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181B1 -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 Google Patents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181B1
KR102462181B1 KR1020210176085A KR20210176085A KR102462181B1 KR 102462181 B1 KR102462181 B1 KR 102462181B1 KR 1020210176085 A KR1020210176085 A KR 1020210176085A KR 20210176085 A KR20210176085 A KR 20210176085A KR 102462181 B1 KR102462181 B1 KR 102462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air
opening
closing means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열
Original Assignee
백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성열 filed Critical 백성열
Priority to KR1020210176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25Ventilation using vent ports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 내부공간을 다단으로 구성하여 공기층을 형성하고, 다단으로 구성된 벽체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공기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A house with a wall that can circulate air}
본 발명은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 내부공간을 다단으로 구성하여 공기층을 형성하고, 다단으로 구성된 벽체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공기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조주택, 전원주택, 농촌주택, 펜션 등은 교외의 한적한 장소에 주로 시공되는 건축물로서, 근래에는 산업의 발전속도와 맞물린 도심의 폐쇄적인 환경증가로 인해 자연에서 시공되는 전원주택의 선호도가 날로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주택 건축물의 주재료인 시멘트, 콘크리트 등 다양한 건축자재에서는 라돈 뿐만 아니라, 휘발성 유기물질, 무기가스, 중금속 등 다양한 유해한 물질을 자체적으로 방출할 잠재적 위험성이 존재하고, 새집증후군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전원주택이라 하더라도 주택과 같이 밀폐된 실내공간은 생명체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공기중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명체의 호흡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밀폐된 실내공간에 머물게 되는 경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대체하기 위한 환기는 실내의 사람을 쾌적한 상태로 만드는 것으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켜 제거하고, 신선한 외기를 공급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환기 방법에는 건물의 개구부를 통해 실내/실외의 온도차에 따른 공기의 비중량차 또는 풍력 등을 원동력으로 하여 실내의 환기가 행해지는 자연환기법과, 송풍기를 설치하여 강제로 실내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또는 실내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킴으로써 환기를 행하는 강제환기법이 있다.
최근 주택은 구조가 비교적 기밀하고, 알루미늄 샤시 등의 창호 시스템을 설치하며, 냉난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창을 거의 만들지 않거나 고정창을 둠으로써 실내의 기밀도가 높아져서 통상적인 자연환기법으로는 위생상 필요한 최저 환기량을 확보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아 강제환기법을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강제환기 시스템은 천장에서 급기닥트와 배기닥트가 교체되는 관로상에 환기 유닛이 설치되어 급기와 배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급기닥트와 배기닥트를 따라 공기를 유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환기 시스템은 상부로 갈수록 하부에서 상승하는 오염된 공기의 정체 현상으로 인해 환기 효과가 떨어지고 그로 인해 집안의 오염된 공기가 실외로 제대로 배출되지 않고, 실내와 실외의 온도가 차가 많이 나서 벽체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한편, 건축물은 전체적으로 건축물 안팎에서 열의 이동이 일어나며, 그 중에서도 벽체로부터의 이동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벽체를 이루는 콘크리트나 벽돌의 미세한 기공을 통해 건축물의 내, 외부로 공기가 유출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단열을 하게 되는데, 단열을 하게 되면 건축물의 안팎으로 이동하는 열의 이동을 막아 건축물의 냉, 난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한다.
