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409Y1 - 상ㆍ하수도관누수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상ㆍ하수도관누수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409Y1
KR200165409Y1 KR2019990014068U KR19990014068U KR200165409Y1 KR 200165409 Y1 KR200165409 Y1 KR 200165409Y1 KR 2019990014068 U KR2019990014068 U KR 2019990014068U KR 19990014068 U KR19990014068 U KR 19990014068U KR 200165409 Y1 KR200165409 Y1 KR 200165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pipe
lower cover
pipe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현
Original Assignee
그린종합건설합자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종합건설합자회사 filed Critical 그린종합건설합자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4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4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ㆍ하수도관 누수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관(10)의 누수되는 부분을 덮어서 결합하는 상/하부덮개관(20,20′)과, 상기 상/하부덮개관(20,20′)의 양측에 위치한 도관(10)에 맞대어서 결합하는 맞대기관(30,30′)과, 상기 상/하부덮개관(20,20′)의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이음패킹(26) 및, 상기 상/하부덮개관(20,20′)과 맞대기관(30,30′)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고무재질의 플랜지패킹(2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누수되는 도관(10)에 상/하부덮개관(20,20′)과 맞대기관(30,30′)을 조립하여 도관(10)을 절단하지 않고 보수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상ㆍ하수도관 누수 차단장치{ Apparatus for shutting off water leakage in the water supply pipe & drain pipe }
본 고안은 상ㆍ하수도관 누수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수로 인해 상ㆍ하수도관을 보수할 때 관의 누수되는 곳에 다수의 보수관을 직접 맞대어 시공할 수 있는 상ㆍ하수도관 누수 차단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은 수원지로부터의 식수를 개개의 가정으로 공급하는 관이고, 하수도관은 생활 하수를 폐수처리장까지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관으로, 이러한 상ㆍ하수도관은 여러개의 관으로 연결하여 땅속에 매설한다.
상기한 상ㆍ하수도관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물에 부식되거나 연결관의 패킹재 등이 손상되어 누수되게 된다. 만약, 상수도관이 누수가 될 경우 인근 지역에는 단수되는 불편함을 겪어야 하므로 빠른 시간내에 복구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에 사용되는 상ㆍ하수도관과 보수관의 연결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관(100)과 보수관(110)을 플랜지(102,112)를 매개로 양측을 연결설치한다. 물론, 상기 플랜지(102,112)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패킹부재(114)를 삽입설치한다. 여기서, 도관(100)에 보수관(110)을 연결하는 방법은, 누수되는 도관(100)의 일정부위를 절단하고, 절단된 도관(100)의 크기와 동일한 보수관(110)을 절단하는 한편, 상기 도관(100)과 보수관(110) 사이에 플랜지(102,112)를 끼우고 플랜지
(102,112)를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누수에 따른 종래의 상ㆍ하수도관과 보수관의 연결방법에서는, 보수작업하기가 까다롭고 보수작업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누수되는 도관(100)을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도관(100)의 길이만큼의 보수관(110)도 절단해야 하며, 상기 도관(100)과 보수관(110)의 절단면을 편편하게 가공한 후 상기 도관(100)과 보수관(110)의 양선단에 플랜지(102,112)를 부착해야 하므로 보수작업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었다. 또한, 도관(100)과 보수관(110)을 플랜지연결할 때, 한쪽을 먼저 플랜지 연결한 상태에서 다른쪽을 플랜지 연결할 경우 보수관(110)의 선단이 도관(100)으로 잘 끼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보수관을 사용하여 일측을 도관에 열융착시키고 다른쪽을 플랜지 연결하여 보수작업을 한다. 