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437B1 - 매립형 섹스티아 - Google Patents

매립형 섹스티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437B1
KR101915437B1 KR1020180046842A KR20180046842A KR101915437B1 KR 101915437 B1 KR101915437 B1 KR 101915437B1 KR 1020180046842 A KR1020180046842 A KR 1020180046842A KR 20180046842 A KR20180046842 A KR 20180046842A KR 101915437 B1 KR101915437 B1 KR 101915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ed
sex
sextia
granula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솔
Original Assignee
최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한솔 filed Critical 최한솔
Priority to KR1020180046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형 섹스티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동주택 등의 상하층 간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오·배수 입상 배관시 필요한 오·배수 파이프를 통합시키고 비용감축과 시공의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단면 중 한 측은 수직으로 일자형을 형성하며, 다른 측은 상부에 엘보 파이프(115)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하층의 입상 파이프(1b)로 전달하기 위해 수직으로 폭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21); 및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21)의 하단부에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며, 높이를 차별화하여 층고에 맞는 높이를 제공하며,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에 내화충전재(131)가 삽입되어 제공되는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 을 포함하는 매립형 섹스티아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수직 관통부에 들어가는 별도의 관통 슬리브를 쓸 필요가 없으며, 내화충전재 시공을 별도로 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내화충전재를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 내부로 각 층당 1개소에만 사용하게 함으로써, 비용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섹스티아 자체가 슬라브에 매립이 되기 때문에 입상 파이프 배관 작업시, 별도로 섹스티아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입상 파이프 배관 작업 시 당해 층에서의 개별적인 배관 시공이 가능하고, 편심된 원반을 이용하여 파이프가 바로 설 수 있게끔 유도해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매립형 섹스티아 {BURIED SEXTIA}
본 발명은 매립형 섹스티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동주택 등의 상하층 간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오·배수 입상 배관시 필요한 오·배수 파이프를 통합시키고 비용감축과 시공의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매립형 섹스티아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등의 상하층 간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오·배수 입상 배관은 파이프 덕트라고 하는 욕실 벽면, 씽크대 벽면, 세탁실 벽면 뒤의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각 세대의 슬라브(slab)를 수직 관통하여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오·배수를 통합하여 배출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이때 수직 관통부는 입상 파이프 부분과 세대에서 배출되는 배관으로 이루어져서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며, 수직 관통부마다 내화충전재가 삽입이 되며, 수직 관통부의 아래층에서 입상 파이프와 아래 세대에서 배출되는 배관이 합쳐지게끔 섹스티아 부속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는 당해 층 배관만의 시공이 어려우며, 내화충전재를 사용하는 수직 관통부가 많고, 배관 부속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각 층과 상하층 수직 관통부가 오차 없이 시공되기 어려워 입상 파이프가 비스듬히 시공되는 경우 추가부속의 사용으로 인한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733095호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Sextia and sextia connecting devic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extia connecting use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 관통부에 쓰이는 관통 슬리브, 내화 충전재 및 부속, 입상 파이프와 각 세대에서 나오는 파이프를 한데 묶어주는 섹스티아 부속을 슬라브 내부로 일체화시켜 공정을 줄이고, 입상 파이프 배관에 쓰이는 부속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매립형 섹스티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입상 파이프 배관 공정에서 각 층 입상 파이프의 길이에 따른 차별적인 또는 개별적인 시공이 가능하게끔 할 뿐만 아니라, 입상 파이프가 바로 설 수 있도록 편심 역할을 하는 부속을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추가부속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매립형 섹스티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는, 단면 중 한 측은 수직으로 일자형을 형성하며, 다른 측은 상부에 엘보 파이프(115)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하층의 입상 파이프(1b)로 전달하기 위해 수직으로 폭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21); 