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923A - 위치 가변형 덕트 - Google Patents

위치 가변형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923A
KR20230108923A KR1020220004647A KR20220004647A KR20230108923A KR 20230108923 A KR20230108923 A KR 20230108923A KR 1020220004647 A KR1020220004647 A KR 1020220004647A KR 20220004647 A KR20220004647 A KR 20220004647A KR 20230108923 A KR20230108923 A KR 20230108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variable
main
branch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226B1 (ko
Inventor
김종엽
김길태
양홍석
김태호
이수규
곽병창
한상희
황인태
김법전
이수만
윤규성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220004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226B1/ko
Publication of KR20230108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923A/ko
Priority to KR1020230103903A priority patent/KR20230119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72Modules for easy installation 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구시설, 주택 등에 설치되는 환기용 덕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건물의 세대에 설치되는 위치 가변형 덕트에 있어서, 열교환기에 연결되며, 세대 내부의 공기가 이동하는 메인덕트와 메인덕트의 측면에서 분지되며, 세대의 각 실에 형성되는 디퓨져와 연결되는 분지덕트와 메인덕트에 형성되며, 분지덕트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위치 가변형 덕트{A Position-Variable Type Duct}
본 발명은 연구시설, 주택 등에 설치되는 환기용 덕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1은 사각형의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에는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된 마감돌기가 형성되어 판부재를 둘러싸고 있고, 상기 판부재의 일측 모서리에서 제1 장변측과 단변측에는 마감돌기가 존재하지 아니한 구간인 제1 가로측면개방부와 세로측면개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로측면개방부와 세로측면개방부가 만나는 모서리에 대각선 반대방향에 위치한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장변측과 나란한 제2 장변측에는 마감돌기가 존재하지 아니한 구간인 제2 가로측면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서로 거울 대칭 관계를 가지는 제1 형식 열교환판과 제2 형식 열교환판이, 교대로 적층되어 육면체 형상의 조립체로 형성되는 판형 열교환기와; 급배기 덕트 연결을 위한 덕트 연결구로서, 판형 열교환기에 제1 가로측면개방부 또는 세로측면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구를 폐쇄하는 폐쇄판과, 급배기 덕트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판형 열교환기의 개방되어 있는 개방구가 급배기 덕트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판이, 서로 결합되어 ㄱ자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덕트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덕트 연결구는, 폐쇄판이 단변측에 결합되어 세로측면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구를 폐쇄하게 되면 상기 연통판은 제1 가로측면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구가 급배기 덕트와 연통되도록 제1 장변측에 결합되며, 폐쇄판이 제1 장변측에 결합되어 제1 가로측면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구를 폐쇄하게 되면 상기 연통판은 세로측면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구가 급배기 덕트와 연통되도록 단변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제1 장변측에 존재하는 양측 모서리에 조립되어, 연통판을 통해서 열교환기 조립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각 층을 따라 흐르면서 서로 열교환되는 구조를 가지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2는 실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실내로 유도하는 유입덕트와, 실내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실외로 유도하는 배출덕트가 이중 구조의 일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 중심부에는 상기 유입덕트와 배출덕트가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공간부가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공간부에는 대향되게 유입되는 공기가 회전 또는 왕복운동을 통하여 상호 열교환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층된 다공체의 메쉬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소정형상의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부의 회전 또는 왕복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3은 내부에 통로를 관통 형성하는 슬리이브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삽입 결합하기 위해 내측에 결합돌부, 내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개방부를 형성하는 마감캡으로 구성하되; 상기 슬리이브 본체의 측방에는 내측 외주연에 슬리이브 본체의 통로에 삽입되는 결합 단차돌부와, 외측 외주연에 슬리이브 본체의 삽입공과 동일 사이즈를 갖는 결합 단차홈부와, 내부에 상하부를 연결 지지하되 분리가능한 보강지지구를 형성하는 일정 폭사이즈의 길이 조절구를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 결합하도록 제공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콘크리트 벽체의 상단부에 매설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에 장착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 상단부에 매설되는 매설부재와; 상기 매설부재 양단에 각각 외향으로 걸림단턱이 형성되도록 확장되어 덕트를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벽체 형성시, 거푸집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2-0015222 A (2012년02월21일) KR 10-2006-0019889 A (2006년03월06일) KR 20-0443574 Y1 (2009년02월19일) KR 10-2010-0131219 A (2010년12월15일)
