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518B1 - 탈기형 복합방수공법 - Google Patents

탈기형 복합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518B1
KR101328518B1 KR1020120154236A KR20120154236A KR101328518B1 KR 101328518 B1 KR101328518 B1 KR 101328518B1 KR 1020120154236 A KR1020120154236 A KR 1020120154236A KR 20120154236 A KR20120154236 A KR 20120154236A KR 101328518 B1 KR101328518 B1 KR 10132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assing
plate portion
horizontal plate
wall
constructio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겸
Original Assignee
두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4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시공면 외곽 쪽에만 벽체형 탈기관을 설치한 상태에서도 시공면 전체적으로 원활한 탈기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도어 방수시공성과 방수시공단가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은 파라펫(parapet) 벽면이 둘레에 수직으로 형성된 시공면에 방수층을 시공하되, 상기 시공면이 외부와 통기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통기성시트를 상기 시공면에 까는 시트배열단계;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와 수직을 이루되 수직방향으로 통기유로가 관통되게 형성된 수직판부를 구비하는 벽체형 탈기관을 상기 수평판부가 상기 통기성시트의 외곽면에 지지되고 상기 수직판부가 상기 벽면에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탈기관 설치단계: 및 상기 탈기관의 수평판부가 매립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멍이 채워지도록 상기 벽체형 탈기관 저부를 제외한 상기 통기성시트 상부에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기형 복합방수공법{deaerating type complex waterproofing method }
본 발명은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면 전체적으로 원활한 탈기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방수 시공성이 향상되도록 한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물의 옥상 등의 바닥면에 방수 시공을 할 때는 콘크리트 자체에 함유된 수분으로 인하여 시공면 쪽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방수층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탈기구조를 마련하게 된다.
즉 시공면이 방수층을 통해 완전히 밀폐된 상태에서는 시공면 쪽에서 형성되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수증기로 인해 방수층이 부분적으로 부풀어 오르거나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더욱 심하게 발생하다.
그리고 부풀어 오르거나 들뜬 부위의 방수층은 외부의 적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손상되어 누수를 초래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의 방수시공에서는 탈기구조를 이용하여 시공면 쪽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방수층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방수시공 과정에서는 시공면 곳곳에 복수의 탈기관을 설치하여 시공면 쪽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2359호에는 이와 같이 탈기관을 채용하는 방수공법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공법의 경우 바닥면 안쪽에 설치되는 타입의 탈기관을 채용하고 있으나, 파라펫(parapet) 구조물과 같이 바닥면 둘레에 수직의 벽면이 형성된 시공면을 방수시공할 때는 바닥면과 벽체면 사이를 통해서도 원활한 탈기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코너부에도 별도의 벽체형 탈기관을 채용하는 경우가 있다. 등록실용안공보 제20-0424206호에는 이와 같은 종래 벽체형 탈기관의 구조가 개시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2359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4206호
따라서 종래 파라펫 구조물의 시공면을 방수시공함에 있어서, 시공면 전체적으로 원활한 탈기작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방수층을 시공하는 도중에 시공면의 안쪽과 벽면 쪽 외곽에 각기 다른 타입의 탈기관을 시공해야할 필요가 생기는데, 이때는 방수층을 형성하는 작업 외에도 다량의 탈기관을 체결부재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방수층 곳곳에 설치하고 고정시키는 작업 등이 추가되기 때문에, 방수층의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복잡한 형태의 탈기관은 고정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 측면에서도 불리하여 방수시공단가가 올라가도록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라펫 구조물에 있어서 시공면 전체적으로 원활한 탈기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방수 시공성이 향상되도록 한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라펫 구조물에 있어서 시공면 전체적으로 원활한 탈기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시공단가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른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은 파라펫(parapet) 벽면이 둘레에 수직으로 형성된 시공면에 방수층을 시공하되, 상기 시공면이 외부와 통기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통기성시트를 상기 시공면에 까는 시트배열단계;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와 수직을 이루되 수직방향으로 통기유로가 관통되게 형성된 수직판부를 구비하는 벽체형 탈기관을 상기 수평판부가 상기 통기성시트의 외곽면에 지지되고 상기 수직판부가 상기 벽면에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탈기관 설치단계: 및 상기 탈기관의 수평판부가 매립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멍이 채워지도록 상기 벽체형 탈기관 저부를 제외한 상기 통기성시트 상부에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판부는 상기 벽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된 외측판부와, 상기 외측판부와의 사이에 상기 통기유로가 형성되도록 마련된 내측판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평판부는 상기 내측판부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판부 