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206Y1 - 벽체형 탈기관 - Google Patents

벽체형 탈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206Y1
KR200424206Y1 KR2020060015296U KR20060015296U KR200424206Y1 KR 200424206 Y1 KR200424206 Y1 KR 200424206Y1 KR 2020060015296 U KR2020060015296 U KR 2020060015296U KR 20060015296 U KR20060015296 U KR 20060015296U KR 200424206 Y1 KR200424206 Y1 KR 200424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vent
waterproof
moisture
degass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Priority to KR2020060015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2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2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04B1/7076Air vents f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옥상이나 지하 주차장 등의 건축물 방수공사시 벽체에 적용되어 방수 바닥면과 방수층에서 생성되는 습기를 외부로 탈기시킴으로써 방수층의 들뜸이나 분리 현상을 방지하고 건조 상태를 유지하여 방수구조 및 건축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벽체형 탈기관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은 접착제 또는 고정부재에 의해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되는 벽체 부착부, 및 양 끝단이 벽체와 바닥부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통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통기구를 통해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통기부로 구성된다.
탈기관, 습기유도테이프, 벽체통기부, 바닥통기부

Description

벽체형 탈기관{Ventilator for use on wall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형 탈기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을 적용한 상태의 방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이 방수시공 면적에 설치된 상태를 간략히 나타낸 평면도.
본 고안은 벽체형 탈기관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옥상이나 지하 주차장 등의 건축물 방수공사시 벽체에 적용되어 방수 바닥면과 방수층에서 생성되는 습기를 외부로 탈기시킴으로써 방수층의 들뜸이나 분리 현상을 방지하고 건조 상태를 유지하여 방수구조 및 건축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벽체형 탈기관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옥상과 같은 방수구조에 하자가 발생하는 일반적인 원인은, 옥상 자체가 변화무쌍한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방수구조를 보호하는 보호 콘크리트 등의 표면이 균열, 파손 또는 부식되고, 그 파손된 틈으로 물이 스며들어 방수구조에도 누수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수구조에 대한 하자는 모체인 건축물의 수명을 단축시키므로 주기적으로 보수 및 보완 공사가 필요하며, 이러한 견지에서 옥상 등의 건축물 방수의 하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 재료 및 구조 면에서 다양한 개선 시도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에 대한 방수공법은 방수 부분 및 모체의 재질이나 용도에 따라 아스팔트방수, 도막방수, 시트방수 공법 등이 이용되어 왔는데, 아스팔트 방수는 외부 온도차에 의한 아스팔트 방수재 자체의 균열이 발생하여 방수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도막방수는 방수 바탕면에 도막재를 전면 밀착시키기 때문에 모체의 균열에 대한 근본적 해결이 어렵고 바탕면의 습기에 의한 부풀음이나 들뜸 현상이 발생되며 콘크리트 거동 및 열팽창에 의해 방수층이 파단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고, 시트 방수는 인접하는 방수시트들 사이의 이음부에서 잦은 하자가 발생되어 누수가 발생하고 하자 발생시 부분 보수가 어려우며 접착제 중의 용제의 휘발이나 모체의 수분 증발에 의해 방수층이 부풀어 오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들 방수공법의 문제점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방수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 또는 방수구조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여 방수 구조상의 하자로 인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으며, 예를 들어 국내 특허공개 제2001-7922호(2001. 2. 5. 공개) "엠보싱 방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서는, 방수시트의 기능을 보강하여 방수시트의 하부 표면에 엠보싱 구조를 가진 합성수지 시트를 부착하고, 상부 표면에는 부직포를 일측으로 연장하여 겹치게 부착하여 인접하는 방수시트의 이음 부위를 연결하는 조인트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하부 표면이 바탕면과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부 표면은 이음부 조인트로 인하여 정밀한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엠보싱 방수시트를 개시하였다. 이는 방수시트 자체에 엠보싱 구조를 도입하여 방수 바탕면과 방수구조 사이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고 방수시트들 사이의 이음부를 연결하는 개선된 방수구조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또한 도막방수와 시트방수의 장점을 채택하고 단점을 보완한 복합방수공법으로서 국내 특허공개 제2003-46284호(2003. 6. 12. 공개) "통기성을 부여한 복합방수공법"은, 합성섬유의 일면에 합성수지 필름을 접착제로 접착한 다음 직경 1-10mm 정도의 구멍을 만들어 통기성 절연시트를 만들고, 합성섬유층을 밑으로 하여 우레탄 접착제 등으로 건축물 바닥면에 접착한 다음, 그 위에 우레탄 방수재 등의 도막방수재를 적층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복합방수공법을 개시하였다. 이는 상기 구멍으로 도막방수재가 침투되어 방수시트가 바닥면에 부분 접착을 이룸으로써 통기 확산로를 차단하지 않으면서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콘크리트 표면의 수증기압 또는 밀폐된 공기압에 의한 방수층의 부풀음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들 종래기술은 방수시트와 같은 방수층 자체에 구조적 변형을 주어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나, 직접적으로 방수층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탈기장치도 공지된 바 있다.
