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498B1 - 분기 배관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분기 배관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498B1
KR102367498B1 KR1020210065422A KR20210065422A KR102367498B1 KR 102367498 B1 KR102367498 B1 KR 102367498B1 KR 1020210065422 A KR1020210065422 A KR 1020210065422A KR 20210065422 A KR20210065422 A KR 20210065422A KR 102367498 B1 KR102367498 B1 KR 102367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ocking
sealing
shape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수
최의연
이정석
지재익
Original Assignee
(주)아그루코리아
(주)엘시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그루코리아, (주)엘시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아그루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65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16L55/1157Cap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30Detecting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분기 배관용 어댑터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바닥면은 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주변을 따라 밀착되기 위해 상기 배관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 밀봉부; 상기 관통홀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배관의 내측면과 접촉되게 상기 제1 밀봉부로부터 돌출된 제2 밀봉부; 상기 제1 밀봉부의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면으로부터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기 배관용 어댑터{ADAPTER FOR BRANCH PIPE}
본 발명은 분기 배관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유체의 이송을 위한 것으로, 배관은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의 유체를 이송하거나 전송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배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를 분배하기 위해 배관에는 분기관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에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7725호, 분기관의 연결구조(등록 일자 : 2019년 03월 07일)에는 배관과 분기관을 용접 또는 열융착을 통해 연결하지 않고, 나사 결합으로 상호 연결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분기관의 연결구조의 경우 용접 또는 열융착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나사 결합 방식을 사용하지만, 배관과 분기관을 연결하는 소켓 사이에 존재하는 틈에 의하여 배관 내부의 유체가 유출되거나, 소켓과 나사 결합된 분기관이 배관 이용 중 나사결합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소켓과 배관의 결합이 임의로 분리될 수 있는 문제를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7725호, 분기관의 연결구조(등록 일자 : 2019년 03월 07일)
본 발명은 배관에 분기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배관에 결합되며 특히 배관으로부터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 및 배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분기 배관용 어댑터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분기 배관용 어댑터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주변을 따라 밀착되기 위해 상기 배관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바닥면을 갖는 제1 밀봉부; 상기 관통홀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배관의 내측면과 접촉되게 상기 제1 밀봉부로부터 돌출된 제2 밀봉부; 상기 제1 밀봉부의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면으로부터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분기 배관용 어댑터의 상기 체결부의 상면에는 폐루프 형상으로 오목한 트랜치가 형성되고, 상기 트랜치의 내부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체결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밀봉 부재가 배치된다.
분기 배관용 어댑터는 개구가 형성된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하면의 바깥쪽 테두리로부터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되며 내측면에 상기 체결부의 상기 숫나사부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측면부를 갖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분기 배관용 어댑터는 상기 상판부의 상기 하면에 일측면이 접촉되고,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은 상기 밀봉 부재에 접촉되는 제1 투명부 및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개구에 삽입되게 연장된 제2 투명부를 포함하는 투명 부재를 더 포함한다.
분기 배관용 어댑터는 상기 측면부의 하단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단속적으로 형성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1 밀봉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회전되어 록킹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에 록킹되는 록킹 부재를 더 포함한다.
분기 배관용 어댑터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커버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톱니 형상을 갖고,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제1 밀봉부에 결합된 록킹 몸체, 상기 록킹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들 사이로 삽입되는 록킹 로드 및 상기 록킹 로드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록킹 로드와 상기 걸림부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 해제부를 포함한다.
분기 배관용 어댑터는 상기 측면부를 지그에 결합하여 상기 측면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측면부의 표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반원 기둥 형상을 갖는 지그 결합부가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 배관용 어댑터는 배관에 분기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배관에 결합되며, 특히 진동, 온도차 등에 의해 나사 결합이 풀려, 배관으로부터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 및 배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 배관용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 배관용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 배관용 어탭터의 종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 배관용 어댑터의 록킹 부재를 발췌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특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특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특허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 배관용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 배관용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 배관용 어탭터의 종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 배관용 어댑터의 록킹 부재를 발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분기 배관용 어댑터(1)는 배관(P)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서, 분기배관용 어댑터(1)에 결합되는 배관(P)은, 예를 들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예를 들어, PP, PE, PVDF, PVC, ECTFE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관(P)의 종단면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 배관용 어댑터(1)는 배관(P)의 외측면에 미리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되어 배관(P)과 분기관을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역할한다.