바닥면에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탈기관 설치단계에서 상기 고정돌기는 저부 쪽 상기 통기성시트의 상기 구멍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구멍은 상호 일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부는 평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탈기관 설치단계에서 상기 수평판부는 전체적으로 상기 통기성시트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부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방수재 도포단계에서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도막 방수재가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에 따르면, 시공면 안쪽에 별도의 탈기관을 설치하지 않고 외곽 쪽에만 벽체형 탈기관을 설치한 상태에서도 시공면 전체적으로 원활한 탈기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방수시공성은 물론 방수시공단가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에서는 벽체형 탈기관의 구조는 물론 벽체형 탈기관의 설치 및 고정작업이 간소화됨에 따라 방수시공에 따른 절차와 단가를 더욱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에 있어서 시트배열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에 있어서 탈기관 설치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요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에 있어서 방수재 도포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을 통해 시공된 방수층과 벽체형 탈기관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방수층 내부의 수증기가 방수층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에 채용되는 통기성시트의 요부 구조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에 채용되는 벽체형 탈기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에 채용되는 벽체형 탈기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에 채용되는 벽체형 탈기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도 8보다 저부 쪽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은 파라펫(parapet) 구조물의 바닥과 같이 둘레에 벽면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시공면을 외부와 통기가 가능하도록 방수시공하기 위한 공법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공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실시예를 통해 시공된 방수층의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6 내지 도 9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공 과정에서 이용되는 통기성시트와 벽체형 탈기관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은 시트배열단계와, 탈기관 설치단계와, 방수재 도포단계와, 마감단계를 포함하여 방수층(A)을 시공하게 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배열단계에서는 복수의 구멍(11)이 형성된 통기성시트(10)를 시공면(1)에 깔아 시공면(1)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개 된다. 통기성시트(10)는 통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천연소재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직물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멍(11)은 통기성시트(10)를 관통하도록 통기성시트(10) 전체에 걸쳐 고르게 마련된다.
시트배열단계 다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벽체형 탈기관(20)을 통기성시트(10)의 외곽 둘레에 설치하는 탈기관 설치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벽체형 탈기관(20)은 복수개가 시공면(1)의 외곽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형 탈기관(20)은 수평판부(21)와, 상기 수평판부(21)와 수직을 이루는 수직판부(22)를 구비한다. 수직판부(22)는 파라펫(parapet)(2)의 벽면(3)에 접촉하도록 마련된 외측판부(23)와, 외측판부(23)와의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통기유로(25)가 형성되도록 마련된 내측판부(24)를 구비한다. 외측판부(23)와의 사이에 통기유로(25)가 형성되도록 내측판부(24)는 폭방향 중앙부가 볼록하게 밴딩되며, 내측판부(24)와 외측판부(23)가 한 몸을 이루도록 내측판부(24)의 폭방향 양단은 외측판부(23)에 접한 상태로 용접된다. 그리고 수평판부(21)는 내측판부(24)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된다. 수평판부(21)와 내측판부(24)는 하나의 금속판재를 밴딩시켜 마련될 수 도 있으며, 각기 별도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호 용접된 상태로도 한 몸을 이룰 수 있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23a는 외측판부(23) 상부에 절곡 연장된 덮개부이다. 이러한 덮개부(23a)는 통기유로(25) 상부를 덮어 외부의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통기유로(25)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벽체형 탈기관(20)은 탈기관 설치단계에서 수평판부(21)가 통기성시트(10)의 외곽면에 지지되고 수직판부(22)가 상기 벽면(3)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데, 벽체형 탈기관(20)의 제조가 용이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통기성시트(10)에 대한 벽체형 탈기관(20)의 지지면적이 증대되도록 상기 수평판부(21)는 굴곡이 없는 평평한 평판 형태로 마련되어 탈기관 설치단계에서 저부의 통기성시트(10) 상면에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탈기관 설치단계에서 벽체형 탈기관(20)을 별도의 체결부재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통기성시트(10) 상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평판부(21) 바닥면에는 복수의 고정돌기(21a)가 마련되며, 이러한 고정돌기(21a)는 탈기관 설치단계에서 저부 쪽 통기성시트(10)의 대응하는 구멍(11)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멍(11)과 고정돌기(21a) 사이에 유격이 클 경우 상기 방수재 도포단계에서 벽체형 탈기관(20)이 미세하게 유동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구멍(11)과 고정돌기(21a)는 상호 일치되는 형태와 패턴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이와 같이 탈기관 설치단계에서 통기성시트(10)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벽체형 탈기관(20)의 설치구조가 도시된다.
