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906A -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906A
KR20070091906A KR1020060021659A KR20060021659A KR20070091906A KR 20070091906 A KR20070091906 A KR 20070091906A KR 1020060021659 A KR1020060021659 A KR 1020060021659A KR 20060021659 A KR20060021659 A KR 20060021659A KR 20070091906 A KR20070091906 A KR 20070091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utdoor unit
indoor unit
curved
conne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국
김시동
Original Assignee
(주)시원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원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시원이앤씨
Priority to KR1020060021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1906A/ko
Priority to CNA2007100800736A priority patent/CN101033903A/zh
Publication of KR20070091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085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including an inner cha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75Sound-damping or noise-reduc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벽체 내부에 매립된 에어컨의 냉매 관과 실내기 및 실외기를 조립 식으로 쉽게 연결할 수 있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건물 벽체에 매립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고정된 다수의 곡관 부재들; 및 상기 곡관 부재들의 단부를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 측의 배관에 나사 조립식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 측의 배관 내부에 각각 끼워지는 압입 링을 구비한 조임 수단;을 포함하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벽체 내부에 매립된 냉매 관과 실내기 및 실외기의 배관들을 조립 식으로 쉽게 연결할 수 있음으로써 숙련된 용접 기술자가 불필요하고, 쉽게 연결 작업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현장 작업의 시간을 크게 절약하고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냉매 관, 실내기, 실외기, 배관 연결박스, 압입 링, 조임 수단

Description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Pipe Connecting Box Assemblies For Air Conditioners}
제 1도는 종래의 에어 콘 시스템이 실내 주거 공간에 배치된 배치도.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용접 연결방식의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실내기에 연결되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4도의 a),b)는 도 3에 도시된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의 평 단면도 및 종 단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실외기에 연결되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6도의 a),b)는 도 5에 도시된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의 평 단면도 및 종 단면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의 곡관 부재와 조임 수단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의 곡관 부재와 조임 수단 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에 따른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10.... 케이싱 15.... 지지 블록
20.... 곡관 부재 22a.... 너트
25.... 숫 나사부 30.... 조임 수단
32.... 압입 링 32a.... 고리형 스토퍼
35.... 압축 링 37.... 원추 면
39.... 둥근 고리형의 홈 45.... 조임 너트
47.... 암 나사부 49.... 단턱
60.... 커버 65.... 케이블 삽입구멍
100.... 분리형 에어 콘 시스템 110a,110b.... 실내기
120.... 실외기 130.... 매립 관
150a... 바닥 콘크리트 층 150b.... 벽체 콘크리트 층
200.... 종래의 연결 박스 구조 210.... 연결 박스
220.... 곡관 부재(an elbow) 222.... 커버
본 발명은 아파트, 일반 주택 등에 설치되는 분리형 에어콘의 배관 연결을 위한 연결 박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벽체 내부에 매립된 에어컨의 냉매 관과 실내기 및 실외기를 조립 식으로 쉽게 연결할 수 있음으로써 에어 콘 설치 작업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거주 공간의 마감 품질을 우수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분리형 에어컨은 증발기와 송풍 팬을 포함하여 냉매의 상 변환 순환 사이클을 이용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거주 공간인 실내에 놓이는 실내기와, 발코니 또는 베란다 등의 실외에 놓여지는 실외기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순환 연결하도록 냉매 통로용 배관을 구비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냉매 통로용 배관이 사용자의 실내 공간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실내 미관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나, 근래에는 바닥 및 벽체 콘크리트층 타설시 실내외를 연결하는 배관이 매립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는 이와 관련된 분리형 에어 콘 시스템의 배치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분리형 에어 콘 시스템(100)은 보통 안방 등에 배치되는 벽부 형 실내기(110a)와 거실 등에 배치되는 직립형 실내기(110b) 등을 구비하고, 이러한 실내기(110a)(110b)들은 발코니 또는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실외기(120)에 매립 관(130) 등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와 같은 매립 관(130)은 건물을 이루는 바닥 콘크리트 층(150a) 과 벽체 콘크리트 층(150b) 내에 매립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매립되는 배관으로는 기체상태의 냉매가 실외기(120)에 의해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된 후 고온 액상으로 응축된 고압 냉매가 통과하는 고압 냉매 관과, 실내기(110a)(110b)에서 기화된 저압의 냉매가스를 다시 실외기(120)로 회수하기 위한 저압 냉매 관 등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냉매 관들과는 별도로 실내기(110a)(110b)와 실외기(120) 사이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 케이블(미 도시)이 매립된다.
