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436B1 -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436B1
KR102081436B1 KR1020180117976A KR20180117976A KR102081436B1 KR 102081436 B1 KR102081436 B1 KR 102081436B1 KR 1020180117976 A KR1020180117976 A KR 1020180117976A KR 20180117976 A KR20180117976 A KR 20180117976A KR 102081436 B1 KR102081436 B1 KR 10208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gripping
adhesive
waterproof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길
Original Assignee
안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길 filed Critical 안재길
Priority to KR1020180117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수시트는 그 일측부에 단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협지홈을 갖는 협지부가 구비되고 타측부에는 협지부의 협지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이웃하는 방수시트를 협지부와 결합부로서 연결할 수 있는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Waterproof shee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시트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시공 작업을 간편하게 하면서도 우수한 방수성을 갖도록 한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구조물의 옥상이나 주차장 등에는 강우 등으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공사가 필수적이다.
이에, 여러 종류의 방수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여기에 주로 몰탈 액체방수, 수용성 또는 유용성의 도막방수, 아스팔트 방수 및 방수시트 등이 이용된다.
이 중 방수시트('시트방수'라고도 하나, 이하에서는 "방수시트"라 통칭한다)는 신축성이 우수한 합성고무, 합성수지 또는 고무화 아스팔트 등을 주원료로 하여 일정 규격의 방수시트를 제작한다. 이러한 방수시트 형상의 방수재는 방수공사가 요구되는 시공면에 펼쳐서 설치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공법으로서,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어 오늘날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수공법 중 하나이다.
이러한 방수시트는 현장에서의 시공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미리 공장에서 일정한 폭 및 길이(통상 폭 1m, 길이 20∼50m)를 가지도록 제작되며, 롤(roll)에 감겨져 있으므로 설치시 방수시트를 권취하면서 바탕면 위에 일정 간격으로 펼쳐서 설치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수시트 공법으로 시공하게 되면, 규격화된 다수의 방수시트를 사용하게 되므로 필연적으로 방수시트 간의 연결 부위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 부위는 방수시트에 있어 방수 성능상 가장 취약한 부위로서 이의 처리가 적절하지 못하게 될 경우에는 이 부위를 통한 누수가 발생하여 방수 상의 하자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수시트 공법은 국내 등록특허 제10-0337618호에서 제안된 바 있고, 이를 첨부도면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수시트 공법은 이웃하는 방수시트(2a)(2b)의 단부를 소정 폭으로 겹치게 포개어 설치한 다음, 서로 겹쳐진 이음매(A)를 열융착하여 접합하는 겹치기 접합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즉, 종래의 방수시트 공법은,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3) 위에 소정의 접착제를 전면 또는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제 1 접착층(4)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접착층(4) 위에 방수시트의 단부 저면이 접착하도록 일측 방수시트(2a)를 설치하고, 이 방수시트(2a)와 소정 폭으로 겹쳐지도록 다른 방수시트(2b)를 설치한다. 이어, 제 1 및 제 2 방수시트(2a)(2b)의 겹쳐진 부분(A)을 열로 녹인 다음, 쇠 롤러로 눌러서 서로 접합한다. 그리고 서로 겹쳐서 접합된 방수시트(2)의 상면에 소정의 도막 방수제를 소정 두께로 도포하여 도막 방수층(5)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시공된 방수구조(1)는 방수시트(2)와 도막 방수층(5)에 의한 2중 불투수성 피막이 형성되어 방수성능의 확보에 우수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수시트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3)과 방수시트(2)의 사이에서 수증기 등의 가스가 발생되고, 이 가스 압력은 양 방수시트(2a)(2b) 간의 겹쳐진 이음매(A)에서 상부로 포개진 일측의 방수시트(2b)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가스의 압력에 의해 방수시트(2b)가 들뜸으로 인해 이음매(A)의 전 부분에서 균열(C)이 발생하기 쉬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서로 겹쳐진 이음매(A)를 토치(torch)로 녹여서 열융착하는 공정에서 토치의 열이 이음매(A) 안쪽까지 전달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이음매 안쪽 부분이 제대로 접합되지 못한 경우, 타측 방수시트(2b)가 도 1c에서와 같이 들뜨면서 이음매(A)의 전단부의 도막 방수층(5)에 강한 전단력이 미쳐서 도막 방수층(5)에 미세 균열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외기 온도의 변화에 따라 타측 방수시트(2b)와 도막 방수층(5)이 신축을 반복하게 되면, 