분기 배관용 어댑터(1)는 제1 밀봉부(100), 제2 밀봉부(200), 연장부(300) 및 체결부(40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분기 배관용 어댑터(1)는 밀봉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봉부(100)는 중공을 갖는 원통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밀봉부(100)의 외측면과 연결된 바닥면(110)은 배관(P)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밀봉부(100)의 바닥면(110)은 배관(P)에 형성된 관통홀의 주변에 결합된다.
제2 밀봉부(200)는 제1 밀봉부(100)의 바닥면(110)으로부터 돌출되며, 제2 밀봉부(200)는 배관(P)의 관통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밀봉부(200)는 배관(P)의 관통홀에 의하여 형성된 배관(P)의 내측면과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밀봉부(100)는 배관(P)의 관통홀의 주변과 결합되어 배관(P)으로부터 유체 누설을 1차적으로 방지하고, 제2 밀봉부(200)는 배관(P)의 관통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배관(P)으로부터 유체 누설을 2차적으로 방지한다.
연장부(300)는 제1 밀봉부(100)의 바닥면(110)과 대향하는 상면(120)으로부터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연장부(300)는 어댑터 조립 설비에 의하여 분기 배관용 어댑터(1)를 배관(P)에 결합할 때, 어댑터 조립 설비의 그립퍼(gripper)가 그립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곡면 배관(P)에 분기 배관용 어댑터(1)가 결합될 경우 곡면 배관(P)이 곡면과 분기 배관용 어댑터(1)의 바닥면(110)이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을 경우 배관(P)에 분기 배관용 어댑터(1)를 결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분기 배관용 어댑터(1)를 쉽고 빠르게 정렬하여 배관(P)에 결합하기 위해 연장부(300)의 표면에는 오목한 복수개의 정렬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정렬홈(310)에는 어댑터 조립 설비의 그립퍼에 형성된 정렬 돌기(미도시)가 삽입됨으로써 분기 배관용 어댑터(1)를 쉽고 빠르게 정렬되어 분기 배관용 어댑터(1)는 배관(P)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400)는 연장부(300)의 측면을 따라 돌출되며, 돌출된 체결부(400)는 숫나사부(410) 및 트랜치(420)를 포함한다.
숫나사부(410)는 체결부(4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숫나사부(410)에는 후술될 커버(600)의 암나사부(630)가 결합된다.
트랜치(420)는 체결부(400)의 상단에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오목한 트랜치(420)의 내부에는 후술될 밀봉 부재(500)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서 트랜치(420)의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트랜치(420)의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밀봉 부재(500)는, 트랜치(420)의 내부에 배치되며, 밀봉 부재(500)는, 예를 들어, 고무 및 합성 수지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며, 밀봉 부재(50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봉 부재(500)의 높이는 트랜치(420)의 깊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밀봉 부재(500)가 트랜치(420)의 내부에 삽입된 후 밀봉 부재(500)의 적어도 일부는 체결부(4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밀봉 부재(500)는 후술될 투명 부재(700)와 접촉되고 이로 인해 투명 부재(700)로부터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밀봉 부재(500) 중에서 체결부(40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는 평탄면(미도시)을 형성하여 투명 부재(700)의 타측면과 접촉되는 밀봉 부재(500)의 접촉 면적을 높여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트랜치(420)와 밀봉 부재(500)가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트랜치(420) 및 밀봉 부재(500)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 배관용 어댑터(1)는 커버(600), 투명 부재(700) 및 록킹 부재(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600)는 분기배관용 어댑터(1) 및 분기관(미도시)을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분기관(미도시)의 단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플랜지부는 체결부에 형성된 밀봉 부재(500)에 배치된 상태에서 플랜지부를 커버(600)가 눌러 분기관의 플랜지부는 커버(600)에 의하여 밀봉 부재(500)에 밀착된다.
커버(600)는 상판부(610), 측면부(620), 암나사부(630) 및 걸림부(64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커버(600)는 지그 결합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600)의 상판부(610)는 중앙부에 개구(611)가 형성된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611)는 제1 밀봉부(100)의 중공과 대응한다.
개구(611)로는 분기관이 삽입되며, 상판부(610)의 하면에는 분기관의 플랜지부가 접촉된다.
커버(600)의 측면부(620)는 상판부(610)의 하면의 바깥쪽 테두리로부터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되며, 측면부(620)의 내측면에는 암나사부(630)가 형성된다.
