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620B1 -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 Google Patents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620B1
KR102405620B1 KR1020200072776A KR20200072776A KR102405620B1 KR 102405620 B1 KR102405620 B1 KR 102405620B1 KR 1020200072776 A KR1020200072776 A KR 1020200072776A KR 20200072776 A KR20200072776 A KR 20200072776A KR 102405620 B1 KR102405620 B1 KR 102405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ear
duct
screw thread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493A (ko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현 filed Critical 김정현
Priority to KR1020200072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620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천장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통신 배관을 전용 덕트를 이용하여 천장 슬래브에 매립하지 않고서 슬래브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덕트; 상기 케이블 덕트의 하측을 따라 다수 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커넥트 박스; 상기 박스 본체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덕트 본체에 안착된 통신 케이블과 연결되는 터미널 블럭; 및 상기 덕트 본체의 하측과 상기 덕트 본체가 안착되는 상기 행거의 하부 상측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덕트 본체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충격 완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MULTIPLE SEISMIC COMMNUNICATION PIPING DUCT}
본 발명은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천장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통신 배관을 전용 덕트를 이용하여 천장 슬래브에 매립하지 않고서 슬래브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이나 사무 공간 내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통신 케이블과 유선 방송 케이블을 배선하는 경우 건축물의 벽체에 매설된 컨트롤박스에서부터 천장패널의 안쪽 공간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배선하는 시공예가 있다. 즉, 컨트롤박스에 연결된 케이블을 벽체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배선한 후 천장패널의 안쪽에 넣고 천장패널 안의 외부와 차단된 공간을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곳으로 배선하는 것이다.
이때, 케이블이 벽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것과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케이블 덕트가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벽체형 케이블 덕트는 내부에 배선공간을 갖도록 서로 결합되는 덕트 본체 및 덕트 커버로 구성된다.
상기 덕트 커버는 상기 덕트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케이블의 보수와 증설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덕트 커버는 양면 테이프 등을 통해 벽체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종래의 배관 덕트의 경우 지진 등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배관 덕트 또는 이를 지지하는 행거 등이 상하좌우로 심하게 흔들리며, 이에 따라 배관 덕트가 행거로부터 이탈되거나 손상되어 전기 또는 통신적으로 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26506호 한국등록특허 제10-201812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건축물 천장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통신 배관을 전용 덕트를 이용하여 천장 슬래브에 매립하지 않고서 슬래브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는, 내측에 통신 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도록 양측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
Figure 112020061617243-pat00001
" 형태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 상기 덕트 본체의 내부 공간을 좌우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상기 덕트 본체의 내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티션, 상기 덕트 본체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덕트 본체의 일측 및 다른 일측 상부에 체결되는 덕트 커버, 및 천장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덕트 본체를 거치하는 행거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덕트; 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박스 본체, 및 상기 박스 본체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박스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박스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 덕트의 하측을 따라 다수 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커넥트 박스; 상기 박스 본체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덕트 본체에 안착된 통신 케이블과 연결되는 터미널 블럭; 및 상기 덕트 본체의 하측과 상기 덕트 본체가 안착되는 상기 행거의 하부 상측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덕트 본체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충격 완충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완충부는, 상기 덕트 본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을 형성하는 승하강 슬라이더; 상기 행거의 하부 상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산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 바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상기 안착홈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 하강할 경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지지 기어; 상기 지지 기어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기어를 지지하는 기어 지지 스프링;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어의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어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제동부; 및 상기 지지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나사산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제1 나사산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나사산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상기 제2 나사산으로 공급하는 수직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나사산은, 상측 및 하측을 따라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제동부는,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산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렉 기어; 및 상기 수평 렉 기어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렉 기어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기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부 나사산; 및 상기 수평 제동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기어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플런저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나사산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이 상기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기어 본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 본체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회전홈의 바닥면까지 하강한 이후에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 블록은,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하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상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수직 제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나사산 상부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팽창 파우치; 및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산 상부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제동부는, 상기 지지 바디의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하측으로 눌려 하강하는 수직 바아; 상기 수직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바아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의 기어 블록으로 전달하는 공급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트 박스는, "
