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262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262B1
KR101500262B1 KR20140023017A KR20140023017A KR101500262B1 KR 101500262 B1 KR101500262 B1 KR 101500262B1 KR 20140023017 A KR20140023017 A KR 20140023017A KR 20140023017 A KR20140023017 A KR 20140023017A KR 101500262 B1 KR101500262 B1 KR 101500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cylinder
central
adjustmen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출
Original Assignee
이미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출 filed Critical 이미출
Priority to KR20140023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7Plugs to close openings in forms'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부 배관의 높이를 다르게 연결할 수 있는 배관슬리브에 있어서: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하부통(11), 중앙통(12), 상부통(13)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부통(11), 중앙통(12), 상부통(13)이 순차적 삽설하여 단계별 조절이 가능하게 조절홈(21)(22)과 안착턱(23)(24) 및 돌부(25)(26)를 구비하는 조절수단(20); 및 상기 조절수단(20)의 조절홈(21)(22)과 안착턱(23)(24)에 삽설한 상태로 돌부(25)(26)에 걸려 조절된 중앙통(12), 상부통(13)을 고정하게 고정바(31)를 구비하되, 고정바(31)는 양끝단에 분실을 방지하게 각각의 관통공(32)과 상기 관통공(32) 상에 삽설 고정하는 핀(33)을 구비하는 방식 또는 하부통(11), 중앙통(12)의 안착턱(23)(24)과 근접하여 형성되는 수용홈(27) 상에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홈(21)(22)에 삽설되어 고정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고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물의 다양한 타설 두께에 따라 배관 슬리브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장착 가능하고, 조절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의 증진 및 고정력이 강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Height adjustable sleeve}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건물의 다양한 타설 두께에 따라 배관 슬리브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장착 가능하고, 조절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의 증진 및 고정력이 강화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공동주택 등의 콘크리트 건물을 시공 할 때에는 에어컨, 가스관, 수도관, 하수관, 전기, 통신케이블 등의 설치를 위해 배관통로를 확보하게 된다. 상기 배관통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벽체 거푸집 내의 일정한 위치에 관통 슬리브(Sleeve)의 매설을 필요로 하는 바, 이러한 슬리브는 건축물에 벽 또는 바닥을 관통하는 배관통로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대체적으로 일체형으로 상측에는 뚜껑부를 구비하고, 그 하측에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슬리브를 거푸집의 내측에 체결수단으로 고정부를 거푸집에 고정시켜 사용하고, 콘크리트 타설이 완성된 다음에는 거푸집과 뚜껑부를 제거하여 배관통로로 사용하게 된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 제2003-0045727호에 따르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배관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통상의 배관슬리브에 있어서 구경이 큰 원통관(1)의 길이방향으로는 승강통로(10)를, 원둘레 방향으로는 안내통로(11)와 고정홈(12)을, 승강통로(10)의 내벽에는 가이드홈(13)을 각 구비하고, 구경이 작은 원통관(2)의 외벽에는 돌출핀(20)을 구비하여 구경이 작은 원통관(2)의 돌출핀(20)을 구경이 큰 원통관(1)의 가이드홈(13)을 통하여 승강통로(10)에 위치시켜 구성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배관슬리브는 높이 조절기능을 통해 배관슬리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지만 그 높이 조절이 너무 미미하여 콘크리트 건물의 다양한 타설 두께에 따라 조절할 수 없는 한계점이 발생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3-0045727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건물의 다양한 타설 두께에 따라 배관 슬리브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장착 가능하고, 조절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의 증진 및 고정력이 강화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관의 높이를 다르게 연결할 수 있는 배관슬리브에 있어서: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하부통, 중앙통, 상부통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통, 중앙통, 상부통이 순차적 삽설하여 단계별 조절이 가능하게 조절홈과 안착턱 및 돌부를 구비하는 조절수단; 및 상기 조절수단의 조절홈과 안착턱에 삽설한 상태로 돌부에 걸려 조절된 중앙통, 상부통을 고정하게 고정바를 구비하되, 고정바는 양끝단에 분실을 방지하게 각각의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 상에 삽설 고정하는 핀을 구비하는 방식 또는 하부통, 중앙통의 안착턱과 근접하여 형성되는 수용홈 상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홈에 삽설되어 고정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이때, 상기 조절수단은 하부통의 내측에 안착턱과 상기 안착턱의 상부에 돌부를 구비하고, 중앙통의 외면에 단계별 조절홈과 내측에 안착턱과 상부에 돌부를 구비하며, 상부통의 외면에 단계별 조절홈을 구비하여 단계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물의 다양한 타설 두께에 따라 배관 슬리브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장착 가능하고, 조절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의 증진 및 고정력이 강화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 내지 1d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의 장착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의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1d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의 장착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배관의 높이를 다르게 연결할 수 있는 배관슬리브에 관련되며, 본체(10), 조절수단(20), 고정수단(3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하부통(11), 중앙통(12), 상부통(13)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0)는 하부통(11), 중앙통(12), 상부통(13)을 통해 3단의 본체(10)로 형성되는 바, 원형의 관형태로 하부로부터 하부통(11), 중앙통(12), 상부통(13)이 위치한 상태로 중앙통(12)이 하부통(11) 상에 상부통(13)이 중앙통(12) 상에 각각 삽설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0)의 상부통(13)의 상면에는 절취부(14)를 형성하여 장착 시 상기 절취부(14)를 통해 상면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10)의 중앙통(12)과 상부통(13)의 상부 외측에는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15)를 구비하여 삽설과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하부통(11), 중앙통(12), 상부통(13)이 순차적 삽설하여 단계별 조절이 가능하게 조절홈(21)(22)과 안착턱(23)(24) 및 돌부(25)(26)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절수단(20)은 상술한 본체(10)의 하부통(11), 중앙통(12), 상부통(13)의 단계별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홈(21)(22)과 안착턱(23)(24) 및 돌부(25)(26)가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하여 설명토록 한다.
