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868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868B1
KR101123868B1 KR1020090028080A KR20090028080A KR101123868B1 KR 101123868 B1 KR101123868 B1 KR 101123868B1 KR 1020090028080 A KR1020090028080 A KR 1020090028080A KR 20090028080 A KR20090028080 A KR 20090028080A KR 101123868 B1 KR101123868 B1 KR 101123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door unit
junction box
air condition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694A (ko
Inventor
박용길
Original Assignee
(주)무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한 filed Critical (주)무한
Priority to KR1020090028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86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9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함의 배관에 실내기를 연결할 때 실내기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배관을 변형시키거나 재가공하지 않고서도 실내기가 간편하고 견고하게 접속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이 개방되고 측면에 관유입공이 형성되어 벽체의 내부에 매입된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끝단이 노출되고 실내 벽면에 매입 설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가로 방향의 길이 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접속함과, 상기 접속함의 내측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을 기준으로 구획된 상기 접속함의 전면 개방부를 폐쇄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상기 접속함의 하면으로 유입되어 상기 접속함의 내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되, 배관의 하부측에 액자형 실내기의 배관이 체결 접속되는 하부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상단에 벽걸이형 실내기가 체결 접속되는 상부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체결부에 체결 고정되어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는 기밀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실내기를 설치할 때 배관을 휘거나 재가공함으로써, 냉매의 통과 직경이 좁아지거나 가공불량에 의해 냉매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에어컨, 공기조화기, 배관, 접속함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a bury in wall type joint-box for wall hanging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함의 배관에 실내기를 연결할 때 실내기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배관을 변형시키거나 재가공하지 않고서도 실내기가 간편하고 견고하게 접속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온도를 쾌적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으로서,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 및 이들을 연결하도록 냉매가 순환하여 흐르는 한 쌍의 배관과 전원 작동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배관이 건물에 설치될 때에는 벽체를 관통하여 배관이 통과되는 구멍을 형성하여야 함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설치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구조적인 강도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도 6에서 보인 것과 같이 건축물의 시공 단계에서 벽체의 내부에 공기조화기용 배관(100)과 전선을 일체로 매입하 여 배관(100)과 전선이 건축물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건축물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면서 실내기와 실외기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매입 시공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배관을 콘크리트 벽체의 내부에 매입하여 시공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실내기의 설치장소 및 실외기의 설치장소에 배관(100)의 끝단이 노출되는 접속함(200)을 형성하고, 냉매가 유입 및 배출되는 한 쌍의 배관(100)이 연결관(101)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폐회로를 이루도록 하며, 배관의 내측면에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에 질소가스를 충진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접속함 중 특히 실내기가 연결되도록 실내에 배치되는 접속함은 통상적으로 배관이 인출되는 최소한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벽면에 매립 설치되는데, 특히 벽면에 고정되는 벽걸이형 실내기를 설치하기 위한 접속함은 천장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배관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근래에는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긴 일반적인 형태의 벽걸이형 실내기와 더불어 실내 공간의 장식성을 위하여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와 같거나 더 짧은 액자형 실내기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액자형 실내기를 상기와 같은 접속함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실내기의 크기에 따라 배관을 연장하여 벽면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원 출원인의 2008.12.3자 특허출원 제2008-121946호 에서는 벽체의 내부에 매입 설치되되 세로가 가로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접속함(10)을 구비하고, 접속함(10)의 일측면에 관유입공(11)을 형성하고, 외측면에는 철근고정편(12)이 형성되도록 하며, 벽체에 매입된 공기조화기의 배관(20)의 끝단이 그 내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접속함(10)의 내측면에는 배관통과공(31)이 형성된 지지패널(30)이 결합홈(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전면에는 단턱부(14)를 형성하여 상부커버(40) 및 하부커버(50)가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속함은 배관이 단순히 접속함의 내부에 노출 배치됨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접속할 경우 그에 맞게 배관을 절단하거나 구부리는 등의 재가공을 해야할 뿐만 아니라, 배관의 끝단에는 실내기를 설치할 때 별도의 추가 가공을 통해 실내기에 접속되는 체결부 등을 고정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배관이 변형되면서 냉매의 이동 압력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었고, 배관의 손상에 의해 냉매가 누출되는 경우도 있었으며, 실내기의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최초에 실내기를 설치한 후 다른 형태의 실내기로 교체할 경우에는 배관을 다시 연장하거나 재가공해야함에 따라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접속함의 배관에 실내기를 연결할 때 실내기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배관을 변형시키거나 재가공하지 않고서도 실내기가 간편하고 견고하게 접속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함의 내부로 유입된 배관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의 크기 및 형태에 따른 배관의 연결 방향이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가림판 내부의 배관의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고 측면에 관유입공이 형성되어 벽체의 내부에 매입된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끝단이 노출되고 실내 벽면에 매입 설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가로 방향의 길이 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접속함과, 상기 접속함의 내측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을 기준으로 구획된 상기 접속함의 전면 개방부를 폐쇄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상기 접속함의 하면으로 유입되어 상기 접속함의 내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되, 배관의 하부측에 액자형 실내기의 배관이 체결 접속되는 하부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상단에 벽걸이형 실내기가 체결 접속되는 상부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체결부에 체결 