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779A -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 Google Patents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779A
KR20200010779A KR1020180085267A KR20180085267A KR20200010779A KR 20200010779 A KR20200010779 A KR 20200010779A KR 1020180085267 A KR1020180085267 A KR 1020180085267A KR 20180085267 A KR20180085267 A KR 20180085267A KR 20200010779 A KR20200010779 A KR 20200010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board
polyurea
corrugated
urethane foam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7208B1 (ko
Inventor
김재신
김성수
신진수
신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콘텍
Priority to KR102018008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2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10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5Details of the adhesive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난연성의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외단열재를 구성한 것이고, 이에따라 EPS보드를 사용하는 외단열재 대비 단열효과를 높이면서 화재 안정성을 높이고, 단열 두께의 축소를 통해 건축 면적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외부 충격에 강한 내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면서 태풍이나 외력 또는 지진 등에 의해 외단열재가 콘크리트 바탕면으로부터 탈락하거나 변형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Exterior insulation with excellent fire safety using corrugated urethane foam board and polyurea}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체에 설치되는 외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벽을 만들 때 단열재료로 난연성으로 이루어진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적용하여, 기존 외단열재보다 단열효과를 상승시킴은 물론, 단열 두께를 축소시켜 건축 면적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단열재는 내단열재와 외단열재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단열재는 열의 흐름(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을 방지하고, 불연성, 단열성, 흡음성을 가지는 구조체를 총칭하는 것으로, 이는 주택이나 빌딩 등의 건축물에 주로 쓰이며, 기계 설비나 플랜트 공사, 차량이나 선박, 냉동 창고, 가전 제품 등의 보온 및 보냉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주택이나 빌딩 등의 건축물에는 외부로부터의 열을 차단하거나 내부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단열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외단열재는 열의 이동을 감소시켜 열의 손실이나 열 획득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표면 온도 강화로 나타나는 표면 결로를 방지하고, 냉난방이 필요없거나 불가능할 때 실내 온도의 변동을 줄여 주는 것이다.
즉, 외단열재는 건물 외피의 열 획득과 열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실내 환경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에서 여러가지 이점을 제공하고, 실내 환경적 이점으로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노점 온도보다 높게 유지시켜 거주자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인한 마감재 훼손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하는 외단열재로는 통상적으로 비드법 단열재로 외부 마감이 용이하고 열관류율이 낮은 EPS보드(스티로폼)가 주로 사용되는데, 상기 EPS보드는 발포성 합성수지로서 건축물의 내,외벽 또는 천장이나 바닥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차음과 단열 기능을 한다.
즉,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외단열재(200)는 외벽 구조체(100)에 방수 코팅제를 도포시킨 방수코팅층(201)을 형성한 후, 상기 방수코팅층(201)에 접착제(202)를 이용하여 EPS보드(203)를 접착시킨 다음, 상기 EPS보드(203)에 메쉬망(204)과 베이스 코트(205)를 적층 구성한 후 마감재(206)로 마감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단열재로 사용되는 기존의 EPS보드는 차음 및 단열 측면에서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으나, 화재에 취약하고, 두께가 두꺼운 관계로 건축 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이 EPS보드를 사용하는 외단열재는 화재시 화염에 의해 쉽게 붕괴됨은 물론, 화염을 급속도로 번지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등 화재에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418호(등록일 2006.02.15)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8758호(등록일 2006.06.07)
등록특허공보 제10-0614511호(등록일 2006.08.1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9648호(등록일 2006.10.19)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9817호(공개일 2014.04.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난연성의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외단열재를 구성하여, EPS보드를 사용하는 외단열재 대비 단열효과를 높이면서 화재 안정성을 높이고, 단열 두께의 축소를 통해 건축 면적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외부 충격에 강한 내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면서 태풍이나 외력 또는 지진 등에 의해 외단열재가 콘크리트 바탕면으로부터 탈락하거나 변형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는, 콘크리트 바탕면의 표면에 도포되는 제 1 접착층; 상기 제 1 접착층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바탕면의 표면에 접착 고정되는 PUR 폼보드; 상기 PUR 폼보드의 표면에 도포되는 제 2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을 통해 상기 PUR 폼보드의 표면에 접착 고정되는 수지 도막 방수층;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접착층은 몰탈로 이루어진 시멘트 풀인 것이다.