Figure 112020061617243-pat00002
"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상부가 상기 박스 본체의 일측에 체결되고 다른 일측 상부가 상기 박스 본체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는 "
Figure 112020061617243-pat00003
"형 프레임; 및 상기 박스 본체의 하부 개구를 덮은 상기 박스 커버가 개방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박스 본체의 하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
Figure 112020061617243-pat00004
"형 프레임의 하부 상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 커버의 하측을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박스 커버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
Figure 112020061617243-pat00005
"형 프레임의 하부 상측면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중간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중간 지지대;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가 하강하여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V" 형 지지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상기 제1 직립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주는 간격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1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지지바아; 하부가 상기 제1 지지바아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를 지지하는 중간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다른 "V" 형 지지대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상부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하는 추가 중간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축물 천장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통신 배관을 다중의 내진 구조가 적용된 전용 덕트를 이용하여 천장 슬래브에 매립하지 않고서 슬래브에 고정함으로써, 덕트에 안착된 케이블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다중으로 완충함으로써, 지진과 같은 큰 충격이 전달될 시에 수직 수평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상쇄시켜 덕트가 흔들려 파손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커넥트 박스와 커버 지지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충격 완충부의 지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충격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지지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제2 나사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기어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커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V" 형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10)는, 케이블 덕트(100), 커넥트 박스(200), 터미널 블럭(300) 및 충격 완충부(400)를 포함한다.
케이블 덕트(100)는, 내측에 통신 케이블(C)이 안착될 수 있도록 양측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
Figure 112020061617243-pat00006
" 형태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110), 덕트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좌우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덕트 본체(110)의 내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티션(120), 덕트 본체(110)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 및 다른 일측이 덕트 본체(110)의 일측 및 다른 일측 상부에 체결되는 덕트 커버(130), 및 천장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덕트 본체(110)를 거치하는 행거(140)로 이루어진다.
커넥트 박스(200)는, 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박스 본체(210), 및 박스 본체(210)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박스 본체(2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Ha, Hb)되는 박스 커버(220)로 이루어지며, 케이블 덕트(100)의 하측을 따라 다수 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즉, 커넥트 박스(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본체(110)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두 개(200a, 200b)가 한 쌍을 이루면서 덕트 본체(110)의 하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트 박스(200)는, "
Figure 112020061617243-pat00007
"형 프레임(230) 및 커버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
Figure 112020061617243-pat00008
"형 프레임(230)은, "
Figure 112020061617243-pat00009
"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231) 상부가 박스 본체(210)의 일측에 체결되고 다른 일측(232) 상부가 박스 본체(210)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며, 박스 본체(210)와 대향하는 상측에 커버 지지부(500)가 설치된다.
커버 지지부(500)는, 박스 본체(210)의 하부 개구를 덮은 박스 커버(220)가 개방되지 아니하도록 박스 본체(210)의 하측면과 대향하는 "
Figure 112020061617243-pat00010
"형 프레임(230)의 하부(233) 상측면에 설치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커버(220)의 하측을 지지한다.
즉, 커버 지지부(500)는, 커넥트 박스(20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되는 바, 도 2 또는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트 박스(200a, 200b)가 두 개 설치되는 경에는 역시 두 개(500a, 500b)가 설치되어 각 커넥트 박스(200a, 200b)의 하측 박스 커버(220a, 220b)를 지지함으로써, 단순히 박스 커버(220a, 220b)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나아가, 커넥트 박스(20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커넥트 박스(2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터미널 블럭(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미널 블럭(300)은, 박스 본체(21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며, 덕트 본체(110)에 안착된 통신 케이블(C)과 연결되기 위한 다수 개의 플러그 인 아울렛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충격 완충부(400)는, 덕트 본체(110)의 하측과 덕트 본체(110)가 안착되는 행거(140)의 하부(143) 상측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400a, 400b)되어 덕트 본체(11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10)는, 건축물 천장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통신 배관을 다중의 내진 구조가 적용된 전용 덕트를 이용하여 천장 슬래브에 매립하지 않고서 슬래브에 고정함으로써, 덕트에 안착된 케이블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다중으로 완충함으로써, 지진과 같은 큰 충격이 전달될 시에 수직 수평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상쇄시켜 덕트가 흔들려 파손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충격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충격 완충부(400)는, 받침대(410), 승하강 슬라이더(420), 지지 바디(430), 지지 기어(440), 기어 지지 스프링(450), 수평 제동부(460) 및 수직 제동부(470)를 포함한다.