암나사부(630)는 체결부(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410)에 체결되며, 암나사부(630)에 의하여 측면부(620) 및 상판부(610)가 하강되면서 상판부(610)는 분기관의 플랜지부를 가압한다.
걸림부(640)는 측면부(620)의 하단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단속적으로 형성되며, 걸림부(640)는 커버(600)가 체결부(40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걸림부(640)에는 후술될 록킹 부재(800)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된다.
걸림부(640)는 록킹 부재(800)에 결합되기 위해 회전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톱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그 결합부(650)는 커버(600)의 측면부(62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지그 결합부(650)는 반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그 결합부(650)는 측면부(620)의 표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커버(600)에 지그 결합부(650)가 형성될 경우, 지그 결합부(650)의 형상에 꼭 맞는 지그(미도시)를 지그 결합부(650)에 결합한 후 지그(미도시)를 이용하여 커버(600)를 회전시킴으로써 커버(600) 및 체결부(400)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커버(600)에 분기관을 결합하지 않을 경우 상판부(610)의 개구(611)가 개방되어 배관(P) 내부의 유체가 개구(611)를 통해 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판부(610)의 개구(611)를 통해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 및 배관(P) 내부에 유체의 상태 및 유체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커버(600)에는 투명 부재(700)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투명 부재(70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투명 부재(700)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다.
투명 부재(700)는 제1 투명부(710) 및 제2 투명부(720)를 포함한다.
투명 부재(700)의 제1 투명부(7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투명부(710)의 일측면은 상판부(610)의 하면에 밀착되고, 제1 투명부(710)의 타측면은 밀봉 부재(500)에 밀착된다.
한편, 제2 투명부(720)는 제1 투명부(710)의 일측면으로부터 개구(611)를 향해 연장되어 제1 투명부(710)는 개구(611)의 내부에 삽입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투명 부재(700)가 제1 및 제2 투명부(710,720)들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투명 부재(700)는 원판 형상으로 일측면은 커버(600)의 상판부(610)의 하면에 밀착되고, 투명 부재(700)의 타측면은 밀봉 부재(500)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록킹 부재(800)는 걸림부(640)와 마주하는 제1 밀봉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록킹 부재(800)는 커버(600)가 임의로 회전되어 커버(600)가 체결부(4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록킹 부재(800)는 록킹 몸체(810), 록킹 로드(820) 및 록킹 해제부(83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록킹 부재(800)는 로드 제한부(840)를 더 포함한다.
록킹 몸체(810)는 제1 밀봉부(10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록킹 로드(820)는 록킹 몸체(810)의 상단으로부터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며, 록킹 로드(820)의 단부는 커버(600)의 측면부(620)의 하단에 복수개로 형성된 걸림부(640)들 사이로 삽입되는 길이 및 형상을 갖는다.
록킹 해제부(830)는 록킹 로드(820)로부터 측면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록킹 해제부(830)는 커버(600)를 체결부(400)로부터 분리할 경우 사용자가 록킹 해제부(830)를 하부로 가압하여 걸림부(640)에 록킹된 록킹 로드(820)를 하강시켜 걸림부(640)로부터 록킹 로드(820)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로드 제한부(840)는 록킹 몸체(810)의 상단으로부터 록킹 로드(820)와 이격된 막대 형상을 갖고, 로드 제한부(840)의 일부는 록킹 로드(82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로드 제한부(840)는 록킹 로드(820)가 승하강될 때 록킹 로드(820)의 가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커버(600)가 회전될 때 록킹 로드(820)가 과도하게 젖혀져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기 배관용 어댑터는 배관에 분기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배관에 결합되며, 특히 진동, 온도차 등에 의해 나사 결합이 풀려, 배관으로부터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 및 배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분기 배관용 어댑터 100...제1 밀봉부
200...제2 밀봉부 300... 연장부
400...체결부 500... 밀봉 부재
600...커버 700... 투명 부재
800...록킹 부재

Claims (7)

  1.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주변을 따라 밀착되기 위해 상기 배관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바닥면을 갖는 제1 밀봉부;
    상기 관통홀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배관의 내측면과 접촉되게 상기 제1 밀봉부의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링 형상으로 돌출된 제2 밀봉부;
    상기 제1 밀봉부의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면으로부터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제2 밀봉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제2 밀봉부의 높이는 상기 배관의 두께와 동일하여 상기 배관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밀봉부의 단부는 동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밀봉부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배관의 외측면에 직접 접촉 및 밀봉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상기 제2 밀봉부의 외측면은 상기 관통홀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배관의 측면에 직접 접촉 및 밀봉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체결부 사이에 오목한 환형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오목한 환형 홈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연장부는 어댑터 조립 설비에 의하여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제2 밀봉부를 상기 배관에 결합할 때, 상기 어댑터 조립 설비의 그립퍼(gripper)가 삽입되어 그립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체결부 사이에 오목하게 환형 홈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연장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고,