및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21)의 하단부에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며, 높이를 차별화하여 층고에 맞는 높이를 제공하며,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에 내화충전재(131)가 삽입되어 제공되는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는, 중앙에 나사(112)가 체결된 입상탭(111)을 매립하기 위한 홀이 형성된 상판 플레이트, 그리고 상판 플레이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과 맞닿기 위해 형성되는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부재는 상단 및 하단은 개구되며 원통형 부재 상단이 상판 플레이트에 의해 개구부의 일부가 막힌 형태로 이루어지는 원반(11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는, 원반(113)의 원통형 부재 외주면은 단면상에서 'ㄱ자' 접촉단을 갖는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의 수직 부재와 맞닿으며, 원반(113)의 상판 플레이트 중 원반(113)의 원통형 부재를 중심으로 한 외측에 위치한 영역의 하부면은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의 수평 부재와 맞닿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에 있어서,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은, 단면 중 한 측(114)에 있어서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21)의 상부 단턱 중 한 측에 얹혀져서 원반(113)의 한 측을 얹히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에 있어서,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은, 단면 중 다른 측(114a)에 있어서 엘보 파이프(115)의 외측 돌기를 얹히기 위해 형성되는 경우, 각기 단면이 'ㄱ 자'를 가지며, 원통 형상의 상부에 외측으로 향하는 마감 테두리부가 외부를 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에 있어서,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에 있어서 단면 중 다른 측(114a)의 상부로는 원반(113)의 하부면이 얹혀지는 경우, 엘보 파이프(115)를 중심으로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 중 단면 중 다른 측(114a)과 반대되는 영역에는 엘보 파이프(115)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14b)가 추가로 형성되며, 고정부재(114b)는 단면이 'ㅜ 자' 형상에 해당하는 추가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에 있어서, 입상탭(111)과 원반(113) 사이에 편심을 이용하여 입상탭(111)에 나사(112)를 매개로 원반(113)을 삽입하여 파이프 배관을 시공시, 원반(113)을 입상탭(111)과 사이의 공간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바, 입상탭(111)과 원반(113) 사이에 일측으로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원반(113)에 대한 입상탭(111) 간에 편심에 따라 제공된 수평거리를 이용해 종래에 비해 움직일 수 있는 공간 영역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는, 수직 관통부에 들어가는 별도의 관통 슬리브를 쓸 필요가 없으며, 내화충전재 시공을 별도로 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는, 종래의 수직 관통부마다 시공되던 내화충전재를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 내부로 각 층당 1개소에만 사용하게 함으로써, 비용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섹스티아 자체가 슬라브에 매립이 되기 때문에 입상 파이프 배관 작업시, 별도로 섹스티아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는, 입상 파이프 배관 작업 시 당해 층에서의 개별적인 배관 시공이 가능하고, 편심된 원반을 이용하여 파이프가 바로 설 수 있게끔 유도해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는, 각 층마다 같은 길이의 입상 파이프를 입고 받아 시공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100)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100) 중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100) 중 나사(112)에 의해 고정되는 원반(113)의 편심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100) 중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100)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100) 중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100) 중 나사(112)에 의해 고정되는 원반(113)의 편심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섹스티아(100) 중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매립형 섹스티아(100)는 상부층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과 연결을 위한 본층에 위치한 본층 입상 파이프(1a)의 하단에 연결되는 입상탭(111) 외에 나사(112), 원반(113),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엘보 파이프(115),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21), 내화충전재(131),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 보호철판(133), 볼트(134) 및 고무패킹(1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갖는 매립형 섹스티아(100)는 수직 관통부에 관통 슬리브와 내화 충전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섹스티아 자체를 슬라브에 타설할 뿐만 아니라, 슬라브는 현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의 높이를 다양화하여 해당 현장 및 해당 층에 맞는 높이를 제공하며,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에 내화충전재(131)가 조립이 되어 있어 별도의 시공이 필요치 않게끔 한다.
