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505Y1 - 방수용 앵커볼트 - Google Patents

방수용 앵커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505Y1
KR200482505Y1 KR2020160005502U KR20160005502U KR200482505Y1 KR 200482505 Y1 KR200482505 Y1 KR 200482505Y1 KR 2020160005502 U KR2020160005502 U KR 2020160005502U KR 20160005502 U KR20160005502 U KR 20160005502U KR 200482505 Y1 KR200482505 Y1 KR 200482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olt
nut
shaft bolt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수
Original Assignee
영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5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5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2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 또는 벽면에 장착되어 방수기능을 가지는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천장 또는 벽면 즉, 콘크리트에 형성된 천공홀에 일측이 내입되되, 방수커버가 상기 콘크리트에 안정적으로 밀착되고, 샤프트볼트와 샤프트부시가 일체로 형성되어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결합부위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용 앵커볼트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고안은 건축물 또는 터널의 내측면인 콘크리트에 배수시트 및 방수시트를 밀착시키고, 상기 배수시트 및 방수시를 관통시켜 콘크리트에 형성된 천공홀을 단단히 밀폐하기 때문에 수밀성을 향상되므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샤프트볼트와 샤프트부시를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제조단가 및 설치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 및 샤프트볼트의 결합부위에 오링을 설치하여 더욱더 우수한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용 앵커볼트{A anchor bolts for Water-proof}
본 고안은 천장 또는 벽면에 장착되어 방수기능을 가지는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천장 또는 벽면 즉, 콘크리트에 형성된 천공홀에 일측이 내입되되, 방수커버가 상기 콘크리트에 안정적으로 밀착되고, 샤프트볼트와 샤프트부시가 일체로 형성되어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결합부위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용 앵커볼트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산악지형에 터널을 형성하거나 건축물을 시공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건축물 또는 터널의 내측면에는 빗물, 계곡물 등의 각종 수분이 침투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배수시트 및 방수시트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배수시트 및 방수시트의 설치과정은 배수시트 및 방수시트를 건축물 또는 터널의 내측면인 콘크리트에 밀착시키고, 일정간격으로 배수시트 및 방수시트를 관통시켜 콘크리트에 고정홀을 뚫은 후 방수용 앵커볼트의 상부가 쇄기부재를 가압 확장시켜 고정시키며, 앵커볼트의 하부에 체결되는 연결고리에 철근 구조물을 결합한 후 아치형 거푸집을 이용하여 터널의 내측면을 콘크리트(또는 몰탈) 등으로 마감하여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앵커볼트는 배수시트 및 방수시트를 콘크리트 벽체에 밀착시키고, 철근 구조물을 홀딩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배수시트 및 방수시트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방수시트에 홀 즉, 천공홀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천공홀을 통해 앵커볼트로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앵커볼트가 끼움되는 상기 배수시트 및 방수시트의 천공홀을 통해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방수용 앵커볼트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21187호에는 콘크리트벽의 여러 개소에 고정설치된 앵커볼트의 외주측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구비된 관상의 연결관체와; 상기 연결관체 하단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소정 길이의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연결관체의 직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부프랜지와; 상기 볼트가 관통되는 상부프랜지의 하면에 밀착되는 상부패킹과; 상기 볼트가 관통되는 상부패킹의 저면에 설치되면서 콘크리트 외부에 도포된 방수시트와 접착제로서 접합되는 부착형 방수시트와; 상기 볼트가 관통되는 부착형 방수시트의 하면에 면접밀착되는 하부패킹과; 상기 볼트가 관통되는 하부패킹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프랜지와; 상기 하부프랜지의 하면에 설치되는 스프링와샤와; 상기 볼트가 관통되는 스프링와샤의 하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볼트의 단부에 설치되어 철근 또는 지지볼트가 연결되는 연결수단; 등으로 구성되면서, 상기 연결관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소정 깊이의 나사홈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벽의 여러 개소에 고정설치된 앵커볼트가 나삽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관체의 하단부에 볼트를 일체로 연장형성하는 한편, 상기 연결관체의 하단면에 상부프랜지와 면접밀착되는 밀폐링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방수시트 부착형 앵커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21187호는 상·하부패킹에 배치된 방수시트가 고정너트에 의해 압착되면 숏크리트층의 방수시트에 밀착되고 이어서 열풍 또는 적외선 열기를 이용하여 융착시켜 방수되도록 하였으나, 앵커볼트의 나사부분으로는 밀폐가 어려워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연결관체의 하단면에 상부프랜지와 면접밀착되는 밀폐링을 추가로 배치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밀폐링은 과다한 밀착으로 손상을 입어 절단 또는 부분적으로 찢어지거나 말려나와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방수를 위한 앵커볼트는 천공홀을 통해 누수되는 물이 앵커볼트와 앵커볼트에 설치되는 방수시트 혹은 