이와 같은 매립 관(130)인 냉매 관들과 실내기(110a)(110b) 및 실외기(120)들을 연결하기 위한 종래의 연결 박스 구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결 박스 구조(200)는 벽체 콘크리트층(150b)에 사각 박스형의 연결 박스(210)가 매립설치되고, 그 내부 측으로는 매립 관(130)으로부터 연결된 복수의 냉매 관(130a)들이 매립 설치된 구조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결 박스(130) 내의 냉매 관(130a)들은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배관(112) 들에 곡관 부재(elbow)(220)를 사용하여 용접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종래의 배관 연결 작업은 현장에서 숙련 기술자가 용접장비 등의 별도장비를 매번 연결 박스 위치마다 이동시켜 가면서 용접작업을 실시 하여야 하므로 작업상의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에어 콘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를 매립 관(130)에 연결하는 작업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고 숙련자를 필요로 하는 것이어서 작업 생산성은 크게 낮은 것이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연결 박스 구조(200)는 벽부형 에어 콘인 경우, 연결 박스(210) 내에서 냉매 관(130a) 들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 공간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용접 박스(210)의 위치를 에어 콘 실내기(110a)(110b) 뒷면에 배치할 수 없고 그 일측으로 상기 연결 박스(210)를 노출시켜야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결 박스(210)의 노출은 비록 커버(222)를 씌운 다고는 하지만 실내 벽체의 외관을 크게 해치는 것이고, 특히 내장 마감이 고급화되어 가는 현재의 주택 시장 조건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벽체 내부에 매립된 에어컨의 냉매 관과 실내기 및 실외기를 조립 식으로 쉽게 연결할 수 있음으로써 숙련된 용접 기술자가 불필요하고, 특히 용접 장비를 작업 위치로 매번 이동시키지 않아도 쉽게 연결 작업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현장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를 제공함 에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목적으로서 에어 콘의 배관 연결과정에서 큰 작업 공간이 필요치 않음으로써 배관 연결 후에는 연결 박스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에어 콘의 후면에 배치할 수 있어서 실내 마감 품질을 우수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으로서 작업자가 쉽게 공조 시스템의 유지 보수를 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건물의 시설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 콘의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배관을 건물 매립 관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박스 조립체에 있어서,
건물 벽체에 매립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고정된 다수의 곡관 부재들; 및
상기 곡관 부재들의 단부를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 측의 배관에 나사 조립식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 측의 배관 내부에 각각 끼워지는 압입 링을 구비한 조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임 수단은 상기 압입 링이 끼워진 실내기 또는 실외기 측의 배관이 내부로 삽입되는 압축 링; 및 상기 압축 링의 외측에서 상기 곡관 부재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압축 링이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 측의 배관을 압착 고정하도록 가압하는 조임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 링의 외면에는 원추 면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 너트의 내 측면 일측에는 상기 원추 면에 면 접촉하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은 상기 조임 너트가 상기 곡관 부재에 나사 결합하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상기 원추 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압축 링이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 측의 배관을 압착시키는 작용력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입 링은 상기 압축 링에 의한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 측의 배관 압착을 충분히 견디는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싱은 통상적인 박스형상의 구조를 갖추고, 내측 공간의 중간에는 상기 곡관 부재들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 블록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블록은 곡관 부재가 끼워지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블록의 상,하면에 너트들이 배치되어 상기 곡관 부재의 외면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 블록을 협착하여 곡관 부재들을 정 위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콘의 실내기 배관(112)을 건물 매립 관(130)에 나사 조임 식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사용가능하다.