받침대(410)는, 덕트 본체(110)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측에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410)는, 원판 또는 사각 평판으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11), 지지 플레이트(411)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412) 및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상측에 형성되는 회전홈(4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장 바아(412)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전 바아(413)을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슬라이더(42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대(4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S1)을 형성하여 지지 바디(430)의 안착홈(431)에 안착되며, 덕트 본체(110)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안착홈(431)에서 하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나사산(S1)은, 상측 및 하측을 따라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롤러(R)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바디(430)는, 행거(140)의 하부(143) 상측면에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431)이 상부에 형성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S1)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S2)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 기어(440)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S3)을 형성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안착홈(431)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즉,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의 바닥면까지 하강하기까지의 깊이에 대응하는 거리) 하강할 경우 승하강 슬라이더(420)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며, 기어 지지 스프링(450)에 의하여 지지된다.
기어 지지 스프링(450)은, 지지 기어(44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안착홈(431)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기어(44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 지지 스프링(450)은, 지지 기어(4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회전 안착대(452) 및 회전 안착대(452)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 안착대(452)를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451)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제동부(460)는, 안착홈(431)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지 기어(440)의 제3 기어산(S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지지 기어(440)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제동부(460)는, 수평 렉 기어(461) 및 수평 스프링(46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렉 기어(461)는, 안착홈(431)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3 기어산(S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제3 기어산(S3)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수평 스프링(462)은, 수평 렉 기어(46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렉 기어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한다.
수직 제동부(470)는, 지지 바디(430)에 설치되며, 제2 나사산(S2)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제1 나사산(S1)과 밀착되어 제1 나사산(S1)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제2 나사산(S2)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제동부(470)는, 수직 바아(471), 유체 탱크(472) 및 공급 라인(473)을 포함한다.
수직 바아(471)는, 지지 바디(430)의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직립되어 설치되며,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하측으로 눌려 하강하여 유체 탱크(472)를 압축시켜 준다.
유체 탱크(472)는, 수직 바아(471)의 하측에 설치되며, 수직 바아(471)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 라인(473)를 통해 제2 나사산(S2)을 구성하는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전달한다.
공급 라인(473)은, 유체 탱크(472)로부터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개별적인 공급 파이프들로 이루어지며, 유체 탱크(472)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전달한다.
도 6은 도 5의 지지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기어(440)는, 플런저(441), 하부 나사산(442) 및 기어 본체(443)를 포함한다.
플런저(44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측에 설치되며, 회전홈(4431)에사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부 나사산(442)은,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런저(44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 나사산(443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기어 본체(443)는, 수평 제동부(460)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S3)을 형성하며, 기어 지지 스프링(450)에 의하여 지지되며, 플런저(441)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플런저(441)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4431)이 형성되며, 하부 나사산(442)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4432)이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 본체(443)는,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의 바닥면까지 하강한 이후에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즉, 플런저(441)는 처음 안착시에는 회전홈(4431)의 상측에 일부만이 삽입되어 안착되어 플런저(441)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기어 본체(443)는 회전하지 못하며, 플런저(441)이 회전하면서 회전홈(4431)의 바닥면에 안착되어서야 회전력에 의해 기어 본체(443)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도 5의 제2 나사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나사산(S2)은,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480a, 480b)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된다.
도 7의 경우에는 두 개의 기어 블록(480a, 480b)만을 도시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나사산(S2)은,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서 다수 개가 열을 지어 설치됨에 따라 제1 나사산(S1)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기어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어 블록(480)은, 나사산 하부(481), 나사산 상부(482), 팽창 파우치(483) 및 후단 지지대(484)를 포함한다.
나사산 하부(481)는,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기어 블록(480)에 의한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한다.
