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666B1 -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 Google Patents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666B1
KR101350666B1 KR1020130024042A KR20130024042A KR101350666B1 KR 101350666 B1 KR101350666 B1 KR 101350666B1 KR 1020130024042 A KR1020130024042 A KR 1020130024042A KR 20130024042 A KR20130024042 A KR 20130024042A KR 101350666 B1 KR101350666 B1 KR 101350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insulation board
waterproofing
heat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상
김윤호
허능회
박완구
Original Assignee
박진상
박완구
허능회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상, 박완구, 허능회, 김윤호 filed Critical 박진상
Priority to KR102013002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바탕면에 다수의 단열 보드를 접착시킨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에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건물의 단열과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건식형 방수공법에 의해 방수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바탕면(1)에 다수의 단열 보드를 접착 고정하여 형성하는 단열층(10)과; 상기 단열층(10)에 방수제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층(20); 상기 도막방수층(20)에 안착시켜 상기 도막방수층(20)의 인장력을 향상시키는 보강층(30); 및 상기 도막방수층(20) 및 보강층(30)에 도포하여 외부의 충격 및 2차 방수층을 형성하는 보호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Waterproof structure same}
본 발명은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탕면에 다수의 단열 보드를 접착시킨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에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건물의 단열과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건식형 방수공법에 의해 방수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 슬라브, 지붕, 건축물의 지하실 또는 각종 유체 저장탱크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방수력이 약하기 때문에 빗물 또는 지하수가 스며들 수 있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열화현상이나 온도변화에 따른 물의 체적변화에 의해서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여 건축물의 수명이 단축된다.
또한, 콘크리트의 균열을 통해서 빗물이나 지하수가 유입되거나 누수 되면 건축물의 기능이 상실됨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빗물이나 지하수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으로는, 크게 침투성 방수공법과 피막식 방수공법이 있고, 침투성 방수공법은 방수재를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자체를 치밀하게 변화시켜 방수성을 가지게 하는 방법이며, 피막식 방수공법은 구조물의 내·외부에 여러 겹의 불투수성 방수층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그 외 건축물의 시공 결함을 대처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피막식 방수는 불투수성 피막을 만드는 재료의 종류와 공법에 따라 아스팔트방수, 시트방수, 도막방수 등으로 구분되며, 상기 도막 방수공법은 바탕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후 도막재를 발라 통상 3~6mm의 두께로 시공하여, 방수재의 연결부분이 없이 방수층 전체를 일체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도막 방수공법은 작업이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균일한 두께로 시공을 하기 위해서는 바탕재의 평활도가 요구되고 바탕면 균열시 방수층도 파단되는 문제점 및 복수의 성분형 도막 방수재의 경우 정확한 배합관리를 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일반적인 시트방수공법의 시공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시트방수공법은 바탕면(1)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프라이머층(2)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합성고무나 합성수지계 등으로 이루어진 소정 두께의 방수시트(3)를 덮는 것으로, 상기 방수시트(3)의 저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토오치 또는 열풍으로 상기 접착제를 녹여 이를 바탕면(1)에 접착 고정하거나 또는 다수의 앵커플러그로 고정하는 방수공법이다.
이 경우, 상기 바탕면(1)에 적층되는 다수의 방수시트(3)는 이웃하는 양단이 일정폭만큼 상호 겹치도록 하여, 틈새로 누수됨을 방지한다.
