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060A - 공조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060A
KR20200111060A KR1020190030813A KR20190030813A KR20200111060A KR 20200111060 A KR20200111060 A KR 20200111060A KR 1020190030813 A KR1020190030813 A KR 1020190030813A KR 20190030813 A KR20190030813 A KR 20190030813A KR 20200111060 A KR20200111060 A KR 20200111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cover
module air
module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찬
박봉균
정해융
김규진
이주향
임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0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1060A/ko
Publication of KR20200111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조시스템에는, 실외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공조작용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 및 상기 모듈공조기의 동작에 필요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관을 적어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커버에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커버; 및 절곡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커버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를 다양한 상태로 설치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조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조기는 공기조화작용을 수행하는 기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 습도의 환경을 만들어 내는 기기이다. 상기 공조기는 현대생활에서 필수불가결한 제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냉매를 사용하는 공조기는 시스템이 높은 성능계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냉매를 사용하고 나아가서 벽에 거는 공조기로는 출원번호 1020160093400호 공기조화기가 있다.
이들 공조기는 냉매배관이 공조기에 연결되고 실외의 기기와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 냉매배관은 실내환경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외에도 설치장소의 제약, 및 공조환경의 제한 등과 같은 문제가 있다.
이들 문제를 감안하여 신축의 건물에서는 빌트인 공조시스템 또는 빌트인 공조시스템이 확장된 빌딩공조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빌트인 공조시스템 또는 빌딩 공조시스템은 공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만이 외부로 노출되고 냉매배관은 노출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설계시에 실내구조가 반영된 공조환경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공조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빌트인 공조시스템 또는 빌딩 공조시스템의 환경에서 주거자가 느끼는 만족은 크다.
상기 빌트인 공조시스템 또는 빌딩 공조시스템은, 설계시에 공조시스템이 미리 반영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신축건물에 대해서만 적용이 가능하다.
출원번호 1020160093400호 공기조화기
본 발명은 설계와 건축이 완료된 주택 및 건물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빌트인 공조시스템 및 빌딩 공조시스템을 기존 건물에도 구현할 수 있는 공조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기축건물의 내부에서 다양하게 설치가 가능한 공조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에는, 실외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공조작용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 및 상기 모듈공조기의 동작에 필요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관을 적어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커버에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커버; 및 절곡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커버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축 건물에 빌트의 구조로 공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설치모듈공조기가 포함되어, 천정설치형으로 공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설치모듈공조기가 포함되어, 벽면설치형으로 공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적어도 두개의 모듈공조기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모듈공조기는 서로 접촉되고, 접촉되는 사이에는 연결배관커버가 마련되어, 모듈로서 제공되는 다수의 공조기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실내공간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하여 공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고기의 사이에는, 하나의 직선커버, 두 개의 공조기연결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모듈로 제공되는 공조기를 원거리에 설치할 수 있어서, 기축건물의 실내공간에 대응하여 더 다양하게 공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모듈공조기의 내부에는 냉매를 증발시키며 응축수를 발생시키는 증발기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응축수를 배수하는 응축수배관이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빌트인과 유사한 공조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상기 커버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 중의 적어도 하나는 천정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는 벽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정과 벽면에 모듈의 형태로 공조기가 제공될 수 있어서, 기축건물의 실내공간에 충실히 대응하는 공조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상기 커버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 중의 적어도 두개는 천정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천정에 다수의 모듈공조기가 마련되어, 실내의 높은 곳으로부터 강한 공조공기를 즐길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상기 커버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 중의 적어도 두 개는 벽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공조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상기 커버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세 개의 모듈공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강력한 공조환경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축건물에 대해서도 빌트인 공조시스템 및 빌딩 공조시스템의 장점을 구현하여 공조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감을 증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 공조기를 다양한 기축건물의 특징을 살리며 설치할 수 있고, 특히, 다양한 천정높이에 대응하여 빌딩 공조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화된 기능이 수행됨으로써 작은 크기의 공조시스템으로 높은 공조성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이 가능한 모듈공조기에 의해서, 개별적인 실내환경에 대응하여 상기 모듈공조기를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냉매배관으로 서로 이격되는 모듈공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빌트인 공조시스템과 마찬가지로 기축건물의 다양한 사양에 맞추어서 공조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공조기를 실내천장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수직벽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실내공간의 규모 및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공조환경을 구축할 수 있고, 기축건물에 대해서도 다양한 빌트인 공조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를 다양한 구성으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더욱 적극적으로 기축 건물의 실내구조에 대응하여 공조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듈공조기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모듈공조기의 삼면도로서, 도 2(a)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저면도이고, 도 2(c)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기축건물의 천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기축건물에 설치되는 실시예에 따른 모듈공조기의 설치양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조립프레임과 모듈공조기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모듈공조기를 설치하여 제공된 공조시스템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실시예.