본 발명은 연구시설, 주택 등에 설치되는 환기용 덕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있어서, 건물(10)의 세대에 설치되는 위치 가변형 덕트에 있어서, 열교환기(20)에 연결되며, 세대 내부의 공기가 이동하는 메인덕트(100); 상기 메인덕트(100)의 측면에서 분지되며, 세대의 각 실에 형성되는 디퓨져(30)와 연결되는 분지덕트(200); 상기 메인덕트(100)에 형성되며, 상기 분지덕트(20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장치(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메인덕트(100); 분지덕트(200); 가변장치(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건물(10)은 복수의 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모듈형 주택으로 형성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메인덕트(100); 분지덕트(200); 가변장치(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메인덕트(100)에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20)에 결합되는 이동덕트(110); 상기 이동덕트(110)와 연결되며, 상기 분지덕트(200)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덕트(1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메인덕트(100); 분지덕트(200); 가변장치(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분지덕트(200)에 형성되며, 상기 디퓨져(30)에 접하는 접합부(300); 상기 접합부(30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덕트(100)에 체결되는 체결부(4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메인덕트(100); 분지덕트(200); 가변장치(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접합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400)에 연결되는 체결덕트(310); 상기 체결덕트(310)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덕트(3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가변덕트(3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메인덕트(100); 분지덕트(200); 가변장치(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체결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덕트(100)에 삽입되는 삽입덕트(420); 상기 삽입덕트(420)에 형성되며, 공기가 관통되는 관통홀(43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메인덕트(100); 분지덕트(200); 가변장치(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가변장치(500)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덕트(100)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홀(510); 상기 삽입홀(510)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커버(5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메인덕트(100); 분지덕트(200); 가변장치(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메인덕트(100)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51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6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메인덕트(100); 분지덕트(200); 가변장치(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메인덕트(100)에 형성되며, 상기 분지덕트(2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700); 상기 연결부재(700)에 형성되며, 상기 분지덕트(200)와 상기 메인덕트(100)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74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위치의 디퓨져에 덕트가 연결되어 건물의 환기 효율이 높은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덕트와 분지덕트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평면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듈형 주택을 조립할 때 덕트를 연결하는 것으로 시공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지덕트를 메인덕트에서 이동시킴에 따라 분지덕트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지덕트는 복수가 겹치도록 형성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가 설치된 건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치 가변형 덕트가 설치된 건물을 나타낸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분지덕트의 길이가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메인덕트에 삽입덕트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삽입홀에 분지덕트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접합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있어서, 건물(10)의 세대에 설치되는 위치 가변형 덕트에 있어서, 열교환기(20)에 연결되며, 세대 내부의 공기가 이동하는 메인덕트(100); 상기 메인덕트(100)의 측면에서 분지되며, 세대의 각 실에 형성되는 디퓨져(30)와 연결되는 분지덕트(200); 상기 메인덕트(100)에 형성되며, 상기 분지덕트(20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장치(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건물(10)은 연구시설, 주택, 공동주택, 오피스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건물(10)은 복수의 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모듈형 주택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30)는 각 실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20)는 세대에 형성되는 발코니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20)는 외기와 내기가 교차하는 전열교환기(20)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건물(10)의 세대 지붕에 설치되며, 환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디퓨져(30)의 위치에 덕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위치 가변형 덕트는 연구시설, 주택, 공동주택, 오피스 등으로 형성되는 건물(10)의 세대내 지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세대의 내기와 외기를 이동시켜 환기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때, 덕트는 도 1을 참조하면, 건물(10)의 세대내 환기 효율이 높은 곳에 설치된 디퓨져(30)에 연결되도록 위치가 가변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연구시설 등으로 형성되는 건물(10)은 다양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주방, 거실, 방, 화장실 등 각각의 실에서 환기 효율이 높은 복수의 위치에 디퓨져(30)를 설치한다. 이때, 각각의 디퓨져(30)마다 덕트를 연결하여 환기 효율을 판단하기 위하여 덕트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동형 주택 등과 같이 모듈형 주택에서 각각의 실을 결합한 후 환기를 위하여 덕트를 설치하여야 하나 덕트는 천장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덕트 설치를 위하여 천장을 새로 시공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각의 모듈마다 메인덕트(100) 또는 분지덕트(200)가 설치되어 각각의 모듈을 연결할 때 메인덕트(100) 및 분지덕트(200)의 위치를 가변시켜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때, 분지덕트(200)의 위치는 각 실의 디퓨져(30)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가변장치(500)에 의하여 분지덕트(200)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된 메인덕트(100)와 분지덕트(200)는 전열교환기(20)로 형성되는 열교환기(20)에 의하여 외기와 내기가 교차하여 열 및 습기 또는 공기가 순환되는 것이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메인덕트(100)에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20)에 결합되는 이동덕트(110); 상기 이동덕트(110)와 연결되며, 상기 분지덕트(200)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덕트(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이동덕트(110)와 상기 결합덕트(120) 또는 복수의 상기 결합덕트(1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덕트(1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130)는 상기 이동덕트(110) 및 상기 결합덕트(120)의 내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130)는 상기 이동덕트(110)와 상기 결합덕트(120)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메인덕트(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메인덕트(100)는 건물(10)의 중심에 형성되는 거실, 주방 등에 형성되는 것으로 열교환기(20)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덕트(100)는 도 2를 참조하면,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구시설 및 주택 등 다양한 건물(10)의 중심에 형성되는 거실, 주방에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덕트(100)는 열교환기(20)에 결합되는 이동덕트(110)와 이동덕트(110)에 결합되어 메인덕트(100)의 길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결합덕트(120)가 형성된다. 