즉,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58535호(2001. 12. 11. 등록)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 바탕면과 상기 바탕면에 접하되 이질재료로 된 표면층을 포함하는 구조에서 바탕면 또는 표면층에 함유된 수분 및 생성된 습기를 강제로 배출하기 위하여, 바탕면과 표면층 사이에 형성된 절연층과 연결되며 표면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통기관 및 상기 통기관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통기관의 끝단에 연결 설치되고 절연층에 생성된 습기를 통기관을 통해 표면층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풍기로 구성되는 건축물의 강제 탈기장치를 개시하였다.
이는 종래의 탈기장치가 ∩ 형상 또는 일자형의 통기용 파이프를 절연층에 설치하여 절연층에 생성된 습기가 자력으로 이동하여 상기 통기용 파이프를 따라 배출되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 습기 제거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표면층의 들뜸이나 결로 현상을 여전히 유발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음을 인지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통기관 및 배풍기로 구성되는 탈기장치를 제시하여 습기를 강제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21783호(2003. 7. 21. 등록)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 처리된 바닥면 상부로 단열층이나 몰탈층을 포함하는 슬라브에 탈기 수단을 설치하여 수분과 외기 온도차에 의해 층 사이에 형성된 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건축물의 탈기장치를 개시하였는데, 여기서 상기 탈기수단은 상기 몰탈층으로부터 단열층에 연통되게 천공된 다수의 제1 배기공과; 상기 제 1 배기공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몰탈층에 부착되며 표면에 다수의 제 2 배기공이 형성된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제 2 배기공에 부착되어 일방향으로 습기를 배출시키는 습기배출수단과; 상기 하부커버의 상측과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커버와; 상기 상하부 커버를 관통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종래의 탈기장치들은 옥상이나 건축물 바닥의 방수구조 곳곳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들로서 방수구조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방수 시공 과정 및 시공 후 장애가 되었으며 사람이나 사물의 이동에 의해 훼손의 우려 또한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개선된 탈기장치에 관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옥상 등의 건축물 방수공사시 벽체에 적용되어 방수 바닥면과 방수층에서 생성되는 습기를 외부로 탈기시킴으로써 방수층의 들뜸이나 분리 현상을 방지하고 건조 상태를 유지하여 방수구조 및 건축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벽체형 탈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탈기장치들과는 달리 건축물의 벽체에 적용되어 습기를 유도 배출함으로써 건축물의 외관을 해치거나 방수시공 후 사물이나 사람의 이동에 장애가 되지 않고 훼손될 우려도 없는 벽체형 탈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은 접착제 또는 고정부재에 의해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되는 벽체 부착부, 및 양 끝단이 벽체와 바닥부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통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통기구를 통해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통기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기부는 양 끝단이 상기 벽체 부착부에 부착되고 중앙부는 상기 벽체 부착부로부터 이격되어 통기구를 형성하는 벽체 통기부; 및 상기 벽체 통기부로부터 상기 바닥부 쪽으로 수직으로 일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되어 통기구를 형성하는 바닥 통기부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은 상기 벽체 부착부로부터 수직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통기부에 형성된 상기 통기구로 외부 이물질 및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캡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캡부는 상기 벽체 부착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 성형되어 벽체 부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은 습기 배출을 주목적으로 하므로 비철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내부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스테인레스 금속 또는 알루미늄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벽체 