도 9는 도 8의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배관커버의 적용예를 보이는 도면.
도 10은 천정커버의 사시도.
도 11은 절곡커버의 사시도.
도 12는 공조기연결커버의 사시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공조기의 단면도.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공조기의 블럭도.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공조기의 단면도.
도 16 내지 도 19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가 포함되는 공조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6은 두 개의 천정설치형모듈공조기가 인접하는 경우, 도 17은 두 개의 천정설치형모듈공조기가 서로 이격되는 경우, 도 18은 하나의 벽면설치형모듈공조기와 하나의 천정설치형모듈공조기가 설치되는 경우, 도 19는 두 개의 벽면설치형모듈공조기와 하나의 천정설치형모듈공조기가 설치되는 경우를 보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취소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듈공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듈공조기(1)는 천정에 설치되는 공조기로서, 실내공간을 바라보는 하면(11)을 가진다. 상기 하면(11)은 평면으로 제공됨으로써, 빌트인 공조기기와 같이 천정과 일체화되는 감성과 느낌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면(11)에는, 일방향이 긴 직사각형의 사각부(12)와, 상기 사각부(12)의 길이방향 단부에 놓이는 라운드부(13)를 가진다.
상기 하면(11)은 상기 모듈공조기(1)의 설치부(10)의 일면을 이루고, 상기 설치부(10)에는 상기 모듈공조기(1)의 동작에 필요한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0)에 적어도 일 부분이 놓이는 부품으로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물받이, 냉기의 유동을 만들어내는 팬, 및 냉매가 증발하는 증발기 등의 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0)의 윗쪽에는 천정부(20)가 제공된다. 상기 천정부(20)는 천정에 체결되기 위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천정부(20)은 윗쪽으로 갈수록 오목한 단면으로 제공되어, 천정에 장착될 때 편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천정부(20)에는 냉매 및 응축수를 위반 배관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배관이 통과하기 위한 연결홈(22)이 상기 천정부(20)의 상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홈(22)은 천정부(20)의 길이방향 단부에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1)가 길이방향으로 편리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홈(22)을 덮는 커버가 더 제공되어 연결홈(22)을 닫을 수도 있다. 상기 연결홈(22)은, 해당하는 모듈공조기(1)로부터 이어지는 배관이 없을 때, 상기 연결홈(22)을 닫아서 제품의 외관이 깨끗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모듈공조기의 삼면도로서, 도 2(a)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저면도이고, 도 2(c)는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측으로 상기 설치부(10)가 제공된다. 상기 설치부(10)는 실내환경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부품의 장착, 제품의 수리를 위한 도어, 및 제품의 두드러지는 외관부가 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0)의 윗쪽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경사지는 천정부(20)가 마련된다. 상기 천정부(20)의 내부는 부품이 놓이는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실내 천정에 직접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면(11)에는, 사각부(12)와 라운드부(13)가 함께 공기 흡입을 위한 이차원 평면의 흡입면적(15)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흡입면적(15)은 상기 사각부(12)의 흡입측 면적만이 아니라 상기 라운드부(13)의 절반까지 연장된다. 상기 흡입면적(15)의 경계선 안쪽으로는 차단막(27)이 제공되어 흡입된 공기의 역류를 막을 수 있다.
상기 모듈 공조기(1)는 상기 흡입면적(15)으로 정의되는 넓은 면적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유로저항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좁은 상기 천정부(20)의 내부공간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유로저항을 보상할 수 있다.