방수커버와의 사이의 수밀성이 완벽하지 않아 누수되는 문제가 있었고, 방수기능을 위한 구성들의 가짓수가 많아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설치비용과 앵커볼트를 제조하는 단가의 상승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2118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3285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71817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방수를 위한 앵커볼트는 수밀성이 완벽하지 않아 천공홀을 통해 누수되는 문제와 방수기능을 위한 구성들의 가짓수가 많아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설치비용과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샤프트볼트와 샤프트부시를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결합부위에 오링 등의 패킹을 설치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용 앵커볼트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 말단에 확장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샤프트부시와 샤프트부시의 중공에 일측이 내입되고, 일측 말단에 콘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샤프트볼트와 샤프트볼트의 타측에 결합되어 샤프트부시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너트부싱과 샤프트볼트의 타측에 결합되어 너트부싱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방수커버와 샤프트볼트의 타측에 결합되어 방수커버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와셔와 샤프트볼트의 타측에 결합되어 와셔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와셔너트 및 샤프트볼트의 타측에 결합되어 와셔너트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방수용 앵커볼트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방수용 앵커볼트는 샤프트볼트의 타측에 결합되되, 샤프트부시의 타측 말단과 일측이 밀접되고, 너트부싱의 일측 말단과 타측이 밀접되는 제1오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너트부싱은 내측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샤프트볼트의 타측에 결합되되, 휨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방수용 앵커볼트는 샤프트볼트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휨공간에 위치되어 너트부싱의 타측 말단과 일측이 밀접되고, 방수커버의 일측 말단과 타측이 밀접되는 제2오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수커버는 일측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휨공간에 내입되어 너트부싱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제1보강부와 타측에 돌출형성되어 와셔의 일측 말단과 밀접되는 제2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고안에 의한 방수용 앵커볼트는 건축물 또는 터널의 내측면인 콘크리트에 배수시트 및 방수시트를 밀착시키고, 상기 배수시트 및 방수시를 관통시켜 콘크리트에 형성된 천공홀을 단단히 밀폐하기 때문에 수밀성을 향상되므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샤프트볼트와 샤프트부시를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제조단가 및 설치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 및 샤프트볼트의 결합부위에 오링을 설치하여 더욱더 우수한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수용 앵커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방수용 앵커볼트를 나타낸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방수용 앵커볼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방수용 앵커볼트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수커버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오링을 나타낸 단면도.
본 고안은 산악지형에 터널을 형성하거나 건축물을 시공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건축물 또는 터널의 내측면으로 빗물, 계곡물 등의 각종 수분이 침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축물 또는 터널의 내측면 즉, 콘크리트에 형성된 천공홀에 내입되어 고정되는 샤프트볼트(20)의 말단에 콘부(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샤프트볼트(2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샤프트부시(10) 또한 말단에 확장부(12)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조단가가 절감되며, 시공성이 용이한 한편, 샤프트볼트(20)에 결합되어 샤프트부시(10)와 밀접되는 너트부싱(40)과 상기 샤프트부시(10) 사이에 제1오링(30)이 설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너트부싱(40)과 샤프트볼트(20)에 결합되는 방수커버(60) 사이에 제2오링(50)이 설치되어 수밀성이 향상된 방수용 앵커볼트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수용 앵커볼트의 일예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71817호의 방수 앵커(1000)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앵커볼트(300)의 일측말단에 콘너트(210)가 결합되고, 상기 앵커볼트(300)에는 일측부터 순차적으로 확장슬리브(220), 연결관(230), 와셔(140), 제1슬리브(120), 방수패드(110), 제2슬리브(130)를 구비하는 일체형와셔(150), 볼트헤드(400), 연결고리(500)가 결합된 구성으로서, 콘너트(210)와 연결관(230) 및 확장슬리브(220)가 불필요하게 분리되어 결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시공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수앵커(1000)는 수밀성 유지를 위하여 제1슬리브(120)와 제2슬리브(130)를 이용하여 방수패트(110)의 관통홀(111)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연결관(230)과 와셔(140) 및 앵커볼트(300)의 결합사이로 누수되는 것은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즉, 종래의 방수용 앵커볼트는 콘크리트에 고정결합되는 앵커볼트(300)(본 고안에서는 샤프트볼트(20))와 방수패드(110)(본 고안에서는 방수커버(60))의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지 못하고, 시공시 너무 강한 압력으로 