나사산 상부(482)는, 나사산 하부(481)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기어 블록(480)에 의한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며, 하측에 설치되는 팽창 파우치(483)가 팽창함에 따라 승강되어 제1 나사산(S1)과 밀착되어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팽창 파우치(483)는, 나사산 하부(481)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4811)에 안착되며, 수직 제동부(47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나사산 상부(482)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준다.
후단 지지대(484)는, 안착홈(431)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나사산 상부(482)의 후단을 지지한다.
도 9는 도 2의 커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커버 지지부(500)는, 상부 지지대(510), 하부 지지대(520), 제1 중간 지지대(530), 제2 중간 지지대(540), "V" 형 지지대(550), 제1 수평 지지대(560), 제2 수평 지지대(570) 및 간격 지지 탄성체(58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510)는, 박스 커버(220)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측에 설치되는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에 의하여 지지되어 박스 커버(2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로 전달한다.
하부 지지대(520)는, "
Figure 112020061617243-pat00011
"형 프레임(230)의 하부(233) 상측면에 안착되며,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중간 지지대(530)는, 상부가 상부 지지대(510)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531)과, 상부가 제1 경사 프레임(53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532)으로 이루어진다.
제2 중간 지지대(540)는, 상부가 상부 지지대(510)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541)과, 상부가 제2 경사 프레임(54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542)으로 이루어진다.
"V" 형 지지대(550)는,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부 지지대(510)가 하강하여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즉, 상부 지지대(510)가 커넥트 박스(2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며, 해당 간격을 지지하고 있는 "V" 형 지지대(550)가 커넥트 박스(2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제1 수평 지지대(560)는, 제1 경사 프레임(531)의 하부와 제2 경사 프레임(541)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V" 형 지지대(550)의 상측을 지지한다.
제2 수평 지지대(570)는, 제1 직립 프레임(532)과 제2 직립 프레임(542)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V" 형 지지대(550)의 하측을 지지한다.
간격 지지 탄성체(580)는, 제1 수평 지지대(560)의 일측과 제2 수평 지지대(570)의 일측 사이, 및 제1 수평 지지대(560)의 다른 일측과 제2 수평 지지대(57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수평 지지대(560)와 제2 수평 지지대(57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준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V" 형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V" 형 지지대(550)는, 제1 지지바아(551), 제2 지지바아(552), 하부 연결 기어(553) 및 중간 탄성체(554)를 포함한다.
제1 지지바아(551)는, 상부가 제1 경사 프레임(531)과 제1 직립 프레임(532)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V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제2 지지바아(552)의 하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지지바아(552)는, 하부가 제1 지지바아(551)의 하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의 상부 또는 제2 경사 프레임(541)과 제2 직립 프레임(542)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하부 연결 기어(553)는,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V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수평 지지대(570)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52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하부 렉기어(521)를 따라 이동한다.
중간 탄성체(554)는,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V" 형 지지대(550)는, 상부 연결 기어(555) 및 추가 중간 탄성체(5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연결 기어(555)는, 제2 지지바아(552)의 상부와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V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수평 지지대(560)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56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부 렉기어를(561) 따라 이동한다.