이때, 이동덕트(110)는 발코니에 형성되는 열교환기(20)와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는 건물(10)이 모듈형으로 형성되거나 연구시설로 형성되어 다양한 평면도로 형성될 때 열교환기(20)에 결합되는 이동덕트(110)에 결합되는 실에 따라 결합덕트(120)가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덕트(120)는 평면에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결합덕트(120)간의 연결 또는 이동덕트(110)와 결합덕트(120)의 연결 부위에는 연결덕트(130)가 형성된다.
연결덕트(130)는 이동덕트(110) 또는 결합덕트(120)의 일단부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이동덕트(110) 또는 결합덕트(120)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연결덕트(130)는 이동덕트(110)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서로 이웃하는 결합덕트(120)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메인덕트(100)가 연장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로 연결덕트(130)는 복수의 결합덕트(120)가 서로 연결되거나 이동덕트(110)와 결합덕트(120)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이동덕트(110)와 결합덕트(120)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연결덕트(130)는 이동덕트(110) 및 결합덕트(120)와 분리되어 형성됨에 따라 건물(10)을 조립할 때 연결덕트(130)를 이동덕트(110) 및 결합덕트(120)에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물(10)의 평면이 변경되거나 모듈형으로 건물(10)을 조립할 때 열교환기(20)에서 연장되는 메인덕트(100)를 복수로 분리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분지덕트(200)에 형성되며, 상기 디퓨져(30)에 접하는 접합부(300); 상기 접합부(30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덕트(100)에 체결되는 체결부(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300)는 상기 디퓨져(30)에 결합되는 유동관; 상기 유동관에 형성되며, 상기 디퓨져(30)에 체결되는 체결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은 각도가 가변되는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00)에형성되며, 상기 메인덕트(100)의 일면에 접하는 플랜지(410);를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410)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덕트(10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분지덕트(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분지덕트(200)는 메인덕트(100)에서 분지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각 실에 형성되는 복수의 디퓨져(30) 중 환기 효율이 높은 디퓨져(30)를 판단 및 선택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분지덕트(200)는 도 3을 참조하면, 메인덕트(10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메인덕트(100)의 일면에 결합되어 각 실로 연장된다. 그리고 분지덕트(200)는 메인덕트(100)에 체결되는 체결부(400)와 체결부(400)와 타단부에 형성되어 디퓨져(30)에 접하는 접합부(300)가 형성된다. 체결부(400)는 메인덕트(100)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메인덕트(100)의 일면에 체결되는 것으로 메인덕트(100)에 체결될 때 분지덕트(200)는 플랜지(410)에 의하여 체결된다. 이때, 체결부(400)는 플랜지(41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에 의하여 메인덕트(100)에 체결되는 것으로 결합돌기는 메인덕트(100)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가이드되어 정확한 위치에 메인덕트(100)와 분지덕트(20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접합부(300)는 디퓨져(30)에 접하는 것으로 천장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분지덕트(200)와 천장의 상부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체결부(400)를 연결하기 위하여 접합부(300)의 단부에는 유동관이 형성된다. 유동관은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길이 및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분지덕트(200)의 단부에서 디퓨져(30)를 연결한다. 그리고 유동관의 단부에는 체결장치가 형성되어 디퓨져(30)와 유동관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분지덕트(200)는 메인덕트(100)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모듈형 주택 또는 연구시설에서 메인덕트(100)와 분지덕트(20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있어서, 상기 접합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400)에 연결되는 체결덕트(310); 상기 체결덕트(310)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덕트(3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가변덕트(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체결덕트(31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가변덕트(3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가변덕트(32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330)가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321);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가변덕트(32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덕트(310)와 밀착시키는 밀착부재(340);를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340)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덕트(310)와 상기 가변덕트(320) 사이에 형성되는 제 1밀착부재(341); 상기 제 1밀착부재(341)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변덕트(32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 2밀착부재(342);를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4-5에 있어서, 상기 제 1밀착부재(341)와 상기 제 2밀착부재(34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덕트(3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50);를 포함한다.