또한, 상술한 구성요소를 갖는 매립형 섹스티아(100)는 종래의 섹스티아가 관통 슬리브 2개소, 내화충전재 2개소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섹스타이에서 관통 슬리브를 쓰이지 않고, 내화충전재를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에 1개소만 포함시킴으로써, 필요부속의 개수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입상탭(111)은 전체적으로는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상단으로는 본층 입상 파이프(1a)의 하단 외주면과 입상탭(111) 내주면이 접합되기 위한 내경이 확대된 확대형 접합단을 구비하며, 입상탭(111) 하단으로는 외주면에 나사(112)를 체결하기 위해 나사(112) 상의 내향 나사형 돌기보다 길이가 2.5배 이상 길게 형성되는 미리 설정된 길이의 외향 나사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112)는 입상탭(111)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는 입상탭(111) 보다 높이가 작은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며 단면이 전체적으로 직삼각형 형상에 해당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112)는 입상탭(111)의 하단의 외주면과 체결되기 위한 내부에 내향 나사형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입상탭(111)의 외향 나사형 돌기를 타고 외력에 의해 회전시켜서 나사(112)의 외향 나사형 돌기를 타고 상하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입상탭(11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나사(112)는 원반(113)의 내측 돌기와 체결되기 위한 요홈이 상단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원반(113)과 체결된 상태로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21)의 상단에 입상탭(111)을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나사(112)는 단면이 직삼각형 형상인 2개의 부재가 원반(113)의 내측의 양 끝단에 하나 씩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각 나사(112)에는 상술한 내주면에 나사형 돌기와 외주면 상에 요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립형 섹스티아(100)에 대한 배관 작업시, 당해 층의 위쪽 슬라브에 설치되어 있는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에 본층 입상 파이프(1a)를 끼워넣고, 당해 층의 매립형 섹스티아(100) 상부 측의 입상탭(111)에 본층 입상 파이프(1a)를 고정하여 나사식으로 입상탭(111)을 끼워넣기 때문에, 각층의 층고가 같다면 같은 길이의 본층 입상 파이프(1a)를 입고하여 입상 배관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6a와 같은 종래의 구조가 아닌 도 6b와 같이 입상탭(111)에 편심된 원반(113)을 이용하여 파이프가 바로 설 수 있게끔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입상탭(111)과 원반(113) 사이에 편심을 이용하여 입상탭(111)에 나사(112)를 매개로 원반(113)을 삽입하여 파이프 배관을 시공시, 원반(113)을 입상탭(111)과 사이의 공간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바, 입상탭(111)과 원반(113) 사이에 일측으로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원반(113)에 대한 입상탭(111) 간에 편심에 따라 제공된 수평거리를 이용해 종래에 비해 움직일 수 있는 공간 영역을 더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원반(113)은 중앙에 나사(112)가 체결된 입상탭(111)을 매립하기 위한 홀이 형성된 상판 플레이트, 그리고 상판 플레이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과 맞닿기 위해 형성되는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원통형 부재는 상단 및 하단은 개구되며 원통형 부재 상단이 상판 플레이트에 의해 개구부의 일부가 막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원반(113)의 원통형 부재 외주면은 단면상에서 'ㄱ자' 접촉단을 갖는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의 수직 부재와 맞닿으며, 원반(113)의 상판 플레이트 중 원반(113)의 원통형 부재를 중심으로 한 외측에 위치한 영역의 하부면은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의 수평 부재와 맞닿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은 단면 중 한 측(114)에 있어서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21)의 상부 단턱 중 한 측에 얹혀져서 원반(113)의 한 측을 얹히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은 단면 중 다른 측(114a)은 엘보 파이프(115)의 외측 돌기를 얹히기 위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은 각기 단면이 'ㄱ 자'를 가지며, 원통 형상의 상부에 외측으로 향하는 마감 테두리부가 외부를 향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 중 단면 중 다른 측(114a)의 상부로는 원반(113)의 하부면이 얹혀질 수 있다. 이 경우 엘보 파이프(115)를 중심으로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 중 단면 중 다른 측(114a)과 반대되는 영역에는 엘보 파이프(115)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14b)가 추가로 형성되며, 단면이 'ㅜ 자' 형상에 해당하는 추가 부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b)은 상술한 단면상 한 측(114)을 제외하고 단면 중 다른 측(114b)이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12)의 상부 단턱 중 다른 측에 얹혀져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경우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b)의 단면 중 다른 측(114b)은 'ㅜ 자' 형상과 같이 수직 플레이트의 임의의 지점에 직교하여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가 형성됨으로써,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21)와 맞닿아 얹혀진 영역의 반대 측 영역의 상부로는 엘보 파이프(115)의 외측 돌기를 얹힐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b)의 