그러나, 단일 벽으로 구성된 종래의 건축물의 경우, 각종 악천후나 동절기 저온상태에서의 냉혹한 바람, 황사현상 등과 같은 기후에 의해 외부건축자재의 내구연한이 짧고, 건축 후 그 원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해 거주자들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KR 10-1353841 (등록번호) 2014.01.14 KR 10-1590840 (등록번호) 2016.01.27. KR 10-1783849 (등록번호) 2017.09.2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벽체 내부공간을 다단으로 구성하여 공기층을 형성하고, 다단으로 구성된 벽체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공기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유입된 신선한 공기가 내부로 배출되고 내부에서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환기가 이루어지되, 전체 개폐수단을 열고 회전시켜 공기순환을 빠르게 하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택 내외부의 상하부에서 공기 배출과 유입이 이루어져 원활한 자연환기가 가능하고, 개폐수단을 회전시켜 강제환기까지 가능하며, 공기순환을 통해 유해물질을 빠르게 배출시키고 공기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벽과 내벽 사이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벽 양측으로 볼록한 공기유도부가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더욱 빠르게 유도하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체에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보온과 단열성능을 높이고, 소음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절기에 실외기온과 실내기온 사이 온도차를 줄여 결로현상을 줄이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벽과 가까운 격벽 사이 공간은 좁게, 내벽과 가까운 격벽 사이 공간은 넓게 공기층의 폭을 다르게 구성하여 내부와 외부 공기를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바렴의 또 다른 목적은 개폐수단이 신축가능하여 좁은 공간에서 짧아지고 넓은 공간에서 길어져 폭이 달라지는 공간을 원활하게 열고 닫을 수 있게 구비되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벽에 설치되는 공기통로에 개폐수단이 닫혔을 때 틈이 생기지 않도록 밀폐수단을 설치하여 기밀성을 높이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외측에 배치되고, 하부에 외부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상부에 내부공기배출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공기유입구(111) 및 내부공기배출구(112)가 제1,2개폐수단(113, 114)에 의해 개폐되는 외벽(110)과; 건물 내측에 배치되고, 하부에 내부공기유입구(121)가 형성되며, 상부에 외부공기배출구(122)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기유입구(121) 및 외부공기배출구(122)가 제3,4개폐수단(123, 124)에 의해 개폐되는 내벽(120)과; 상기 외벽(110)과 내벽(120) 사이에서 외벽(110)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하부에 제1공기통로(131)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공기통로(132)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기통로(131)를 개폐하는 제5,6개폐수단(133,134)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공기통로(132)를 개폐하는 제7개폐수단(135)이 구비되는 제1격벽(130)과; 상기 내벽(120)과 제1격벽(130) 사이에 구비되고, 하부에 제3공기통로(141)와, 제3공기통로(141)를 개폐하는 제8개폐수단(143)이 구비되며, 상부에 제4공기통로(142)와, 상기 제4공기통로(142)를 개폐하는 제9개폐수단(144)이 구비되는 제2격벽(140);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110)과 제1격벽(130) 사이, 제1격벽(130)과 제2격벽(140) 사이, 제2격벽(140)과 내벽(120) 사이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외부공기유입구(111)는 상기 내부공기유입구(121)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공기배출구(112)는 상기 외부공기배출구(122)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외벽(110)과 제1격벽(130) 사이 폭은 제1격벽(130)과 제2격벽(140) 사이 폭보다 작고, 상기 제1격벽(130)과 제2격벽(140) 사이 폭은 제2격벽(140)과 내벽(120) 사이 폭보다 작다.