    개구가 형성된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하면의 바깥쪽 테두리로부터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되며 내측면에 상기 체결부의 상기 숫나사부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측면부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의 하단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단속적으로 형성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1 밀봉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회전되어 록킹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에 록킹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커버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톱니 형상을 갖고,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제1 밀봉부에 결합된 록킹 몸체, 상기 록킹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들 사이로 삽입되는 록킹 로드 및 상기 록킹 로드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록킹 로드와 상기 걸림부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 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로드는 상기 록킹 몸체로부터 오목한 환형 홈 형상을 갖는 상기 연장부를 가로질러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는 분기 배관용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상면에는 폐루프 형상으로 오목한 트랜치가 형성되고, 상기 트랜치의 내부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체결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밀봉 부재가 배치된 분기 배관용 어댑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상기 하면에 일측면이 접촉되고,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은 상기 밀봉 부재에 접촉되는 제1 투명부 및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개구에 삽입되게 연장된 제2 투명부를 포함하는 투명 부재를 더 포함하는 분기 배관용 어댑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65422A 2021-05-21 2021-05-21 분기 배관용 어댑터 KR102367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22A KR102367498B1 (ko) 2021-05-21 2021-05-21 분기 배관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22A KR102367498B1 (ko) 2021-05-21 2021-05-21 분기 배관용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498B1 true KR102367498B1 (ko) 2022-02-25

Family

ID=80490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422A KR102367498B1 (ko) 2021-05-21 2021-05-21 분기 배관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4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82B1 (ko) * 2006-09-01 2007-11-27 유성석 분기관 연결장치
JP2009085288A (ja) * 2007-09-28 2009-04-23 Inoue Sudare Kk ヘッダー
KR20120008808A (ko) * 2010-07-20 2012-02-01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분기관 연결구
JP2013099827A (ja) * 2011-11-09 2013-05-23 Waterworks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 Co Ltd 切屑回収装置及び切屑回収方法
KR101957725B1 (ko) 2017-12-20 2019-03-14 유덕기 분기관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82B1 (ko) * 2006-09-01 2007-11-27 유성석 분기관 연결장치
JP2009085288A (ja) * 2007-09-28 2009-04-23 Inoue Sudare Kk ヘッダー
KR20120008808A (ko) * 2010-07-20 2012-02-01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분기관 연결구
JP2013099827A (ja) * 2011-11-09 2013-05-23 Waterworks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 Co Ltd 切屑回収装置及び切屑回収方法
KR101957725B1 (ko) 2017-12-20 2019-03-14 유덕기 분기관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0426B2 (ja) 角度変更可能な管状接続部品
TWI638112B (zh) 轉接頭之連接器
US20070007768A1 (en) Tube joint
US20120139235A1 (en) Metal seal ring and duct apparatus using the metal seal ring
KR20060113387A (ko) 수지제 관 연결 유닛
KR102154466B1 (ko) 체결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파이프 조인트
US3885819A (en) Compressed air hose connection
KR101523307B1 (ko) 관 연결 조립체
KR101506467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170090085A (ko) 배관 연결장치
US20070222217A1 (en) Pipe fittings
KR20190000523U (ko) 배관보수용 클램프 챔버
KR102367498B1 (ko) 분기 배관용 어댑터
EP0485076B1 (en) Fitting
KR101854531B1 (ko) 분기장치
KR200482060Y1 (ko) Pb 파이프 연결 소켓 장치
KR101888168B1 (ko) 분기관 연결장치
US20050212291A1 (en) Sanitary gasket
US5139290A (en) Quick coupling for plastic pipe
KR102000018B1 (ko) 체결파이프 회전방지 록킹구조를 가지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KR200482592Y1 (ko) 수도꼭지의 pb 파이프 연결 소켓장치
KR200424262Y1 (ko)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GB2381050A (en) A pipe coupling including an integral polymeric sealing ring and end cap
KR200492191Y1 (ko) 조임표시형 배관연결장치
KR200490376Y1 (ko) 기판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실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