상기 흡입면적(15)을 제공하는 어느 쪽 절반을 제외하는, 상기 라운드부(13)의 다른 쪽 절반에는 제 1 설치면적(17)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설치면적(17)에는 펌프, 및 전기부품 등의 모듈 공조기(1)의 동작에 필요한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각부(12)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제 2 설치면적(18)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설치면적(18)에는 물받이와, 및 차단막 등의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각부(12)에서 상기 흡입면적(15)과 마주보는 곳은 토출면적(16)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토출면적(16)에는 토출베인(14)이 설치되어 풍향과 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A'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모듈공조기(1)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가 설치부(10) 및 천정부(20)의 외관을 제공한다. 상기 천정부(20)의 상단에는 설치프레임(26)이 마련되어 상기 모듈공조기(1)가 실내의 천정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팬(21)이 내부공간의 대략 중심측에 놓인다. 상기 팬(21)의 오른쪽, 즉, 흡입측으로는 증발기(22)가 마련된다. 상기 증발기(22)는 절곡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팬(21)을 감싸는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증발기(22)의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잇다.
상기 증발기(22)의 단부에는 물받이(23)(24)가 마련되어 증발기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상기 증발기의 토출을 위한 펌프(25)가 제 1 설치면적(17)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물받이(24)와 대응되는 곳에는 차단막(27)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막(27)은 공조된 공기가 흡입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27)은, 동일한 하면(11)이 흡입면적(15)과 토출면적(16)을 함께 가지고, 상기 흡입면적(15)과 상기 토출면적(16)이 서로 인접하기 때문에 제공된다. 상기 차단막(27)은 흡입면적(15)으로 흡입된 공기가 다시금 흡입면적(15)으로 역류하지 것을 막아서, 그에 따른 유동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모듈공조기(1)의 좁은 내부 공간에서 상기 흡입면적(15)으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면적(16)으로 토출되기 위해서는 180도의 경로변화를 거친다. 상기 경로변화 중에는 큰 유동저항이 발생한다. 상기 유동저항에 의해서 상기 증발기를 거친 공기가 흡입측으로 다시 역류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은 상기 공조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유동저항을 더욱 줄이기 위하여 상기 흡입면적(15)에 제공되는 흡입그릴의 요철은 상기 팬(21)을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상기 흡입면적(15)에는 사각부(21) 및 라운드부(13)가 모두 포함되고, 흡입그릴의 요철 및 그 경사각은, 상기 흡입면적(15)을 제공하는 사각부(21) 및 라운드부(13)에 모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천정부(20)의 상측에는 배관이 놓일 수 있다. 상기 배관에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응축수배관(102) 및 냉매가 흐르는 냉매배관(101)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배관(102) 및 상기 냉매배관(101)은 실외로 안내될 수 있고, 다른 모듈공조기(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기축건물의 천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기축건물에 설치되는 실시예에 따른 모듈공조기의 설치양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상기 기축건물은, 이미 준공완료되었지만 빌트인 공조시스템이 반영되지 않은 건물, 또는 설계시에 공조시스템 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계된 건물, 또는 사람이 이미 살고 있지만 빌트인의 공조시스템이 반영되지 않은 건물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자인을 위한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기축건물의 천정(30)은 나무나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골재를 덮어 마감처리가 되어 있다. 상기 마감처리가 수행된 천정에는 내부에 전기배선 등이 놓이는 천정틀(32)이 놓인다. 상기 천정틀(32)은 소정 크기의 간격을 높이(H)로 가진다. 상기 천정틀(32) 내부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부분을 천정속고(31)라고 약칭할 수 있다.