(실시예 4-7)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4-6에 있어서, 상기 제 2밀착부재(342)는 상기 가변덕트(320)의 후면에서 상기 제 1밀착부재(341)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접합부(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접합부(300)는 디퓨져(30)의 위치에 따라 분지덕트(200)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 이러한 접합부(300)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400)에서 연장되는 체결덕트(310)와 체결덕트(3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가변덕트(320)가 형성된다. 체결덕트(310)는 가변덕트(320)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체결덕트(310)의 단부에는 가변덕트(3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30)가 형성된다. 고정부재(330)는 체결덕트(310)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가변덕트(320)에 안착되는 것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회전하여 삽입되거나 압력에 의하여 억지끼움으로 체결덕트(310)를 관통한다. 그리고 고정부재(330)가 체결덕트(310)를 관통한 후 가변덕트(320)에 고정되도록 가변덕트(320)에는 고정홈(321)이 복수로 형성되며, 고정홈(321)에 고정부재(330)가 안착되는 위치에 따라 가변덕트(320)의 돌출 길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가변덕트(320)의 하단에는 체결덕트(310)의 내측 하단과 이격되도록 돌출면이 형성되며, 돌출면은 체결덕트(310)의 하단에서 가이드되어 이동한다.
또한, 접합부(300)는 체결덕트(310)와 가변덕트(320) 사이에 밀착부재(340)가 형성되며, 밀착부재(34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체결덕트(310)와 가변덕트(320) 사이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밀착부재(340)는 체결덕트(310)와 가변덕트(320) 사이에 형성되는 제 1밀착부재(341)가 형성되며, 제 1밀착부재(341)는 체결덕트(310)의 단부 내측에 고정되어 가변덕트(320)가 이동할 때 체결덕트(310)와 가변덕트(320) 사이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 1밀착부재(341)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가변덕트(320)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 2밀착부재(342)가 형성된다. 제 2밀착부재(342)는 가변덕트(320)의 후면에서 체결덕트(310)와 가변덕트(320) 사이로 연장되도록 ‘ㄴ’자 단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 2밀착부재(342)의 일면은 체결덕트(310)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을 차단하고 제 2밀착부재(342)는 체결덕트(3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스토퍼(350)에 의하여 걸려 가변덕트(320)가 체결덕트(3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합부(300)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체결덕트(310) 내부에 가변덕트(320)가 이동하는 것으로 다양한 위치의 디퓨져(30)에 원활히 결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덕트(100)에 삽입되는 삽입덕트(420); 상기 삽입덕트(420)에 형성되며, 공기가 관통되는 관통홀(430);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삽입덕트(420)는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연장덕트(421);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삽입덕트(420)와 상기 메인덕트(100) 사이에 형성되며,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삽입덕트(42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덕트(100)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422);를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메인덕트(100)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422)와 접하여 상기 삽입덕트(42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체결부(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체결부(400)는 분지덕트(200)의 일단부가 메인덕트(100)에 삽입되어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체결부(400)는 도 6을 참조하면, 메인덕트(100)에 삽입되는 삽입덕트(420)가 형성되며, 삽입덕트(420)는 분지덕트(200)의 일단부는 개방되나 메인덕트(100)에 삽입된 양측면에 관통홀(430)이 형성되어 메인덕트(100)와 삽입덕트(420) 사이로 공기가 원활히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메인덕트(100)에 삽입된 삽입덕트(420)는 양측면이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장덕트(421)가 형성되어 분지덕트(200)가 메인덕트(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메인덕트(100)와 삽입덕트(420) 사이에는 기밀부재가 형성되며, 기밀부재는 실리콘 등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메인덕트(100)와 삽입덕트(420) 사이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메인덕트(100)와 삽입덕트(420) 사이의 공간이 좁게 형성되어 공기가 이동할 때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압력에 의하여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삽입덕트(420)는 메인덕트(100)에서 가이드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돌기(422)가 형성되며, 가이드돌기(422)는 메인덕트(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40)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이동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가변장치(500)에 의하여 분지덕트(200)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 메인덕트(100) 내부에서 삽입덕트(420)가 가이드되어 수평으로 이동한다. 