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789B1 - 관이음 플랜지 - Google Patents

관이음 플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789B1
KR100398789B1 KR10-2001-0026258A KR20010026258A KR100398789B1 KR 100398789 B1 KR100398789 B1 KR 100398789B1 KR 20010026258 A KR20010026258 A KR 20010026258A KR 100398789 B1 KR100398789 B1 KR 100398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ixing member
position fixing
bol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7586A (ko
Inventor
윤종경
Original Assignee
윤종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경 filed Critical 윤종경
Priority to KR10-2001-002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789B1/ko
Publication of KR2002008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7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Abstract

본 발명은 관이음시 사용되는 플랜지의 위치 고정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몸체(2a)와 하부 몸체(2b)로 구성되어 양측에 볼트(5)로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부(4)를 갖는 플랜지(1)(1')와: 상기 체결부(4)는 상,하부몸체(2a)(2b)양측 단부가 외향으로 돌출되어 볼트로 결합할 수 있도록 일체로된 연결편(3a)(3b)과; 상기 연결편(3a)(3b) 외면 일측에 밀편(9')이 형성되어 볼트(5)로 체결부(4)를 조립시 위치 고정부재(6) 테이퍼부(7)를 밀수 있도록 고정된 보강편(9)과; 상기 위치 고정부재(6) 일측에는 테이퍼부(7)를 갖고 타측에는 관(10)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내측면이 호(弧)형으로 이루어져 체결부(4) 사이에 개재된 플랜지를 구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플랜지와 관 외면에 위치하는 위치 고정부재를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위치시켜 플랜지의 체결부를 볼트로 조이면 자동적으로 위치 고정부재가 이동되어 관외면과 밀착 고정되므로 기존과 같이 원형관 형태의 고정부재를 사용시 일측으로 밀려 구겨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관의 이음부가 비틀림에 의하여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플랜지와 위치 고정부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한 곳이다.