또한, 상기 PUR 폼보드의 표면에는 외부 충격에 대한 강한 내력을 가지도록 표면 처리 공정을 거쳐 삼각형 골 무늬가 반복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접착층은 RCF(Recycled Carbon Fiber)와 나일론 섬유 및 수지류를 혼합한 습기 경화형 프라이머인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지 도막 방수층은 마감재로서 일정한 인장강도와 신장율을 가지는 난연성 폴리우레아 수지 방수제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시켜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난연성의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외단열재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EPS보드를 사용하는 외단열재 대비 단열효과를 높이면서 화재 안정성을 높이고, 단열 두께의 축소를 통해 건축 면적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외부 충격에 강한 내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면서 태풍이나 외력 또는 지진 등에 의해 외단열재가 콘크리트 바탕면으로부터 탈락하거나 변형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외단열재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재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재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A)는 콘크리트 바탕면(1)에 시공되는 것으로, 제 1 접착층(10), 난연성의 PUR(polyurethane) 폼보드(20), 제 2 접착층(30), 그리고 난연성의 수지 도막 방수층(40)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접착층(10)은 상기 콘크리트 바탕면(1)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으로, 이는 몰탈로 이루어진 시멘트 풀인 것이다.
즉, 상기 제 1 접착층(10)은 아래 [표 1]의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멘트 100㎏, 규사 20㎏, 수지(EVA수지) 50㎏, 물 10㎏, 섬유(PVA 섬유-4mm) 0.36㎏ 을 배합한 것으로, 이는 약 28일 부착 강도 2.39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상기 [표 1]에서 비교예 1은, 시멘트 100㎏에 규사 20㎏, 수지(EVA수지) 50㎏, 물 10㎏을 배합하고, 섬유(PVA 섬유-4mm)를 배합하지 않을 경우, 이는 약 28일 부착 강도 1.55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 1 접착층(10)은 비교예 1에 비해 54%의 부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1]에서 비교예 2는, 시멘트 100㎏에 규사 20㎏, 수지(EVA수지) 50㎏, 물 10㎏을 배합하고, 섬유(PVA 섬유-4mm) 0.18㎏을 배합한 것으로, 이는 약 28일 부착 강도 2.21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 1 접착층(10)의 부착강도에 근접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1]에서 비교예 3은, 시멘트 100㎏에 규사 20㎏, 수지(EVA수지) 50㎏, 물 10㎏. 섬유(PVA 섬유-6mm) 0.18㎏을 배합한 것으로, 이는 약 28일 부착 강도 2.01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1]에서 비교예 4는, 시멘트 100㎏에 규사 20㎏, 수지(EVR수지) 50㎏, 물 10㎏, 섬유(PVA 섬유-6mm) 0.36㎏을 배합한 것으로, 이는 약 28일 부착 강도 2.25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1]에서 비교예 5는, 시멘트 100㎏에 규사 20㎏, 수지(SBR수지) 50㎏, 물 10㎏, 섬유(PVA 섬유-4mm) 0.18㎏을 배합한 것으로, 이는 약 28일 동안 1.58의 부착 강도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1]에서 비교예 6은, 시멘트 100㎏에 규사 20㎏, 수지(SBR수지) 50㎏, 물 10㎏, 섬유(PVA 섬유-4mm) 0.36㎏을 배합한 것으로, 이는 약 28일 부착 강도 1.71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2]에서 비교예 7은, 시멘트 100㎏에 규사 20㎏, 수지(SBR수지) 50㎏, 물 10㎏, 섬유(PVA 섬유-6mm) 0.18㎏을 배합한 것으로, 이는 약 28일 부착 강도 1.66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2]에서 비교예 8은, 시멘트 100㎏에 규사 20㎏, 수지(SBR수지) 50㎏, 물 10㎏, 섬유(PVA 섬유-6mm) 0.36㎏을 배합한 것으로, 이는 약 28일 부착 강도 1.81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2]에서 비교예 9는, 시멘트 100㎏에 규사 20㎏, 수지(아크릴수지) 50㎏, 물 10㎏, 섬유(PVA 섬유-4mm) 0.18㎏을 배합한 것으로, 이는 약 28일 부착 강도 1.63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2]에서 비교예 10은, 시멘트 100㎏에 규사 20㎏, 수지(아크릴수지) 50㎏, 물 10㎏, 섬유(PVA 섬유-4mm) 0.36㎏을 배합한 것으로, 이는 약 28일 부착 강도 1.99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2]에서 비교예 11은, 시멘트 100㎏에 규사 20㎏, 수지(아크릴수지) 50㎏, 물 10㎏, 섬유(PVA 섬유-6mm) 0.18㎏을 배합한 것으로, 이는 약 28일 부착 강도 1.66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2]에서 비교예 12는, 시멘트 100㎏에 규사 20㎏, 수지(아크릴수지) 50㎏, 물 10㎏, 섬유(PVA 섬유-6mm) 0.36㎏을 배합한 것으로, 이는 약 28일 부착 강도 2.22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접착층(10)은 [표 1]의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멘트와 규사 및 수지, 그리고 물과 섬유의 배합비를 가지면서 2.39의 부착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교예 2,4,12와 같은 배합비를 통해 2.21∼2.25 범위내의 부착강도를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PUR 폼보드(20)는 [표 1]의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부착강도를 가지는 상기 제 1 접착층(10)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바탕면(1)의 표면에 접착 고정되는 것으로,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표면에는 외부 충격에 대한 강한 내력을 가지도록 표면 처리 공정을 거쳐 삼각형 골 무늬(21)를 반복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삼각형 골 무늬(21)는 첨부된 도 3a와 같이 골판 간격이 15mm이거나, 첨부된 도 3b에서와 같이 골판간격이 10mm, 또는 첨부된 도 3c에서와 같이 골판간격이 5mm로서, 상기와 같은 골판간격을 통해 각각 0.27MPa, 023MPa, 0.21MPa의 부착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첨부된 도 3a와 같이 0.27MPa의 부착강도를 가지도록 상기 PUR 폼보드(20)에 형성되는 삼각형 골 무늬(21)의 골판간격은 15mm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삼각형 골 무늬(21)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 그 부착강도는 0.19MPa로서 이는 탈거의 문제를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상기 제 2 접착층(30)은 상기 PUR 폼보드(20)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으로, 이는 RCF(Recycled Carbon Fiber)와 나일론 섬유 및 수지류를 혼합한 습기 경화형 프라이머인 것이다.