본 발명의 상기 제1,2개폐수단(113,114), 제3,4개폐수단(123,124), 제5,6,7개폐수단(133,134,135), 제8,9개폐수단(143, 144)은 신축가능하여 공간이 넓은 곳에서 길어지고 공간이 좁은 곳에서 짧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 외벽(110)에 형성되는 외부공기유입구(111)와, 내부공기배출구(112)에는 제1,2개폐수단(113,114)과 접하는 외부측에 제1,2밀폐수단(111a,112a)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외벽(110), 내벽(120)은 단열재가 결합형성되고, 상기 외벽(110) 내측, 상기 내벽(120) 외측, 제1격벽(130), 제2격벽(140) 양측으로 볼록한 공기유도부(15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도부(150)는 단열재로 구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외벽(110)과 내벽(120) 사이에는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점점 높게 형성되는 계단식의 단열층(103)이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은 벽체 내부공간을 다단으로 구성하여 공기층을 형성하고, 다단으로 구성된 벽체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공기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된 신선한 공기가 내부로 배출되고 내부에서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환기가 이루어지되, 빠른 공기순환이 필요할 때 전체 개폐수단을 열고 회전시켜 공기순환을 빠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택 내외부의 상하부에서 공기 배출과 유입이 이루어져 원활한 자연환기가 가능하고, 개폐수단을 회전시켜 강제환기까지 가능하며, 공기순환을 통해 유해물질을 빠르게 배출시키고 공기의 질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벽과 내벽 사이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벽 양측으로 볼록한 공기유도부가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더욱 빠르게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벽체에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보온과 단열성능을 높이고, 소음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며, 동절기에 실외기온과 실내기온 사이 온도차를 줄여 결로현상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벽과 가까운 격벽 사이 공간은 좁게, 내벽과 가까운 격벽사이 공간은 넓게 공기층의 폭을 다르게 구성하여 내부와 외부 공기를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개폐수단이 신축가능하여 좁은 공간에서 짧아지고 넓은 공간에서 길어져 폭이 달라지는 공간을 원활하게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외벽에 설치되는 공기통로에 밀폐수단을 설치하여 개폐수단에 의해 공기통로가 닫혔을 때 틈이 생기지 않도록 기밀성을 높이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의 전체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의 일측 벽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의 일측 벽체에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의 일측 벽체에서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의 일측 벽체에서 전체 개폐수단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의 일측 벽체에서 외벽의 개폐수단이 닫히고 나머지 개폐수단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100)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측에 배치되고, 하부에 외부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상부에 내부공기배출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공기유입구(111) 및 내부공기배출구(112)가 제1,2개폐수단(113, 114)에 의해 개폐되는 외벽(110)과,
건물 내측에 배치되고, 하부에 내부공기유입구(121)가 형성되며, 상부에 외부공기배출구(122)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기유입구(121) 및 외부공기배출구(122)가 제3,4개폐수단(123, 124)에 의해 개폐되는 내벽(120)과,
상기 외벽(110)과 내벽(120) 사이에서 외벽(110)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하부에 제1공기통로(131)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공기통로(132)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기통로(131)를 개폐하는 제5,6개폐수단(133,134)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공기통로(132)를 개폐하는 제7개폐수단(135)이 구비되는 제1격벽(130)과,
상기 내벽(120)과 제1격벽(130) 사이에 구비되고, 하부에 제3공기통로(141)와, 제3공기통로(141)를 개폐하는 제8개폐수단(143)이 구비되며, 상부에 제4공기통로(142)와, 상기 제4공기통로(142)를 개폐하는 제9개폐수단(144)이 구비되는 제2격벽(140)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110)과 제1격벽(130) 사이, 제1격벽(130)과 제2격벽(140) 사이, 제2격벽(140)과 내벽(120) 사이 공간에 공기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이중창의 원리와 같이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해 동절기 외부의 찬 공기와 내부의 공기가 바로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여 보온 및 단열효과를 낼 수 있다.
그리고 환기시에는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기의 유입시 외부의 찬공기가 다수의 공기층을 통과하며 공기층에서 따뜻한 공기와 만나 데워져 실내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층에는 공기유도부(150)가 구비되는데 이는 공기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재로 이루어져 열을 차단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벽(110) 및 내벽(120)에도 단열재가 결합형성되어 단열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한편, 하절기 또는 빠른 환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전체 공기통로를 열고 개폐수단을 회전시켜 공기순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하절기에는 외부의 뜨거운 공기가 공기층의 시원한 공기와 만나 온도가 떨어진 상태에서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층에 의해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바로 섞이지 않고 단계적으로 결합되며 실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공기층에서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공기유도부(150)에 의해 빠르게 섞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100)은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난방배관 등이 설치되는 바닥(101)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101)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내벽(120)의 상부에서 외벽(110), 제1격벽(130) 및 제2격벽(140)과 결합되는 지붕(102)이 구비된다.
