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228B1 - 호스형 연결구 - Google Patents

호스형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228B1
KR101624228B1 KR1020140124237A KR20140124237A KR101624228B1 KR 101624228 B1 KR101624228 B1 KR 101624228B1 KR 1020140124237 A KR1020140124237 A KR 1020140124237A KR 20140124237 A KR20140124237 A KR 20140124237A KR 101624228 B1 KR101624228 B1 KR 101624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ing
circumferential surface
nut
outer circumferenti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3417A (ko
Inventor
한병량
Original Assignee
한병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병량 filed Critical 한병량
Priority to KR1020140124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2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형 연결구(1)에 관한 것으로, 산(11)과 골(13)이 교대로 연속되는 요철부(15)가 외주면에 형성된 주름관(3); 연결관체(10)의 볼트부(20)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5); 및 일단은 상기 주름관(3) 일측 끝부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너트부(5)에 끼워져 상기 주름관(3)과 상기 너트부(5)를 연결하는 연결링체(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링체(7)는 상기 주름관(3)의 외주면 일측 끝부분에 물리고, 외주면 선단에 돌출된 확경돌기(27)가 상기 너트부(5)에 걸려 상기 너트부(5)의 죔방향 이동을 상기 주름관(3)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연결링체의 확경돌기에 의해 볼트부 끝면과의 사이에 개재된 밀봉패킹을 가압하므로, 주름관의 압박으로 인한 밀봉패킹의 손상을 막을 수 있고, 따라서 호스형 연결구의 밀봉성능 향상과 내구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호스형 연결구{Hose Type Joint Connector}
본 발명은 호스형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관과 같이 파이프 형태로 된 유체관로의 도관과 도관을 연결하는 연결호스를 파이프 도관의 선단에 연결하는 호스형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형 연결구는 관을 이어 맞추는 데 사용하는 장치로서, 용도나 설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개발된 바 있으며, 액체 특히 물을 나르는 수도관은 출력단을 수요측 설비와 연결하는 끝부분에 도 1과 같은 호스형 연결구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 호스형 연결구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호스(107)의 내부에 먼저 결합구(105)를 끼우고, 외부에는 보호망인 편조망(109)을 덧씌우며, 편조망(109)의 외부에 조임너트(106)을 끼운 상태에서 편조망(109)과 고무호스(107)와 결합구(105)를 압착편(108)으로 일체로 압착시킨 다음, 결합구(105)의 단부에 패킹(104)을 끼우면,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호스형 연결구(101)는 연결도관으로 고무호스(107)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무호스(107)의 구조적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무호스(107)의 외주면에 보호망인 편조망(109)을 덧씌워야 하며, 또 편조망(109)과 고무호스(107)와 결합구(105)를 압착편(108)으로 압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되므로, 그 조립성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스형 연결구(101)는 그 내부가 고무호스(107)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고무호스(107)가 부식되거나 훼손될 수 있고, 고무호스(107)가 꼬여진 상태로 수도밸브에 체결되거나 압착편(108)으로 고무호스(107)와 편조망(109)이 일체로 압착되는 과정에서 고무호스(107)가 손상될 수 있어 누수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도 2에 도면부호 201로 도시된 호스 연결구(국내 등록특허 제10-1392564호)를 제안하여, 위와 같은 호스형 연결구(101)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바 있다.