Description

관이음 플랜지{a flange coupling tube}
본 발명은 관이음시 사용되는 플랜지의 위치 고정부에 관한 것이다. 즉, 관과 관을 연결시 관의 단부외면에 끼워져 볼트로 연결되는 플랜지의 상하몸체 체결부에 개재되어 플랜지의 체결 조임력에 따라서 관의 외면과 밀착되어 어떠한 조건라에서도 플랜지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발명된 관이음 플랜지용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플랜지용 위치 고정부재는 링타입의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서 관의 외면과 플랜지 사이에 고정되어 플랜지를 관의 단부에 고장하기 위해 양측부에서 볼트를 체결하면 조임력이 발생할 수록 플랜지 내부에 위치한 링타입의 위치 고정부재가 일측으로 밀리면서 구겨지거나 또는 일측부가 파손된 상태로 개재되므로 사용시 외부의 충격이나 관내부의 수압이 발생되면 플랜지가 유동되어 관이음부가 누수되어 보수공사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관의 단부 외면에 체결되는 플랜지의 상하몸체 양측 체결부 사이에 합성수지재 도는 고무재로된 위치 고정부재를 개재시켜 플랜지 상하 몸체를 결합시 볼트로 조이는 만큼 위치 고정부재가 내측으로 점점 인입되어 관의 외면과 밀착대응되도록 함으로서 플랜지를 고정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 외부의 충격, 수압의 진동, 약한 지진 등에 의하여 관의 이음부에 비틀림이 생겨 누수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플랜지와 위치 고정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위치 고정부재와 관의 외면과 밀착대응된 결합상태의 종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볼트를 수평을 삽입 시켜 위치 고정부재를 관과 밀시키는 일부 발취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플랜지 일측은 체결부로 형성되고 타측은 경첩부로 형성된 밴드형태의 플랜지 단면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플랜지를 이용하여 관과 관을 연결한 상태의 횡단면 구성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플랜지 2a:상부몸체
2b:하부몸체 3a,3b:연결편
4:체결부 5,5':볼트
6:고정부재 6':장공
7:테이퍼부 8:밀편
9:보강편 10:관
11:경첩부 12:볼트
13:너트 14:수밀패킹
15:조절손잡이 16,16':홈부
17:받침봉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 단부의 외면과 플랜지 사이에 패킹 또는 고정부재가 개재되어 플랜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부 몸체(2a)와 하부 몸체(2b)로 구성되어 양측에 볼트(5)로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부(4)를 갖는 플랜지(1)(1')와:
상기 체결부(4)는 상,하부몸체(2a)(2b)양측 단부가 외향으로 돌출되어 볼트로 결합할 수 있도록 일체로된 연결편(3a)(3b)과;
상기 연결편(3a)(3b) 외면 일측에 밀편(8)이 형성되어 볼트(5)로 체결부(4)를 조립시 위치 고정부재(6) 테이퍼부(7)를 밀수 있도록 고정된 보강편(9)과;
상기 위치 고정부재(6) 일측에는 테이퍼부(7)를 갖고 타측에는 관(10)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내측면이 호(弧)형으로 이루어져 체결부(4) 사이에 개재된 관이음플랜지구성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플랜지 상,하부몸체(2a)(2b) 양측에 외향으로 돌출된 연결편(3a)(3b) 상부에 고정된 보강편(9)의 밀편(8)에 볼트공을 형성하여 체결부(4) 사이에 개재된 위치 고정부재(6)를 볼트(5')로 조여 관(10) 외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구성과;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플랜지(1)(1') 상,하부몸체(2a)(2b)의 일측을 핀으로 결합하여 경첩부(11)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위치 고정부재(6)가 개재되는 체결부(4)를 형성하여 플랜지(1)(1')가 일측으로만 개폐될 수 있도록 밴드형으로 된 구성과;
상기 플랜지(1)(1')의 체결부(4)에 개재되는 위치 고정부재(6)는 상하부에 안내돌기(6a)가일체로 형성되고, 장공(6')으로 된 2개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체결부(4)를 조임시 볼트(5)에 방해를 받지 않고 연결편(3a)(3b)의 가이드홈(3')을 따라 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송유관, 배수관, 하수관 등의 관(10)과 관(10)을 연결시 사용하는 것으로서, 관의 양측 단부에 플랜지(1)(1')를 결합하게된다.
상기 관과 관을 연결시 플랜지의 하부몸체(2b)는 관의 단부 저면에 위치하고 상부몸체(2a)는 관의 단부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하부몸체(2a)(2b)의 양측 체결부(4)를 이루는 연결편(3a)과 연결편(3b)의 볼트공에 볼트(5)를 삽입시켜 너트로 결합하여 상,하부몸체(2a)(2b)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4)의 상,하부몸체(2a)(2b) 연결편(3a)과 연결편(3b) 사이에는 2개의 장공(6')을 갖는 위치 고정부재(6)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볼트(5)를 삽입시켜 체결부(4)를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하 연결편(3a)(3b)외면에 부착된 보강편(9)의 밀편(8)이 하향되어 위치 고정부재(6) 일측의 테이퍼부(7)를 상하 양측에서 밀게 되므로 위치 고정부재(6)는 체결부(4)의 볼트(5)가 조여짐에 따라서 연결편(3a)과 연결편(3b)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3')에 삽입된 안내돌기(6a)가 점점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함께 밀려 관(10) 외면과 밀착된다.