또한, 가이드돌기(422)와 가이드레일(140)에 의하여 삽입덕트(420)는 메인덕트(100) 내부에서 상단과 하단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가변장치(500)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덕트(100)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홀(510); 상기 삽입홀(510)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커버(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510)은 상기 메인덕트(100)의 일면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510)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삽입홀(510)은 커버(520)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커버(520)는 상기 삽입홀(510)에서 회전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변장치(5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가변장치(500)는 메인덕트(100)의 일면에 복수로 형성되어 분지덕트(200)가 체결되는 위치를 개방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변장치(500)는 도 7을 참조하면, 분지덕트(200)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하여 메인덕트(100) 일면에 삽입홀(510)이 형성된다. 삽입홀(510)은 복수로 형성되며, 각각의 삽입홀(510)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홀(510)은 분지덕트(200)의 단면과 동일하거나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분지덕트(200)의 체결부(400)가 삽입되거나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삽입홀(510)의 외측에는 커버(520)가 설치되며, 커버(520)는 삽입홀(510)에서 회전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삽입홀(510)을 통해 공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변장치(500)는 메인덕트(100)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홀(510)에 커버(520)가 형성되어 분지덕트(200)를 설치할 위치의 커버(520)를 메인덕트(100)와 분리시켜 분지덕트(20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6-5)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510)에 형성되며, 상기 분지덕트(200)가 체결되는 체결판(511); 상기 체결판(511)에 형성되며, 상기 분지덕트(200)의 공기가 관통하는 체결홀(512);을 포함한다.
(실시예 6-6)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6-5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510)에 형성되며, 상기 분지덕트(2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6-7)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6-6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600)는 상기 삽입홀(51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판(511)을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8)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6-6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600)는 자바라, 슬라이딩 도어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9)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6-6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600)는 상기 체결판(511)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체결판(511)을 가이드하는 가변레일(610)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변장치(5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가변장치(500)는 삽입홀(510)에 분지덕트(200)가 체결되는 체결판(511)이 이동함에 따라 분지덕트(20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가변장치(500)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삽입홀(510)의 내측에 형성되어 분지덕트(200)가 체결되는 체결판(511)이 형성되며, 체결판(511)에는 분지덕트(200)가 결합되어 공기가 관통하는 체결홀(512)이 형성된다. 체결판(511)은 삽입홀(510)에 형성되는 이동장치(600)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동함에 따라 분지덕트(200)가 체결판(511)과 함께 수평으로 이동하여 분지덕트(2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그리고 이동장치(600)는 주름지게 형성되는 자바라, 복수의 도어가 겹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도어 등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홀(51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체결판(511)이 양방향 중 선택된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공기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체결판(511)은 삽입홀(510)보다 크게 형성되어 메인덕트(100)의 내측에서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체결판(511)은 메인덕트(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이동장치(600)에 의하여 체결판(511)이 삽입홀(510)에서 수평으로 이동한다. 이동장치(600)는 삽입홀(510)의 내측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는 가변레일(610)로 형성되며, 가변레일(610)에 의하여 체결판(511)이 수평으로 이동하고 체결판(511)과 메인덕트(100) 사이에는 실링재가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덕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메인덕트(100)에 형성되며, 상기 분지덕트(2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700); 상기 연결부재(700)에 형성되며, 상기 분지덕트(200)와 상기 메인덕트(100)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740);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700)는 상기 분재덕트를 감싸는 제 1연결부(710); 상기 제 1연결부(710)에서 상기 메인부재로 연장되는 제 2연결부(720);를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700)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덕트(100)를 고정하는 접합부재(730);를 포함한다.