시공하면 방수패드(110)의 내측에 손상이 발생하여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어,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점으로 샤프트볼트(20), 샤프트부시(1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샤프트볼트(20)와 너트부싱(40), 방수커버(60), 와셔(70)의 결합부위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제1,2오링(30)(50)을 사용하여 방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 말단에 확장부(12)가 일체로 형성되는 샤프트부시(10);와 샤프트부시(10)의 중공에 일측이 내입되고, 일측 말단에 콘부(22)가 일체로 형성되는 샤프트볼트(20);와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어 샤프트부시(1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너트부싱(40);과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어 너트부싱(4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방수커버(60);와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어 방수커버(6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와셔(70);와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어 와셔(7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와셔너트(80); 및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어 와셔너트(8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너트(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방수용 앵커볼트는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되, 샤프트부시(10)의 타측 말단과 일측이 밀접되고, 너트부싱(40)의 일측 말단과 타측이 밀접되는 제1오링(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너트부싱(40)은 내측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되, 휨공간(42a)을 형성하는 돌출부(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방수용 앵커볼트는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휨공간(42a)에 위치되어 너트부싱(40)의 타측 말단과 일측이 밀접되고, 방수커버(60)의 일측 말단과 타측이 밀접되는 제2오링(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수커버(60)는 일측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휨공간(42a)에 내입되어 너트부싱(4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제1보강부(62);와 타측에 돌출형성되어 와셔(70)의 일측 말단과 밀접되는 제2보강부(6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7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샤프트부시(10)는
중공(미표시)이 형성되고, 일측 말단에 확장부(1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샤프트볼트(20)와 함께 천장 또는 벽면의 내측면 즉, 콘크리트에 형성된 천공홀에 일측이 내입되어 샤프트볼트(2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샤프트부시(10)는 샤프트볼트(20)의 콘부(22)에 의해 상기 확장부(12)가 확장되어 콘크리트에 샤프트볼트(20)와 함께 고정되고, 이대, 상기 확장부(12)는 종래에 앵커볼트에 사용되는 확장부로서, 형상을 한정하지 않고, 종래에 사용되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샤프트부시(10)는 일측 말단에 확장부(1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종래에 방수에 사용되는 앵커볼트는 방수를 위한 방수패드 즉, 방수커버의 결합과, 수축, 회전에 의한 풀림방지를 위해 분리된 슬리브(본 고안에서는 샤프트부시(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확장부(12)를 샤프트부시(10)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시공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후에 설명될 제1오링(30)에 의해 샤프트볼트(20) 및 너트부싱(40)과의 결합부위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샤프트볼트(20)는
샤프트부시(10)의 중공에 일측이 내입되고, 일측 말단에 콘부(2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앞서 샤프트부시(1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천장 또는 벽면의 내측면 즉, 콘크리트에 형성된 천공홀에 일측이 내입되어 외주연에 결합된 샤프트부시(10)의 확장부(12)를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샤프트볼트(20)는 샤프트부시(10)와 마찬가지로 일측 말단에 콘부(22)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샤프트부시(10)의 확장부(12)를 안정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샤프트볼트(20)는 이후에 설명될 너트부싱(40), 와셔너트(80), 너트(9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타측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싱(40), 와셔너트(80), 너트(90) 또한 대응되는 나사산(미도시)이 내측에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고, 이후에 설명될 방수커버(60)와 제2오링(50)이 설치되는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수밀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너트부싱(40)은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어 샤프트부시(1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것으로서, 샤프트부시(10)와 너트부싱(40)의 결합부위가 밀접됨으로써,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너트부싱(40)과 샤프트부시(10)의 결합부위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오링(3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오링(30)은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되, 샤프트부시(10)의 타측 말단과 일측이 밀접되고, 너트부싱(40)의 일측 말단과 타측이 밀접됨으로써, 너트부싱(40)과 샤프트부시(10)의 결합부위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샤프트볼트(10)와 방수커버(60)의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너트부싱(40)은 