이 호스 연결구(201)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주름관(210), 상하부 조임링(221,222), 패킹(225), 및 조임너트(230)로 이루어지는 바, 주름관(210)과 연결 대상인 연결관체(240)를 밀착시키기 위한 조임링(221,222)을 주름관(210)의 외주에 안착시키므로 조립 작업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고, 패킹(225)에 의해 연결관체(240)의 끝면과 주름관(210) 선단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으므로, 밀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호스 연결구(201)는 조임너트(230)를 죌 때, 주름관(210)의 압착부(213)와 연결관체(240)의 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패킹(225)이 상부 조임링(221)과 하부 조임링(222)의 돌출턱(221a,222a)과 직접 접촉되지 않고 주름관(210)의 압착부(213)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을 받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시 패킹(225)이 압착부(213)의 에지에 의해 손상되고, 따라서 주름관(210)과 상하부 조임링(221,222)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밀봉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관체(240)의 관경(d)에 비해 주름관(210)의 외경(D)이 현저히 작은 경우, 조임너트(230)를 죌 때 전진하는 주름관(210)에 의한 가압력을 패킹(225)에 의해 지지하여야 하므로, 패킹(225)이 쉽게 손상되어 위와 같이 밀봉성능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이고, 심한 경우 연결관체(240)에 대한 주름관(210)의 압착이 불가하게 되어 호스 연결구(201)를 조립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39256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호스형 연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연결구의 내부 구조 특히 주름관을 연결관체의 볼트부에 압착시키는 압착 밀봉 부재들의 구조를 변형시킴으로써, 압착 밀봉 부재들의 밀봉성능은 물론, 내구강도를 향상시켜 호스형 연결구의 성능 및 수명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산과 골이 교대로 연속되는 요철부가 외주면에 형성된 주름관; 연결관체의 볼트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 및 일단은 상기 주름관 일측 끝부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너트부에 끼워져 상기 주름관과 상기 너트부를 연결하는 연결링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링체는 상기 주름관의 외주면 일측 끝부분에 물리고, 외주면 선단에 돌출된 확경돌기가 상기 너트부에 걸려 상기 너트부의 죔방향 이동을 상기 주름관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호스형 연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링체는, 상기 확경돌기가 외주면 선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요철부에 대응하는 주름부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주름관의 외주면 일측 끝부분에에 물려 밀착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연결링편; 및 상기 연결링편 둘레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연결링편을 반경방향으로 구속함으로써, 상기 너트부에 의한 상기 연결링편의 죔방향 이동이 상기 주름관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링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링체는, 상기 확경돌기가 외주면 일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주름관의 일측 끝부분이 내주면 타단에 삽입되는 연결링; 상기 요철부에 대응하는 주름부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주름관의 외주면 일측 끝부분에 물려 밀착되되, 선단이 상기 연결링에 결합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연결링편; 및 상기 연결링편 둘레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연결링편을 반경방향으로 구속함으로써, 상기 너트부에 의한 상기 연결링의 죔방향 이동이 상기 연결링편을 거쳐 상기 주름관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링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링의 내주면과 상기 주름관의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요철부의 상기 골에 끼워져 압착되는 밀봉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경돌기는 상기 볼트부의 끝면에 맞닿음되도록 외경이 상기 볼트부의 관경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경돌기와 상기 볼트부의 끝면 사이에는 밀봉패킹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호스형 연결구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부품들의 단순화를 통해 생산성이나 조립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너트부를 연결관체의 볼트부에 나사 결합하여 주름관을 볼트부 끝면에 압착시킬 때, 연결링체의 선단에 돌출된 확경돌기에 의해 볼트부 끝면과의 사이에 개재된 밀봉패킹을 볼트부 끝면에 대해 가압하므로, 주름관에 의한 압박으로 인해 밀봉패킹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고, 따라서 호스형 연결구의 밀봉성능 향상과 내구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볼트부의 관경과 주름관의 외경 간의 직경차이가 크게 벌어지더라도, 연결링체 확경돌기의 외경을 크게 함으로써, 너트부로부터 연결링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확경돌기를 통해 밀봉패킹과 볼트부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볼트부 관경과 주름관 외경 간의 차이로 인한 주름관의 조립 불능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볼트부에 대해 밀봉패킹을 압착하는 가압력을 확경돌기를 통해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한 후에도 밀봉성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내구수명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호스형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의 호스형 연결구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스형 연결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형 연결구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분해도.