미세 균열이 확장되어 이를 통해서 빗물이나 지하수가 스며들게 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33761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방수시트 간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방수시트의 연결부위를 견고한 결합력으로 연결하고, 연결부위에 공간의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시공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방수시트 외측으로 배출시켜 우수한 방수성을 갖도록 한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는, 방수기능을 갖는 방수시트로서, 방수시트는 그 일측부에 단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협지홈을 갖는 협지부가 구비되고 타측부에는 협지부의 협지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이웃하는 방수시트를 협지부와 결합부로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양 협지부와 협지홈은 각각 방수시트에 대해 균등한 두께 즉 1/3의 두께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협지부는 시공면에 접착되어 고정되고, 협지부와 결합부에는 시공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통할 수 있는 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양 협지부 사이의 협지홈에 결합된 결합부를 협지부에 접착 고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협지부와 결합부 사이는 시공면과 접착되지 않는 무접착부로 구비되고, 무접착부에는 시공면의 습기를 빼내기 위한 절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의 시공방법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방수시트의 협지부 중 하부의 협지부를 시공면에 접착 고정하고, 고정된 방수시트의 양 협지부 사이의 협지홈에 이웃하는 다른 방수시트의 결합부를 삽입하여 결합한 후, 이의 연결부위를 열융착하여 상하 양 협지부에 결합부를 접착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이웃하는 방수시트의 양측 단부에 협지부와 결합부를 형성하여, 일측 방수시트의 협지부에 타측 방수시트의 결합부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시공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결합부가 협지부의 협지홈에 삽입되어 결합됨에 의해 연결부위와 시공면 사이에 공간 형성이 방지되어 방수시트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시트에 절개구가 형성되고, 이 절개구를 감싸도록 탈기관이 구비되어, 시공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방수시트 외측으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가스 압력에 의한 방수시트의 들뜸을 방지하여 방수시트의 시공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수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방수시트와 이의 시공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의 시공과정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의 시공 후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구조(시공방법)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방수시트(100)는 신축성이 우수한 합성고무, 합성수지 또는 고무화 아스팔트 등을 주원료로 하여 일정한 폭과 길이(통상 폭 1m, 길이 20∼50m)를 갖는 시트로 제작될 수 있고, 이러한 방수시트는 롤 형태로 감김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방수시트(100)는 양면중 일면에 기모가 형성된 직물 등 여러 종류의 직물류 중 선택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모직물을 선택할 경우에는 우레탄방수층(320)의 흡수력이 우수하여 방수시트와 우레탄방수층의 접착력이 증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수시트(100)는 방수공사가 요구되는 시공면(300)에 펼쳐서 설치하고, 이웃하는 방수시트(100)는 그 단부를 서로 겹쳐서 연결하여 방수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방수시트(100) 간의 견고한 결합은 물론 연결부위에서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결구조를 개선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 단부에 각각 협지부(110)와, 양 협지부(110)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협지부(110)는 방수시트(100)의 일측 단부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일측 연결부로서, 일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개되어 상하로 분리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하 협지부(110) 사이에는 단일 협지부(11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협지홈(111)이 협지부(110)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120)는 협지부 반대편 측 단부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타측 연결부로서, 협지홈(111)에 대응한 두께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물론, 이와 같은 결합부(120)는 협지홈(111)과의 결합을 위해서는 방수시트(100)의 타측 단부 중앙부에서 단차진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지만, 결합부(120)를 협지부(110)의 협지홈(111)에 삽입하여 결합하면 결합부(120)와 방수시트(100) 간의 단차는 해소된다.