이렇게 관 외면에 플랜지가 결합되면 관과 관의 단부를 대응시켜 플랜지의 테두리 전후면으로 통공된 볼트공을 통하여 볼트(12)를 삽입시켜 플랜지(1)와 플랜지(1')를 결합하여 관(10)을 연결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관(10)과 관(10) 사이에는 별도의 수밀 패킹(14)이 개재된 상태에서 플랜지(1)와 플랜지(1')가 고정된다.
상기 플랜지(1)와 플랜지(1')를 결합하기 위하여 서로 대응되도록 일치시킬 때 관의 내경이 큰 경우에는 취급이 불편하므로 별도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플랜지 조절손잡이(15)를 일측 플랜지(1) 상면에 고정시키고 타측 플랜지(1') 상부에는 조절손잡이(15)가 삽입되는 홈부(16)를 부착하여 연결하고, 또한 조절손잡이(15)가 부착된 플랜지 저면에는 홈부(16')를 설치하고, 타측 플랜지 저면에는 받침봉(17)을 설치하여 대응되는 홈부(16')에 받침봉(17)이 삽입되도록 함으로 플랜지(1)와 플랜지(1')를 일치시킬 때 취급이 용이하게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플랜지와 플랜지를 연결할 때 반드시 조절손잡이(15)와 홈부(16), 받침봉(17)과 홈부(16')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관의 이음 설치환경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관은 외부충격과 약한 지진에 의하여 지반침하가 발생되더라도 플랜지가 유동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므로 관의 비틀림이 없어 이음부에 누수발생이 없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플랜지 상하 몸체(2a)(2b) 양측에 외향으로 돌출된 연결편(3a)(3b) 상부에 고정된 보강편(9)의 밀편(8) 외측에 볼트공을 형성하여 도 3과같이 볼트(5)가 체결부(4) 사이를 수평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개재된 위치 고정부재(6)를 볼트(5')로 조여 고정부재가 관 외면과 대응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도3에 도시된 도면은 플랜지의 체결부 일측만을 도시하여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체결부(4)는 상기에서와 같이 상,하부몸체(2a)(2b) 양측에 형성된 연결편의 볼트공에 수직으로 끼워져 조립되므로 플랜지는 견고하게 관외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4와 같이 상기 플랜지(1)(1') 상하몸체(2a)(2b)의 일측을 핀으로 결합하여 경첩부(11)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위치 고정부재(6)가 개재되는 체결부(4)를 형성하여 플랜지가 일측으로만 개폐될 수 있도록 된 구성함으로서, 플랜지를 관 단부 외면에 고정시 상,하부몸체를 시공자가 손으로 잡고 체결할 필요 없이 밴드형태로 형성하여 관단부 일측 외면에서 플랜지의 체결부(4)를 벌려 끼울수 있게 되므로 플랜지를 시공자가 간단 용이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때 플랜지의 일측 핀으로 연결된 경첩부(11)는 분리되지 않고 상,하부몸체가 연결된 상태에서 힌지 역할 만 하게된다.
따라서 관외면에 밴드형의 플랜지가 끼워지면 일측 체결부를 볼트로 조이면 연결편 외면에 부착된 보강편(9)의 밀편(8)이 하강하면서 위치 고정부재(6)의 테이퍼부(7)를 밀게 되므로 위치 고정부재는 내측으로 이동되어 관외면과 밀착되어 플랜지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1)(1')의 체결부(4)에 개재되는 위치 고정부재(6)는 장공(6')으로된 2개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체결부를 조임시 볼트에 방해를 받지 않고 관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하부몸체 양측에 외향으로 형성된 연결편 외면에 부착되는 보강편은 연결편에 볼트 및 리벳등의 고정 수단으로 견고히 부착되므로 상하부의 연결편을 볼트와 너트로 조임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도5는 관연결시 플랜지와 플랜지를 결합한 예시도로서 플랜지 상하면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조절손잡이와 저면의 받침봉은 플랜지와 플랜지를 간단용이하게 일치시켜 볼트와 너트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단면으로 표기한 것으로 이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하수관, 배수관, 송유관 등 관의 크기가 커 취급이 불편하고 수압 및 유압이 발생되어 관과 관의 연결을 견고히 하여 수밀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관 연결작업을 플랜지를 이용하여 연결작업 공정을 간단히 하고, 또한 플랜지와 관 외면에 위치하는 위치 고정부재를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위치시켜 플랜지의 체결부를 볼트로 조이면 자동적으로 위치 고정부재가 이동되어 관외면과 밀착 고정되므로 기존과 같이 원형관 형태의 고정부재를 사용시 일측으로 밀려 구겨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관의 이음부가 비틀림에 의하여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 플랜지와 위치 고정부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된 동시에 보수공사 등의 관리가 간편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효과 를 갖게 되었다.