도 8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한 쌍의 연결링편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조립 전의 연결링체를 압착용 지그에 의해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형 연결구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스형 연결구는 유체 연결용 관체 즉, 연결관체(10)와 연결관체(10) 사이를 잇는 연결수단으로서, 도 3 내지 도 7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주름관(3), 너트부(5), 및 연결링체(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주름관(3)은 연질의 금속으로 가요성을 갖도록 만든 관체로서, 예컨대 건물 벽체에 배관된 상수도관의 외부 노출단과 세면대의 수도꼭지를 연결하는 호스와 같이, 유체 이동을 위해 연결대상체인 유체 공급원 쪽의 연결관체(10)와 유체 사용처 쪽의 연결관체(10)를 연결하는 바, 설치환경에 구애 받지 않고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굽힘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이 용이하도록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산(11)과 골(13)이 교대로 연속되는 요철부(15)가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너트부(5)는 위 주름관(3)과 같은 관체를 수도배관 또는 수도꼭지와 같은 연결관체(10)에 조립하는 연결구로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나사가 가공된 너트 형태로 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것처럼, 수작업에 의해 돌려 죄거나 풀 수 있도록 외주면에 플랜지 형태의 손잡이(17)가 형성된다. 따라서, 너트부(5)는 연결관체(10)에 돌출된 볼트부(20)에 나사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볼트부(20)에 나사 결합된 때 주름관(3)과 연결관체(10)를 유체 연결한다.
상기 연결링체(7)는 위와 같은 너트부(5)와 주름관(3)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3)의 일측 끝부분에 결합되는 바, 그 선단은 너트부(5) 외주면에 끼워지고, 그 후미는 주름관(3) 외주면을 따라 길게 결합된다. 이때, 연결링체(7)는 너트부(5)의 회전은 허용하면서도, 너트부(5)의 축방향 이동은 구속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너트부(5)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주름관(3)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너트부(5)가 볼트부(20)에 죄어질수록 선단이 볼트부(20)의 끝면에 밀착되어 주름관(3)과 연결관체(10) 사이의 유체 밀봉이 긴밀해 지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부(20)의 끝면과 연결링체(7) 선단면 사이에 밀봉패킹(21)이 개재되는 경우 볼트부(20)와 연결링체(7) 간의 유체 밀봉은 더욱 긴밀해 진다.
이와 같이 너트부(5)와 주름관(3)을 연결하는 연결링체(7)는 주름관(3)의 외주면 일측 끝부분에 물려 결합됨과 동시에, 너트부(5)의 내주면 일측에 걸려 너트부(5)의 축방향 이동 즉, 죔방향 이동을 주름관(3)에 전달하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연결링편(23)과 링커버(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링편(23)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마주보도록 쌍을 이룬 반원통체로서, 주름관(3)의 외주면 일측 끝부분에 물려 밀착되는 바, 외주면 선단에 확경돌기(27)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연결링편(23)은 주름관(3) 둘레에 물려 결합된 상태에서 외주면 후미로 끼워지는 너트부(5)의 걸림턱(26)에 확경돌기(27)가 걸림으로써, 너트부(5)의 죔방향 이동에 따라 즉, 너트부(5)가 회전하여 도 4의 좌측으로 죄어짐에 따라 걸림턱(26)에 의해 확경돌기(27)가 가압되어 선단면과 볼트부(20)의 끝면에 개재된 밀봉패킹(21)을 볼트부(20) 끝면에 압착시킨다. 또한, 연결링편(23)은 주름관(3)의 외주면 일측 끝부분에 물릴 때 주름관(3)의 요철부(15)에 밀착될 수 있도록, 내주면 상에 요철부(15)와 대응하는 주름부(35)가 형성된다. 이때, 주름부(35)는 주름관(3)의 요철부(15)와 마찬가지로 산(31)과 골(3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링커버(2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편(23)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관형 부재로서, 연결링편(23) 둘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 연결링편(23)을 반경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속함으로써, 연결링편(23)이 너트부(5)에 의해 죔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은 때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고 받은 힘을 주름부(35)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연결링편(23)은 링커버(25)에 의해 반경방향 이동이 구속되어 주름관(3)과의 결합을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너트부(5)가 볼트부(20)로 죄어들어갈 때 주름관(3)도 너트부(5)와 함께 죔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체(7)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47), 연결링편(43), 그리고 링커버(45)로 구성되는 바, 연결링(47)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연결링체(7)와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링편(43)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쌍을 이룬 반원통체로 이루어지는 바, 주름관(3)의 외주면 일측 끝부분에 물려 밀착되도록 주름관(3)의 요철부(15)에 대응하는 주름부(35)가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때, 주름부(35)는 주름관(3)의 요철부(15)와 대응하도록 산(31)과 골(33)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링편(43)은 길이가 도시된 것처럼, 연결링편(43)의 절반 정도에 그치는 바,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링(47)에 의해 짧은 길이를 보완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연결링편(43)은 연결링(47)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홈(49)이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내주면의 선단에 원주방향으로 가공된다.