즉, 상기 습기 경화형 프라이머는 외부 및 몰탈 내부에 잠재된 습한 환경에서도 우수한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지 도막 방수층(40)은 상기 제 2 접착층(30)을 통해 상기 PUR 폼보드(20)의 표면에 접착 고정되는 것으로, 일정한 인장강도와 신장율을 가지는 난연성과 습기경화형 폴리우레아로 이루어진 마감재인 것이다.
이때, 난연성과 습기경화형 폴리우레아 방수제로 이루어진 상기 수지 도막 방수층(40)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시킬 때 작업 온도는 5∼55℃ 범위내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기 중의 습기와 반응하여 경화하므로 상대습도 85% 이하에서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그 이유는 허용 온도나 습도를 벗어나면 제대로 된 흡착이 되지 않고, 수축/팽창율이 허용치를 벗어나면서 하자의 직접적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수지 도막 방수층(40)은 표면에 습기가 있을 경우 폴리우레아는 들뜸현상이나 부착강도가 저하(예; 0.9MPa 이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 도막 방수층(40)은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라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아는 아래의 [표 3]에서와같이, 표면 건조와 건조, 그리고 온랭반복 작용 후의 부착강도가 각각 2.2MPa, 2.6MPa, 1.9MPa를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3]
Figure pat00003
따라서, 상기 수지 도막 방수층(40)을 제 2 접착층(30)을 통해 상기 PUR 폼보드(20)의 표면에 도포 방식으로 형성할 때, 상기 수지 도막 방수층(40)은 태풍이나 외력 또는 지진 등에 의해 탈락되거나 변형 또는 훼손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재(A)는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바탕면(1)에 제 1 접착층(10)→PUR 폼보드(20)→제 2 접착층(30)→수지 도막 방수층(40)의 순서로 적층되는 외단열재(A)를 형성시키게 되면, 종래 도 1의 EPS보드보다 단열 효과가 30% 이상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음은 물론, 외단열재(A)의 도포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되면서 건축 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고, 특히 아래의 [표 4]에서와 같이 외단열 시스템에서의 화재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4]
Figure pat00004
이상에서 본 발명의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A)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 콘크리트 바탕면
10; 제 1 접착층
20; PUR 폼보드
21; 삼각형 골 무늬
30; 제 2 접착층
40; 수지 도막 방수층

Claims (8)

  1. 콘크리트 바탕면;
    상기 콘크리트 바탕면의 표면에 도포되는 제 1 접착층;
    상기 제 1 접착층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바탕면의 표면에 접착 고정되는 PUR 폼보드;
    상기 PUR 폼보드의 표면에 도포되는 제 2 접착층; 및,
    상기 제 2 접착층을 통해 상기 PUR 폼보드의 표면에 접착 고정되는 수지 도막 방수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몰탈로 이루어진 시멘트 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시멘트 100㎏, 규사 20㎏, 수지(EVA수지) 50㎏, 물 10㎏, 섬유(PVA 섬유-4mm) 0.36㎏ 을 배합하여, 28일 부착 강도 2.39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UR 폼보드의 표면에는 외부 충격에 대한 강한 내력을 가지도록 표면 처리 공정을 거쳐 삼각형 골 무늬를 반복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 골 무늬는 골판 간격이 5~15mm를 유지하며, 0.21~027MPa의 부착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층은 RCF(Recycled Carbon Fiber)와 나일론 섬유 및 수지류를 혼합한 습기 경화형 프라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도막 방수층은 마감재로서 일정한 인장강도와 신장율을 가지는 난연성과 습기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 방수제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8. 제 7 항에 있어서,
    난연성과 습기경화형 폴리우레아 방수제로 이루어진 상기 수지 도막 방수층(40)은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시킬 때 작업 온도 5∼55℃ 범위이며, 공기 중의 습기와 반응하여 경화하므로 상대습도 85% 이하에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KR1020180085267A 2018-07-23 2018-07-23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KR102097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267A KR102097208B1 (ko) 2018-07-23 2018-07-23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267A KR102097208B1 (ko) 2018-07-23 2018-07-23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779A true KR20200010779A (ko) 2020-01-31
KR102097208B1 KR102097208B1 (ko) 2020-04-03