또한, 마지막 방수시트(100)의 결합부(120)는 협지홈(111)과 결합되지 않아 방수시트(100)와의 단차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지만, 마지막 방수시트(100)의 결합부(120)는 그 하면이 시공면(300)의 접착층(접착제)(310)에 의해 시공면(300)에 접착됨으로써 결합부(120)와 방수시트(100) 간의 단차가 접착제로 매워짐과 동시에 결합부(120)와 방수시트(100) 및 시공면(300) 사이에는 그 어디에도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하 양 협지부(110)와 협지홈(111)은 각각 방수시트(100)에 대해 균등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양 협지부(110)와 협지홈(111)은 각각 방수시트(100)의 1/3 두께로 형성되고, 결합부(120) 역시도 방수시트(100)의 두께를 3으로 나눈 두께로 돌출 형성되어 협지홈(111)에 결합됨으로써 양 방수시트(100)의 연결부위가 방수시트(100)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결합부(120)와 협지홈(111)은 서로 형상맞춤으로 결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협지부(110)의 협지홈(111)에 결합된 결합부(120)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할 목적으로, 결합부(120)와 협지홈(111)은 방수시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도브테일(dovetail)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웃하는 방수시트(100)의 연결(접합)시 일측 방수시트(100)의 협지홈(111)에 타측 방수시트(100)의 결합부(120)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연결부위가 양 방수시트(100)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되므로 방수시트(100)의 연결부위와 시공면(300) 사이에는 공간이 전혀 형성되지 않아 종래의 이웃하는 방수시트의 양측 단부를 서로 포개어 겹치는 종래 방식보다 훨씬 더 견고한 결합력을 가질 뿐 아니라 견고한 시공구조에 의해 우수한 방수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협지부(110)와 결합부(120)에는 다수의 통공(130)이 형성되고, 이 통공(130)을 통해 시공면(300)과 하부 협지부(110)를 접착 고정시킨 접착층(310)의 접착제가 상부 협지부(110)까지 용이하게 베어 나올 수 있게 되므로 양 협지부(110)와 결합부(120)를 견고히 접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결합부(120)를 협지부(110) 사이의 협지홈(111)에 삽입하여 결합한 후에는 이 연결부위를 열융착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열이 통공(130)을 통해 시공면(300) 상의 접착층(310)까지 용이하게 전달되고, 이로 인해 마른 상태의 접착층(310) 일부가 녹아 액상 상태의 접착제가 통공(130)을 통해 상부 협지부(110)까지 베어 올라와 결합부(120)를 상하 양 협지부(110)에 접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방수시트(100)의 협지부(110)와 결합부(120) 사이의 중앙부는 시공면(300)과 접착되지 않는 무접착부(140)로 구비되고, 이는 방수시트(100)의 접착에 관여하는 열융착이 협지부(110)에서만 이루어짐에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무접착부(140)에는 시공면(300)의 습기를 빼내기 위한 절개구(1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구(14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탈기 즉 습기의 배출이 우수한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절개구(141)에는 탈기관(200)이 구비되어 절개구(141)의 방수성은 유지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인 시공면(300)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절개구(141)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탈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탈기관(2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관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 하단부에는 외향 연장된 플랜지(210)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210)에는 다수의 통공(211)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이로써, 탈기관(200)은 하단부의 플랜지(210)에 의해 방수시트(100)의 상면에 견고하게 세워진 상태로 구비되고, 이 상태에서 플랜지(210)의 통공(211)에 앙카볼트를 체결하여 탈기관(200)을 방수시트(100) 및 시공면(300)에 고정할 수도 있으며, 또는 앙카볼트 대신 방수시트(100) 위에 도포되는 방수층(320)의 우레탄 실란트 내지는 별도의 접착제를 플랜지(210)의 통공(211)에 주입하여 탈기관(200)을 방수시트(100)에 세운 상태로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탈기관(200)의 상단부에는 상부캡(220)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상부캡(220)의 외주연부에는 하향 절곡되어 탈기관(200)의 상부를 감싸는 스커트부로 형성되며, 이러한 상부캡(220)에 의해 감싸진 탈기관(200)의 상부에는 관통된 탈기구(201)가 형성된다.