이와 같은 보수작업에서도 보수관을 절단해야 하고 주름진 보수관의 일측을 열융착시키는 작업이 까다로운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누수되는 도관을 자르지 않고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도관에 직접 부착설치하여 보수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보수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상ㆍ하수도관 누수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선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 측면플랜지가 형성되어 도관의 누수되는 부분을 덮어서 결합하는 상/하부덮개관과, 상기 상/하부덮개관의 양측에 위치한 도관에 맞대어 결합하도록 플랜지와 측면플랜지를 각각 구비한 1쌍의 맞대기관과, 상기 상/하부덮개관의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이음패킹 및, 상기 상/하부덮개관과 맞대기관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고무재질의 플랜지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상ㆍ하수도관 누수 차단장치에 의하면, 덮개관 사이에 이음패킹을 끼워서 누수되는 부분에 덮고, 덮개관 양측으로 맞대기연결관을 일체로 조립설치함으로써 도관을 절단하지 않고 누수되는 부분을 편리하게 보수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상ㆍ하수도관과 보수관을 연결한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ㆍ하수도관에 설치되는 누수 차단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ㆍ하수도관의 누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누수 차단장치를 상ㆍ하수도관에 장착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누수 차단장치를 상ㆍ하수도관 연결부에 장착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누수 차단장치를 상ㆍ하수도관 곡형연결부 장착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관 12 : 도관플랜지 20 : 상부덮개관 20′: 하부덮개관 22 : 측면플랜지 24 : 선단플랜지 26 : 이음패킹 28 : 플랜지패킹 30,30′: 맞대기관 32 : 측면플랜지 34 : 선단플랜지 36 : 연결패킹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ㆍ하수도관에 설치되는 누수 차단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ㆍ하수도관의 누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누수 차단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10)의 누수되는 부분을 덮는 상/하부덮개관(20,20′)과, 상기 상/하부덮개관(20,20′)의 양측에 위치한 도관(10)에 맞대어 결합하는 맞대기관(30,30′)과, 상기 상/하부덮개관(20,20′)의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이음패킹(26) 및, 상기 상/하부덮개관(20,20′)과 맞대기관(30,30′)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플랜지패킹(3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덮개관(20,20′)은 양선단에 비해 중앙부분이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양선단에 선단플랜지(22)가 형성됨과 아울러 반경방향으로 길이를 따라 측면플랜지(24)가 형성되고 있다.
상부덮개관(20)과 하부덮개관(20′)의 측면플랜지(24) 사이에는 이음패킹(26)이 끼워져 설치된다. 물론, 측면플랜지(24)는 이음패킹(26)을 끼운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상기 맞대기관(30,30′)은 한쪽선단에 상기 상/하부덮개관(20,20′)의 선단플랜지(22)와 대응되는 선단플랜지(32)가 형성되어 있고, 반경방향으로 길이를 따라 측면플랜지(34)가 형성되어 있다. 맞대기관(30,30′)은 상/하부덮개관(20,20′)이 설치되는 도관(10)에 인접하게 선단플랜지(22)와 선단플랜지(32)를 서로 맞대어 연결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선단플랜지(22)와 선단플랜지(32) 사이에는 플랜지패킹(28)을 삽입한 상태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그리고, 상하부의 맞대기관(30,30′)을 연결할 때 측면플랜지(34) 사이에 연결패킹(36)을 삽입한 상태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체결고정한다.
상기 상/하부덮개관(20,20′)과 맞대기관(30,30′)을 조립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10)을 중심을 기준으로 조립된 맞대기관(30,30′)과 덮개관(20,20′)이 차례로 위치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누수 차단장치를 상ㆍ하수도관에 장착한 상태도로서, 도관(10)에 도관직경보다 큰 상/하부덮개관(20,20′)을 조립하고, 이 상/하부덮개관(20,20′)에 맞대기관(30,30′)을 맞대어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조립순서는 도관(10)에 상/하부덮개관(20,20′)의 측면플랜지(24)를 우선 나사조립하고, 선단플랜지(22)에 맞대기관(30,30′)의 선단플랜지(32)를 맞대어 조립하면서 측면플랜지(34)를 조립한다.이와 같이 조립된 상기 상/하부덮개관(20,20′)이 맞대기관(30,30′)과 밀봉되게 설치됨으로써 도관(10)으로부터 누수되는 물은 덮개관에 가득 찬 이후에는 더 이상 외부로 누수되지 않게 된다.도 5와 도 6은 누수되는 상ㆍ하수도관 연결부에 누수 차단장치를 장착한 상태도로서, 누수되는 도관플랜지(12)를 덮도록 상/하부덮개관(20,20′)을 도관(10)에 조립하고, 이 상/하부덮개관(20,20′)에 맞대기관(30,30′)을 맞대어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이와 같이 본 고안의 누수 차단장치는 직선 또는 곡형 도관(10)을 연결하는 도관연결부가 누수될 때 도관연결부보다 직경이 큰 상/하부덮개관(20,20′)을 덮고 맞대기관(30,30′)을 일체로 조립하여 보수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누수되는 도관(10) 또는 도관연결부위에 상부덮개관(20)과 하부덮개관(20′)을 조립하고, 이 상/하부덮개관(20,20′) 양측으로 맞대기관(30,30′)을 맞대어 도관(10)에 조립하면 누수되는 물이 상/하부덮개관(20,20′) 내부에 고인상태로 유지된다. 