또한, 상기 링커버(45)도 마찬가지로 연결링편(43)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관형 부재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편(43)의 둘레를 감싸 고정되는 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링편(43)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지지 못하게 구속함으로써, 연결링편(43)이 너트부(5)로부터 죔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은 때,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고 받은 힘을 주름부(35)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끝으로, 상기 연결링(47)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연결링체(7)와 결합되는 주름관(3)의 선단을 내주면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한 링체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편(43) 선단의 체결홈(49)에 결합되도록 도시된 것처럼, 체결홈(49)과 대응하는 형태의 체결돌기(51)가 후미 외주면 상에 원주방향으로 가공된다. 또한, 연결링(47)은 위와 같이 연결링편(43)과 결합되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연결링편(23)의 역할을 하는 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선단에 확경돌기(27)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링편(43)은 연결링편(23)과 마찬가지로 주름관(3) 둘레에 물려 결합된 상태에서 확경돌기(27)가 외주면 후미로 끼워지는 너트부(5)의 걸림턱(26)에 걸림으로써, 너트부(5)의 죔방향 이동에 따라 걸림턱(26)에 의해 가압된 때, 밀봉패킹(21)을 사이에 두고 볼트부(20)의 끝면에 압착된다.
이때, 연결링(47)은 내주면이 매끈한 평탄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산(11)과 골(13)로 된 주름관(3) 외주면 즉, 요철부(15)와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요철부(15)와 연결링(47)의 내주면과 사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밀봉링(53)을 개재함으로써, 각각의 밀봉링(53)이 요철부(15)의 골(13)에 끼워져 압착되도록 하여 연결링(47)과 주름관(3) 사이의 밀봉을 더욱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링체(7)는 한 쌍의 연결링편(23,43)을 포함하는 바, 이 연결링편(23,43)은 공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예컨대, 좌측 연결링편(23,43)은 끝면에 삽입돌기(61)가, 우측 연결링편(23,43)은 삽입돌기(61)와 대향하는 끝면에 삽입공(63)이 각각 형성되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주름관(3) 외주면 상에 마주보도록 물린 때, 삽입돌기(61)가 삽입공(63)에 끼워져 일체로 결속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연결링편(23) 또는 도 6 및 도 7의 연결링(47)의 외주면 선단에 돌출된 확경돌기(27)는 주름관(3)의 외경(D)과 볼트부(20)의 관경(d)의 직경차로 인한 조립 불능을 해소하는 역할도 겸하는 바, 주름관(3)의 외경(D)이 볼트부(20)의 관경(d)보다 작은 경우에도 확경돌기(27)는 그 외경이 볼트부(20) 관경(d)보다 크게 됨으로써, 