입시 차수부재(10) 및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30) 하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을 차단함은 물론, 수압에 의해 차수부재(10)가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수판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차수판(5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치가 매우 간단하다.
즉, 갑작스런 강우량의 증가 또는 예견된 강우량에 의해 우수의 범람이 예상될 경우에는 저지대의 입구측의 벽체(O) 사이에 차수부재(10)를 배치한다.
상기 차수부재(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벽체(O) 사이의 거리(d1) 보다 폭(w)이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되도록 각각의 벽체(O)와 차수부재(10)의 끝단에 형성되는 이격거리(d)가 유사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때에, 상기 차수부재(10) 중 받침부재(20)가 형성된 면이 우수가 이동하는 방향과 맞닿지 않은, 다시 말해, 건물 방향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런 후, 차수부재(10)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재(20)의 받침판(21)을 제1 힌지(H1)를 이용하여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받침판(21) 하단부에 제2 힌지(H2)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보조 받침판(22)을 회전시킨 후, 보조 받침판(22)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22a)를 차수부재(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11)에 결합하여 차수부재(10)가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벽체(O)와 차수부재(10) 사이의 이격공간(d)을 막아 지수 역할과 더불어 차수부재(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30)에 형성되어 있는 토글 클램프(31)를 작동시킨다.
상기 토글 클램프(31)는 레버(31a)를 작동시키면 작동편(31b)이 전진하되, 일정 길이 만큼 작동편(31b)을 전진시킨 후 레버(31a)를 전, 후측으로 작동시키면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토글 클램프(31)의 작동에 의해 작동편(31b)이 전진하게 되면, 이 작동편(31b)이 측면판(32)을 벽체(O)가 있는 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렇게 밀린 측면판(32)은 측면판(32)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측면 지수재(34)와 벽체(O)가 맞닿게 되면서 지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토글 클램프(31)는 도 1에서와 같이 차수부재(10)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 2개소씩 형성하였지만, 차수부재(10)의 전체적인 크기가 클 경우 다수를 형성하게 되면 측면판(32)과 벽체(O) 사이의 고정력이 더욱 높아지게 됨은 물론, 지수의 효율성도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30)의 토글 클램프(31)를 통해 측면판(32)을 밀어 이동시킬 때에, 상기 측면판(32)과 차수부재(10)의 측면 사이에는 스폰지와 같은 쿠션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측면 지수재(34)가 형성되어 있어 측면판(32)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차수부재(10)의 측면과 측면판(32) 사이의 지수역할을 수행하여 차수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더욱이, 상술한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30)의 경우 우수의 진입하는 방향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판(32)이 물에 의한 저항을 덜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지수의 역할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흡수성 순간 마대형태로 이루어진 하단부 차수부재(40)를 차수부재(10)의 하단부에 배치하여 하측면에서 유입될 수 있는 물의 유입을 차단함은 물론, 수압에 의해 차수부재(10)가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갑작스럽게 물이 불어날 경우에도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이후에 해체하는 작업도 간단하여 설치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한편, 긴박한 상황에서도 빨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수부재(10) 및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30)를 별도로 보관하고 있다가 물의 범람이 예상되거나 또는 갑작스럽게 물이 불어날 경우에만 보관장소에서 꺼내어 우수의 유입이 예상되는 위치에 설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차수판(50)의 파손에 따른 설치가 불가능한 상황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O : 벽체
10 : 차수부재
11 : 걸림부 w : 폭
20 : 받침부재
21 : 받침판 22 : 보조 받침판 22a : 절곡부 23 : 각도 조절부
H1 : 제1 힌지 H2 : 제2 힌지
30 :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
31 : 토글 클램프 32 : 측면판 33 : 토글 클램프 받침판
34 : 제1 측면 지수재 35 : 제2 측면 지수재 36 : 제3 측면 지수재
37 : 이탈 방지턱
40 : 하단부 차수부재
50 : 차수판

Claims (7)