이후에 설명된 방수커버(60)가 와셔너트(80)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가압될 때, 샤프트부시(10)에 의해 일측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와셔너트(80)를 이용하여 샤프트볼트(20)를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샤프트부시(10)를 일측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여 샤프트볼트(20)의 콘부(22)에 의해 샤프트부시(10)의 확장부(12)가 확장되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고안의 제1오링(3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내구성이 강한 테프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제1오링(30)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설치될 수 있도 있는데,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즉, 샤프트부시(10)방향에 위치하도록 샤프트볼트(20)에 설치되어 샤프트부시(1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제1강질재(31)와 상기 제1강질재(31)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샤프트볼트(20)에 설치되는 연질재(32)와 상기 연질재(32)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샤프트볼트(20)에 설치되어 너트부싱(40)의 일측 말단에 밀접되는 제2강질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질재(32)는 하나 이상 즉, 복수 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제1,2강질재(31)(33)와 연질재(32)로 구성되는 제1오링(30)은 상기 제1,2강질재(31)(33)에 의해 연질재(32)가 가압되어 샤프트볼트(20)의 내측면을 따라 누수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1강질재(31)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즉, 타측에 수용홈(미표시)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샤프트볼트(20)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연질재(32)와 제2강질재(33)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질재(32)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강질재(31)의 타측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 즉, 타측에 수용홈(미표시)이 형성되고, 하부 즉, 일측에 상기 제1강질재(31)의 타측에 형성된 수용홈과 대응되는 모서리가 돌출형성되어 제2강질재(33)에 의해 가압되면 제1강질재(31)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질재(32)는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수밀모서리(미표시)가 더 형성되어 제2강질재(33)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수밀모서리가 샤프트볼트(20)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강질재(33)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질재(32)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 즉, 일측에 상기 연질재(32)의 타측에 형성된 수용홈과 대응되는 모서리가 형성되고, 너트부싱(40)에 의해 가압되어 연질재(32)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2강질재(3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너트부싱(40)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압되기 위해 단면이 삼각형태로 이루어지나 상부 즉, 타측방향으로 일정의 길이를 가지는 사각형태의 단면모양을 가지는 가압부(미도시)가 일체로 더 연장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제2강질재(33)는 너트부싱(4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연질재(32)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연질재(32)는 제1강질재(31)를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해 너트부싱(40)에 의한 가압력이 상승되면 상기 연질재(32)는 제1,2강질재(31)(3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즉, 샤프트볼트(20)의 수직방향으로 팽창되어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2강질재(31)(33)와 연질재(32)는 강성이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와 같은 수밀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연질재(32)는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때, 수밀되는 면적을 높여 수밀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2강질재(31)(33)와 연질재(32)는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연질재(32)를 외측방향으로 효과적으로 팽창시킬 수 있도록 모서리와 수용홈이 형성되어 연질재(32)의 중심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연질재(32)는 3개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바람직한데, 이는 상부 즉, 타측에 위치한 연질재(32)가 제2강질재(33)에 의해 가압되고, 하부 즉, 일측에 위치한 연질재(33)가 제1강질재(31)에 의해 가압되며, 중간에 위치한 연질재(33)가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연질재(32)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연질재(32)가 제1,2강질재(31)(33)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중간에 위치한 연질재(32)에 의해 사용수명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연질재(32)가 3개 미만으로 구성될 경우, 제1,2강질재(31)(33)에 의해 연질재(32)가 점차적으로 파손되어 사용수명이 줄어들 수 있고, 3개 이상으로 구성될 경우,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연질재(32)가 파손되어 기밀성이 상실되면 중간에 위치한 연질재(32)에 충분한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아 수밀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3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고안의 너트부싱(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되, 