따라서, 탈기관(200)의 탈기구(201)는 상부캡(220)에 의해 감싸져 보호됨으로써 탈기구(201)를 통해 빗물 등의 침투를 견고히 방지하면서 시공면(300)과 방수시트(100) 사이의 습기는 원활히 외측으로 탈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방수시트(100)의 시공방법은 방수시트(100)의 협지부(110) 중 하부의 협지부(110)를 시공면(300)에 접착 고정하고, 고정된 방수시트(100)의 상하 양 협지부(110) 사이의 협지홈(111)에 이웃하는 다른 방수시트(100)의 결합부(120)를 삽입하여 결합한 후, 이의 연결부위를 열융착하여 상하 양 협지부(110)에 결합부(120)를 접착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방수하고자 하는 시공면(300)을 깨끗이 청소한 후, 도 5에서와 같이 시공면(300)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바른다.
프라이머가 도포된 접착층(310)이 마른 후, 방수시트(100)를 접착층(310) 위에 포설하여 설치한다.
이 과정에서 이웃하는 방수시트(100)는 일측 방수시트(100)의 협지홈(111)에 타측 방수시트(100)의 결합부(120)를 형상맞춤으로 삽입하여 결합하고, 이와 같이 결합된 양 방수시트(100)의 연결부위를 열융착한다.
그러면, 시공면(300)에 도포되어 마른 상태의 접착층(310) 중 협지부(110)에 해당하는 부분의 접착층(310)이 열에 의해 녹아 액상화되고, 액상 상태의 접착제가 협지부(110)와 결합부(120)의 통공(130)을 통해 배어 나와 결합부(120)를 상하 양 협지부(110)에 견고히 접착 고정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방수시트(100)의 무접착부(140)에 십자 형상의 절개구(141)를 형성하고, 이 절개구(141) 위의 방수시트(100)에 탈기관(200)을 안착시켜 구비한 상태에서 탈기관(200)을 방수시트(100)에 고정시킨다.
이로써 방수시트(100)와 시공면(300) 사이의 습기가 방수시트(100)의 절개구(141)와 탈기관(200)을 통해 외부로 탈기됨으로써 방수시트(100) 및 이의 연결부위에서의 들뜸을 방지하여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방수시트(100) 위에 우레탄 실란트를 도포하여 방수층(320)을 형성하고, 우레탄 방수층(320)이 마른 후에는 방수층(320) 위에 아크릴을 도포하여 2차 방수한 보강층(330)을 더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방수시트(100) 위에 방수층(320)과 보강층(330)이 더 형성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우수한 방수성을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방수시트 110 : 협지부
111 : 협지홈 120 : 결합부
130 : 통공 140 : 무접착부
141 : 절개구 200 : 탈기관
201 : 탈기구 210 : 플랜지
211 : 통공 220 : 상부캡
300 : 시공면 310 : 접착층
320 : 우레탄 방수층 330 : 아크릴 보강층

Claims (5)

  1. 일측부에는 단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협지홈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상하 협지부가 구비되고 타측부에는 협지부의 협지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이웃하는 방수시트를 협지부와 결합부로서 연결하는 방수시트로서,
    방수시트는 표면에 기모가 형성된 기모직물로 구비되고,
    방수시트의 상하 양 협지부와 협지홈은 균등한 두께로 형성되는 한편 결합부는 협지홈에 동일선상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며,
    협지부 중 하부 협지부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시공면에 펼쳐져 접착 고정되고, 협지부 및 이에 도브테일 결합되는 결합부에는 시공면의 접착제가 열에 의해 녹아 액상 상태로 협지부 및 결합부 측으로 베어나올 수 있도록 한 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하 양 협지부 사이의 협지홈에 도브테일 결합된 결합부를 상하 협지부 사이에 접착 고정시키고,
    협지부와 결합부 사이의 방수시트 중앙부에는 시공면과 접착되지 않는 무접착부로 구비되는 한편 무접착부에는 시공면의 습기를 빼내기 위한 "+"자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구가 구비되며,
    방수시트의 절개구에는 절개구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덮는 한편 그 상부의 외주면에는 상부캡에 의해 덮혀 감싸진 탈기구가 형성되는 중공의 탈기관이 구비되는 방수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의 방수시트를 시공하는 시공방법으로서,
    기모직물로 구비되는 방수시트의 협지부 중 하부 협지부를 시공면에 접착 고정시키고, 고정된 방수시트의 상하 양 협지부 사이의 협지홈에 이웃하는 다른 방수시트의 결합부를 도브테일 결합한 후, 결합된 협지부 및 결합부에 열을 가해 시공면의 접착층에서 녹은 액상의 접착제가 협지부 및 결합부 측으로 베어나와 상하 양 협지부 사이에서 결합부를 접착 고정시키며, 방수시트의 무접착부에 형성된 "+"자 형상의 절개구 위에 절개구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덮도록 탈기관을 구비하여 고정하는 방수시트의 시공방법.