  1. 벽체(O) 사이에 배치하여 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수판에 있어서,
    상기 벽체(O) 사이에 배치되되 벽체(O)와 이격공간(d)이 형성될 수 있는 폭(w)으로 형성되어 있는 차수부재(10);
    물이 유입되는 반대 방향의 면에 상기 차수부재(10)의 상단에 제1 힌지(H1)에 의해 결합하는 받침판(21)과, 상기 받침판(21)의 하단부에 제2 힌지(H2)에 의해 결합하되 제2 힌지(H2)가 형성된 반대방향에는 차수부재(10)에 형성된 걸림부(11)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절곡부(22a)를 형성하고 있는 보조 받침판(22)과, 상기 보조 받침판(22)에는 차수부재(10)가 거치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부(23)로 형성된 받침부재(20);
    상기 차수부재(10)와 양 측면의 벽체(O) 사이의 이격공간(d)에 형성되어 있으며, 토글 클램프(31)에 의해 벽체(O)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격공간(d) 부분에서의 차수 및 차수부재(10)를 벽체(O)와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측면판(32)을 포함하는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30);
    상기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30)는 차수부재(10)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에 토글 클램프 받침판(33)에 의해 고정결합하는 토글 클램프(31)와, 차수부재(10)의 측면에 결합하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측면 지수재(34)와 ,상기 제1 측면 지수재(34) 및 차수부재(10)의 측면에 볼트에 의해 결합하는 측면판(32)과, 상기 측면판(32)의 벽체(O)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측면판(32)의 이동시 벽체(O)와의 지수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 측면 지수재(3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글 클램프(31)를 통해 측면판(32)을 밀어 이동시킬 때에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측면 지수재(34)가 형성되어 있어 측면판(32)이 원활히 회전되면서 물에 의한 저항을 덜 받을 수 있는 일정 경사각을 가지면서 지수되도록 하고,
    상기 측면 지수 및 고정부재(30)의 측면판(32) 중 토글 클램프(31)와 맞닿는 면에는 토글 클램프(31)의 작동시 토글 클램프(3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ㄱ자 형상의 이탈방지턱(37)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수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130145837A 2013-11-28 2013-11-28 차수판 KR101493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5837A KR101493022B1 (ko) 2013-11-28 2013-11-28 차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5837A KR101493022B1 (ko) 2013-11-28 2013-11-28 차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022B1 true KR101493022B1 (ko) 2015-02-16

Family

ID=5259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5837A KR101493022B1 (ko) 2013-11-28 2013-11-28 차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781B1 (ko) 2023-03-10 2023-10-19 주식회사 거원산업 접이식 차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935Y1 (ko) 2006-06-13 2006-09-20 (주) 피오피세상 광고물 거치대
KR20100020059A (ko) * 2008-08-12 2010-02-22 박경준 제품형 조립 차수 장치
KR101173304B1 (ko) 2012-04-09 2012-08-17 오달성 침수방지를 위한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KR101186612B1 (ko) 2012-05-23 2012-09-27 상지엔지니어링(주) 차수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935Y1 (ko) 2006-06-13 2006-09-20 (주) 피오피세상 광고물 거치대
KR20100020059A (ko) * 2008-08-12 2010-02-22 박경준 제품형 조립 차수 장치
KR101173304B1 (ko) 2012-04-09 2012-08-17 오달성 침수방지를 위한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KR101186612B1 (ko) 2012-05-23 2012-09-27 상지엔지니어링(주) 차수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781B1 (ko) 2023-03-10 2023-10-19 주식회사 거원산업 접이식 차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3880B2 (ja) 止水板及びこれを用いた止水構造
US7523589B1 (en) Portable flood barrier panel
JP5914908B2 (ja) 建物添設用独立構築物
NO339010B1 (no) Temporær lukning
KR101270370B1 (ko)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101151039B1 (ko)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KR101493022B1 (ko) 차수판
KR200469308Y1 (ko) 신속설치가 가능한 건축물 입구 우수유입 방지 물막이 장치
TWI679340B (zh) 閘門式擋水裝置
KR101186612B1 (ko) 차수판
JP6240035B2 (ja) 建物添設用独立構築物とその支持構造
KR100578537B1 (ko) 공동주택내의 지대가 낮은 지하공간의 우수유입방지장치
JP6539857B2 (ja) 止水面材の連結方法
JP4549932B2 (ja) 排水溝蓋兼用の防潮構造
JP2019124037A (ja) 止水構造
JP2022089971A (ja) 改装サッシ
JP6239676B2 (ja) 建物添設用独立構築物とその施工方法
JP4651572B2 (ja) 勾配対応型換気棟
KR200489323Y1 (ko) 차수판 장치
RU2626980C2 (ru) Фасадная система и угловой элемент для такой системы
JP2010203158A (ja) 止水壁
JP6957415B2 (ja) 止水板及びこれを用いた止水構造
KR100536065B1 (ko) 지대가 낮은 건축물의 우수유입방지장치
KR101867216B1 (ko) 보(洑)전용 전도수문
JP2018017118A (ja) 建物添設用独立構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