이러한 시트방수공법은 신장력, 기후조건에 우수하고 경량이며 급경사 지붕에도 적용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정밀한 바탕조건이 요구되고, 특히 시트의 상호 접합부의 수밀성이 취약하고 바탕면의 균열 발생시 시트가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이들 도막방수공법과 시트방수공법을 접목한 복합방수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복합방수공법의 일 예를 보인 방수구조의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복합방수공법은 콘크리트 바탕면(1) 위에 소정의 접착제를 전면 또는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프라이어층(2)을 형성하고, 상기 프라이머층(2) 위에 방수시트(3)의 저면이 접착하도록 일측 방수시트(3)를 설치하며, 상기 방수시트(3)와 소정 폭으로 겹쳐지도록 타측 방수시트(3)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제1 및 제2 방수시트(3)의 겹쳐진 부분(A)을 열로 녹인 다음 롤러로 가압하여 서로 접함에 따라 시트방수공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서로 겹쳐서 접합 된 방수시트(3)의 상면에 소정의 도막 방수재를 소정 두께로 도포하여 도막 방수층을 형성하므로, 도막방수공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방법에 따라 시공된 복합방수공법은, 방수시트(3)와 도막 방수층에 의한 2중 불투수성 피막이 형성되어 방수성능을 유지시켰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막방수, 시트방수, 또는 복합방수공법에서는 기본적으로 바탕면에 함유된 습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탈기구(또는 '탈기반', '탈기장치'라고도 칭함)가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된 도막방수나 시트방수 또는 복합방수공법들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이 있다.
1. 시공시간이 길다.
방수시공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바탕면을 정리하여, 바탕면의 평활도를 유지시키고, 그 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시공시간이 필수적으로 소요된다.
특히, 바탕면에 형성된 레이턴스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수압세척기를 이용하게 되고, 이때 사용되는 물에 의해 바탕면이 습기를 가지게 됨에 따라 이를 건조하기 위해 바탕면의 면적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24시간 정도의 시공시간이 필수적으로 소요된다.
만약, 바탕면의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방수시공이 이루어지면, 물 즉, 습기에 의해 방수층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결국 불량한 방수시공으로 방수시공 신뢰성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2. 외부환경에 따라 방수시공이 제약을 받는다.
방수는 물과는 상극관계로, 바탕면의 건조상태에 따라 시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가령, 장마철이나 겨울철과 같이 바탕면이 조건될 수 없는 상태에서는 방수시공을 할 수 없다는 크나큰 문제점이 있다.
3. 환경을 오염시킨다.
기본적으로 프라이머층 및 방수시트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사용되는 데, 그 프라이어 및 접착제 자체가 환경오염물질로 가급적 사용을 자제하여야 하는 물질임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방수시트의 경우, 바탕면에 방수시트를 접착하기 위해 토오치를 이용하여 접착면을 용융시킬 때 방수시트가 타는 경우가 발생하는 데 이때, 오염물질이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막방수의 경우 방수성능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방수재를 혼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오염물질이 사용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4. 혐오성 냄새를 풍긴다.
프라이머나 접착제 또는 도막재의 경우 화학적으로 결합된 물질이므로, 자체적으로 혐오성 냄새를 풍기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5. 건물 거동에 대한 대응성이 약하다.
접착제의 도포량, 접착의 용융온도, 접착응고시간, 접착면 또는 바탕면의 평활도 등의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바탕면에 접착되는 방수시트의 접착력이 불규칙함에 따라 건물이 거동될 때 바탕면과 확고하게 접착된 부분은 함께 움직이나 그렇지않은 부분에서는 정지상태를 유지하므로, 겹침발생으로 절단응력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다 보면 결국,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수층이 접착상태를 유지하므로, 건물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 그 균열부위와 동일한 위치의 방수층이 함께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6. 보수시공이 번거롭다.
기본적으로 방수층은 5년 내외로 재시공을 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기 시공된 방수층을 제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7. 들뜸(에어포켓)현상의 발생확률이 높다.