Claims (4)

  1. 관 단부의 외면과 플랜지 사이에 패킹 또는 고정부재가 개재되어 플랜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부 몸체(2a)와 하부 몸체(2b)로 구성되어 양측에 볼트(5)로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부(4)를 갖는 플랜지(1)(1')와:
    상기 체결부(4)는 상,하부몸체(2a)(2b)양측 단부가 외향으로 돌출되어 볼트로 결합할 수 있도록 일체로된 연결편(3a)(3b)과;
    상기 연결편(3a)(3b) 외면 일측에 밀편(8)이 형성되어 볼트(5)로 체결부(4)를 조립시 위치 고정부재(6) 테이퍼부(7)를 밀수 있도록 고정된 보강편(9)과;
    상기 위치 고정부재(6) 일측에는 테이퍼부(7)를 갖고 타측에는 관(10)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내측면이 호(弧)형으로 이루어져 체결부(4)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플랜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상,하부몸체(2a)(2b) 양측에 외향으로 돌출된 연결편(3a)(3b) 상부에 고정된 보강편(9)의 밀편(8)에 볼트공을 형성하여 체결부(4) 사이에 개재된 위치 고정부재(6)를 수평으로 삽입된 볼트(5')로 조여 관(10) 외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플랜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 상,하부몸체(2a)(2b)의 일측을 핀으로 결합하여 경첩부(11)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위치 고정부재(6)가 개재되는 체결부(4)를 형성하여 플랜지(1)(1')가 일측으로만 개폐될 수 있도록 밴드형으로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플랜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의 체결부(4)에 개재되는 위치 고정부재(6)는 상하부에 안내돌기(6a)가일체로 형성되고, 장공(6')으로 된 2개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체결부(4)를 조임시 볼트(5)에 방해를 받지 않고 연결편(3a)(3b)가이드홈(3')을 따라 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플랜지.
KR10-2001-0026258A 2001-05-14 2001-05-14 관이음 플랜지 KR100398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258A KR100398789B1 (ko) 2001-05-14 2001-05-14 관이음 플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258A KR100398789B1 (ko) 2001-05-14 2001-05-14 관이음 플랜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586A KR20020087586A (ko) 2002-11-23
KR100398789B1 true KR100398789B1 (ko) 2003-09-19

Family

ID=2770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258A KR100398789B1 (ko) 2001-05-14 2001-05-14 관이음 플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7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6683A (zh) * 2021-09-15 2021-12-10 安徽春辉仪表线缆集团有限公司 一种防水式铠装热电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3732U (ko) * 1994-12-30 1996-07-22 플랜지 이음장치
KR970006383U (ko) * 1995-07-03 1997-02-21 여준영 관 연결 플랜지
JPH10185049A (ja) * 1996-12-24 1998-07-14 Naniwa Seisakusho:Kk 軟質チュ−ブ用金属製管継手
KR19990006302U (ko) * 1997-07-25 1999-02-18 민신웅 관 접속구
JP2001032977A (ja) * 1999-07-23 2001-02-06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KR200216504Y1 (ko) * 2000-10-12 2001-03-15 새한합성산업주식회사 클립 플랜지를 이용한 관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3732U (ko) * 1994-12-30 1996-07-22 플랜지 이음장치
KR970006383U (ko) * 1995-07-03 1997-02-21 여준영 관 연결 플랜지
JPH10185049A (ja) * 1996-12-24 1998-07-14 Naniwa Seisakusho:Kk 軟質チュ−ブ用金属製管継手
KR19990006302U (ko) * 1997-07-25 1999-02-18 민신웅 관 접속구
JP2001032977A (ja) * 1999-07-23 2001-02-06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KR200216504Y1 (ko) * 2000-10-12 2001-03-15 새한합성산업주식회사 클립 플랜지를 이용한 관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586A (ko) 200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8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US200902615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CA27211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US5492372A (en) Split replacement flange for water closet and method of replacing
KR100398789B1 (ko) 관이음 플랜지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100887614B1 (ko) 맨홀 구조와 맨홀을 제작하는 방법
US6227234B1 (en) Tapping sleeve with a mechanical joint adaptor
KR200402713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KR20160004207U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0398787B1 (ko) 관이음 플랜지
KR10039878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US6360771B2 (en) Tapping sleeve with a mechanical joint adaptor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200301978Y1 (ko) 분기관 결합구조
KR100701459B1 (ko) 맨홀의 이송관 연결구
KR102276831B1 (ko) 결합력이 향상된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KR101803076B1 (ko) 관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부단수밸브
KR200318955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KR200240441Y1 (ko) 수로관
KR20030060559A (ko) 관 이음 플랜지
KR102153262B1 (ko) 지관 연결용 단지관
KR100398790B1 (ko) 관이음 플랜지 지지밴드
KR100577401B1 (ko) 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