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콘의 실외기 배관(122)을 건물 매립 관(130)에 나사 조임 식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1)는 건물 벽체 콘크리트층(150b)에 매립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케이싱(1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케이싱(10)은 플라스틱 재료를 성형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박스형상의 구조를 갖추고, 내측 공간의 중간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곡관 부재(20)들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 블록(15)들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 블록 (15)은 곡관 부재(20)가 끼워지는 견고한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고, 그 중앙에는 상하 구멍(미 도시)을 형성하여 곡관 부재(20)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곡관 부재(20)는 바람직하게는 지지 블록(15)의 상,하면에 너트(22a)들이 배치되고, 이들 너트(22a)들은 상기 곡관 부재(20)의 외면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어 그 사이에서 상기 지지 블록(15)을 협착시킴으로써 곡관 부재(20)들을 정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고정된 다수의 곡관 부재(20)들을 구비한다. 상기 곡관 부재(20)들은 각각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에 숫 나사부(25)가 형성된 구조이며, ㄱ 형으로 굽어진 단면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곡관 부재(20)들의 단부를 상기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에 나사 조립식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 내부에 각각 끼워지는 압입 링(32)을 구비한 조임 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압입 링(32)은 원통형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이 외력에 의해서 압착력을 받는 경우, 그 압착력을 충분히 견디는 두께를 갖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압입 링(32)은 그 일측 단에는 직경이 확대된 고리형 스토퍼 (32a)가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압입 링(32)이 내부로 과도하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조임 수단(3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이 내부로 삽입되는 압축 링(35)을 구비한다. 상기 압축 링(35)은 그 내부로 상기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들, 바람직하게는 동관들이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압축 링(35)의 내경(d1)은 상기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 외경(d2)에 일치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 링(35)은 그 외면에 원추 면(37)이 형성되는바, 상기 원추 면(37)은 상기 압축 링(35)의 중간 부분의 직경(d3)이 압축 링(35)의 양단측 직경(d4)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압축 링(35)은 그 중간 부분의 외면에는 둥근 고리형의 홈(39)이 형성되어 상기 압축 링(35)이 이후에 설명되는 조임 너트(45)에 의해서 압축력을 받는 경우, 압축 링(35)의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임 수단(30)은 상기 압축 링(35)의 외측에서 상기 곡관 부재(20)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압축 링(35)이 상기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을 압착 고정하도록 가압하는 조임 너트(45)를 포함한 다.
상기 조임 너트(45)는 그 내면에 암 나사부(47)를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암 나사부(47)는 상기 곡관 부재(20)의 양단에 마련된 숫 나사부(25)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 너트(45)는 그 내 측면 일측에 상기 원추 면(37)에 면 접촉하는 단턱(49)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49)은 상기 조임 너트(45)가 상기 곡관 부재(20)에 나사 결합하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상기 원추 면(37)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압축 링(35)이 상기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을 압착시키는 작용력을 크게 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조임 너트(45)는 단턱(49)의 내경이 상기 압축 링(35)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 외경보다는 큰 구조이다.
이와 같은 조임 너트(4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관 부재(20)의 단부에 나사 결합하여 점차 곡관 부재(20) 측으로 전진하면, 압축 링(35)의 원추 면(37)과 단턱(49)의 접촉면이 상기 압축 링(35)을 조임 너트(45)와 함께 전진시키려 하지만, 상기 압축 링(35)은 그 상단부가 곡관 부재(20)의 단부 측에 맞닿아서 곡관 부재(20) 측으로의 전진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압축 링(35)은 상기 단턱(49) 과의 원추 면(37) 접촉 구조를 통하여 반경 방향으로 압착력을 받게 되고, 압축 링(35)은 그 내부에 끼워진 상기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 외면을 반경 방향으 로 압착하는 것이다.
미 설명 부호(60)는 케이싱(10)을 덮는 커버이고, (65)는 케이블 삽입구멍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1)는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곡관 부재(20)의 하단부가 건물 매립 관(130)에 연결되고 케이싱(10)이 벽체 콘크리트층(150b)에 매설된 상태로 현장에서 시공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각각의 곡관 부재(20)의 하단부는 건물 매립 관(130)에 나사 조립식으로 현장에서 연결되고, 케이싱(10)의 개방 입구는 테이프(미 도시) 등으로 막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용 커푸집(미 도시)에 밀착된 다음,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케이싱(10)의 개방 입구가 벽체 콘크리트 층(150b)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케이싱(10)과 매립 관(130)들은 콘크리트 내부에 시공된다.
