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955B1 - 디퓨저 - Google Patents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955B1
KR100414955B1 KR10-2001-0046352A KR20010046352A KR100414955B1 KR 100414955 B1 KR100414955 B1 KR 100414955B1 KR 20010046352 A KR20010046352 A KR 20010046352A KR 100414955 B1 KR100414955 B1 KR 100414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luid
diffuser
op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356A (ko
Inventor
김혜령
하상우
Original Assignee
김혜령
하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령, 하상우 filed Critical 김혜령
Priority to KR10-2001-0046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955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9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유량을 분배하는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통형상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케이싱에 의해 형성된 양단의 개구를 차단하는 한쌍의 차단부와, 차단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와, 케이싱에 마련되어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유체통과공과, 유체통과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유체조절공을 가지며 케이싱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유체통과공을 개폐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하며, 유체조절공의 수는 관연결부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유량을 분배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퓨저{DIFFUSER}
본 발명은,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유량을 분배조절할 수 있는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과 함께 생활환경이 개선되면서 협소한 부지에 여러 사람이 동시에 거주할 수 있는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공동주택의 거주자들의 쾌적한 생활 요구에 부응하여 혹한이나 혹서 및 황사 등과 같은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날에도 창문을 열지 않고 실내에 급기 및 배기를 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할 수 있는 급배기설비가 도입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급배기설비는 실외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급기덕트와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배기덕트를 가진다. 이러한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는 급배기되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로부터 여러 갈래로 분기되어 실내의 상부영역인 천장면을 따라 내장 설치되어 천장면에 복수의 급기구 및 배기구를 통하여 실내의 급배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상에는 급기덕트 또는 배기덕트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댐퍼가 마련되며, 댐퍼는 건축물의 기계실이나 천장의 급기구 및 배기구 주변의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상에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급기 또는 배기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각 덕트상에 마련된 댐퍼의 개도를 조절하여야 하나, 설치 위치상 사용자가 댐퍼에 접근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복수의 급기구 및 배기구로 유동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의 단부에 마련되어 배관 내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간편하게 분배 조절할 수 있는 디퓨저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량을 분배 조절할 수 있는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개폐조절부의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디퓨저의 유량조절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퓨저 11 : 케이싱
13 : 유체통과공 15 : 수용홈
17 : 차단부 19 : 지지돌기
21 : 관연결부 23 : 개폐조절부
25 : 유체조절공 27 : 손잡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의 유량을 분배하는 디퓨저에 있어서, 통형상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의해 형성된 양단의 개구를 차단하는 한쌍의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와, 상기 케이싱에 마련되어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유체통과공과, 상기 유체통과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유체조절공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체통과공을 개폐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조절공의 수는 상기 관연결부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1)는, 양단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는 케이싱(11)과, 케이싱(11)의 양단의 개구를 차단하는 한쌍의 차단부(17)와, 차단부(17)의 일측에 마련되어 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21)와, 케이싱(11)에마련되어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유체통과공(13)과, 케이싱(11)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유체통과공(13)을 개폐하는 개폐조절부(23)를 포함한다.
케이싱(11)은 사각통형상을 가지며, 케이싱(11)의 세 개의 면에는 케이싱(11)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유체통과공(13)이 하나의 유체통과공 그룹을 이루며, 각 유체통과공 그룹이 케이싱(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11)에는 후술할 개폐조절부(23)의 손잡이(27)를 수용하며 손잡이(27)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수용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케이싱(11)은 사각형의 단면형상 대신에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유체통과공(13)은 케이싱(11)의 한 개의 측면 또는 두 개의 측면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각 차단부(17)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개폐조절부(23)의 일측 판면을 지지하며 슬라이딩 안내하는 복수의 지지돌기(19)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 차단부(17)에는 케이싱(11) 내부 및 외부로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판면에 관통되어 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2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조절부(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케이싱(11)의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싱(11) 측면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개폐조절부(23)에는 케이싱(11)의 유체통과공(13)과 연통되는 복수의 유체조절공(2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개폐조절부(23)는 유체통과공(13)이 형성된 케이싱(11)의 세 개의 내측면에 각각 대응하도록 세 개가 마련된다. 개폐조절부(23)는 유체통과공 그룹에 대응하여 판면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유체조절공(25)이 하나의 유체조절공 그룹을 이루며, 각 유체조절공 그룹이 소정의 이격 간격으로 판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판면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조절부(23)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케이싱(11)의 수용홈(15)에 수용되는 복수의 손잡이(27)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디퓨저(1)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폐조절부(23)의 유체조절공 그룹의 수가 관연결부(21)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손잡이(27)가 수용홈(15)에 수용되도록 각 개폐조절부(23)의 일측 판면을 케이싱(11)의 각 내측면에 밀착한다.
다음, 케이싱(11)의 양단 개구를 차단함과 동시에 차단부(17)의 지지돌기(19)가 각 개폐조절부(23)의 타측 판면에 밀착되도록 차단부(17)를 케이싱(11)의 양단 개구에 설치함으로써, 디퓨저(1)의 조립이 완성된다.
그리고, 디퓨저(1)의 유량조절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4a는 케이싱(11)의 유체통과공(13)과 개폐조절부(23)의 유체조절공(25)이 연통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개폐조절부(23)의 유체조절공(25)이 케이싱(11)의 유체통과공(13)과 엇갈리게 위치함으로써, 케이싱(11)의 유체통과공(13)은 폐쇄되어 케이싱(11)의 유체통과공(13)을 통해 유체가 케이싱(11) 내외부로 유입 또는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유체통과공(13)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의 디퓨저(1)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조절부(23)의 손잡이(27)를 케이싱(11)의 수용홈(15)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케이싱(11)의 유체통과공(13)과 개폐조절부(23)의 유체조절공(25)이 연통되어, 케이싱(11)의 유체통과공(13)은 개방된다. 그리고, 케이싱(11)의 유체통과공(13)과 개폐조절부(23)의 유체조절공(25)이 부분적으로 연통되도록 케이싱(11)의 수용홈(15)을 따라 개폐조절부(23)의 손잡이(27)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케이싱(11)의 유체통과공(13)을 통해 케이싱(11)으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폐조절부(23)의 유체조절공(25)의 수가 관연결부(21)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케이싱(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케이싱(11)으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손실을 보상하여, 케이싱(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케이싱(11)으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유체의 양은 거의 동일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급배기설비용 디퓨저의 일 실시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저를 이용한 건축물의 급배기설비는, 실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호 열교환하는 열교환기(31)와, 실내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급기량을 조절하는 급기 디퓨저(41)와, 실내의 상부영역에 마련되어 배기량을 조절하는 배기 디퓨저(43)와, 실내 바닥(39)을 경유하며 열교환기(31)로부터 급기 디퓨저(41)로 공기를 안내함과 동시에 배기 디퓨저(43)로부터 열교환기(31)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이중관으로 이루어진 급배기관(37)을 가진다.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는 급기팬(미도시)에 의해 급기관(33)을 통해 실외로부터 유입되어 열교환기(31), 급배기관(37)의 급기관을 통과하면서 급기 디퓨저(41)에 의해 실내로 분산 공급되며, 동시에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는 배기팬(미도시)에 의해 배기 디퓨저(43)로 유입되어 급배기관(37)의 배기관, 열교환기(31)를 통과하면서 배기관(35)을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 때, 실내의 하부영역에서 급기되고, 실내의 상부영역에서 배기되므로 실내의 공기순환은 원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실내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 디퓨저(41) 및 배기 디퓨저(43)의 각 유체통과공(13)을 개폐조절부(23)로 개폐조절함으로써, 급기량 및 배기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싱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케이싱의 유체통과공을 개폐하는 개폐조절부를 마련함으로써, 케이싱의 길이방향을 따라 케이싱 내외부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분배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케이싱의 유체통과공을 개폐하는 개폐조절부를 마련함으로써, 유량을 분배 조절할 수 있는 디퓨저가 제공된다.