상기 지붕(102)은 도면과 같은 세모난 형태의 박공지붕, 한쪽의 지붕길이를 조금 더 길게 적용한 사선지붕, 사면의 지붕이 모두 만나는 모임지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붕(102)의 높이에 따라 외벽(110)과, 내벽(120), 제1,2격벽(130,140)의 높이가 결정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지붕(102)과 결합된 외벽(110)과 내벽(120) 사이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되, 바닥면으로부터 찬기운을 막기 위해 바닥면에 단열층(10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층(103)은 계단식으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점점 높게 형성된다. 상기 단열층(103)을 계단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외벽(110)에서 내벽(120)으로 갈수록 공기층의 폭이 넓어지도록 구비되나 공기층의 높이가 짧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외벽(110)과 제1격벽(130) 사이의 공기층은 제1격벽(130)과 제2격벽(140) 사이의 공기층에 비해 길고 좁게 형성되고, 제2격벽(140)과 내벽(120) 사이의 공기층은 제1격벽(130)과 제2격벽(140) 사이의 공기층에 비해 짧고 넓게 구비된다. 이는 외벽(110)에 가까운 공기층의 공기가 상대적으로 덥거나 차가울 수 있어 공기의 순환을 짧게 하고, 내벽(120)에 가까운 공기층의 공기가 상대적으로 시원하거나 따뜻할 수 있어 공기의 순환을 길게 하여 하절기 또는 동절기 온도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외벽(110)과 제1격벽(130) 사이는 상기 제1격벽(130)과 제2격벽(140) 사이 또는 제2격벽(140)과 내벽(120) 사이보다 폭이 좁은데 볼록한 공기유도부(150)까지 설치되어 공기가 빠르게 이동하며 내부공기와 외부공기가 빠르게 섞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외벽(110)에서 하부측에 설치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공기유입구(111)는 외부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기통로로 이루어지고, 무거운 내부공기가 배출될 경우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내부공기유입구(121)보다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외벽(110)에서 상부측에 설치되어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내부공기배출구(112)는 내부공기가 배출되거나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통로로 이루어지고, 가벼운 내부공기가 배출될 경우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공기배출구(122)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내부공기유입구(121)는 내부공기가 유입되거나 외부공기가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공기배출구(122) 또한, 외부공기가 배출되거나 내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통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유입은 공기가 외벽(110)과 내벽(120) 사이 공기층이 형성되는 벽체 내부로 들어올 때이고 배출은 공기가 벽체 내부에서 빠져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공기유입구(111), 내부공기배출구(112), 내부공기유입구(121), 외부공기배출구(122)는 상기 제1,2,3,4공기통로(131, 132 ,141, 142)와 동일한 형태의 공기통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신축가능한 사각형태의 개폐수단이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공기통로(131)는 두 개의 공기통로(a1, a2)를 합한 높이로 이루어져 나머지 공기통로에 비해 크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외벽(110)과 제1격벽(130) 사이 폭(b1)은 제1격벽(130)과 제2격벽(140) 사이 폭(b2)보다 작고, 상기 제1격벽(130)과 제2격벽(140) 사이 폭(b2)은 제2격벽(140)과 내벽(120) 사이 폭(b3)보다 작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격벽(140)과 내벽(120) 사이 폭(b3)이 가장 넓게 구비되고, 상기 외벽(110)과 제1격벽(130) 사이 폭(b1)이 가장 좁게 구비된다.
이에 상기 외벽(110)에 설치되는 제1,2개폐수단(113,114), 상기 내벽(120)에 설치되는 제3,4개폐수단(123, 124), 상기 제1격벽(130)에 설치되는 제5,6,7개폐수단(133,134,135), 상기 제2격벽(140)에 설치되는 제8,9개폐수단(143, 144)은 공기통로의 높이보다 넓거나 좁은 공기층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신축가능하여 공간이 넓은 곳에서 길어지고 공간이 좁은 곳에서 짧아지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1,2개폐수단(113, 114)은 닫혔을 때 공기통로, 즉 외부공기유입구(111) 및 내부공기배출구(112)의 높이와 그 길이가 같고, 제3,4개폐수단(123, 124)은 닫혔을 때 내부공기유입구(121) 및 외부공기배출구(122)의 높이와 같으며, 제5,6개폐수단(133,134)은 합쳐졌을 때 제1공기통로(131)의 높이와 그 길이가 같고, 제7개폐수단(135)은 제2공기통로(132)의 높이와 그 길이가 같게 된다.