단면 중 다른 측(114a)은 'ㄱ 자' 형상의 추가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는 상술한 실시예 중 제 1 실시예에 해당하는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과 고정부재(114b)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엘보 파이프(115)는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21)로, 본층 입상 파이프(1a)와 입상탭(111)으로 연결되는 상하층 간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입상 배관으로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오·배수 배관을 통합하여 배출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즉, 엘보 파이프(115)는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에서 단면 중 다른 측(114b)에 이웃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21)는 단면 중 한 측은 수직으로 일자형을 형성하며, 다른 측은 상부에 엘보 파이프(115)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하층의 입상 파이프(1b)로 전달하기 위해 수직으로 폭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21)는 전체적으로 비대칭형의 깔때기 구조로, 단면의 한 측이 평면 구조를 갖음으로써, 평면 구조를 통해 본층 입상 파이프(1a)로부터 하층의 입상 파이프(1b)로 오·폐수가 흘러갈 수 있도록 슬라브에 매립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화충전재(131)는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화재시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의 관통구를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은 도 7과 같이 상부로부터 외주면 상에 2단의 단턱을 갖는 전체적인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1 단턱 영역의 내부 외측으로 내화충전재 삽입홈(132a)이 형성되며, 내화충전재 삽입홈(132a)의 내측으로는 구경이 내화충전재 삽입홈(132a) 보다 큰 입상 파이프 삽입홈(132b)이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은 제 1 단턱 영역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 2 단턱 영역의 내부로 2개의 체결볼트홈(132c)(도 5 참조)이 구비됨으로써, 보호철판(133)이 부착된 뒤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보호철판(133)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화충전재 삽입홈(132a)으로 삽입된 내화충전재(131)의 하단부를 막음으로써, 화재시 내화충전재(131)가 하부로 흘러가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의 관통구를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볼트(134)는 링 형상의 보호철판(133)의 양단에 2개가 구비된 홀을 관통하여 2개의 체결볼트홈(132c)에 체결됨으로써, 보호철판(133)과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의 하단부를 고정시킨다.
고무패킹(135)은 고무부재로 링 타입으로 형성되며, 하부의 수용홈을 통해 하층의 입상 파이프(1b)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하층의 입상 파이프(1b)가 입상 파이프 삽입홈(132b) 내측으로 꽉 차게 삽입됨으로써,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과 하층의 입상 파이프(1b)가 고정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a : 입상 파이프
1b : 하층의 입상 파이프
10 : 슬라브 못구멍
100 : 매립형 섹스티아
111 : 입상탭
112 : 나사
113 : 원반
114 :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
115 : 엘보 파이프
121 :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
131 : 내화충전재
132 :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
133 : 보호철판
134 : 볼트
135 : 고무패킹

Claims (7)

  1. 단면 중 한 측은 수직으로 일자형을 형성하며, 다른 측은 상부에 엘보 파이프(115)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하층의 입상 파이프(1b)로 전달하기 위해 수직으로 폭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21);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21)의 하단부에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며, 높이를 차별화하여 층고에 맞는 높이를 제공하며,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에 내화충전재(131)가 삽입되어 제공되는 매립형 섹스티아 받침(132); 및
    중앙에 나사(112)가 체결된 입상탭(111)을 매립하기 위한 홀이 형성된 상판 플레이트, 그리고 상판 플레이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과 맞닿기 위해 형성되는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부재는 상단 및 하단은 개구되며 원통형 부재 상단이 상판 플레이트에 의해 개구부의 일부가 막힌 형태로 이루어지는 원반(113); 을 더 포함하되,
    입상탭(111)과 원반(113) 사이에 편심을 이용하여 입상탭(111)에 나사(112)를 매개로 원반(113)을 삽입하여 파이프 배관을 시공시, 원반(113)을 입상탭(111)과 사이의 공간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바, 입상탭(111)과 원반(113) 사이에 일측으로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원반(113)에 대한 입상탭(111) 간에 편심에 따라 제공된 수평거리를 이용해 종래에 비해 움직일 수 있는 공간 영역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섹스티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원반(113)의 원통형 부재 외주면은 단면상에서 'ㄱ자' 접촉단을 갖는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의 수직 부재와 맞닿으며, 원반(113)의 상판 플레이트 중 원반(113)의 원통형 부재를 중심으로 한 외측에 위치한 영역의 하부면은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의 수평 부재와 맞닿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섹스티아.