부착부를 건축물의 벽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앵커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거나 우레탄 실링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벽체 부착부에 상기 벽체 통기부의 양 끝단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스폿용접 등에 의한 열접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통기구는 바닥면으로부터 형성된 습기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벽체와 바닥부로부터 이격되어야 하므로, 약 3 내지 10mm 정도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벽체형 탈기관을 이용하여 방수공사를 시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방수 바탕면을 정리하고 프라이머를 도포한 다음,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을 접착제 또는 고정부재에 의해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하고, 상기 벽체형 탈기관으로 습기가 유도되도록 습기유도 테이프를 바닥면에 부착하고, 상기 바닥면과 상기 탈기관 위로 도막방수재를 도포하거나 방수시트를 배치한 다음 마무리 공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습기유도 테이프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된 접착성 테이프로서, 벽체에 설치된 본 고안의 탈기관이 보다 효율적으로 바닥면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바닥면의 습기를 유도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은 방수공사 면적 및 목적에 따라 적당한 갯수로 시공될 수 있으며, 보통 50~80㎡ 당 1개 정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방수공사를 시행할 장소가 폭 15m 이내의 비교적 협소한 면적이라면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을 벽체를 따라 설치하고 습기유도 테이프를 상기 벽체형 탈기관을 향하여 부착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지만, 폭 15m 이상의 비교적 넓은 방수 면적에 대하여는 경우에 따라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을 벽체를 따라 설치하고 면적 중앙부 곳곳에 바닥용 탈기반을 설치한 다음 습기유도 테이프를 상기 바닥용 탈기반과 벽체형 탈기관 사이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이것의 종단면도이다.
즉,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은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되는 벽체 부착부(10), 및 양 끝단이 벽체와 바닥부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통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통기구를 통해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통기부(20)로 구성된다.
상기 통기부(20)는 양 끝단의 결합부(21)가 상기 벽체 부착부(10)에 부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벽체 부착부(10)로부터 이격된 통기구가 형성된 벽체 통기부(22), 및 상기 벽체 통기부(22)로부터 상기 바닥부 쪽으로 수직으로 일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되어 통기구를 형성하는 바닥 통기부(23)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벽체 통기부(22)와 바닥 통기부(23)의 중앙에 형성된 통기구들은 서로 연통되며, 바닥의 방수층에서 형성된 습기는 바닥 통기부(23)의 입구에 형성된 통기입구(24)를 통해 유입되어 벽체 통기부(22)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통기출 구(25)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은 상기 벽체 통기부(22)의 상기 통기출구(25)로 외부 이물질 및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벽체 부착부(10)로부터 수직 연장되어 형성된 캡부(11)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에서 벽체 부착부(10)는 결합구멍(30)을 통해 앵커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결합구멍(30) 없이 우레탄 실링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을 이용하여 방수 시공한 상태는 도 3의 사시도 및 도 4의 평면도가 대략적으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을 이용하여 방수시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방수 바탕면을 정리하고 프라이머를 도포한 다음, 도 3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을 앵커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구멍(30)을 통해 벽체에 고정하고, 바닥면에는 상기 벽체형 탈기관으로 습기가 유도되도록 습기유도 테이프(40)를 바닥면에 부착한다.
그 다음 바닥면과 상기 탈기관 위로 도막방수재를 도포하거나 방수시트를 배치한 다음 공지의 방법에 따라 마무리 공사하면 방수공사가 완성된다.