이때, 상기 조절수단(20)은 하부통(11)의 내측에 안착턱(23)과 상기 안착턱(23)의 상부에 돌부(25)를 구비하고, 중앙통(12)의 외면에 단계별 조절홈(21)과 내측에 안착턱(24)과 상부에 돌부(26)를 구비하며, 상부통(13)의 외면에 단계별 조절홈(22)을 구비하여 단계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하부통(11)의 조절수단(20)은 내측면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안착턱(23)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23)의 상부 방향에는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부(25)가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중앙통(12)의 조절수단(20)은 내측면에 상술한 하부통(11)의 안착턱(23)과 같이 내측면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안착턱(24)이 형성되고, 외면에 상하로 등간격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절홈(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통(13)의 조절수단(20)은 상술한 중앙통(12)의 조절홈(21)과 같이 외면에 상하로 등간격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절홈(22)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조절수단(20)은 하부통(11)으로부터 중앙통(12)과 상부통(13)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후술하는 고정수단(30)과 함께 설명토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30)은 상기 조절수단(20)의 조절홈(21)(22)과 안착턱(23)(24)에 삽설한 상태로 돌부(25)(26)에 걸려 조절된 중앙통(12), 상부통(13)을 고정하게 고정바(31)를 구비한다. 고정수단(30)은 고정바(31)를 구비하는 바, 상술한 중앙통(12)과 상부통(13)에 형성된 조절홈(21)(22)에 고정바(31)가 삽입한 상태로 하부에 위치한 안착턱(23)(24)에 안착하면서 상부에는 돌부(25)(26)가 위치되도록 하여 중앙통(12)과 상부통(13)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고정바(31)를 조절홈(21)(22)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한쌍의 고정바(31) 사이에 돌부(25)(26)가 지나갈 수 있도록 중앙통(12)과 상부통(13)을 삽입한 다음, 고정바(31)는 조절홈(21)(22)에 삽입되면서 안착턱(23)(24)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중앙통(12)과 상부통(13)의 회전하여 고정바(31)도 함께 안착턱(23)(24)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되어 상부에 돌부(25)(26)가 위치되도록 함에 따라 돌부(25)(26)에 의해 중앙통(12)과 상부통(13)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 건물의 다양한 타설 두께에 맞게 길이를 조절한 다음, 고정할 수 있게 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해 진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의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0)의 고정바(31)는 양끝단에 분실을 방지하게 각각의 관통공(32)과 상기 관통공(32) 상에 삽설 고정하는 핀(33)을 구비하는 방식 또는 하부통(11), 중앙통(12)의 안착턱(23)(24)과 근접하여 형성되는 수용홈(27) 상에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홈(21)(22)에 삽설되어 고정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고정수단(30)의 일실시예는 고정바(31)는 양끝단에 각각의 관통공(32)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핀(33)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상술한 구성이 한쌍의 고정바(31)를 각각 삽설하여야 했던 구성을 핀(33)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회동하는 고정바(31)를 통해 삽설이 용이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한쌍으로 고정바(31)가 형성되었을 경우 상기 고정바(31)의 형상과 동일하게 조절홈(21)(22)이 한쌍으로 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핀(33)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고정바(31)의 경우 그 형상이 하나의 조절홈(21)(22)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통(11), 중앙통(12)의 안착턱(23)(24)과 근접하여 형성되는 수용홈(27) 상에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홈(21)(22)에 삽설되어 고정하는 방식의 경우 상기 고정바(31)가 분리된 형태가 아닌 하부통(11), 중앙통(12)의 안착턱(23)(24)과 돌부(25)(26) 사이에 수용홈(27)을 형성한 상태로 스프링(35)을 개재하여 탄성력이 발휘되는 고정바(31)가 삽설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중앙통(12)과 상부통(13)이 회전에 의해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회전 시 고정바(31)에 걸려 방해받을 수 있음으로 고정바(31)의 양끝단부에 경사를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물의 다양한 타설 두께에 따라 배관 슬리브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장착 가능하고, 조절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의 증진 및 고정력이 강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하부통
12: 중앙통 13: 상부통
14: 절취부 15: 손잡이
20: 조절수단 21, 22: 조절홈
23, 24: 안착턱 25, 26: 돌부
30: 고정수단 31: 고정바
32: 관통공 33: 핀
35: 스프링

Claims (3)

  1. 배관의 높이를 다르게 연결할 수 있는 배관슬리브에 있어서: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하부통(11), 중앙통(12), 상부통(13)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부통(11), 중앙통(12), 상부통(13)이 순차적 삽설하여 단계별 조절이 가능하게 조절홈(21)(22)과 안착턱(23)(24) 및 돌부(25)(26)를 구비하는 조절수단(20); 및