상기 천정속고(31)는, 발명자들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50~240mm의 폭으로 다양한 높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듈공조기(1)는, 상기 천정속도(31)의 내부공간을 충분히 활용하고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것, 상기 천정틀(32) 전체를 뜯어내지 않고 필요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 및 다양한 상기 천정속도(31)의 경우에 대응하여 집약적으로 설치되고, 모듈화되어 설치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모듈공조기가 기축건물에 설치되는 종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a)는 천정속고가 충분한 경우에 모듈공조기가 매립되는 경우의 도면이고, 도 5(b)는 천정속도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 모듈공조기가 반매립되는 경우의 도면이고, 도 5(c)는 천정속도가 거의 없는 경우에 모듈공조기가 노출되는 경우의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모듈공조기(1)는 상기 천정틀(32)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부(10)의 상단부가 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천정틀(32)의 하단부와 상기 설치부(10)의 상단부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 본 설치예는 상기 천정속고가 충분한 경우에 실시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모듈공조기(1)의 주요 부품이 설치되는 설치부(10)는 외부로 드러나서 외부와의 작용, 수리 등의 부가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설치부(10) 전체가 외부로 드러남으로써, 깨끗한 설치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 상기 천정부(20)는 실내공간의 최상단, 즉 천정에 접하지 않고,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설치프레임(26)과 천정(3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에 설치프레임(26)을 상기 천정에 매달아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모듈공조기(1)는 천정부(20)의 일부가 외부로 드러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천정속고(31)의 내부에 놓일 수 있다. 본 설치예는 상기 천정속고가 불충분한 경우에 실시될 수 있다.
본 설치예에서는 상기 천정틀(32)에 대응하여 조립프레임(35)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립프레임(35)의 내부개구는, 상기 천정부(20)의 수평단면과 대응되도록, 일방향으로 긴 사각부와, 상기 사각부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라운드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면(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모듈공조기의 체결시에 상기 천정부(20)의 약한 외관이 상기 조립프레임(35)에 의해서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프레임(35)이 상기 천정부(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천정부(20)가 천정(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립프레임(35)에 의해서 상기 모듈공조기(1)와 상기 천정틀(32)과의 일체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6은 상기 조립프레임과 상기 모듈공조기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조립프레임(35)의 내부 개구에 모듈공조기의 상기 천정부(2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조립프레임(35)의 외부의 틀은 상기 하면(11)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제공되어 일체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다시 도 5(c)를 참조하면, 실내공간에서 천정속도가 거의 없어 모듈공조기가 노출되는 경우의 도면이다. 상기 천정부(20)의 끝단이 천정(30)에 닿아서 모듈공조기(1)의 많은 부분이 실내로 노출된다.
본 설치예는 실내에서 상기 천정틀(32)이 없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설치예의 경우에는 상기 천정부(20) 상부 양끝단의 연결커버(21)가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상기 연결커버(21)는 배관이 통과하는 연결홈(22)을 커버하는 부품이다.
상기 연결홈(22)은, 이웃하는 모듈공조기(1)가 더 설치되거나 배관이 실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연결홈(22)이 상기 연결커버(21)에 의해서 커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모듈공조기를 설치하여 제공된 공조시스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은, 제 1 모듈공조기(100), 상기 제 1 모듈공조기(100)와 연결되는 제 2 모듈공조기(200), 상기 모듈공조기(100)(200)를 연결하는 배관(101)(102)이 포함된다. 상기 배관(101)(102)는 상기 연결배관커버(7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공조시스템에 따르면, 모듈공조기(100)(200)를 연결하는 길이만큼의 공조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공간이 넓거나 길게 마련되는 경우에는 길게 마련되는 실내공간의 일 모서리에 상기 두 모듈공조기를 일 방향, 즉 실내공간의 연장방향으로 연결하여 공조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실내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공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모듈공조기(100)(200)가 상기 연결커버에 의해서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제시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모듈 공조기(100)(200)가 제공하는 공조시스템은, 각 모듈공조기(100)(200)의 상기 사각부(12)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이다. 