휨공간(42a)을 형성하는 돌출부(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돌출부(42)에 의해 앞서 설명된 제1오링(30)을 더욱 효율적으로 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샤프트볼트(20)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상기 휨공간(42a)에 제2오링(50)이 설치됨으로써, 수밀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제2오링(50)은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휨공간(42a)에 위치되어 너트부싱(40)의 타측 말단과 일측이 밀접되고, 방수커버(60)의 일측 말단과 타측이 밀접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오링(30)의 수밀성이 저하되었을 경우 샤프트볼트(20)와 방수커버(60)의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2오링(50)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기밀 또는 수밀성을 유지시키는 것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휨공간(42a)에 내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방수커버(60)는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어 너트부싱(40)의 타측말단과 밀접되는 것으로서, 이후에 설명될 와셔(70)에 의해 가압되어 콘크리트에 밀착되거나, 부착 및 융착되어 수분을 방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방수커버(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즉, 타측에 제2보강부(64)가 형성되어 와셔(70)에 의해 가압될 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수밀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방수커버(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즉, 일측에 제1보강부(62)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보강부(62)는 앞서 설명한 너트부싱(40)에 의해 형성된 휨공간(42a)에 내입되어 수밀성 유지와 함께 방수커버(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방수커버(60)는 일측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휨공간(42a)에 내입되어 너트부싱(4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제1보강부(62)와 타측에 돌출형성되어 와셔(70)의 일측 말단과 밀접되는 제2보강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62)가 형성된 방수커버(60)는 휨공간(42a)에 제2오링(50)과 함께 상기 제1보강부(62)가 수용되어 상기 제1보강부(62)가 제2오링(50)을 가압하여도 무방하고, 제2오링(50)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제1보강부(62)만 휨공간(42a)에 내입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제1보강부(62)는 제2오링(50)과 함께 휨공간(42a)에 수용되어 수밀성 유지와 방수커버(60)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제2오링(50)을 설치하지 않고 휨공간(42a)에 수용되었을 때는 돌출되는 정도를 더 상승시켜 제1보강부(62)에 의해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1보강부(62)는 방수커버(60)가 샤프트볼트(20)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결합홀(미표시)이 연장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홀로 누수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제2오링(50)과 함께 휨공간(42a)에 수용될 수 있도록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2오링(50)의 크기도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와셔(70)는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어 방수커버(60)의 타측말단과 밀접되는 것으로서, 이후에 설명될 와셔너트(80)에 의해 가압되어 방수커버(60)를 가압함으로써,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와셔너트(80)는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어 와셔(70)의 타측말단과 밀접되는 것으로서,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나사결합되어 와셔(70)를 일측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방수커버(80)가 가압되어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너트(90)는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어 와셔너트(8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것으로서, 와셔너트(80)가 샤프트볼트(20)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말단에 고리(미표시)가 형성되어 있어 철근 구조물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와셔(70)와 와셔너트(80) 및 너트(90)는 종래의 방수를 위한 앵커볼트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은 샤프트볼트(20)에 일측부터 샤프트부시(10), 제1오링(30), 너트부싱(40), 제2오링(50), 방수커버(60), 와셔(70), 와셔너트(80) 및 너트(90)가 결합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성이 용이하며,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샤프트부시 12 : 확장부
20 : 샤프트볼트 22 : 콘부
30 : 제1오링 31 : 제1강질재
32 : 연질재 33 : 제2강질재
40 : 너트부싱 42 : 돌출부
42a : 휨공간 50 : 제2오링
60 : 방수커버 62 : 제1보강부
64 ; 제2보강부 70 : 와셔
80 : 와셔너트 90 : 너트

Claims (5)

  1.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 말단에 확장부(12)가 일체로 형성되는 샤프트부시(10);와
    샤프트부시(10)의 중공에 일측이 내입되고, 일측 말단에 콘부(22)가 일체로 형성되는 샤프트볼트(20);와
