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853B1 -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853B1
KR102644853B1 KR1020220061826A KR20220061826A KR102644853B1 KR 102644853 B1 KR102644853 B1 KR 102644853B1 KR 1020220061826 A KR1020220061826 A KR 1020220061826A KR 20220061826 A KR20220061826 A KR 20220061826A KR 102644853 B1 KR102644853 B1 KR 102644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djustment
coupling portion
adjustment r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2221A (ko
Inventor
김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220061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853B1/ko
Publication of KR20230162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관 인입을 위해 콘크리트 건축물에 관통 설치되는 슬리브의 설치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하도록 함과 아울러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편의성을 높인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을 따라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몸체와, 상기 조절몸체의 제1나사부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측에 제2나사부가 형성되어, 조절몸체의 제1나사부가 형성된 구간중 특정위치에 결합되는 조절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절링의 외측에는 메인몸체의 제1결합부에 끼움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조절몸체에 조절링이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몸체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Architectural sleeves with adjustable length}
본 발명은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관 인입을 위해 콘크리트 건축물에 관통 설치되는 슬리브의 설치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하도록 함과 아울러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편의성을 높인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슬리브는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에 관통 설치되어 환기용 배관, 가스용 배관, 냉온수용 배관, 오수 및 하수 처리용 배관과 같이 각종 배관이 지날 수 있도록 한 통로를 확보하는 구성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거푸집 상태에서 슬리브를 배치하여 콘트리트 몰탈 타설과정에서 벽체 내부에 매설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건축용 슬리브는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에 따라서 설치길이가 달라져야 함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슬리브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종래의 기술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종래기술로서, 특허 제10-1500262호(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에는 원형관으로 형성되는 하부통, 중앙통, 상부통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통, 중앙통, 상부통이 순차적 삽설하여 단계별 조절이 가능하게 조절홈과 안착턱 및 돌부를 구비하는 조절수단; 및 상기 조절수단의 조절홈과 안착턱에 삽설한 상태로 돌부에 걸려 조절된 중앙통, 상부통을 고정하게 고정바를 구비하되, 고정바는 양끝단에 분실을 방지하게 각각의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 상에 삽설 고정하는 핀을 구비하는 방식 또는 하부통, 중앙통의 안착턱과 근접하여 형성되는 수용홈 상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홈에 삽설되어 고정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고정바를 원하는 위치에 삽입하여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기술로서, 고정바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의 갭이 크기 때문에, 정밀한 높이조절이 어렵고, 부품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조립이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 제20-0294916호(길이의 조절 폭을 증가시킨 배관용 슬리브)에는 나선부에 의하여 상, 하로 분리되어진 한 쌍의 몸체가 나사식으로 결합토록 되어 하부면에 고정되어지는 하부몸체로부터 상부몸체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슬리브의 길이 조정이 가능토록 구성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한 쌍의 몸체에 암나사부와 수나사부를 각각 형성하여 나사결합에 의해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기술로서, 길이조절을 위해서 큰 부품에 해당하는 몸체 전체를 잡고 돌려야 하기 때문에, 길이조절에 따른 어려움이 있고, 몸체의 중량에 의해 나사부의 마찰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길이조절을 위한 회전작동이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뻑뻑하게 회전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문헌 001) 특허 제10-1500262호(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문헌 002) 실용신안 제20-0294916호(길이의 조절 폭을 증가시킨 배관용 슬리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삽입되는 조절몸체를 통해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는 슬리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절몸체가 메인몸체에 직접 나사결합되지 않고, 별도의 조절링을 통해 상호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나사결합에 따른 편의성을 높이고, 정밀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을 따라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몸체와, 상기 조절몸체의 제1나사부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측에 제2나사부가 형성되어, 조절몸체의 제1나사부가 형성된 구간중 특정위치에 결합되는 조절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절링의 외측에는 메인몸체의 제1결합부에 끼움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조절몸체에 조절링이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몸체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메인몸체의 