한편 상기에서 상기 곡관 부재(20)들이 건물 매립 관(130)에 나사 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는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 대신에 건물 매립 관(130)이 조임 너트(45)와 압축 링(35)의 내부로 삽입되면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싱(10)이 벽체 콘크리트층(150b)에 매설되면, 작업 자는 케이싱(10)의 개방 입구를 막고 있던 테이프 등의 임시 폐쇄 수단을 제거한 다음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을 곡관 부재(20)에 나사 조립식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곡관 부재(20)에 연결하고자 하는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압입 링(32)을 삽입하게 되며, 이와 같은 압입 링(32)은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이 외부로부터 압착력을 받게 되어도 이를 지탱하여 상기 배관(112)(122)의 형상 변형을 막고 원하는 배관 연결 구조를 얻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압입 링(32)이 삽입된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들은 각각 곡관 부재(20)에 임시로 헐겁게 연결된 상태인 조임 너트(45)의 내경부 측으로 진입하여 조임 너트(45)의 내부에 위치된 압축 링(35)의 내경부 측으로 깊게 들어간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압축 링(35)들은 그 내경(d1)의 크기가 상기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 외경(d2)이 일치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은 곡관 부재(20)의 단부 측까지 깊숙히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조임 너트(45)를 조이게 되면, 상기 조임 너트(45)는 곡관 부재(20)와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곡관 부재(20) 측으로 전진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조임 너트(45)의 내면에 마련된 단턱(49)은 상기 압축 링(35)의 원추 면(37)을 곡관 부재(20) 측으로 깊게 밀게 된다.
그렇지만 상기 압축 링(35)은 그 상단부가 곡관 부재(20)의 단부에 밀착되어 전진이동이 방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조임 너트(45)의 전진이동은 압축 링(35)을 반경 방향으로 누르는 압착력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압축 링(35)의 원추 면(37) 결합 구조로 인하여 압축 링(35)은 그 내부 측에 끼워진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을 반경 방향으로 강하게 압착시킴으로써 곡관 부재(20)에 견고히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압입 링(32)은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 내부에 위치되어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이 받는 반경 방향의 압착력에 저항하고 그에 따라서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은 압축 링(35)에 의한 반경 방향의 큰 압착력에 의해서도 형상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곡관 부재(20)와는 유체의 누설 없는 밀봉 상태의 배관 연결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 구조는 각각의 곡관 부재(20)들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110a)(110b) 측의 배관(112)과 곡관 부재(20)의 간편한 연결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20) 측의 배관(122)과 곡관 부재(20)의 간편한 연결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나사 조립식으로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과 곡관 부재(20)의 연결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면, 현장에는 숙련된 기술자인 용접 인력이 불필요하고, 용접 장비를 이리저리 이동시킬 필요성이 없는 것이다. 단지 조임 너트(45)를 강하게 조일 수 있는 스패너(Spanner) 공구만으로도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 측의 배관(112)(122)을 건물 매립 관(130)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나사 조립식 연결 구조에서는 조임 너트(45)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은 작업 공간만이 필요하므로, 배관 연결을 마친 다음에는 커버를 이용하여 케이싱(10)의 개방 공간을 막고, 에어콘 실내기(110a)(110b) 또는 실외기(120)들을 그 전면에 배치하여 상기 케이싱(10)과 커버가 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벽체 내부에 매립된 냉매 관과 실내기 및 실외기의 배관들을 조립 식으로 쉽게 연결할 수 있음으로써 숙련된 용접 기술자가 불필요하고, 쉽게 연결 작업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현장 작업의 시간을 크게 절약 하고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 콘의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배관 연결과정에서 큰 작업 공간이 필요치 않음으로써 배관 연결 후에는 케이싱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에어 콘의 실내기로 가릴 수 있어서 주거용인 실내 벽면의 마감을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배관 연결 이음매 부분과 매립 관의 연결 이음매 부분을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쉽게 배관 계통의 유지 보수를 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건물의 시설 관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이며,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에어 콘의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배관을 건물 매립 관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박스 조립체에 있어서,
    건물 벽체에 매립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고정된 다수의 곡관 부재들; 및