추가 중간 탄성체(556)는, 제2 지지바아(552)와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바아(552)와 다른 "V" 형 지지대(550)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100: 케이블 덕트
200: 커넥트 박스
300: 터미널 블럭
400: 충격 완충부
500: 커버 지지부

Claims (8)

  1. 내측에 통신 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도록 양측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
    Figure 112022026563099-pat00012
    " 형태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 상기 덕트 본체의 내부 공간을 좌우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상기 덕트 본체의 내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티션, 상기 덕트 본체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덕트 본체의 일측 및 다른 일측 상부에 체결되는 덕트 커버, 및 천장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덕트 본체를 거치하는 행거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덕트;
    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박스 본체, 및 상기 박스 본체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박스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박스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 덕트의 하측을 따라 다수 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커넥트 박스;
    상기 박스 본체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덕트 본체에 안착된 통신 케이블과 연결되는 터미널 블럭; 및
    상기 덕트 본체의 하측과 상기 덕트 본체가 안착되는 상기 행거의 하부 상측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덕트 본체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충격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 완충부는,
    상기 덕트 본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을 형성하는 승하강 슬라이더;
    상기 행거의 하부 상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산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 바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상기 안착홈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 하강할 경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지지 기어;
    상기 지지 기어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기어를 지지하는 기어 지지 스프링;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어의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어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제동부; 및
    상기 지지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나사산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제1 나사산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나사산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상기 제2 나사산으로 공급하는 수직 제동부;를 포함하는,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부 나사산; 및
    상기 수평 제동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기어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플런저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나사산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이 상기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기어 본체;을 포함하는,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어 블록은,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하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상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수직 제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나사산 상부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팽창 파우치; 및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산 상부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대;를 포함하는,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트 박스는,
    "
    Figure 112020061617243-pat00013
    "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상부가 상기 박스 본체의 일측에 체결되고 다른 일측 상부가 상기 박스 본체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는 "
    Figure 112020061617243-pat00014
    "형 프레임; 및
    상기 박스 본체의 하부 개구를 덮은 상기 박스 커버가 개방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박스 본체의 하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
    Figure 112020061617243-pat00015
    "형 프레임의 하부 상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 커버의 하측을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박스 커버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
    Figure 112020061617243-pat00016
    "형 프레임의 하부 상측면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중간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중간 지지대;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가 하강하여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V" 형 지지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상기 제1 직립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주는 간격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는,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1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지지바아;
    하부가 상기 제1 지지바아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를 지지하는 중간 탄성체;를 포함하는,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다른 "V" 형 지지대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상부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하는 추가 중간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KR1020200072776A 2020-06-16 2020-06-16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KR10240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776A KR102405620B1 (ko) 2020-06-16 2020-06-16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776A KR102405620B1 (ko) 2020-06-16 2020-06-16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93A KR20210155493A (ko) 2021-12-23
KR102405620B1 true KR102405620B1 (ko) 2022-06-03

Family

ID=7917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776A KR102405620B1 (ko) 2020-06-16 2020-06-16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154B1 (ko) * 2022-11-23 2023-06-02 임기철 내진성이 향상된 케이블 트레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351B1 (ko) * 2015-12-11 2016-07-15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KR102063477B1 (ko) * 2019-05-28 2020-01-08 이주철 천장 전선 정리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506B1 (ko) 2014-05-16 2014-08-05 (주)성우엔지니어링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KR102018124B1 (ko) 2018-02-05 2019-09-04 (주)케이제이나노텍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351B1 (ko) * 2015-12-11 2016-07-15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KR102063477B1 (ko) * 2019-05-28 2020-01-08 이주철 천장 전선 정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93A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42051T3 (es) Conjunto de superficie de trabajo
USRE44033E1 (en) Intumescent firestopping apparatus
KR102405620B1 (ko)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US20060138251A1 (en) Self-adjusting intumescent firestopping apparatus
KR101270507B1 (ko) 배전 케이블의 처짐 방지와 충격흡수에 용이한 지지고정대
KR101367430B1 (ko) 회전과 복원력을 갖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GB2351275A (en) Mobile medical supply apparatus
KR101973031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US9291336B2 (en) Chandelier with counterweight height adjustment system
KR102444646B1 (ko) 다중 충격 완충형 케이블 트레이 장치
KR101932029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헹거장치
KR101857858B1 (ko) 배선처리구조를 갖는 억세스 플로어
KR102330114B1 (ko) 통신 케이블 트레이 연결 구조
KR101584642B1 (ko) 공동주택 공동구 케이블 트레이 포설장치
KR101740466B1 (ko) 송배전용 지중케이블관 간격유지장치
KR102419227B1 (ko) 다중 내진형 통신장비함체
KR101773943B1 (ko) 건축용 소방시설 소화전 거치대
KR102369868B1 (ko) 다중 내진형 배관 거치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 방법
KR101771450B1 (ko) 지중관 변형 완화기능을 갖는 송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JP6491577B2 (ja) 目隠しカバー及び防火構造の施工方法
KR101967166B1 (ko) 공동주택용 천장형 케이블트레이
CN219268390U (zh) 一种电缆托挂架
JP3363742B2 (ja) 免震構造建築物の配管保持構造
KR20140076868A (ko) 실외기의 전도방지 장치
CN219123860U (zh) 一种电缆敷设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