  4. 청구항 3에 있어서,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은,
    단면 중 한 측(114)에 있어서 매립형 섹스티아 본체(121)의 상부 단턱 중 한 측에 얹혀져서 원반(113)의 한 측을 얹히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매립형 섹스티아.
  5. 청구항 4에 있어서,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은,
    단면 중 다른 측(114a)에 있어서 엘보 파이프(115)의 외측 돌기를 얹히기 위해 형성되는 경우, 각기 단면이 'ㄱ 자'를 가지며, 원통 형상의 상부에 외측으로 향하는 마감 테두리부가 외부를 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섹스티아.
  6. 청구항 5에 있어서,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에 있어서 단면 중 다른 측(114a)의 상부로는 원반(113)의 하부면이 얹혀지는 경우, 엘보 파이프(115)를 중심으로 매립형 섹스티아 마감링(114, 114a) 중 단면 중 다른 측(114a)과 반대되는 영역에는 엘보 파이프(115)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14b)가 추가로 형성되며, 고정부재(114b)는 단면이 'ㅜ 자' 형상에 해당하는 추가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섹스티아.
  7. 삭제
KR1020180046842A 2018-04-23 2018-04-23 매립형 섹스티아 KR101915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842A KR101915437B1 (ko) 2018-04-23 2018-04-23 매립형 섹스티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842A KR101915437B1 (ko) 2018-04-23 2018-04-23 매립형 섹스티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437B1 true KR101915437B1 (ko) 2018-11-05

Family

ID=6432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842A KR101915437B1 (ko) 2018-04-23 2018-04-23 매립형 섹스티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4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870Y1 (ko) * 2003-07-24 2003-11-19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배수관용 이음관
KR200479400Y1 (ko) * 2015-09-15 2016-02-12 탁준 입상배관 시공구조
KR101743932B1 (ko) * 2016-12-20 2017-06-07 주식회사 청완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KR200485357Y1 (ko) * 2015-05-18 2017-12-27 쿠안-룽 린 선매립/선가공 천공 장치 및 당해 선매립 천공 장치를 구비한 파이프 배열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870Y1 (ko) * 2003-07-24 2003-11-19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배수관용 이음관
KR200485357Y1 (ko) * 2015-05-18 2017-12-27 쿠안-룽 린 선매립/선가공 천공 장치 및 당해 선매립 천공 장치를 구비한 파이프 배열 박스
KR200479400Y1 (ko) * 2015-09-15 2016-02-12 탁준 입상배관 시공구조
KR101743932B1 (ko) * 2016-12-20 2017-06-07 주식회사 청완 내화 충전재가 내장된 고정구 일체형 관통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871B1 (ko) 당해층 벽체 배수 시스템
US10105017B2 (en) Linear drain system
CA2661387C (en) Off-set carrier
JP6654823B2 (ja) 汚水桝および仮設トイレシステム
JP2007056661A (ja) 小型旋回流発生継手及びこれを用いた基礎貫通配管構造
KR101915437B1 (ko) 매립형 섹스티아
US3988867A (en) Drain and duct system for buildings
CN101832436A (zh) 预埋式防渗漏排水管接头
JP2022061254A (ja) 排水配管継手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JP5203181B2 (ja) 排水縦管用2段型合流継手本体の構造
KR20190139578A (ko)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CN110043737B (zh) 一种具有渗漏水连接口的预埋型旋流接头
KR101517696B1 (ko) 세면대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방지수단
KR200456309Y1 (ko) 관통 슬리브
KR101058940B1 (ko) 층상 배관용 배수관 장치
KR20210015070A (ko) 모듈식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JP2000213026A (ja) 排水管の設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105888035A (zh) 整体装配式钢筋混凝土预制排水检查井
JP2003239341A (ja) 1つの集合ますまたはヘッダ−型継手を用いた床下配管設備
KR200494246Y1 (ko) 배선작업이 용이한 콘트리트 매설용 전선 배관박스
JP5473013B2 (ja) 基礎貫通配管構造
JP6045418B2 (ja) 排水スリーブ設置用治具
KR102351575B1 (ko) 배관 조립체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