상기 제8,9개폐수단(143,144) 또한 닫혔을 때는 제3,4공기통로(141,142)의 높이와 그 길이가 같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개폐수단들은 회전하며 공간이 좁은 곳에서는 그 길이가 짧아지고 공간이 넓은 곳에서는 그 길이가 길어지며 원활하게 공간을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수단은 공기통로와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지거나 더 넓게 구비되어 공기통로를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체 개폐수단이 열렸다가 닫힐 경우 제1,2개폐수단(113,114)와 제3,4개폐수단(123, 124)가 먼저 닫히게 되고, 그 후 제5,6,7개폐수단(133,134,135)과 제8,9개폐수단(143,144)이 닫히게 되므로 인접한 개폐수단끼리 서로 겹쳐지거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벽(110)에 형성되는 외부공기유입구(111)와, 내부공기배출구(112)에 제1,2개폐수단(113,114)과 접하는 외부측에 패킹으로 이루어지는 제1,2밀폐수단(111a,112a)이 구비된다.
이에 상기 외부공기유입구(111) 및 내부공기배출구(112)를 제1개폐수단(113)과 제2개폐수단(114)으로 차단했을 때 제1,2밀폐수단(111a,112a)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외벽(110) 내측에는 제1공기유도부(151)가, 상기 내벽(120) 외측에는 제2공기유도부(152)가, 제1격벽(130) 양측으로 볼록한 제3공기유도부(153) 및 제2격벽(140) 양측으로 볼록한 제4공기유도부(154)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도부(150)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되, 불에 타지 않는 불연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공기유도부(151)는 제1격벽(130) 방향으로 볼록하여 가장 폭이 넓은 중심부분에서 제3공기유도부(153)의 가장 폭이 넓은 중심부분과 가깝게 구비되되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기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제3공기유도부(153)와 제4공기유도부(154), 제4공기유도부(154)와 제2공기유도부(152)도 볼록한 중심부분에서 폭이 좁아지다가 그 상하부에서 폭이 넓어져 공기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100)은 벽체 내부공간을 다단으로 구성하여 공기층을 형성하고, 다단으로 구성된 벽체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공기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된 신선한 공기가 내부로 배출되고 내부에서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환기가 이루어지되, 빠른 공기순환이 필요할 때 전체 개폐수단을 열고 회전시켜 공기순환을 빠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택 내외부의 상하부에서 공기 배출과 유입이 이루어져 원활한 자연환기가 가능하고, 개폐수단을 회전시켜 강제환기까지 가능하며, 공기순환을 통해 유해물질을 빠르게 배출시키고 공기의 질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벽(110)과 내벽(120) 사이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1격벽(130) 및 제2격벽(140) 양측으로 볼록한 공기유도부(150)가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더욱 빠르게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벽체에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보온과 단열성능을 높이고, 소음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며, 동절기에 실외기온과 실내기온 사이 온도차를 줄여 결로현상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벽(110)과 가까운 제1격벽(130) 사이 공간은 좁게, 내벽(120)과 가까운 제2격벽(140) 사이 공간은 넓게 공기층의 폭을 다르게 구성하여 공기를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개폐수단이 신축가능하여 좁은 공간에서 짧아지고 넓은 공간에서 길어져 폭이 달라지는 공간을 원활하게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외벽(110)에 형성되는 공기통로, 즉 외부공기유입구(111)와 내부공기배출구(112)에 밀폐수단을 설치하여 개폐수단에 의해 공기통로가 닫혔을 때 틈이 생기지 않도록 기밀성을 높이는 장점도 있다.