건물의 사용목적 또는 환경 및 콘크리트 자체적으로 7~10%의 수분을 함유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한편 건물의 바탕면과 비투과성의 방수층 사이는 밀폐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온도차이 등에 의해 함유된 수분이 수증기로 증발하는 현상과, 상기 5번의 문제점에서 언급되었던 것처럼 방수층 접착력의 불균형으로 들뜸(에어포켓) 현상이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들뜸부분은 방수층에서 일정높이 돌출상태를 유지하므로 쉽게 파단, 손상 또는 절개될 수 있어 그 절개부위로 수분이 침투하는 방수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탈기구는 바탕면 전체에 설치되는 탈기구의 수를 증폭하면 들뜸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다수 설치된 탈기구에 의해 바탕면의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과 시공성 저하 등의 많은 문제점으로 탈기구의 설치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방수시공에서 들뜸 현상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한 일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바탕면에 다수의 단열 보드를 접착시킨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에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건물의 단열과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건식형 방수공법에 의해 방수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열층을 이루는 단열 보드의 하면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요철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요철부에 의해 바탕면에서 발생하는 습기 또는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되어, 방수층이 들뜸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층의 단열 보드의 상면에 요철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단열층의 상면에 도포되는 방수제와의 접촉면적을 확대시켜 방수층의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하는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막방수층에 메쉬 형상의 유리섬유 직포의 보강층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도막 방수층에 인장력을 향상시켜 건물의 거동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도막 방수층이 잔갈림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탕면에 다수의 단열 보드로 이루어지는 건식형 단열층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바탕면이 습윤상태 또는 정리가 되어 있지않아도 방수시공이 가능한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탕면에 다수의 단열 보드를 접착 고정하여 형성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에 방수제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층; 상기 도막방수층에 안착시켜 상기 도막방수층의 인장력을 향상시키는 보강층; 및 상기 도막방수층 및 보강층에 도포하여 외부의 충격 및 2차 방수층을 형성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층에는 방수제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층과 보강층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하도록 하는 2차의 도막방수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열층의 단열 보드는, EPS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열층의 하면에는 공기소통 및 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열층의 상,하면 각각에는 공기 소통 및 도막방수층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다수의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막방수층은,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층은, 유리섬유 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층은, 메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층은, 우레탄 또는 탑코팅층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층에는 자외선 차단제가 더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탕면에 다수의 단열 보드를 접착시킨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에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건물의 단열과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건식형 방수공법에 의해 방수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층을 이루는 단열 보드의 하면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요철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요철부에 의해 바탕면에서 발생하는 습기 또는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되어, 방수층이 들뜸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층의 단열 보드의 상면에 요철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단열층의 상면에 도포되는 방수제와의 접촉면적을 확대시켜 방수층의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막 방수층에 메쉬형상의 유리섬유 직포의 보강층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도막 방수층에 인장력을 향상시켜 건물의 거동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도막방수층이 잔갈림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탕면에 다수의 단열 보드로 이루어지는 건식형 단열층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바탕면이 습윤상태 또는 정리가 되어 있지않아도 방수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시트방수의 시공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복합방수공법의 일 예를 보인 방수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를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복합방수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면(1)에 안착되는 단열층(10)과, 상기 단열층(10)에 도포되는 도막방수층(20)과, 상기 도막방수층(20)에 안착되는 보강층(30)과, 상기 보강층(30)에 재차 도포되는 도막 방수층(20), 및 상기 도막방수층(20)에 도포되는 보호층(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열층(10)은, 바탕면(1)에 안착되어, 바탕면(1)의 방수뿐만 아니라 단열기능을 강화시켜, 도막방수층(20)이 건물의 온도 또는 외부와의 온도차이 등의 이유로 발생하는 습기에 의해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단열층(10)은, 다수의 단열 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 보드는 EPS보드 또는 에너폴임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바탕면(1)을 단열시키는 보드 또는 패널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열 보드는, 규격화되어 시판되는 보드를 바탕면(1)에 접착제로 접착한다.
또한, 상기 단열층(10)의 하면 또는 상면에는 바탕면(1)에서 발생하는 습기가 탈기구 또는 배수구로 원활하게 배기될 수 있게 공간을 형성하는 요철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요철부(12)는 단열층(10)의 상,하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층(10)의 하면에 구비된 요철부(12)는, 바탕면(1)에서 발생한 습기가 탈기구 또는 배수구로 원활하게 배기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가령, 계란판형상, 부분적으로 음각된 형상 또는 골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층(10)의 상면에 구비된 요철부(12)는, 도막방수층(20)과의 접촉면적을 확대시켜 접착력을 증폭하는 것으로, 상기 하면에 구비된 요철부(12)와 동일한 형상이거나, 또는 도막방수층(20)과의 접촉면적을 확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요철부(12)의 함몰깊이는, 상기 단열 보드의 강도에 영향을 주지않는 정도이면 된다.