내측 둘레 전체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조절링의 외측 둘레 전체를 따라 제1결합부와 대응될 수 있는 원호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조절링의 하단부가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되어, 조절링이 메인몸체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에서 조절링에 전달되는 하방압력에 의해 메인몸체 및 조절링의 일시적인 변형에 의해 삽입되어 제2결합부가 제1결합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의 제1결합부의 하부에는 완전히 삽입된 조절링의 하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절몸체가 메인몸체에 직접 나사결합되지 않고, 별도의 조절링을 통해 상호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조절몸체 전체를 회전시키지 않고 간편하게 조절링만 회전시켜 슬리브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절몸체에 결합되는 조절링의 정밀 조절이 가능하여, 원하는 슬리브의 길이로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조절링과 메인몸체간의 견고한 결합구조를 통해 쉽게 분리되지 않으면서,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슬리브 길이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주요 구성들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슬리브에서 조절몸체에 조절링을 결합한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용 슬리브에서 조절링이 결합된 조절몸체를 메인몸체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결합부위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용 슬리브에서 조절몸체를 눌러서 결합이 완료된 상태이 도면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결합부위를 확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건축용 슬리브 구성에서 다른 형상의 메인몸체로 적용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는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결합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몸체(100)와, 상기 메인몸체(10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을 따라 제1나사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몸체(200)와, 상기 조절몸체(200)의 제1나사부(210)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측에 제2나사부(310)가 형성되어, 조절몸체(200)의 제1나사부(210)가 형성된 구간중 특정위치에 결합되는 조절링(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절링(300)의 외측에는 메인몸체(100)의 제1결합부(110)에 끼움결합되는 제2결합부(320)가 형성되어, 조절몸체(200)에 조절링(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몸체(100)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슬리브는 조절몸체(200)가 메인몸체(100)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슬리브 전체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으로서, 조절몸체(200)는 메인몸체(100)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조절링(300)을 통해 결합되는 방식이다.
상기 메인몸체(100)는 조절몸체(200)보다 큰 지름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 기준으로 메인몸체(100)의 상부에는 제1결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몸체(200)는 메인몸체(10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외측에는 제1나사부(210)가 긴 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절링(300)은 내측에는 제2나사부(310)가 형성되어 조절몸체(200)와 결합되고, 외측에는 제2결합부(320)가 형성되어 메인몸체(100)와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조절링(300)은 제1나사부(210)의 바깥쪽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조절링(30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회전조절을 통해 제1나사부(210)가 형성된 구간중에서 특정위치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조절링(300)이 조절몸체(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절링(300)의 제2결합부(320)가 메인몸체(100)의 제1결합부(110)에 결합됨으로써 조절몸체(200)도 함께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링(300)의 제2나사부(310)는 내측 둘레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나사부(310)가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경우, 성형이 용이하여 제조편의성을 높이고, 나사결합에 따른 마찰력을 줄여주기 때문에 제2나사부(310)가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회전이 용이하고 조절이 좀 더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몸체(100)의 내측 둘레 전체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320)는 조절링(300)의 외측 둘레 전체를 따라 제1결합부(110)와 대응될 수 있는 원호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10)는 조절링(300)의 하단부가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절링(300)이 메인몸체(100)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에서 조절링(300)에 전달되는 하방압력에 의해 메인몸체(100) 및 조절링(300)의 일시적인 변형에 의해 삽입되어 제2결합부(320)가 제1결합부(110)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끼워지게 될 경우, 조절링(300)과 메인몸체(100)는 강한 결합력으로 결합되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100)의 제1결합부(110)의 하부에는 완전히 삽입된 조절링(300)의 하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턱(1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아울러, 조절링(300)의 상단 둘레에는 외측으로 지지테(330)가 돌출형성되어 있어서 메인몸체(100)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턱(120)과 지지테(330)가 형성됨에 따라, 조절링(30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하방압력으로 결합하더라도, 조절링(300)이 너무 깊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다.