탈기관 설치단계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2)과, 통기성시트(10) 상부에 도막 방수재(40,30)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벽면(2)에 도포되는 도막 방수재(40)의 경우 통기성시트(10) 상부에 도포되는 도막 방수재(30)에 비해 보다 고점도의 폴리우레탄으로 마련된다. 상기 도막 방수재(40)는 통기유로(25) 상부의 출구 저부 쪽으로 수직판부(24)의 전면 및 벽체형 탈기관(20) 사이의 벽면(3)과, 수직판부(24) 상부 쪽 벽면(3)에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도막 방수재(30)는 벽체형 탈기관(20) 저부를 제외한 통기성시트(10) 상부에 전체적으로 도포되는데, 이때 도막 방수재(30)의 도포 높이는 벽체형 탈기관(20)의 수평판부(21)가 매립되도록 수평판부(21)보다 높게 형성되며, 수평판부(21) 저부 쪽을 제외한 나머지 통기성시트(10)의 구멍(11)에는 모두 도막 방수재(30)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 구멍(11)에 채워진 도막 방수재(30)는 경화된 상태에서 시공면(1)에 접착되고, 이 상태에서 구멍(11) 주변의 통기성시트(10)는 시공면(1)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이에 따라 시공된 방수층(A)은 구멍에 채워진 도막 방수재(30)를 통해 시공면(1)에 점접착 형태로 접착되면서 시공면(1)과 부분적 절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시공면(1)에 부분적으로 절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방수층(A)은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오는 거동적 영향이나 콘크리트와의 소재 차이에 따른 열적 수축 및 팽창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때 통기성시트(10) 상에서는 도막 방수재(30)가 채워진 구멍(11)들 사이사이로 수증기의 유동이 활발하게 이루질 수 있게 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면(1) 안쪽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자연스럽게 시공면(1) 외곽 쪽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되고, 시공면(1) 외곽 쪽으로 유동한 수증기는 벽체형 탈기관(20)의 통기유로(25)를 통해 방수층(A) 상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5에 있어서 부호가 없는 실선 화살표는 수증기의 유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복합방수공법을 통해 시공된 방수층(A)은 시공면(1) 안쪽에 별도의 탈기관을 설치하지 않고 외곽 쪽에만 벽체형 탈기관(20)을 설치한 상태에서도 시공면(1) 전체적으로 원활한 탈기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방수시공성은 물론 시공단가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벽체형 탈기관(20)에 있어서, 수평판부(21)의 폭방향 양단 쪽으로는 수평판부(21)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21b)이 마련되는데, 방수재 도포단계에서는 이러한 관통공(21b)으로도 도막 방수재(30)가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방수층(A)이 경화됨에 따라 상기 관통공(21b)에 채워진 도막 방수재(30)를 통해 벽체형 탈기관(20)과 방수층(A) 사이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고정구조가 없이도 벽체형 탈기관(20)은 방수층(A)에 안정하게 고정된 상태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감단계에서는 벽체형 탈기관(20)과 벽면(3) 사이의 경계가 실리콘 등의 마감재로 밀폐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마감단계가 종료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은 완료된다.
1: 시공면 2: 파레펫
3; 벽면 10: 통기성시트
11: 구멍 20: 벽체형 탈기관
21: 수평판부 21a: 고정돌기
21b: 관통공 22: 수직판부
23: 외측판부 24: 내측판부
25: 통기유로 30: 도막 방수재

Claims (5)

  1. 파라펫(parapet) 벽면이 둘레에 수직으로 형성된 시공면에 방수층을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통기성시트를 상기 시공면에 까는 시트배열단계와;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와 수직을 이루되 수직방향으로 통기유로가 관통되게 형성된 수직판부를 구비하는 벽체형 탈기관을 상기 수평판부가 상기 통기성시트의 외곽 상면에 지지되고 상기 수직판부가 상기 벽면에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탈기관 설치단계: 및 상기 탈기관의 수평판부가 매립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멍이 채워지도록 상기 벽체형 탈기관 저부를 제외한 상기 통기성시트 상부에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시공면이 외부와 통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탈기형 복합방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 탈기관의 설치 및 고정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벽체형 탈기관에서 상기 수직판부는 상기 벽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된 외측판부와, 상기 외측판부와의 사이에 상기 통기유로가 형성되도록 마련된 내측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판부는 상기 내측판부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된 평판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수평판부 바닥면에는 상기 구멍과 위치 및 사이즈가 일치되고 상기 통기성시트의 두께와 같은 길이로 돌출된 복수의 고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수평판부의 일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평판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마련되며,