100 :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101 : 바닥 102 : 지붕
103 : 단열층
110 : 외벽 111 : 외부공기유입구
111a : 제1밀폐수단 112 : 내부공기배출구
112a : 제2밀폐수단 113 : 제1개폐수단
114 : 제2개폐수단
120 : 내벽 121 : 내부공기유입구
122 : 외부공기배출구 123 : 제3개폐수단
124 : 제4개폐수단
130 : 제1격벽 131 : 제1공기통로
132 : 제2공기통로 133 : 제5개폐수단
134 : 제6개폐수단 135 : 제7개폐수단
140 : 제2격벽 141 : 제3공기통로
142 : 제4공기통로 143 : 제8개폐수단
144 : 제9개폐수단
150 : 공기유도부 151 : 제1공기유도부
152 : 제2공기유동부 153 : 제3공기유도부
154 : 제4공기유도부

Claims (7)

  1. 건물 외측에 배치되고, 하부에 외부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상부에 내부공기배출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공기유입구(111) 및 내부공기배출구(112)가 제1,2개폐수단(113, 114)에 의해 개폐되는 외벽(110)과;
    건물 내측에 배치되고, 하부에 내부공기유입구(121)가 형성되며, 상부에 외부공기배출구(122)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기유입구(121) 및 외부공기배출구(122)가 제3,4개폐수단(123, 124)에 의해 개폐되는 내벽(120)과;
    상기 외벽(110)과 내벽(120) 사이에서 외벽(110)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하부에 제1공기통로(131)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공기통로(132)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기통로(131)를 개폐하는 제5,6개폐수단(133,134)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공기통로(132)를 개폐하는 제7개폐수단(135)이 구비되는 제1격벽(130)과;
    상기 내벽(120)과 제1격벽(130) 사이에 구비되고, 하부에 제3공기통로(141)와, 제3공기통로(141)를 개폐하는 제8개폐수단(143)이 구비되며, 상부에 제4공기통로(142)와, 상기 제4공기통로(142)를 개폐하는 제9개폐수단(144)이 구비되는 제2격벽(140);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110)과 제1격벽(130) 사이, 제1격벽(130)과 제2격벽(140) 사이, 제2격벽(140)과 내벽(120) 사이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기유입구(111)는 상기 내부공기유입구(121)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공기배출구(112)는 상기 외부공기배출구(122)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110)과 제1격벽(130) 사이 폭은 제1격벽(130)과 제2격벽(140) 사이 폭보다 작고, 상기 제1격벽(130)과 제2격벽(140) 사이 폭은 제2격벽(140)과 내벽(120) 사이 폭보다 작은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개폐수단(113,114), 제3,4개폐수단(123,124), 제5,6,7개폐수단(133,134,135), 제8,9개폐수단(143, 144)은 신축가능하여 공간이 넓은 곳에서 길어지고 공간이 좁은 곳에서 짧아지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110)에 형성되는 외부공기유입구(111)와, 내부공기배출구(112)에는 제1,2개폐수단(113,114)과 접하는 외부측에 제1,2밀폐수단(111a,112a)이 구비되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110), 내벽(120)은 단열재가 결합형성되고,
    상기 외벽(110) 내측, 상기 내벽(120) 외측, 제1격벽(130), 제2격벽(140) 양측으로 볼록한 공기유도부(15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도부(150)는 단열재로 구비되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110)과 내벽(120) 사이에는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점점 높게 형성되는 계단식의 단열층(103)이 구비되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KR1020210176085A 2021-12-09 2021-12-09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KR102462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085A KR102462181B1 (ko) 2021-12-09 2021-12-09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085A KR102462181B1 (ko) 2021-12-09 2021-12-09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181B1 true KR102462181B1 (ko) 2022-11-01

Family