상기 도막방수층(20)은, 상기 단열층(10)에 도포되어, 1차 방수층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도막방수층(20)은,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임이 바람직하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 방수제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막방수제(20)는, 다수의 단열 보드로 이루어진 단열층(10)의 이음 틈새에 도막방수제가 침투됨에 따라 상기 단열 보드의 상호 결합력을 증폭시킨다.
상기 보강층(30)은, 도막방수층(20)에 안착되어, 건물의 거동이나 진동 등에 의해 도막방수층(20)이 유동됨에 따라 파손되거나 잔갈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막방수층(20)에 인장력을 보강한다.
상기 보강층(30)은, 메쉬 형상의 유리섬유 직포임이 바람직하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막방수층(20)에 인장력을 보강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한 것으로, 가령, 부직포,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층(30)은 메쉬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막방수제가 침투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가령, 다수의 구멍을 뚫린 타공판 형상이거나 또는 직조된 형상이 느슨한 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층(30)에 도막방수층(20)을 재차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 가능하다.
또는, 다수의 단열 보드가 형성된 단열층(10)에 보강층(30)을 형성한 후 도막방수제를 도포한 방수층(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층(40)은, 도막방수층(20)에 도포되어 2차 방수층을 형성한다.
상기 보호층(40)은, 우레탄 또는 탑코팅 중 어느 하나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층(40)은 도막방수층(20)을 보호하고,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UV성분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합방수구조에 따른 복합방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열층형성단계(S1)는, 바탕면에 단열층을 형성한다.
이는, 단열층(10)을 형성하는 단열 보드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를 바탕면(1)에 접착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단열 보드인 EPS보드 전용 접착제로서, EPS보드의 저면 전체에 도포할 수도 있으나, EPS보드의 저면에 일부분에 도포하여 접착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바탕면(1)의 접착된 단열층(10)은 하면에 형성된 요철부(12)에 의해 바탕면(1)에서 발생하는 습기가 원활하게 유동되면서 탈기구 또는 배수구를 통해 배기됨으로써, 방수층의 들뜸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열층(10)에 의해 태양열이 바탕면(1)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켜, 태양열에 의해 바탕면(1)의 온도상승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단열층(10)에 의해 건물의 내부온도가 바탕면(1)을 통해 손실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건물의 보온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단열층(10)을 형성하기 전이나 이후에 바탕면(1)에 다수의 탈기구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방수시공면적에 따라 탈기구 설치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열층(10)의 요철부(12)에 의해 바탕면(1)에서 발생하는 습기가 원활하게 유동됨으로써, 종래의 탈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거리를 증폭시킨다.
도막방수층형성단계(S2)는, 상기 단열층형성단계(S1)를 통해 접착된 다수의 단열 보드에 의해 형성된 단열층에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는, 바탕면(1)에 접착된 다수의 단열 보드인 EPS보드로 구성된 단열층(10)의 상면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도막방수층(2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도막방수제는 상기 EPS보드의 이음 틈새에 침투됨으로써, 상기 EPS보드의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보강층형성단계(S3)는, 상기 도막방수층형성단계(S2)를 통해 형성된 도막방수층에 보강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는, 도막방수제의 도포로 형성된 도막방수층(20)에 메쉬를 안착시켜 보강층(30)을 형성한다.
물론, 상기 보강층(30)의 메쉬는, 메쉬망에 한정하지 않고, 타공판 또는 부직포 등으로 대체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2차도막방수층형성단계(S4)는, 상기 보강층형성단계(S3)를 통해 형성된 보강층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2차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는, 보강층(30)에 2차 도막방수층(20)을 형성하여 상기 도막방수층(20) 사이에 메쉬형태의 보강층(30)이 형성됨으로서, 건물의 거동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도막방수층(20)이 잔갈림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장력을 증폭시킨다.
상기 2차도막방수층형성단계(S4)는, 경우에 따라서 생략가능하다.