(실시예 7-4) 본 발명의 위치 가변형 덕트는 실시예 7-3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730)는 밴드, 클립, 클램프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결부재(7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연결부재(700)는 메인덕트(100)와 분지덕트(200)를 연결하는 것으로 분지덕트(200)의 위치가 결정되면 분지덕트(20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부재(700)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분지덕트(200)의 외측을 감싸는 제 1연결부(710)와 상기 제 1연결부(710)에서 메인부재로 연장되는 제 2연결부(720)가 형성된다. 제 1연결부(710)는 분지덕트(200)의 외측을 감싸기 위하여 분지덕트(200)를 메인덕트(100)에 결합시키기 전에 연결부재(700)를 분지덕트(200)에 결합시키거나 분지덕트(200)와 메인덕트(100)를 결합시킨 후 제 1연결부(710)를 감싸도록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연결부(710)와 제 2연결부(720)는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연결부재(700)와 메인덕트(100) 또는 분지덕트(200) 사이에는 밀폐부재(740)가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을 방지한다.
또한, 연결부재(700)는 접합부재(730)가 형성되며, 접합부재(730)는 밴드, 클립, 클램프 등으로 형성된다. 이때, 접합부재(730)가 밴드로 형성될 경우 연결부재(700)의 일단부에서 메인덕트(10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클립 및 클램프로 형성될 경우 볼트 등으로 연결부재(700)를 메인덕트(10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인덕트(100)는 분지덕트(200)의 위치가 결정된 후 분지덕트(2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부재(700)를 메인덕트(100)와 분지덕트(200)에 결합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10: 건물 20: 열교환기
30: 디퓨져 100: 메인덕트
110: 이동덕트 120: 결합덕트
130: 연결덕트 140: 가이드레일
200: 분지덕트 300: 접합부
310: 체결덕트 320: 가변덕트
321: 고정홈 330: 고정부재
340: 밀착부재 341: 제 1밀착부재
342: 제 2밀착부재 350: 스토퍼
400: 체결부 410: 플랜지
420: 삽입덕트 421: 연장덕트
422: 가이드돌기 430: 관통홀
500: 가변장치 510: 삽입홀
511: 체결판 512: 체결홀
520: 커버 600: 이동장치
610: 가변레일 700: 연결부재
710: 제 1연결부 720: 제 2연결부
730: 접합부재 740: 밀폐부재

Claims (9)

  1. 건물(10)의 세대에 설치되는 위치 가변형 덕트에 있어서,
    열교환기(20)에 연결되며, 세대 내부의 공기가 이동하는 메인덕트(100);
    상기 메인덕트(100)의 측면에서 분지되며, 세대의 각 실에 형성되는 디퓨져(30)와 연결되는 분지덕트(200);
    상기 메인덕트(100)에 형성되며, 상기 분지덕트(20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장치(500);를 포함하는 위치 가변형 덕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물(10)은 복수의 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모듈형 주택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위치 가변형 덕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덕트(100)에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20)에 결합되는 이동덕트(110);
    상기 이동덕트(110)와 연결되며, 상기 분지덕트(200)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덕트(120);를 포함하는 위치 가변형 덕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지덕트(200)에 형성되며, 상기 디퓨져(30)에 접하는 접합부(300);
    상기 접합부(30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덕트(100)에 체결되는 체결부(400);를 포함하는 위치 가변형 덕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400)에 연결되는 체결덕트(310);
    상기 체결덕트(310)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덕트(3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가변덕트(320);를 포함하는 위치 가변형 덕트.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덕트(100)에 삽입되는 삽입덕트(420);
    상기 삽입덕트(420)에 형성되며, 공기가 관통되는 관통홀(430);을 포함하는 위치 가변형 덕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장치(500)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덕트(100)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홀(510);
    상기 삽입홀(510)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커버(520);를 포함하는 위치 가변형 덕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인덕트(100)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51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600);를 포함하는 위치 가변형 덕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덕트(100)에 형성되며, 상기 분지덕트(2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700);
    상기 연결부재(700)에 형성되며, 상기 분지덕트(200)와 상기 메인덕트(100)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740);를 포함하는 위치 가변형 덕트.