상기 연결배관커버(70)에 의해서 각 모듈공조기(100)(200)가 연결됨으로써,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은 설치에 따른 연장방향이 일직선으로 길게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기축건물의 다양한 구성에 따라서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연결배관커버(70)가 구부러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모듈공조기(100)(200)가 연결되고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게 각 모듈 공조기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공조기(100)(200)의 공조풍은 토출방향이 실내공간에 적합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연결배관커버(70)를 길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모듈공조기(100)(200)가 서로 붙지 않고 소정의 거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과 안방을 연결하는 긴 연결배관커버(70)를 제공하여, 연결배관커버(70)에 의해서 안방의 모듈공조기와 거실의 모듈공조기가 서로 연결되어 연동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함께 사용되는 냉매배관 및 응축수배관에 의해서 모듈공조기가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커버(70)는 적어도 천정틀(32)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커버(70)를 포함하여,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에 제공되는 배관커버 및 그 배관커버가 이용되는 공조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실시예이고, 도 9는 도 8의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배관커버의 적용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실외측과 연결되는 응축수배관(102) 및 냉매배관(101)이 실외측으로부터 실내로 인입된다. 인입되는 배관은 커버(25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커버(250)는 실내공간의 모서리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커버(250)의 내부공간에 배관이 놓일 수 있다.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전원선 등의 다른 부재도 충분히 놓일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중에서 배관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커버(250)는, 상기 연결배관커버(70)를 포함하고, 직선커버(40), 천정커버(50), 및 절곡커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가 서로 연결되기 위하여, 각 커버(250)의 양 단부 중에서, 어느 한쪽 단부는 낮은 단차를 가지고, 다른 한쪽 단부는 높은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단차가 서로 겹쳐짐으로써, 상기 커버가 체결되는 면은 평탄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직선커버(40)는 배관이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때 연장된 배관을 커버하기 위하여 일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천정커버(50)는, 상기 배관이 실내공간의 측면모서리를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된 다음에, 천정(30)의 하면을 따라서 연장되기 위하여 구부러지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0에 제시되는 천정커버(50)의 사시도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이, 상기 천정커버(50)에는, 상기 실내공간이 모서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상하성분(51)과, 상기 천정(30)의 하면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성분(5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천정커버(50)와 연결되는 직선커버(40)가 더 제공되어 배관커버를 실내측으로 더 연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모듈공조기(1)가 설치되는 위치를 창문에서 실내공간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천정커버(50)와 절곡커버(60)의 사이에는 상기 천정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선커버(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모듈공조기(100)(200)를 실내공간의 일면 모서리와는 일정간격(W)만큼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창(300)과는 일정간격(W)을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창(300)과 상기 모듈공조기(100)(200)가 일정간격(W) 이격됨으로써, 실내공간의 중앙부로 더 근접하여 공조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창을 통해서 유입되는 빛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조시스템에 따르면, 각 부품이 태양광으로 인하여 열화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공조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조금 더 근접하게 하여 사용자의 만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공조시스템은 다양한 커버(40)(50)(60)(70)에 의해서 더 다양한 만족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듈공조기(100)(200)의 설치장소로 상기 배관이 안내될 때, 배관의 벤딩부를 커버하기 위하여 절곡커버(6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절곡커버(60)에 이어서 상기 직선커버(40)가 더 마련되어, 배관을 상기 모듈공조기(100)(200)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1은 절곡커버의 사시도로서, 상기 절곡커버(60)에는 어느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좌우성분(61), 및 상기 제 1 좌우성분(61)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좌우성분(62)이 포함된다. 상기 좌우성분(61)(62)의 연장방향 차이에 의해서 천정을 따라서 연장되는 배관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상기 모듈공조기(100)(200)의 접촉부에는 상기 연결배관커버(70)가 제공되어 모듈공조기가 서로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연동된다는 것의 의미는, 단일배관에 의해서 냉매가 모든 모듈공조기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의미로는 서로 다른 관로가 동일한 연결배관커버(70)에 의해서 함께 안내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설치가 간편해지고, 실내공간이 미려해지고, 작업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모듈공조기(100)(200)가 접촉되더라도 상기 천정부(20)가 오목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배관커버(70)는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공조기(100)(200)는 서로 접촉되지 않고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가 서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넓은 실내공간에 공조공기를 골고루 송풍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듈공조기 간의 거리가 멀어지고, 이격된 거리가 조정되는 경우에는 단일의 연결배관커버(70)로는 대응하기가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직선커버(40)를 이용하여 거리가 먼 모듈공조기를 서로 연결하고, 모듈공조기의 연결부에서는 상기 연결홈(22)에 대응하는 별도의 공조기 연결커버를 별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공조기연결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공조기연결커버(80)는 