KR1020180117976A 2018-10-04 2018-10-04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8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976A KR102081436B1 (ko) 2018-10-04 2018-10-04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976A KR102081436B1 (ko) 2018-10-04 2018-10-04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436B1 true KR102081436B1 (ko) 2020-02-25

Family

ID=6964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976A KR102081436B1 (ko) 2018-10-04 2018-10-04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4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0822A (ja) * 1993-02-23 1994-08-30 Hitachi Cable Ltd 防水シート接続部
KR100337618B1 (ko) 1999-08-18 2002-05-23 김경옥 개량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한 복합도막 방수시공방법
KR100706189B1 (ko) * 2006-05-26 2007-04-13 김광식 에어라인과 시트 이음매 보강용 엑스매트를 이용한 우레탄모르타르 방수구조
KR101328517B1 (ko) * 2012-09-14 2013-11-13 두타건설주식회사 2면 접착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공법
KR20150144244A (ko) * 2014-06-16 2015-12-24 (주)대호종합건설 건설용 방수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0822A (ja) * 1993-02-23 1994-08-30 Hitachi Cable Ltd 防水シート接続部
KR100337618B1 (ko) 1999-08-18 2002-05-23 김경옥 개량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한 복합도막 방수시공방법
KR100706189B1 (ko) * 2006-05-26 2007-04-13 김광식 에어라인과 시트 이음매 보강용 엑스매트를 이용한 우레탄모르타르 방수구조
KR101328517B1 (ko) * 2012-09-14 2013-11-13 두타건설주식회사 2면 접착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공법
KR20150144244A (ko) * 2014-06-16 2015-12-24 (주)대호종합건설 건설용 방수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921B1 (ko) 2중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CN110735499B (zh) 一种女儿墙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10079578A (ko)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51495B1 (ko)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480098B1 (ko) 욕실용 방수 시공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CN109056840A (zh) 地下聚乙烯土工膜接头及其施工方法
KR101431380B1 (ko)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102081436B1 (ko)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20409B1 (ko) 겹이음부분 누수차단형 방수시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85024B1 (ko) 터널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용 방수부재
JP4589344B2 (ja) シート防水構造及び防水工法
KR101951798B1 (ko) 친환경 복합 방수 시공방법
KR101866333B1 (ko) 노출형 아크릴기반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0424206Y1 (ko) 벽체형 탈기관
KR101142856B1 (ko)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3137015B (zh) 屋面反梁过水孔防水节点构造及其施工方法
KR100942375B1 (ko) 콘크리트 수로의 이음용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로 이음 공법
KR20050056306A (ko) 엠보싱 폴리비닐시트와 다공성 세라믹 열가소성 수지계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부분절연 블록형 비노출복합방수층 구조 및 복합방수공법
KR10038691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를 위한 방수층 보호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35417B1 (ko) 방수공법
KR20040044660A (ko) 방수시트의 연결부 접합 구조, 이의 시공 방법 및방수시트의 수직부 처리 구조
KR101686793B1 (ko) 복합판넬을 이용한 물탱크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7186155B2 (ja) 防水シートの敷設工法
KR200482505Y1 (ko) 방수용 앵커볼트
FI123913B (fi) Korroosiolta suojaava putkieristyskour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