상기에서 방수공사를 시행할 장소가 폭 15m 이내의 면적이라면 도 4a와 같이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을 벽체를 따라 설치하고 습기유도 테이프(40)를 상기 벽체형 탈기관을 향하여 부착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하지만, 폭 15m 이상의 비교적 넓은 방수 면적에 대하여는 도 4b와 같이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을 벽체를 따라 설치하고 면적 중앙부 곳곳에 바닥용 탈기반을 설치한 다음 습기유도 테이프를 상기 바닥용 탈기반과 벽체형 탈기관 사이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은 옥상 등의 건축물 방수공사시 벽체에 적용되어, 방수 바닥면과 방수층에서 생성되는 습기를 외부로 탈기시킴으로써 방수층의 들뜸이나 분리 현상을 방지하고 건조 상태를 유지하여 방수구조 및 건축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은 종래의 탈기장치들과는 달리 건축물의 벽체에 적용되어 습기를 유도 배출하므로, 건축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고 방수시공 후 사물이나 사람의 이동에 장애가 되지 않으며 훼손될 우려도 없게 되어, 건축물의 미관을 향상하고 안정성과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접착제 또는 고정부재에 의해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되는 벽체 부착부, 및 양 끝단이 벽체와 바닥부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통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통기구를 통해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통기부로 구성되는 벽체형 탈기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양 끝단이 상기 벽체 부착부에 부착되고 중앙부는 상기 벽체 부착부로부터 이격되어 통기구를 형성하는 벽체 통기부; 및 상기 벽체 통기부로부터 상기 바닥부 쪽으로 수직으로 일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되어 통기구를 형성하는 바닥 통기부로 구성되는 벽체형 탈기관.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벽체 부착부로부터 수직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통기부에 형성된 상기 통기구로 외부 이물질 및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캡부로 더 구성되는 벽체형 탈기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체 통기부의 상기 양 끝단은 접착제 또는 열접착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벽체 부착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형 탈기관.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3 내지 10mm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형 탈기관.
KR2020060015296U 2006-06-08 2006-06-08 벽체형 탈기관 KR200424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296U KR200424206Y1 (ko) 2006-06-08 2006-06-08 벽체형 탈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296U KR200424206Y1 (ko) 2006-06-08 2006-06-08 벽체형 탈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206Y1 true KR200424206Y1 (ko) 2006-08-18

Family

ID=41772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296U KR200424206Y1 (ko) 2006-06-08 2006-06-08 벽체형 탈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20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433B1 (ko) * 2010-05-12 2012-04-20 정암산업(주) 배수심지가 구비된 바닥구조체
KR101280879B1 (ko) 2012-09-27 2013-07-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 섬유시트와 비노출 우레탄을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328518B1 (ko) * 2012-12-27 2013-11-13 두타건설주식회사 탈기형 복합방수공법
KR101835702B1 (ko) 2017-08-22 2018-03-07 주식회사 더아키벤 벽면설치 통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433B1 (ko) * 2010-05-12 2012-04-20 정암산업(주) 배수심지가 구비된 바닥구조체
KR101280879B1 (ko) 2012-09-27 2013-07-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 섬유시트와 비노출 우레탄을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328518B1 (ko) * 2012-12-27 2013-11-13 두타건설주식회사 탈기형 복합방수공법
KR101835702B1 (ko) 2017-08-22 2018-03-07 주식회사 더아키벤 벽면설치 통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286B1 (ko)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24206Y1 (ko) 벽체형 탈기관
KR101336807B1 (ko)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KR102051495B1 (ko)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22359A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탈기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0733502B1 (ko) 방수시트용 신축 이음 패드와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 공법
KR101281533B1 (ko) 복합 시트를 이용한 옥상 구조물의 단열-방수 시공 방법
KR101431380B1 (ko)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100942951B1 (ko) 건물의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100701866B1 (ko) 단열방수패널과 이것을 이용한 방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875476B1 (ko)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JP5756662B2 (ja) 改修用二重ドレン及びそれを用いたルーフドレンの改修方法
KR101455961B1 (ko) 탈기관을 구비한 지붕방수구조 및 그를 이용한 지붕방수 시공방법
KR101173410B1 (ko) 복합방수공법 및 그에 의하여 구현되는 복합방수구조
KR100913408B1 (ko) 탈기기능을 이용한 방수시트 및 방수공법
KR101216662B1 (ko) 이중단열 방수 및 방근 시공구조 및 그 방법
KR20070084809A (ko)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및 방수용 시트와 이들을 사용한옥상 방수공법
KR100496627B1 (ko) 방수층 접착방식이 개선된 복합방수층 시공 방법
KR101142856B1 (ko)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89198B1 (ko) 수분증발 기능을 갖는 방수 및 보수 공법
KR101306620B1 (ko) 슬림형 탈기반
KR102039151B1 (ko) 탈기튜브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8008076A (ja) 外装材及び外装構造
KR101056548B1 (ko) 통기완충형 복합시트부를 포함하는 건물바닥의 방수구조 및 이의 방수시공방법
KR101350666B1 (ko)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