내부에 배관 및 전선 등을 수용하는 케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조기연결커버(80)의 어느 일단은 상기 직선커버(40)가 대응되도록 직선단부(도면에서 좌측)을 이루고, 상기 케이스의 타단은 상기 연결홈(22)에 대응되도록 부드러운 곡선단부(도면에서 우측)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모듈공조기(100)(200) 각각이 연동됨으로써, 전체로서 더 큰 공조시스템을 다양한 실내환경에 대응하여 더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모듈공조기 및 상기 공조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원 실시예와 비교하여 모듈공조기를 천정과 벽에 공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원 실시예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공조기의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토출구를 기준으로 상기 토출베인(14)의 반대쪽에 측면베인(141)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측면베인(14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공조기가 벽면에 제공될 때,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조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측면베인(141)은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조공기를 실내 공간의 먼쪽으로 안내할 수도 있고, 가까운 쪽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베인(14)은 하면(11)에 접혀져 붙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토출베인(14)은 상기 측면베인(141)의 작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토출구에서 먼쪽으로 이동해 있을 수 있다. 모듈공조기가 천정에 설치될 때에는, 반대로 상기 측면베인(141)이 토출구에서 먼쪽으로 이동해 있을 수 있다.
상기 측면베인(141)은, 상기 토출베인(14)과 벤딩방향이 반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측면베인(141)은 상기 모듈공조기가 벽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토출구가 실내공간을 향하여 측방향으로 개구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토출베인(14) 및 상기 측면베인(141)은, 모두가 토출되는 공조공기가 실내공간의 윗쪽부분을 향할 수도 있도록, 토출구의 중심을 바라볼 때 하측으로 볼록하게 제공될 수 있다.
원 실시예의 상기 물받이(23)(24)와 달리, 다른 실시예의 물받이(231)(241)는, 상기 증발기(22)의 단부를 270도 감싸 안을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모듈공조기가 천정에 설치되는 때, 및 벽면에 설치되는 때와 무관하게,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포집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로부터 응축수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듈공조기가 천정 및 벽면에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은, 상기 하면(11)에 흡입구 및 토출구가 제공되도록 설계된 것이 그 이유이다. 즉, 모듈공조기의 다른 부분과는 무관하게 모듈공조기의 하면만이 노출되는 것으로서 공조를 수행하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만을 제어함으로써, 벽면설치 적합형 및 천정설치 적합형으로 토출풍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압축기(25)의 자세는 압축기의 운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자세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의 구조는 응축수의 발생 및 포집이 편리하도록 일자로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는 상기 모듈공조기가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 및 천정에 설치되는 경우를 서로 구분하여, 상기 베인(14)(141)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제시한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공조기의 블럭도이고, 도 15는 상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공조기의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베인(14), 및 상기 측면베인(141)을 대신하여 순환베인(14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순환베인(142)은, 상기 토출구의 대략 중앙부에 가로 질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순환베인(142)는, 상기 모듈공조기가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 및 상기 모듈공조기가 천정에 설치되는 경우가 서로 구분되어 달리 동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순환베인(142)은 360도 전 방위로 동작될 수 있다. 어느 일 예로, 상기 상기 순환베인(142)의 일측연장부는, 순환베인(14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사분면 또는 사사분면에 까지 선택적으로 회동각이 미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상기 순환베인(142)의 타측연장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사분면 또는 삼사분면에 까지 선택적으로 회동각이 미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환베인(142)은, 상기 모듈공조기가 천정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15에서 A영역에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순환베인(142)은, 상기 모듈공조기가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15의 B영역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어느 경우라도 실내 공간의 상측공간 및 실내 공간의 하측부로 공조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상기 A영역은 편의상 천정동작영역이라고 할 수 있고, 상기 B영역은 편의상 벽면동작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순환베인(142)은 제어부(300)의 제어하에서, 제 1 베인구동모드(301), 및 제 2 베인구동모드(302)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구동모드(302)에서는, 상기 모듈공조기가 천정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순환베인(142)이 회동하는 각도범위를, 상기 순환베인(142)의 회동축을 기준으로 일사분면 및 삼사분면으로 제한될 수 있다. 즉, A영역에서 상기 순환베인(142)가 회동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구동모드(301)에서는, 상기 모듈공조기가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순환베인(142)이 회동하는 각도범위를, 상기 순환베인(142)의 회동축을 기준으로 이사분면 및 사사분면으로 제한될 수 있다. 즉, B영역에서 상기 순환베인(142)이 회동동작할 수 있다.