ID=8404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085A KR102462181B1 (ko) 2021-12-09 2021-12-09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18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1574A (ja) * 1997-05-12 1998-11-24 Masahiro Oshiro 換気口具
KR100351938B1 (en) * 1999-04-30 2002-09-12 Himssen Esco Co Ltd Structure of individual ventilation of outer wall of building
JP2002309689A (ja) * 2001-04-18 2002-10-23 Fukuoka Pref Gov Sangyo Kagaku Gijutsu Shinko Zaidan 断熱と伝熱を行なう壁構造体
JP2012219476A (ja) * 2011-04-06 2012-11-12 Kenji Matsui 建造物内空気流通機構および空気流入逆止弁・空気排出逆止弁
KR101353841B1 (ko) 2012-03-16 2014-01-22 신명기 주택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19524A (ko) * 2012-08-06 2014-02-17 (주)엘지하우시스 에너지 절감을 위한 환기 벽체 시스템
JP2015129618A (ja) * 2014-01-08 2015-07-16 大成建設株式会社 換気構造
KR101590840B1 (ko) 2014-10-20 2016-02-02 차화신 라돈가스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절감구조를 구현시키기 위한 에너지 흐름 구조의 이용방법
KR101783849B1 (ko) 2015-11-18 2017-10-10 김성주 공동주택용 차음벽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1574A (ja) * 1997-05-12 1998-11-24 Masahiro Oshiro 換気口具
KR100351938B1 (en) * 1999-04-30 2002-09-12 Himssen Esco Co Ltd Structure of individual ventilation of outer wall of building
JP2002309689A (ja) * 2001-04-18 2002-10-23 Fukuoka Pref Gov Sangyo Kagaku Gijutsu Shinko Zaidan 断熱と伝熱を行なう壁構造体
JP2012219476A (ja) * 2011-04-06 2012-11-12 Kenji Matsui 建造物内空気流通機構および空気流入逆止弁・空気排出逆止弁
KR101353841B1 (ko) 2012-03-16 2014-01-22 신명기 주택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19524A (ko) * 2012-08-06 2014-02-17 (주)엘지하우시스 에너지 절감을 위한 환기 벽체 시스템
JP2015129618A (ja) * 2014-01-08 2015-07-16 大成建設株式会社 換気構造
KR101590840B1 (ko) 2014-10-20 2016-02-02 차화신 라돈가스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절감구조를 구현시키기 위한 에너지 흐름 구조의 이용방법
KR101783849B1 (ko) 2015-11-18 2017-10-10 김성주 공동주택용 차음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 et al. A review of high-rise ventilation for energy efficiency and safety
JP4595021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KR101251221B1 (ko) 창호 환기시스템
JP2009235677A (ja) 温熱環境改善システム
KR101650811B1 (ko) 리노베이션 건물의 에너지절약 외피통풍구조
KR102462181B1 (ko)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HU217496B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épületek fűtésére és hűtésére, valamint hőszigetelő falburkolat
JP5757260B2 (ja) ダブルスキン構造
JP2004232999A (ja) 気密性住宅の換気システム
JP5684465B2 (ja) 建物の換気構造
JP4285870B2 (ja) 吹き抜け空間を有する住宅
KR200209771Y1 (ko) 통기 구조 커튼월과 팬코일유니트를 이용한 일체형 에너지 절약형 공조시스템
JP2007024407A (ja) 住宅用換気システム
KR101590723B1 (ko) 수직통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구조
JP4701074B2 (ja) 建物
EP4290152A1 (en) Ventilation unit with housing
JP2875166B2 (ja) 断熱構造建物及び建築用パネル
KR101480323B1 (ko) 기존 건축물을 활용한 실내환기 장치.
JP6114564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KR102561367B1 (ko) 환기 시스템 창
CN209082784U (zh) 光伏幕墙
JP2001193206A (ja) 住宅の床構造及び床の施工方法
JP2002285646A (ja) 自然通気層とシステム換気装置を有する建築物
JP3368486B2 (ja) 建築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KR20190119376A (ko) 배기 효율이 향상된 지붕 모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