    상기 탈기관 설치단계에서 상기 고정돌기들은 저부 쪽 상기 통기성시트의 상기 구멍들에 일치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시공면에 지지되고, 상기 고정돌기 사이의 상기 수평판부 저면은 전체적으로 상기 통기성시트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방수재 도포단계에서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도막 방수재가 채워져 시공이 완료된 상기 방수층과 벽체형 탈기관 사이에 걸림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형 복합방수공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154236A 2012-12-27 2012-12-27 탈기형 복합방수공법 KR10132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236A KR101328518B1 (ko) 2012-12-27 2012-12-27 탈기형 복합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236A KR101328518B1 (ko) 2012-12-27 2012-12-27 탈기형 복합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518B1 true KR101328518B1 (ko) 2013-11-13

Family

ID=4985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236A KR101328518B1 (ko) 2012-12-27 2012-12-27 탈기형 복합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5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26B1 (ko) * 2016-04-08 2016-11-11 박선연 벽면에 시공된 탈기구를 이용한 방수층 제작방법 및 벽면에 시공된 탈기구를 포함하는 방수층
KR101798491B1 (ko) * 2016-11-16 2017-11-16 허영근 통기층과 단열성이 구비되는 옥상 방수공법
KR102091091B1 (ko) * 2019-06-03 2020-03-19 창조물산 주식회사 탈기장치를 이용한 시트 시공방법
KR20220165484A (ko) 2021-06-08 2022-12-15 왕미정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460B1 (ko) * 2006-03-03 2006-07-03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수계도료 및 섬유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및 방식 공법
KR200424206Y1 (ko) * 2006-06-08 2006-08-18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벽체형 탈기관
JP2011106176A (ja) * 2009-11-18 2011-06-02 Kawasaki Heavy Ind Ltd コンクリート床版上面の防水工法、防水構造および繊維プレート
KR101161683B1 (ko) * 2012-03-06 2012-07-03 주식회사 이안건설 다공 코팅부직포를 이용한 방수층구조와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460B1 (ko) * 2006-03-03 2006-07-03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수계도료 및 섬유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및 방식 공법
KR200424206Y1 (ko) * 2006-06-08 2006-08-18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벽체형 탈기관
JP2011106176A (ja) * 2009-11-18 2011-06-02 Kawasaki Heavy Ind Ltd コンクリート床版上面の防水工法、防水構造および繊維プレート
KR101161683B1 (ko) * 2012-03-06 2012-07-03 주식회사 이안건설 다공 코팅부직포를 이용한 방수층구조와 그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26B1 (ko) * 2016-04-08 2016-11-11 박선연 벽면에 시공된 탈기구를 이용한 방수층 제작방법 및 벽면에 시공된 탈기구를 포함하는 방수층
KR101798491B1 (ko) * 2016-11-16 2017-11-16 허영근 통기층과 단열성이 구비되는 옥상 방수공법
KR102091091B1 (ko) * 2019-06-03 2020-03-19 창조물산 주식회사 탈기장치를 이용한 시트 시공방법
KR20220165484A (ko) 2021-06-08 2022-12-15 왕미정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20230125161A (ko) 2021-06-08 2023-08-29 왕미정 옥상 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518B1 (ko) 탈기형 복합방수공법
KR20100025172A (ko)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KR100738954B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
KR20100038949A (ko)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KR100784241B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KR101675326B1 (ko) 벽면에 시공된 탈기구를 이용한 방수층 제작방법 및 벽면에 시공된 탈기구를 포함하는 방수층
KR101283325B1 (ko) 도료가 도포 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노출식 방수시공 방법
JP5372441B2 (ja) シート防水構造物の改修構造及び改修方法
JP5991832B2 (ja) 水切構造及び建物
JP5315208B2 (ja) 排水容器
JP5385168B2 (ja) 通気見切材の端部部材及び建築物の外壁構造
JP2014501343A (ja) 防水シールするコンクリート打設部などの表面の縁に取り付けられる、接合形材、床下排水素子、および方法
JP5089527B2 (ja) 陸屋根又はベランダの排水構造及び溜まり幅規定部材
KR101020607B1 (ko) 배습핀과 배습핀을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JP6901296B2 (ja) 配管構造、建物、および配管設置方法
JP2010159586A (ja)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393605B2 (ja) 目地構造
CN209854948U (zh) 一种变形缝防水结构
JP7454846B2 (ja) 建物の防水構造
JP2012233339A (ja) 建物の開口部排水構造
JP2006037391A (ja) ルーフドレン
US20220205236A1 (en) Ventilation member and wall material construction structure
KR101894008B1 (ko) 콘크리트 부재 간 수밀구조 및 상기 수밀구조의 시공방법
FI12208U1 (fi) Radonsuojausjärjestely
JP2012241312A (ja) 開口部下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