Family

ID=6936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267A KR102097208B1 (ko) 2018-07-23 2018-07-23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4879B (zh) * 2020-04-30 2021-03-26 浙江天苑景观建设有限公司 一种防水型建筑外墙保温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1886A (ja) * 1995-02-28 1996-09-10 Yokohama Rubber Co Ltd:The 湿潤下地用ふくれ防止プライマー組成物
KR200409418Y1 (ko) 2005-12-01 2006-02-22 주식회사 삼양수지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
KR200418758Y1 (ko) 2006-04-03 2006-06-13 주식회사 삼양수지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KR100614511B1 (ko) 2004-10-13 2006-08-25 고두헌 고분자섬유제 통기구조단열재와 관통공을 갖는 고정부재가결합된 현장 시공 구조체와, 대벽면 순간고정과 동시영구접착 시작을 위한 시공 방법
KR200429648Y1 (ko) 2006-07-21 2006-10-25 이원호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
KR101112010B1 (ko) * 2011-05-06 2012-02-13 신계호 난연성 우레탄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단열 방수 시공방법
KR101350666B1 (ko) * 2013-03-06 2014-01-13 박진상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KR20140039817A (ko) 2012-09-25 2014-04-02 주식회사 에스앤피 투습 및 결로 제어 성능을 갖는 벽지용 단열재 그리고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1886A (ja) * 1995-02-28 1996-09-10 Yokohama Rubber Co Ltd:The 湿潤下地用ふくれ防止プライマー組成物
KR100614511B1 (ko) 2004-10-13 2006-08-25 고두헌 고분자섬유제 통기구조단열재와 관통공을 갖는 고정부재가결합된 현장 시공 구조체와, 대벽면 순간고정과 동시영구접착 시작을 위한 시공 방법
KR200409418Y1 (ko) 2005-12-01 2006-02-22 주식회사 삼양수지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
KR200418758Y1 (ko) 2006-04-03 2006-06-13 주식회사 삼양수지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KR200429648Y1 (ko) 2006-07-21 2006-10-25 이원호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
KR101112010B1 (ko) * 2011-05-06 2012-02-13 신계호 난연성 우레탄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단열 방수 시공방법
KR20140039817A (ko) 2012-09-25 2014-04-02 주식회사 에스앤피 투습 및 결로 제어 성능을 갖는 벽지용 단열재 그리고 그 제조방법
KR101350666B1 (ko) * 2013-03-06 2014-01-13 박진상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4879B (zh) * 2020-04-30 2021-03-26 浙江天苑景观建设有限公司 一种防水型建筑外墙保温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208B1 (ko) 202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7568B2 (ja) 乾燥建築材料混合物及びそれから形成される断熱プラスター
KR101211383B1 (ko) 단열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US20130196137A1 (en) Composite Aerogel Thermal Insulation System
CN101275704B (zh) 钢面型酚醛保温复合板及其制造方法和应用
JP2017502916A5 (ko)
KR101439210B1 (ko) 발수 및 불연성 단열소재 조성물, 미장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10779A (ko)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KR101703881B1 (ko)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
KR20050022974A (ko) 방음 방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431012B1 (ko) 무기 발포 판재를 이용한 내단열 밀착 시공방법
KR101466916B1 (ko) 단열 몰탈
KR102248590B1 (ko) 난연 바인더를 함침한 건축용 외장 단열재
CN210104992U (zh) 一种保温防火墙体
JP6309262B2 (ja) 被覆構造体
KR100639482B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KR200397738Y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CN207419754U (zh) 一种防开裂墙体结构
KR20210098564A (ko) 페놀폼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
JPH09195441A (ja) 軽量断熱防水パネルの製造方法
JPH07259212A (ja) ハイブリッド耐火被覆構造体及びその耐火被覆工法
KR100634744B1 (ko) 결로방지제 및 그를 이용한 결로방지시공방법
CN110655351B (zh) 一种多功能墙板及其制备方法
KR102242117B1 (ko) 준불연성 복합단열판재
KR20190049320A (ko) 난연성 발포체를 이용한 건축용 난연 패널
KR102228209B1 (ko) 친환경 왕겨를 이용한 차음 및 단열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 및 단열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