    내측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되, 휨공간(42a)을 형성하는 돌출부(42)를 구비하며, 샤프트부시(1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너트부싱(40);과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되, 샤프트부시(10)의 타측 말단과 일측이 밀접되고, 너트부싱(40)의 일측 말단과 타측이 밀접되는 제1오링(30);과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어 너트부싱(4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방수커버(60);와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어 방수커버(6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와셔(70);와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어 와셔(7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와셔너트(80);와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어 와셔너트(8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너트(90); 및
    샤프트볼트(20)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휨공간(42a)에 위치되어 너트부싱(40)의 타측 말단과 일측이 밀접되고, 방수커버(60)의 일측 말단과 타측이 밀접되는 제2오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수커버(60)는
    일측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휨공간(42a)에 내입되어 너트부싱(4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제1보강부(62);와
    타측에 돌출형성되어 와셔(70)의 일측 말단과 밀접되는 제2보강부(6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오링(30)은
    샤프트볼트(20)에 설치되어 샤프트부시(!0)의 타측 말단과 밀접되는 제1강질재(31);와
    상기 제1강질재(31)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샤프트볼트(20)에 설치되는 연질재(32); 및
    상기 연질재(32)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샤프트볼트(20)에 설치되어 너트부싱(40)의 일측 말단에 밀접되는 제2강질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앵커볼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60005502U 2016-09-22 2016-09-22 방수용 앵커볼트 KR200482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02U KR200482505Y1 (ko) 2016-09-22 2016-09-22 방수용 앵커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02U KR200482505Y1 (ko) 2016-09-22 2016-09-22 방수용 앵커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505Y1 true KR200482505Y1 (ko) 2017-02-02

Family

ID=5840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502U KR200482505Y1 (ko) 2016-09-22 2016-09-22 방수용 앵커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5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419B1 (ko) * 2018-06-08 2018-11-29 최은경 3단 방수기능을 갖는 압착식 볼트앵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311A (ja) * 1992-08-11 1994-03-01 Toshiba Corp アンカボルト並びにアンカボルト取付装置及び方法
KR200249503Y1 (ko) * 2001-06-27 2001-11-16 연일화섬공업(주) 방수시트 고정용 결착구
KR100321187B1 (ko) 1999-12-17 2002-01-19 한광모 방수시트 부착형 앵커
KR100471817B1 (ko) 2001-12-19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의 진동 차단장치와 그 방법
KR20130091049A (ko) * 2012-02-07 2013-08-16 길병모 방수 앵커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벽 마감 방법
KR20160032850A (ko) 2014-09-17 2016-03-25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방수용 앵커볼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311A (ja) * 1992-08-11 1994-03-01 Toshiba Corp アンカボルト並びにアンカボルト取付装置及び方法
KR100321187B1 (ko) 1999-12-17 2002-01-19 한광모 방수시트 부착형 앵커
KR200249503Y1 (ko) * 2001-06-27 2001-11-16 연일화섬공업(주) 방수시트 고정용 결착구
KR100471817B1 (ko) 2001-12-19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의 진동 차단장치와 그 방법
KR20130091049A (ko) * 2012-02-07 2013-08-16 길병모 방수 앵커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벽 마감 방법
KR20160032850A (ko) 2014-09-17 2016-03-25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방수용 앵커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419B1 (ko) * 2018-06-08 2018-11-29 최은경 3단 방수기능을 갖는 압착식 볼트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3900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отводной трубы
EP3336268B1 (en) Sealing connector for pipes, such as for outlet pipes
KR200482505Y1 (ko) 방수용 앵커볼트
KR101374597B1 (ko) 방수 앵커
KR20160032850A (ko) 방수용 앵커볼트
US20040208704A1 (en) Manhole structure constructing method, manhole structure water-stop flexible joint and manhole structure
KR100838630B1 (ko) 연결소켓 일체형 콘크리트 맨홀
CN214037164U (zh) 一种建筑管道套管安装结构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JP3559208B2 (ja) 継ぎ手構造
KR200471817Y1 (ko) 방수 앵커
KR101686793B1 (ko) 복합판넬을 이용한 물탱크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64421B1 (ko) 방수시트 고정용 앵커볼트
KR102621524B1 (ko) 플렌지가 달린 보조소켓 및 이를 이용한 수조 시공 방법
CN217150949U (zh) 一种建筑物用管道出屋面防水构造
JP2003129507A (ja) マンホールと下水本管との接続構造
JP4414085B2 (ja) マンホール継手
CN210920433U (zh) 一种建筑施工用管道连接装置
KR20130051222A (ko) 하수관 연결구
CN220037704U (zh) 一种卫生间内排水立管穿楼板结构
KR100661597B1 (ko) 본드결합식 피복형 이중벽 하수관의 연결구조
KR200419728Y1 (ko) 파이프 연결구
KR102081436B1 (ko)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096956A (ko) 분기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