고정되어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는 기밀마개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함의 내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배관이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상,하부체결부가 각각 이격되어 노출 고정되는 배관가림판이 구비되며, 상기 배관가림판은 상기 하부체결부가 고정되는 하부측이 벽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결부가 고정되는 상부측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에, 본 발명은 배관에 하부체결부 및 상부체결부를 형성하여 접속함의 배관에 실내기를 연결할 때 실내기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배관을 변형시키거나 재가공하지 않고서도 실내기가 간편하고 견고하게 접속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을 제공함으로서, 실내기를 설치할 때 배관을 휘거나 재가공함으로써, 냉매의 통과 직경이 좁아지거나 가공불량에 의해 냉매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가림판을 구비하여 접속함의 내부로 유입된 배관이 외 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충격에 의한 배관의 변형 및 파손에 의해 냉매의 통과 압력이 변화되거나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기의 크기 및 형태에 따른 배관의 연결 방향이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실내기를 연결하기 위해 배관을 과도하게 구부리거나 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질 뿐만 아니라, 실내기를 설치하는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가림판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배관가림판 내부의 배관의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배관의 노후화에 따른 교체작업 및 실내기의 교체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배관(20)의 변형 및 재가공이 최소화되면서 실내기가 간편하게 접속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10)에 관한 것으로서, 접속함(10)의 내측으로 냉매가 순환되는 배관(20)의 끝단이 노출되도록 하되, 상기 배관(20)의 하부측으로 가로가 세로보다 짧거나 같은 액자형 실내기가 체결되어 연결되는 하부체결부(60)가 형성되고, 배관(20)의 상부 끝단에는 가로가 세로보다 긴 통상의 벽걸이형 실내기가 체결되어 연결되는 상 부체결부(70)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접속함(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전면 개방부가 콘크리트 벽면에 배치되도록 벽체의 내부에 매입되어 시공되고, 측면에는 콘크리트 벽체의 내부에 매입된 공기조화기의 배관(20) 및 전선의 끝단이 접속함(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관유입공(11)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벽체의 뼈대를 이로는 철근에 고정되는 철근고정편(12)이 돌출 형성되고,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중 특히 벽걸이형 실내기가 설치되는 벽면 상부측에 매입된다.
이때, 상기 접속함(10)은 벽체에 매입될 때 전면 개방부가 세로방향의 길이가 가로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접속함(10)의 내측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면서 상기 접속함(10)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패널(30)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패널(30)을 기준으로 구획된 접속함(10)의 전면 개방부에는 각각 분리되어 개폐되는 상부커버(40) 및 하부커버(50)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패널(30)은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과정에서 접속함(10)의 양 측벽을 지지하여 뒤틀림 등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속함(10)의 양 측벽을 지지하는 판재로 형성되되, 접속함(10)의 내측면에 결합홈(13)을 형성하여 접속함(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앙부에는 접속함(10)의 내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20) 및 전선의 끝단이 접속함(10)의 상,하부로 배치되도록 관통된 배관통과공(31)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커버(40) 및 하부커버(50)는 접속함(10) 내부의 배관(20) 및 전선에 실내기가 접속되어 설치될 때 실내기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접속함(10)의 노출 면적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속함(10)의 전면 개방부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접속함(10)의 전면 개방부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접속함(10)의 전면 개방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상기 상부커버(40) 및 하부커버(50)가 삽입되는 단턱부(14)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부커버(40) 및 하부커버(50)가 접속함(10)에 결합될 때 단턱부(14)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벽면 상에 상부커버(40)와 하부커버(5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벽면 중 천장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실내기의 특성에 따라 실내기의 상,하 높이 및 크기에 관계 없이 배관(20)이 인출되는 위치를 조절하고, 상부커버(40)만 개방하거나, 상,하부커버(40)(50) 전체를 개방하는 등 상,하부커버(40)(5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실내기가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배관(20)이 벽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미관을 해치는 것을 줄이면서 실내기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공기조화기의 냉매가 흐르는 상술한 배관(20)은 상술한 접속함(1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되, 그 끝단이 접속함(10)의 상부커버(40)와 대응되는 상부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하부커버(50)와 대응되는 배관(20)의 하부측에는 배관(20)이 측방으로 연결되어 실내기의 냉매관이 체결 고정되도록 나선이 형성된 하부체결부(60)가 형성되도록 하며, 배관(20)의 상단부에 실내기의 냉매관이 체결 고정되는 상부체결부(7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벽걸이형이나 액자형 등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되는 실내기에 배관(20)을 연결할 때 접속함(10) 내부의 배관(20)을 구부리거나 절단하는 등의 작업에 의해 배관(20)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20)의 끝단에 실내기를 설치할 때 현장 가공에 의해 별도의 체결구를 결합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지게 되고, 현장 가공시의 불량에 의해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체결부(70) 및 하부체결부(60)에는 배관(20)을 기밀되게 폐쇄하도록 체결 고정되는 기밀마개(61)(71)를 구비하여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배관(20) 내부에 충진된 부식방지용 가스 등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하부체결부(60)(70) 중 어느 일측에 실내기가 연결된 경우 타측을 통해 냉매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술한 접속함(10)의 내측으로는 상술한 배관(20)이 접속함(10)의 전면 개방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내측에 상기 배관(20)이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술한 상,하부체결부(60)(70)가 상,하로 이격되어 노출 고정되도록 하는 배관가림판(80)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배관(20)이 접속함(10)의 내부에 노출되어 실내기를 설치할 때 충격을 받아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관가림판(80)은 상기 하부체결부(60)가 고정되는 하부측이 벽 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체결부(70)가 고정되는 상부측이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실내기를 연결하기 위해 배관(20)을 과도하게 구부리거나 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질 뿐만 아니라, 실내기를 설치하는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배관가림판(80)은 상기 접속함(10)의 내부에 통상의 나사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 의해 배관(20)이 부식되어 배관(20)을 교체하거나, 상,하부체결부(60)(70)를 교체할 경우에 간편하게 배관(20)이 노출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통상적인 벽걸이형 실내기의 설치 상태를 사시도.