    상기 조절수단(20)의 조절홈(21)(22)과 안착턱(23)(24)에 삽설한 상태로 돌부(25)(26)에 걸려 조절된 중앙통(12), 상부통(13)을 고정하게 고정바(31)를 구비하되, 고정바(31)는 양끝단에 분실을 방지하게 각각의 관통공(32)과 상기 관통공(32) 상에 삽설 고정하는 핀(33)을 구비하는 방식 또는 하부통(11), 중앙통(12)의 안착턱(23)(24)과 근접하여 형성되는 수용홈(27) 상에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홈(21)(22)에 삽설되어 고정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고정수단(30);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20)은 하부통(11)의 내측에 안착턱(23)과 상기 안착턱(23)의 상부에 돌부(25)를 구비하고, 중앙통(12)의 외면에 단계별 조절홈(21)과 내측에 안착턱(24)과 상부에 돌부(26)를 구비하며, 상부통(13)의 외면에 단계별 조절홈(22)을 구비하여 단계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3. 삭제
KR20140023017A 2014-02-27 2014-02-27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KR101500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3017A KR101500262B1 (ko) 2014-02-27 2014-02-27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3017A KR101500262B1 (ko) 2014-02-27 2014-02-27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262B1 true KR101500262B1 (ko) 2015-03-06

Family

ID=5302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3017A KR101500262B1 (ko) 2014-02-27 2014-02-27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2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291B1 (ko) 2016-01-12 2017-04-12 주식회사 미래산업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DE102018215690A1 (de) * 2018-09-14 2020-03-19 Poloplast Gmbh & Co Kg Rohranordnung, insbesondere Futterrohranordnung
US11476652B2 (en) 2020-01-24 2022-10-18 Ipex Technologies Inc. Cast in place device
KR102562324B1 (ko) 2022-09-28 2023-08-01 오송현 방화 슬리브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슬리브
KR20230162221A (ko) 2022-05-20 2023-11-28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9658A (ko) * 2009-09-16 2011-03-23 박규남 오수받이
KR200459142Y1 (ko) * 2007-11-28 2012-03-21 김길호 높낮이 조절기능을 가진 배관 슬리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42Y1 (ko) * 2007-11-28 2012-03-21 김길호 높낮이 조절기능을 가진 배관 슬리브
KR20110029658A (ko) * 2009-09-16 2011-03-23 박규남 오수받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291B1 (ko) 2016-01-12 2017-04-12 주식회사 미래산업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DE102018215690A1 (de) * 2018-09-14 2020-03-19 Poloplast Gmbh & Co Kg Rohranordnung, insbesondere Futterrohranordnung
AT522944A3 (de) * 2018-09-14 2021-07-15 Poloplast Gmbh & Co Kg Dichtungsanordnung und Rohranordnung
AT522943A3 (de) * 2018-09-14 2021-07-15 Poloplast Gmbh & Co Kg Rohranordnung, insbesondere Futterrohranordnung
AT522943B1 (de) * 2018-09-14 2022-02-15 Poloplast Gmbh & Co Kg Rohranordnung, insbesondere Futterrohranordnung
AT522944B1 (de) * 2018-09-14 2022-07-15 Poloplast Gmbh & Co Kg Dichtungsanordnung und Rohranordnung
US11476652B2 (en) 2020-01-24 2022-10-18 Ipex Technologies Inc. Cast in place device
KR20230162221A (ko) 2022-05-20 2023-11-28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KR102562324B1 (ko) 2022-09-28 2023-08-01 오송현 방화 슬리브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26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US10309557B2 (en) Gripp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KR101683146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CA2868668C (en) Pipe connector
CN105874221B (zh) 管道支撑系统及其改进
KR101726291B1 (ko)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KR20120005460U (ko)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US9879425B2 (en) Device for supporting acoustical ceilings
KR10165662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리브
KR101530944B1 (ko) 앙카볼트용 인서트구조체
KR102128485B1 (ko)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KR101643398B1 (ko)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KR101581902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탈착형 전기 배선 박스
AU2014202184B2 (en) Holding device
KR100913815B1 (ko) 송배전 케이블 4선 인입장치
KR20150020890A (ko) 배관 고정장치
KR101651985B1 (ko) 장비 부착형 분배기 슬리브
KR101983079B1 (ko) 배관 고정구
KR101750424B1 (ko)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KR101426353B1 (ko)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트랩
KR101368593B1 (ko) 양변기 배수구 연결장치
KR101623728B1 (ko) 수전구 고정대 및 이를 이용한 수전구 시공방법
KR102644853B1 (ko)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KR100786375B1 (ko) 배전케이블 설치구조
KR20160001971U (ko) 배관보호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