Claims (4)

  1. 유체의 유량을 분배하는 디퓨저에 있어서,
    통형상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의해 형성된 양단의 개구를 차단하는 한쌍의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배관이 연결되는 관연결부와,
    상기 케이싱에 마련되어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유체통과공과,
    상기 유체통과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유체조절공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체통과공을 개폐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조절공의 수는 상기 관연결부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KR10-2001-0046352A 2001-07-31 2001-07-31 디퓨저 KR100414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352A KR100414955B1 (ko) 2001-07-31 2001-07-31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352A KR100414955B1 (ko) 2001-07-31 2001-07-31 디퓨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356A KR20030012356A (ko) 2003-02-12
KR100414955B1 true KR100414955B1 (ko) 2004-01-13

Family

ID=2771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352A KR100414955B1 (ko) 2001-07-31 2001-07-31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919B1 (ko) * 2019-04-04 2020-08-06 (주)에스엠에이씨케이 환기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2844U (ko) * 1985-09-20 1987-04-02
JPH03103951A (ja) * 1989-09-19 1991-04-30 Fujitsu Ltd メモリパトロール制御方式
JPH03103951U (ko) * 1990-02-06 1991-10-29
JPH06281240A (ja) * 1993-03-29 1994-10-07 Ohbayashi Corp ダクト兼用天井パネル
JPH08100946A (ja) * 1994-09-30 1996-04-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吹出し空調用グリル
KR19990017254U (ko) * 1997-10-31 1999-05-2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2844U (ko) * 1985-09-20 1987-04-02
JPH03103951A (ja) * 1989-09-19 1991-04-30 Fujitsu Ltd メモリパトロール制御方式
JPH03103951U (ko) * 1990-02-06 1991-10-29
JPH06281240A (ja) * 1993-03-29 1994-10-07 Ohbayashi Corp ダクト兼用天井パネル
JPH08100946A (ja) * 1994-09-30 1996-04-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吹出し空調用グリル
KR19990017254U (ko) * 1997-10-31 1999-05-2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356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300135A (ja) 換気・循環冷暖房設備
JP2008032347A (ja) 吹出口の風向制御機構およびダクトレス換気システム
KR101251221B1 (ko) 창호 환기시스템
KR100747802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20050111158A (ko) 환기시스템
KR100414955B1 (ko) 디퓨저
JPH03225139A (ja) 住戸換気システム
KR10049952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15094500A (ja) 放熱器及びこれを用いた空調システム
KR100433587B1 (ko) 건축물의 급배기설비
JPH02282642A (ja) 熱交換換気設備
FI83698C (fi) Anordning foer klimatisering av rum.
JP2001289476A (ja) 換気システムおよび換気方法
KR102655122B1 (ko)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
KR20100008106A (ko) 단열성능을 갖는 냉난방용 공기순환장치
KR100563532B1 (ko) 환기시스템
JP2006200280A (ja) 木造家屋の暖房システム
KR102418895B1 (ko) 실내공기 환기 장치용 공기 가열 기구
CN220355541U (zh) 一种空调器
JP3394061B2 (ja) 空調用室内ユニット装置
KR20170095785A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JP2000193283A (ja) 換気システム
CN213810867U (zh) 一种新风置换与内循环二合一的房间新风系统及全屋新风系统
KR102563224B1 (ko)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캡
KR100660162B1 (ko) 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