각 베인구동모드(301)(302)에서는 제어지시신호를 베인(304)으로 보내어 상기 순환베인(402)이 동작되도록 한다. 이 때에는 상기 모듈공조기가 놓인 실내공간에 대응하여 최적풍향의 공조공기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토출베인(14), 상기 측면베인(141), 및 상기 순환베인(142)은 모두 베인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조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모듈공조기 중의 어느 하나는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공조기 중의 다른 하나는 천정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공조할 수 있는 공조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가 다양하게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공조시스템을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에 의해서 다종다양한 기축건물의 실내공간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가 포함되는 공조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각 커버(40)(50)(60)(70)(80)가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에서 모듈공조기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직선커버(40), 천정커버(50), 직선커버(40), 절곡커버(60), 및 직선커버(40)가 마련된다. 마지막 직선커버(40)에 이어서, 제 1 천정설치모듈공조기(401)와 제 2 천정설치모듈공조기(402)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천정설치모듈공조기(401)와 상기 제 2 천정설치모듈공조기(402)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배관커버(70)가 마련된다.
상기 천정설치모듈공조기는 천정에 설치되는 모듈공조기를 말하고, 이와 반대로 벽면걸치모듈공조기는 벽면에 설치되는 모듈공조기를 말한다.
상기 커버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응축수배관, 및 냉매관 등이 수용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전선도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커버(40)(50)(60)(70)의 역할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든 커버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하여 배관 등이 그 안에 놓이도록 한다.
각 배관의 특유한 역할을 설명한다. 먼저, 직선커버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커버, 친정커버는 벽과 천정의 연결부의 커버, 절곡커버는 동일한 평면에서 절곡되는 부분에 대한 커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모듈공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규격화된 모듈공조기를 이용하여 더 큰 공조용량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도 16에 제시되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천정설치모듈공조기(401)와 상기 제 2 천정설치모듈공조기(402)가 서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16의 공조시스템과 동일한 부분은 도 17의 공조시스템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모듈공조기가 서로 이격되고, 그 사이 간격에는, 공조기연결커버(80), 직선커버(40), 및 공조기연결커버(80)가 순차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듈공조기(401)(402)가 서로 이격되어, 공조공기가 요망되는 공간으로 공조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모듈공조기(401)(402)가 멀리 이격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상기 모듈공조기를 연결하는 다른 커버가 더 적용될 수도 있다.
실내공간이 크게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분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거실이 있는 실내공간에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모듈공조기가 벽면에 설치되는 특징적으로 다르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공조기는 벽에도 설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는 측면 벽에 설치되는 모듈공조기에 대응하는 커버연결구조를 개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외부로 부터 모듈공조기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직선커버(40), 절곡커버(60), 직선커버(40), 및 공조기연결커버(80)가 마련된다. 상기 공조기연결커버(80)의 끝단에는 제 1 벽면설치모듈공조기(501)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제 1 벽면설치모듈공조기(501)의 타단으로부터는, 공조기연결커버(80), 절곡커버(60), 천정커버(50), 직선커버(40), 및 공조기연결커버(80)가 순차적으로 마련된다. 상기 공조기연결커버(80)의 끝단에는 제 1 천정설치모듈공조기(401)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천정설치모듈공조기(401)에 이어서 또 다른 모듈공조기가 연결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상기 커버의 작용 및 커버의 내부공간의 작용은 이미 설명된 바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공조기가 벽면 및 천정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공조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서로 달리 함으로써, 더 넓은 공간으로 공조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도 18에 제시되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벽면설치모듈공조기가 두 개 제공되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도 18의 공조시스템과 동일한 부분은 도 19의 공조시스템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1 벽면설치모듈공조기(501)에 이어서 제 2 벽면설치모듈공조기(502)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1 벽면설치모듈공조기(501)와 상기 제 2 벽면설치모듈공조기(502)의 사이는, 공조기연결커버(80), 직선커버(40), 및 공조기연결커버(80)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1 벽면설치모듈공조기(501)와 상기 제 2 벽면설치모듈공조기(502)가 서로 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배관커버(70)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공조기가 벽면에 다수가 설치되어 특정공간에 대한 집중적인 공조공기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를 통하여 본 개시에 따른 공조시스템은, 적어도 두개의 모듈공조기가, 다양한 커버(40)(50)(60)(70)(80)에 의해서 상당히 다양한 구조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냉매관 및 응축수배관이 놓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축건물에 대해서도 빌트인 공조시스템 및 빌딩 공조시스템의 장점을 구현하여 소비자의 만족감을 증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공조기를 다양한 기축건물의 특징에 대응하여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모듈화된 기능이 수행됨으로써 작은 크기로 높은 공조성능을 얻을 수 있고, 연결이 가능한 모듈공조기에 의해서, 개별적인 실내환경에 대응하여 상기 모듈공조기를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축건물의 구조에 대응하여 더욱 다양한 공조시스템을 자유롭게 구축하여 소비가 만족할 수 있다.