볼트부(20)의 끝면에 밀봉패킹(21)을 사이에 두고 맞닿음되어 연결링체(7)가 볼트부(20) 끝면에 대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형 연결구의 조립과정을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스형 연결구(1)를 연결관체(10)에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도 7과 같이 분해된 상태에서 먼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주름관(3)의 일측 끝부분 외주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밀봉링(53)을 끼운다. 이때, 각각의 밀봉링(53)은 주름관(3)의 골(13)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밀봉링(53)이 끼워진 주름관(3) 선단에 연결링체(7)의 연결링(47)을 억지끼움한다. 이때, 주름관(3)은 밀봉링(53)에 의해 연결링(47) 내주면과 수밀 상태를 유지하되, 선단이 연결링(47) 앞쪽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뒤이어, 연결링(47)과 연결링편(43)을 결합하는 바, 연결링(47) 후미의 체결돌기(51)에 연결링편(43)의 체결홈(49)이 정합되도록 하면서, 연결링편(43)을 도 8과 같이 아래위로 벌려 주름관(3)의 일측 끝부분에 물린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연결링편(43)은 삽입돌기(61)가 삽입공(63)에 삽입되어 상호 간에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지 않게 되며, 주름관(3)에 결합되어서는 내주면의 주름부(35)가 주름관(3)의 요철부(15)에 정합됨으로써, 주름관(3)과도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그 다음, 위와 같이 주름관(3)의 외주면 일측 끝부분에 감긴 연결링(47)과 연결링편(43) 둘레에 링커버(45)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연결링편(43)의 반경방향 움직임을 구속하여 연결링편(43)과 주름관(3)의 결합이 지속되도록 하며, 이렇게 해서 연결링체(7)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 실시예의 연결링(47)과 연결링편(43)이 연결링편(23)으로 통합되어 있으므로, 연결링편(23)을 주름관(3) 둘레에 감고, 그 위에 링커버(25)를 끼우는 것으로 위와 같은 연결링체(7)의 조립을 제1 실시예에서도 완료할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실시예 공히, 연결링체(7)와 너트부(5)의 축방향 이동 즉, 너트부(5) 죔방향 이동을 동기화하기 위해서는 연결링체(23) 또는 연결링(47)과 연결링체(43) 위에 링커버(25,45)를 씌우기 전에, 주름관(3) 후미에서 너트부(5)를 끼워 넣어 너트부(5)의 내주면에 돌출된 걸림턱(26)이 먼저 연결링체(7)의 확경돌기(27)에 걸리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너트부(5), 연결링체(7), 그리고 주름관(3)의 조립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너트부(5)를 연결관체(10)의 볼트부(20)에 결합하게 되는데, 결합 후의 수밀 성능을 높이기 위해 너트부(5)를 볼트부(20)에 나사 결합하기 전에 볼트부(20) 끝면과 너트부(5) 내부로 끼워진 연결링체(7) 선단의 확경돌기(27) 사이에 밀봉패킹(21)을 개재시킨다. 그리고 나서 손잡이(17)를 잡고 돌리면, 너트부(5)는 볼트부(20)와 나사결합되고, 이에 따라 확경돌기(27)는 밀봉패킹(21)을 통해 볼트부(20) 끝면에 긴밀히 압착되며, 너트부(5)의 나사 체결이 끝남으로써 일련의 호스형 연결구(1) 연결 작업이 종료된다.