도 3 내지 7은 본 발명의 건축용 슬리브의 길이조절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아래의 설명을 통해 그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슬리브가 설치될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에 맞는 길이가 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몸체(200)에 조절링(300)을 나사결합하고 원하는 슬리브의 길이에 맞게 조절링(300)을 회전하여 조절링(300)이 조절몸체(200)의 특정위치에 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절몸체(200)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되어지는 슬리브의 길이를 숫자로 표시할 경우, 사용자가 슬리브를 완전히 조립해서 길이를 일일이 측정하지 않고도 슬리브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조절몸체(200)에 조절링(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몸체(100)의 상부에 올려놓게 된다. 이렇게 올려놓은 상태가 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몸체(100)의 상부 안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1결합부(110)에 조절링(300)의 하단부가 걸쳐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나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몸체(200)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메인몸체(100)와 조절링(300)이 일시적인 변형으로 서로 결합되게 된다. 이때 조절링(300)의 제2결합부(32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몸체(100)의 제1결합부(110)에 결합된 상태가 되며 조절링(300)과 메인몸체(100)는 완전히 밀착된 상태가 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메인몸체(100)의 제1결합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안쪽과 조절링(300)의 제2결합부(320)가 형성되어 있는 바깥쪽은 단순히 일자로 형성되는 것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될 경우, 삽입은 용이하면서 결합력은 높일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조절몸체(200)가 메인몸체(100)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조절링(300)을 통해 원하는 슬리브의 길이로 정밀하게 조절한 다음, 조절링(300)이 결합된 조절몸체(200)와 메인몸체(100)가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나사결합 방식으로 길이조절이 이루어졌던 기술에 비해 길이조절 편의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메인몸체 110 : 제1결합부
120 : 지지턱 200 : 조절몸체
210 : 제1나사부 300 : 조절링
310 : 제2나사부 320 : 제2결합부
330 : 지지테

Claims (4)

  1.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결합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몸체(100)와, 상기 메인몸체(10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을 따라 제1나사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몸체(200)와, 상기 조절몸체(200)의 제1나사부(210)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측에 제2나사부(310)가 형성되어, 조절몸체(200)의 제1나사부(210)가 형성된 구간중 특정위치에 결합되는 조절링(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절링(300)의 외측에는 메인몸체(100)의 제1결합부(110)에 끼움결합되는 제2결합부(320)가 형성되어, 조절몸체(200)에 조절링(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몸체(100)에 함께 결합되되,
    상기 조절링(300)의 제2나사부(310)는 내측 둘레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10)는 메인몸체(100)의 내측 둘레 전체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320)는 조절링(300)의 외측 둘레 전체를 따라 제1결합부(110)와 대응될 수 있는 원호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10)는 조절링(300)의 하단부가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되어, 조절링(300)이 메인몸체(100)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에서 조절링(300)에 전달되는 하방압력에 의해 메인몸체(100) 및 조절링(300)의 일시적인 변형에 의해 삽입되어 제2결합부(320)가 제1결합부(110)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100)의 제1결합부(110)의 하부에는 완전히 삽입된 조절링(300)의 하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턱(1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KR1020220061826A 2022-05-20 2022-05-20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KR10264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826A KR102644853B1 (ko) 2022-05-20 2022-05-20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826A KR102644853B1 (ko) 2022-05-20 2022-05-20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221A KR20230162221A (ko) 2023-11-28
KR102644853B1 true KR102644853B1 (ko) 2024-03-07

Family

ID=8895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826A KR102644853B1 (ko) 2022-05-20 2022-05-20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8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916Y1 (ko) 2002-07-26 2002-11-13 오상기 길이의 조절 폭을 증가시킨 배관용 슬리브
KR100662707B1 (ko) * 2004-01-09 2006-12-28 김하용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KR20120033525A (ko) * 2010-09-30 2012-04-09 최재진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
KR101500262B1 (ko) 2014-02-27 2015-03-06 이미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KR102128485B1 (ko) * 2018-06-08 2020-06-30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221A (ko)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0373B1 (en) Adjustable drain apparatus
JP2001521115A (ja) 分岐管継手
KR10150026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KR102644853B1 (ko)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KR102128485B1 (ko)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ES2194612A1 (es) Sistema de acoplamiento estanco para chimeneas y conductos modulares prefabricados.
KR101957725B1 (ko) 분기관의 연결구조
KR102268341B1 (ko) Src 거더용 거푸집 지지대
KR101750424B1 (ko)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KR200294916Y1 (ko) 길이의 조절 폭을 증가시킨 배관용 슬리브
KR100779702B1 (ko) 길이 조정가능한 배관 연결장치
US10184601B2 (en) Coupling assembly for connecting a drain to a drain pipe
KR200377943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KR102001906B1 (ko)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KR101368593B1 (ko) 양변기 배수구 연결장치
KR102310064B1 (ko) 경사형 방수 슬리브
KR200421451Y1 (ko)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CN210318811U (zh) 一种卫生间下水管固定装置
KR20180066674A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외관
CN218992601U (zh) 一种建筑给排水管用预埋件
US75968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sink off set from sewer
KR20210139046A (ko) 경사형 방수 슬리브
CN214785165U (zh) 一种采光顶玻璃夹具
CN218954230U (zh) 建筑给排水暖通固定安装结构
KR200379183Y1 (ko) 벽체 관통용 파이프 설치를 위한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