40: 직선커버
50: 천정커버
60: 절곡커버
70: 연결배관커버
80: 공조기연결커버
401, 402; 천정설치모듈공조기
501, 502: 벽면설치모듈공조기

Claims (10)

  1. 실외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공조작용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 및
    상기 모듈공조기의 동작에 필요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관을 적어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커버에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커버; 및
    절곡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커버가 포함되는 공조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설치모듈공조기가 포함되는 공조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설치모듈공조기가 포함되는 공조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적어도 두개의 모듈공조기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모듈공조기는 서로 접촉되고, 접촉되는 사이에는 연결배관커버가 마련되는 공조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모듈공조기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고기의 사이에는, 하나의 직선커버, 두 개의 공조기연결커버가 마련되는 공조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공조기의 내부에는 냉매를 증발시키며 응축수를 발생시키는 증발기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응축수를 배수하는 응축수배관이 수용되는 공조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상기 커버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 중의 적어도 하나는 천정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는 벽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상기 커버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 중의 적어도 두개는 천정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상기 커버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모듈공조기 중의 적어도 두개는 벽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공조기에는 상기 커버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세 개의 모듈공조기가 포함되는 공조시스템.
    .
KR1020190030813A 2019-03-18 2019-03-18 공조시스템 KR20200111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13A KR20200111060A (ko) 2019-03-18 2019-03-18 공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13A KR20200111060A (ko) 2019-03-18 2019-03-18 공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060A true KR20200111060A (ko) 2020-09-28

Family

ID=7280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813A KR20200111060A (ko) 2019-03-18 2019-03-18 공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10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400A (ko) 2015-01-29 2016-08-08 이윤택 기판 성장 그래핀의 제조방법 및 기판 성장 그래핀 및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400A (ko) 2015-01-29 2016-08-08 이윤택 기판 성장 그래핀의 제조방법 및 기판 성장 그래핀 및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562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CN105465989A (zh) 顶部埋入式空调机
KR20070112333A (ko) 횡류팬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US20200191420A1 (en)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088828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474774B1 (ko) 공기조화기
KR20200111061A (ko) 모듈공조기, 및 공조시스템
KR10252129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19178825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0271027A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方法
KR10205314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111060A (ko) 공조시스템
KR20200111056A (ko) 모듈공조기, 및 공조시스템
KR102714628B1 (ko) 공조시스템
JP2018119713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200111051A (ko) 모듈공조기, 및 공조시스템
KR20210111108A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39295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111062A (ko) 모듈공조기, 및 공조시스템
KR20200111058A (ko) 모듈공조기, 및 공조시스템
KR102484879B1 (ko) 공기조화기
JPH0322654Y2 (ko)
US11774133B2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having a plenum for make-up air
JP2005127677A (ja) 空気調和機
US11448421B2 (en) Access door assembly for a vertical air condition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