즉 누수되는 도관(10)을 절단하지 않고 도관(10)에 상/하부덮개관(20,20′)과 맞대기관(30,30′)을 조립하면 되므로 상ㆍ하수도의 도관 누수보수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상ㆍ하수도관 누수 차단장치에 의하면, 덮개관 사이에 이음패킹을 끼워서 누수되는 부분에 덮고, 덮개관 양측으로 플랜지패킹을 끼운상태로 맞대기관과 일체로 조립설치함으로써 도관을 절단하지 않고도 상ㆍ하수도의 도관 누수보수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짧은 시간에 보수작업을 완료하여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1)

  1. 선단에 플랜지(22)가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 측면플랜지(24)가 형성되어 도관(10)의 누수되는 부분을 덮어서 결합하는 상/하부덮개관(20,20′);
    상기 상/하부덮개관(20,20′)의 양측에 위치한 도관(10)에 맞대어 결합하도록 플랜지(32)와 측면플랜지(34)를 각각 구비한 1쌍의 맞대기관(30,30′);
    상기 상/하부덮개관(20,20′)의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이음패킹(26); 및
    상기 상/하부덮개관(20,20′)과 맞대기관(30,30′)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고무재질의 플랜지패킹(28)을 포함한 상ㆍ하수도관 누수 차단장치.
KR2019990014068U 1999-07-16 1999-07-16 상ㆍ하수도관누수차단장치 KR200165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068U KR200165409Y1 (ko) 1999-07-16 1999-07-16 상ㆍ하수도관누수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068U KR200165409Y1 (ko) 1999-07-16 1999-07-16 상ㆍ하수도관누수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409Y1 true KR200165409Y1 (ko) 2000-02-15

Family

ID=1958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068U KR200165409Y1 (ko) 1999-07-16 1999-07-16 상ㆍ하수도관누수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4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358B1 (ko) 2014-07-14 2016-04-18 이동미 부단수 누수방지대
KR102196006B1 (ko) * 2020-06-23 2020-12-29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부스터 펌프용 누수액 배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358B1 (ko) 2014-07-14 2016-04-18 이동미 부단수 누수방지대
KR102196006B1 (ko) * 2020-06-23 2020-12-29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부스터 펌프용 누수액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00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lawn sprinkler systems
RU2213900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отводной трубы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US5288108A (en) Bell joint repair clamp
KR200165409Y1 (ko) 상ㆍ하수도관누수차단장치
KR102044690B1 (ko) 파형강관의 이음부 연결구조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US6017064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lateral openings in main pipelines and restraining apparatus for main and lateral pipe joints
KR100398788B1 (ko) 관 이음 플랜지
US20160195212A1 (en) Obstructive Tap and Sleeve
KR200261584Y1 (ko) 파이프 누수차단기
KR10048821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100624009B1 (ko) 맨홀의 관연결장치
KR102664616B1 (ko)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KR200216504Y1 (ko) 클립 플랜지를 이용한 관이음장치
KR200232266Y1 (ko) 이중벽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소켓
CN220152176U (zh) 管道法兰漏点修复装置
KR100786669B1 (ko) 내압성이 뛰어난 배관용 파이프부속 및 그 전기융착방법
CN212156220U (zh) pe管快速接头
KR200436332Y1 (ko) 고압 상수관 및 하수관용 파이프
KR910001722Y1 (ko) 상수도관의 급수관 관접장치
KR100526782B1 (ko) 피복형 클립 플랜지 하수관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100521771B1 (ko) 피복형 클립 플랜지 하수관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100316129B1 (ko) 관 연결장치
KR200197245Y1 (ko) 볼타입 무이탈 신축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