도 4는 통상적인 액자형 실내기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종래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 회로도.
도 6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속함
11 : 관유입공 12 : 철근고정편
13 : 결합홈 14 : 단턱부
20 : 배관
30 : 지지패널
31 : 배관통과공
40 : 상부커버
50 : 하부커버
60 : 하부체결부
61 : 기밀마개
70 : 상부체결부
71 : 기밀마개
80 : 배관가림판

Claims (4)

  1. 삭제
  2. 전면이 개방되고 측면에 관유입공(11)이 형성되어 벽체의 내부에 매입된 공기조화기용 배관(20)의 끝단이 노출되고 실내 벽면에 매입 설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가로 방향의 길이 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접속함(10)과, 상기 접속함(10)의 내측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지지패널(30)과, 상기 지지패널(30)을 기준으로 구획된 상기 접속함(10)의 전면 개방부를 폐쇄하는 상부커버(40) 및 하부커버(50)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배관(20)은 상기 접속함(10)의 하면으로 유입되어 상기 접속함(10)의 내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되, 배관(20)의 하부측에 액자형 실내기의 배관(20)이 체결 접속되는 하부체결부(60)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20)의 상단에 벽걸이형 실내기가 체결 접속되는 상부체결부(70)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체결부(60)(70)에 체결 고정되어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는 기밀마개(61)(71)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함(10)의 내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배관(20)이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상,하부체결부(60)(70)가 각각 이격되어 노출 고정되는 배관가림판(80)이 구비되며, 상기 배관가림판(80)은 상기 하부체결부(60)가 고정되는 하부측이 벽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결부(70)가 고정되는 상부측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
  3. 삭제
  4. 삭제
KR1020090028080A 2009-04-01 2009-04-0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 KR101123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080A KR101123868B1 (ko) 2009-04-01 2009-04-0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080A KR101123868B1 (ko) 2009-04-01 2009-04-0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694A KR20100109694A (ko) 2010-10-11
KR101123868B1 true KR101123868B1 (ko) 2012-03-19

Family

ID=43130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080A KR101123868B1 (ko) 2009-04-01 2009-04-0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8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690Y1 (ko) * 2003-12-22 2004-03-18 (주) 이안플로링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KR200419505Y1 (ko) * 2006-04-10 2006-06-20 태성프라스틱(주) 에어컨용 분배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690Y1 (ko) * 2003-12-22 2004-03-18 (주) 이안플로링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KR200419505Y1 (ko) * 2006-04-10 2006-06-20 태성프라스틱(주) 에어컨용 분배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694A (ko) 2010-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62094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EP3447393B1 (en) Heat source unit
US11149968B2 (en) Heat source unit
US20070125111A1 (en) Integral air conditioner
JP2009030938A (ja) 空調装置
KR10112386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
JP6673377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4704226B2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KR200415779Y1 (ko) 배관 연결용 벽체 매립박스
KR101403694B1 (ko) 천장용 에어컨의 돌출 커버
KR2010006343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
JP4155103B2 (ja) 配線の保護構造
JPS60194239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ES1065338U (es) "caja de registro para obra en seco".
JP6803773B2 (ja) 空調用ダクトの設置構造
KR100780381B1 (ko)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
JP2763287B2 (ja) 空調用エアコンディショナの配管回り構造
KR20190005664A (ko) 건축물용 후드 벤트
JPH07139803A (ja) 空気調和機の取付装置
KR101461645B1 (ko) 공기조화기용 매립형 배관 접속함
KR20150081091A (ko) 에어컨 배관 연결용 박형 벽체 매립박스
JP5943612B2 (ja) 天井埋込み型空気調和機
JP2013007561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09109047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4922643B2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