다만, 위와 같은 호스형 연결구(1)의 연결 작업을 수행하기 전 혹은 공장에서 생산 작업을 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압착용 지그(30)를 너트부(5)에 삽입하여 그 어깨부(40)에 의해 연결링체(7)를 가압하게 되면, 주름관(3)의 한 쪽 끝부분이 찌그러지면서 압착되어 요철부(15)의 골(13)이 좁아지고, 이에 따라 연결링(47) 내주면에 대한 밀봉링(53)의 압착력이 더 커져 밀봉링(53)에 의한 밀봉성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1 : 호스형 연결구 3 : 주름관
5 : 너트부 7 : 연결링체
10 : 연결관체 11, 31 : 산
13, 33 : 골 15 : 요철부
17 : 손잡이 20 : 볼트부
21 : 밀봉패킹 23, 43 : 연결링편
25, 45 : 링커버 26 : 걸림턱
27 : 확경돌기 30 : 압착용 지그
35 : 주름부 47 : 연결링
49 : 체결홈 51 : 체결돌기
53 : 밀봉링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산(11)과 골(13)이 교대로 연속되는 요철부(15)가 외주면에 형성된 주름관(3);
    연결관체(10)의 볼트부(20)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5); 및
    일단은 상기 주름관(3) 일측 끝부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너트부(5)에 끼워져 상기 주름관(3)과 상기 너트부(5)를 연결하는 연결링체(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링체(7)는,
    상기 주름관(3)의 외주면 일측 끝부분에 물리고, 외주면 선단에 돌출된 확경돌기(27)가 상기 너트부(5)에 걸려 상기 너트부(5)의 죔방향 이동을 상기 주름관(3)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확경돌기(27)가 외주면 일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주름관(3)의 일측 끝부분이 내주면 타단에 삽입되는 연결링(47);
    상기 요철부(15)에 대응하는 주름부(35)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주름관(3)의 외주면 일측 끝부분에 물려 밀착되되, 선단이 상기 연결링(47)에 결합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연결링편(43); 및
    상기 연결링편(43) 둘레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연결링편(43)을 반경방향으로 구속함으로써, 상기 너트부(5)에 의한 상기 연결링(47)의 죔방향 이동이 상기 연결링편(43)을 거쳐 상기 주름관(3)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링커버(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링(47)의 내주면과 상기 주름관(3)의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요철부(15)의 상기 골(13)에 끼워져 압착되는 밀봉링(5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형 연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확경돌기(27)는 상기 볼트부(20)의 끝면에 맞닿음되도록 외경이 상기 볼트부(20)의 관경(d)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형 연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확경돌기(27)와 상기 볼트부(20)의 끝면 사이에는 밀봉패킹(21)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형 연결구.
KR1020140124237A 2014-09-18 2014-09-18 호스형 연결구 KR101624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237A KR101624228B1 (ko) 2014-09-18 2014-09-18 호스형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237A KR101624228B1 (ko) 2014-09-18 2014-09-18 호스형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417A KR20160033417A (ko) 2016-03-28
KR101624228B1 true KR101624228B1 (ko) 2016-05-30

Family

ID=5700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237A KR101624228B1 (ko) 2014-09-18 2014-09-18 호스형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2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388B1 (ko) * 2021-01-13 2021-12-15 (주)청호시스템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564B1 (ko) * 2012-07-17 2014-05-27 한병량 호스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564B1 (ko) * 2012-07-17 2014-05-27 한병량 호스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417A (ko)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24045A (ja) 管継手
US3689110A (en) Fluid line coupling
KR100977308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0941883B1 (ko) 배관연결구
JP2008095765A (ja) ホース継手
KR101114497B1 (ko) 멀티소켓관과 드레인호스의 결합구조
KR20140072571A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1624228B1 (ko) 호스형 연결구
JP2011220404A (ja) 配管の連結構造
KR100532555B1 (ko) 배관 연결장치
JP2005061549A (ja) バルブと樹脂管との管継手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接続方法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JPH09100980A (ja) ホース口金具
KR101847777B1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101700063B1 (ko) 호스 연결구
RU235284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труб
KR101973850B1 (ko) 관 연결용 조인트
TWM595182U (zh) 管接頭裝置
KR101673243B1 (ko) 힌지를 이용한 스테인리스 파이프를 체결하는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스테인리스 파이프 체결 어셈블리
JPH0972473A (ja) ホ−ス型可撓性継手
KR20140025124A (ko) 주름관의 연결 조립체
US2535816A (en) Coupling for pipes and other tubular elements
US20070018456A1 (en) Smartloc whirlpool fitting
JP5819665B2 (ja) 多層管用継手
KR100337042B1 (ko) 비금속관용 압착식 관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