KR1020220004647A 2022-01-12 2022-01-12 위치 가변형 덕트 KR10256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647A KR102567226B1 (ko) 2022-01-12 2022-01-12 위치 가변형 덕트
KR1020230103903A KR20230119103A (ko) 2022-01-12 2023-08-09 위치 가변형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647A KR102567226B1 (ko) 2022-01-12 2022-01-12 위치 가변형 덕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903A Division KR20230119103A (ko) 2022-01-12 2023-08-09 위치 가변형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923A true KR20230108923A (ko) 2023-07-19
KR102567226B1 KR102567226B1 (ko) 2023-08-14

Family

ID=874256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647A KR102567226B1 (ko) 2022-01-12 2022-01-12 위치 가변형 덕트
KR1020230103903A KR20230119103A (ko) 2022-01-12 2023-08-09 위치 가변형 덕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903A KR20230119103A (ko) 2022-01-12 2023-08-09 위치 가변형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67226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8797A (ja) * 1994-01-13 1995-08-11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20010102765A (ko) * 2000-05-08 2001-11-16 구자홍 가스기기의 밸브와 메인파이프 체결구조
JP2002277035A (ja) * 2001-03-21 2002-09-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ベルト式送風ダクト
KR100509570B1 (ko) * 2004-12-30 2005-08-22 주식회사 템피아 천정형 냉난방기
KR20060019889A (ko) 2004-08-30 2006-03-06 최은태 가변형 열교환 환기장치
KR20070066586A (ko) * 2005-12-22 200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443574Y1 (ko) 2008-08-04 2009-02-25 주식회사 제일테크 길이 가변형 덕트 슬리이브
JP2009092332A (ja) * 2007-10-10 2009-04-30 Toyota Motor Corp 建物の空調設備
KR20100131219A (ko) 2009-06-05 2010-12-15 박광주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KR20110115723A (ko) * 2010-04-16 2011-10-24 주식회사 포에어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KR20120015222A (ko) 2010-08-11 2012-02-21 대림산업 주식회사 급배기 덕트의 연결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구조의 열교환기 조립체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8797A (ja) * 1994-01-13 1995-08-11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20010102765A (ko) * 2000-05-08 2001-11-16 구자홍 가스기기의 밸브와 메인파이프 체결구조
JP2002277035A (ja) * 2001-03-21 2002-09-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ベルト式送風ダクト
KR20060019889A (ko) 2004-08-30 2006-03-06 최은태 가변형 열교환 환기장치
KR100509570B1 (ko) * 2004-12-30 2005-08-22 주식회사 템피아 천정형 냉난방기
KR20070066586A (ko) * 2005-12-22 200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9092332A (ja) * 2007-10-10 2009-04-30 Toyota Motor Corp 建物の空調設備
KR200443574Y1 (ko) 2008-08-04 2009-02-25 주식회사 제일테크 길이 가변형 덕트 슬리이브
KR20100131219A (ko) 2009-06-05 2010-12-15 박광주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KR20110115723A (ko) * 2010-04-16 2011-10-24 주식회사 포에어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KR20120015222A (ko) 2010-08-11 2012-02-21 대림산업 주식회사 급배기 덕트의 연결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구조의 열교환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226B1 (ko) 2023-08-14
KR20230119103A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022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RU2471127C2 (ru) Шторный воздушный клапан для вентиляции закрытых зданий
KR102567226B1 (ko) 위치 가변형 덕트
KR102458677B1 (ko) 시공이 용이한 외장패널 조립체
KR200449596Y1 (ko) 천장 설치용 조립형 커튼 레일
KR20200111061A (ko) 모듈공조기, 및 공조시스템
JP7073164B2 (ja) 建物
JP6535635B2 (ja) 建物の空調設備
JP3261446B2 (ja) 建築物
CN218060945U (zh) 一种楼地面结构
KR102564178B1 (ko) 에어컨 실외기 연결배관용 방수함
JP6403537B2 (ja) 建物の通気構造
KR102395427B1 (ko) 환기 시스템
JP7454615B2 (ja) 光ダクト装置
KR102462181B1 (ko)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CN220928170U (zh) 窗外辅助装置及居民建筑
CN219510699U (zh) 一种多功能灯带灯槽结构
KR20240069890A (ko) 길이 가변 조인트 및 그로 이루어진 공기이송장치
JP3905187B2 (ja) 可動型空調設備及びこれを含む間取り可変型建築構造
KR20220145269A (ko) 수하 일방 대류방식 냉난방 에어컨시스템
KR20200111056A (ko) 모듈공조기, 및 공조시스템
US6666761B2 (en) Wall-mounted supply-air device
KR100414955B1 (ko) 디퓨저
KR20200111051A (ko) 모듈공조기, 및 공조시스템
JPH04129217U (ja) 構築用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