보호층형성단계(S5)는, 상기 2차도막방수층형성단계(S4)를 통해 형성된 도막방수층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는, 2차 도막방수층(20)에 우레탄 또는 탑코팅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보호층(4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막방수층(20)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충격 등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보호층(40)에 UV제를 포함시켜, 상기 보호층(40)이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단열층 12: 요철부
20: 도막방수층 30: 보강층
40: 보호층

Claims (10)

  1. 바탕면(1)에 다수의 단열 보드를 접착 고정하여 형성하는 단열층(10)과;
    상기 단열층(10)에 방수제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층(20);
    상기 도막방수층(20)에 안착시켜 상기 도막방수층(20)의 인장력을 향상시키는 보강층(30); 및
    상기 보강층(30)에 도포하여 외부의 충격 및 2차 방수층을 형성하는 보호층(40)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층(10)의 하면에는 공기소통 및 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요철부(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30)에는 방수제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층(20)과 보강층(30)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하도록 하는 2차의 도막방수층(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10)의 단열 보드는, EPS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10)의 상,하면 각각에는 공기 소통 및 도막방수층(20)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다수의 요철부(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도막방수층(20)은,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30)은, 유리섬유 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30)은, 메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40)은, 우레탄 또는 탑코팅층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40)에는 자외선 차단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KR1020130024042A 2013-03-06 2013-03-06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KR101350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42A KR101350666B1 (ko) 2013-03-06 2013-03-06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42A KR101350666B1 (ko) 2013-03-06 2013-03-06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666B1 true KR101350666B1 (ko) 2014-01-13

Family

ID=50145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042A KR101350666B1 (ko) 2013-03-06 2013-03-06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79A (ko) * 2018-07-23 2020-01-31 주식회사 한양콘텍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913B1 (ko) * 2009-06-12 2010-06-04 주식회사 한보엔지니어링 단열방수복합보드 및 그 단열방수복합보드를 이용한 단열방수 시공 방법
KR101112010B1 (ko) * 2011-05-06 2012-02-13 신계호 난연성 우레탄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단열 방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913B1 (ko) * 2009-06-12 2010-06-04 주식회사 한보엔지니어링 단열방수복합보드 및 그 단열방수복합보드를 이용한 단열방수 시공 방법
KR101112010B1 (ko) * 2011-05-06 2012-02-13 신계호 난연성 우레탄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단열 방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79A (ko) * 2018-07-23 2020-01-31 주식회사 한양콘텍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KR102097208B1 (ko) * 2018-07-23 2020-04-03 주식회사 한양콘텍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181B1 (ko)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US20050153093A1 (en) Prefab-typ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waterproofing structure
KR102109184B1 (ko)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36807B1 (ko)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KR101773079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86931B1 (ko) 옥상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101710604B1 (ko)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KR100733502B1 (ko) 방수시트용 신축 이음 패드와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 공법
KR101142857B1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0949479B1 (ko) 구멍 뚫린 시트 상부에 고 점착형 방수 씰을 도포하여 부분 절연시킨 노출형 아스팔트 복합 방수공법
KR101431380B1 (ko)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101135165B1 (ko) 복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
KR100984734B1 (ko) 구멍뚫린 톱니형태의 재활용 시트를 이용한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구조 및 그 복합방수방법
KR102277939B1 (ko) 평지붕 옥상바닥 외방수, 외단열 배수판 구조 및 시공방법
KR20060075729A (ko) 쿨 루프 아스팔트 방수 시트 및 이의 연결부 접합 구조
KR101350666B1 (ko)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KR200455222Y1 (ko)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물
KR100875476B1 (ko)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1866333B1 (ko) 노출형 아크릴기반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381084B1 (ko) 단열 및 방수용 시공 방법
KR101302469B1 (ko)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재와 그 시공방법
KR101465453B1 (ko) 건물의 방수구조
KR100979184B1 (ko) 열선융착과 폐우레탄 칩을 이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발생을 억제하는 친환경적인 건식형 방수구조 및 그 방수방법
KR101216662B1 (ko) 이중단열 방수 및 방근 시공구조 및 그 방법
KR101557941B1 (ko)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