    상기 곡관 부재들의 단부를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 측의 배관에 나사 조립식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 측의 배관 내부에 각각 끼워지는 압입 링을 구비한 조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수단은 상기 압입 링이 끼워진 실내기 또는 실외기 측의 배관이 내부로 삽입되는 압축 링; 및 상기 압축 링의 외측에서 상기 곡관 부재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압축 링이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 측의 배관을 압착 고정하도록 가압하는 조임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링은 그 외면에 원추 면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 너트의 내 측면 일측에는 상기 원추 면에 면 접촉하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은 상기 조임 너트가 상기 곡관 부재에 나사 결합하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상기 원추 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압축 링이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 측의 배관을 압착시키는 작용력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 링은 상기 압축 링에 의한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 측의 배관 압착을 충분히 견디는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통상적인 박스형상의 구조를 갖추고, 내측 공간의 중간에는 상기 곡관 부재들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 블록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곡관 부재가 끼워지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블록의 상,하면에 너트들이 배치되어 상기 곡관 부재의 외면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 블록을 협착하여 곡관 부재들을 정 위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KR1020060021659A 2006-03-08 2006-03-08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KR20070091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659A KR20070091906A (ko) 2006-03-08 2006-03-08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CNA2007100800736A CN101033903A (zh) 2006-03-08 2007-03-07 空调排管用连接箱组装体、空调制冷剂排管连接方法及空调排管连接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659A KR20070091906A (ko) 2006-03-08 2006-03-08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283U Division KR200421581Y1 (ko) 2006-03-08 2006-03-08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906A true KR20070091906A (ko) 2007-09-12

Family

ID=38689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659A KR20070091906A (ko) 2006-03-08 2006-03-08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91906A (ko)
CN (1) CN10103390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503B1 (ko) * 2011-02-23 2011-06-08 성기천 냉매관 연결구
KR101151687B1 (ko) * 2010-08-26 2012-06-14 주식회사 신성냉동공조 에어컨 배관 연결용 멀티박스
CN106382773A (zh) * 2016-08-31 2017-02-08 新昌县开铭制冷配件有限公司 一种用于空调机制冷管的铜接管
CN106382772A (zh) * 2016-08-31 2017-02-08 新昌县开铭制冷配件有限公司 一种用于空调机制冷管的连接管
CN106403402A (zh) * 2016-08-31 2017-02-15 新昌县开铭制冷配件有限公司 一种用于空调机制冷管的铜接铝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4525A1 (en) * 2010-05-12 2013-01-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witching device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03486705B (zh) * 2012-06-11 2015-11-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连接管装置及空调器
CN108800514A (zh) * 2018-05-25 2018-11-13 江苏恒健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墙壁内空调排水管道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687B1 (ko) * 2010-08-26 2012-06-14 주식회사 신성냉동공조 에어컨 배관 연결용 멀티박스
KR101039503B1 (ko) * 2011-02-23 2011-06-08 성기천 냉매관 연결구
CN106382773A (zh) * 2016-08-31 2017-02-08 新昌县开铭制冷配件有限公司 一种用于空调机制冷管的铜接管
CN106382772A (zh) * 2016-08-31 2017-02-08 新昌县开铭制冷配件有限公司 一种用于空调机制冷管的连接管
CN106403402A (zh) * 2016-08-31 2017-02-15 新昌县开铭制冷配件有限公司 一种用于空调机制冷管的铜接铝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33903A (zh)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1906A (ko)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US11982476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amateur HVAC installation
US20210003290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amateur ductless hvac installation
US20190323727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amateur ductless hvac installation
KR200421581Y1 (ko)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CN110173025B (zh) 一种给排水管道系统及施工方法
KR101620279B1 (ko) 기밀 테스트용 배관 연결관, 이를 결합한 스테인리스 배관 및 스테인리스 배관 형성방법
KR200437907Y1 (ko) 에어콘용 배관 연결장치
KR101135003B1 (ko) 에어컨 배관매립 조인트박스가 구비된 배관이음구조
KR200438741Y1 (ko) 에어컨 설치배관용 플러그
KR100437727B1 (ko)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100384762B1 (ko) 매립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US11982451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amateur HVAC installation
KR200275715Y1 (ko) 매립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100975288B1 (ko)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KR200440907Y1 (ko) 에어컨 냉매배관용 보온호스
KR101695480B1 (ko) 공동주택용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KR200347069Y1 (ko) 에어컨 동관 고정대
JP3074995B2 (ja) 室外ユニットの配管パイプ用接続ジョイントカバー
CN105222297B (zh) 室内应用的冷媒插座及具有该冷媒插座的空调设备
CN212378210U (zh) 一种风管接头
KR100931624B1 (ko) 에어컨배관 조인트 시스템박스
KR20100000923U (ko) 에어컨의 냉매관 연결구.
KR200321072Y1 (ko)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및 이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
JPH08226576A (ja) 水道メータ廻り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