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294B1 - 하수도용 신축관 - Google Patents

하수도용 신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294B1
KR100550294B1 KR1020050094232A KR20050094232A KR100550294B1 KR 100550294 B1 KR100550294 B1 KR 100550294B1 KR 1020050094232 A KR1020050094232 A KR 1020050094232A KR 20050094232 A KR20050094232 A KR 20050094232A KR 100550294 B1 KR100550294 B1 KR 100550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ing
flange
inner tub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94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4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non-metallic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고무재질의 신축내관과; 신축내관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앵커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금속재질의 상하부외관과; 상기 상하부외관의 선단 외주연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관체인 관체결부를 갖고, 관체결부의 선단에 수직으로 직립된 반원형으로 신축내관의 플랜지 외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체결부를 갖고 앵커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상하부체결관과; 상기 상하부체결관과 인접된 다른 상하부체결관의 각 플랜지체결부를 체결시키는 관체결볼트 및 관체결너트와; 상기 관체결볼트와 관체결너트에 의해 관결합된 플랜지체결부를 감싸는 고무커버를 구비하는 하수도용 신축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는 관이 관내를 이동하는 오수의 온도 및 주변의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지반 변동이 있는 경우에 변위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관의 뒤틀림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신축내관, 상하부외관, 상하부체결관, 관체결볼트, 고무커버

Description

하수도용 신축관{Flexible pipe for sewerage}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신축관의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신축관의 결합된 모습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신축관의 확대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신축관의 다른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축관 10 : 신축내관
11,12 : 플랜지 21,22 : 상하부외관
23, 앵커볼트 24 : 너트
31,35 : 상하부체결관 32,36 : 관체결부
33,37 : 플랜지체결부 34 : 너트
38 : 앵커볼트 40 : 관체결볼트
41 : 관체결너트 50 : 고무커버
본 고안은 하수도용 신축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는 관이 관내를 이동하는 오수의 온도 및 주변의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지반 변동이 있는 경우에 변위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관의 뒤틀림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도용 신축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도관을 상호 연결할 때에는 관체 간의 좁은 거리를 연결하기 위하여 신축관을 사용하게 된다. 이는 관내에 흐르는 오수가 온도가 높아진 상태에서 이송되는 경우 배관은 열팽창을 일으키면서 뒤틀려지거나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하에 매설되는 배관은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하고 있는데, 그러한 수단으로는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변위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것으로, 종래의 신축관은 단부에 플렌지가 용접고정되는 외부파이프 내측으로 단부에 플렌지가 용접고정된 내부파이프를 내입시켜 축방향 변위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파이프 단부에는 패킹내입홈이 형성된 패킹고정용 플렌지를 용접고정하고, 내부파이프 외주연에는 패킹고정용 플렌지와 대응하는 플렌지가 용접고정된 패킹가압용링을 삽입하여 볼트, 너트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고정하여 패킹내입홈에 내입되어 있는 패킹을 가압하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신축관은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서, 관체를 지하에 매설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지면의 요철 등에 대응하기가 어려운 설치상의 문제점이 있고, 지하 매설 후 관체의 신축이 발생할 때 이를 흡수하 지 못하여 관체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또는 관체가 파손되는 사고가 우려되고, 신축관이 축방향으로 변위될 때 패킹이 쉽게 파손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는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신축관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형 관체를 연결할 때 사용되는 신축관을 구성함에 있어서, 중간파이프와 단부에 플렌지가 마련된 연결파이프 상간에 벨로즈링이 개재되어 있는 벨로즈를 용접고정하고, 상기 벨로즈 외부에는 링 형상의 덮개를 위치시켜 일단은 연결파이프에 용접고정하고, 타단은 중간파이프와 덮개에 밴드로 고정되는 고무제보호판을 씌우며, 상기 중간파이프와 연결파이프 외주연에는 대향하는 지지브라켓을 다수개 형성하고 지지브라켓에는 장공형의 결합공을 형성하여 간격조절볼트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상, 하수도관용 벨로즈 신축관이 실용신안등록 제20-0220001호로 등록공고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신축관은 벨로즈를 이용한 것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지하 매설 후 관체의 신축이 발생할 때, 약간의 신축력을 가지나 이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여 관체에 균열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하에 매설되는 관이 관내를 이동하는 오수의 온도 및 주변의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지반 변동이 있는 경우에 변위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관의 뒤틀림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도용 신축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고무재질의 신축내관과;
신축내관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앵커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금속재질의 상하부외관과;
상기 상하부외관의 선단 외주연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관체인 관체결부를 갖고, 관체결부의 선단에 수직으로 직립된 반원형으로 신축내관의 플랜지 외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체결부를 갖고 앵커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상하부체결관과;
상기 상하부체결관과 인접된 다른 상하부체결관의 각 플랜지체결부를 체결시키는 관체결볼트 및 관체결너트와;
상기 관체결볼트와 관체결너트에 의해 관결합된 플랜지체결부를 감싸는 고무커버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신축관의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신축관의 결합된 모습을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신축관의 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신축관의 다른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하수도용 신축관(1)은, 고무재질의 신축내관(10)과, 신축내관(10)의 외측에 위치되어 고무재질인 신축내관(10)이 토압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금속재질의 상하부외관(21,22)과, 신축내관(10)과 상하부외관(21,22)을 그 선단에서 고정지지하는 상하부체결관(31,35)과, 상하부체결관(31,35)을 플랜지체결부(33,37)에서 관결합시키는 관체결볼트(40) 및 관체결너트(41)와, 플랜지체결부(33,37)를 감싸고 보호하는 고무커버(50)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내관(10)은 신축이 소정 가능하고, 내측에 오수가 흐르는 고무재질의 관체로, 그 양단에는 플랜지(11,1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외관(21,22)은 신축내관(10)의 외주연을 감싸서 토압에 의해 고무재질인 신축내관(1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반원형의 금속관체로, 상하로 이등분되어 앵커볼트(23)와 너트(24)에 의해 체결고정된다.
상기 상하부체결관(31,35)은 상기 신축내관(10)의 플랜지(11,12)를 관결합킴과 동시에 상하부외관(21,22)을 신축내관(10)과 밀착시키는 금속재질의 관체로, 상하부외관(21,22)의 선단 외주연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관체인 관체결부(32,36)를 각각 갖고, 관체결부(32,36)의 선단에 수직으로 직립된 반원형으로 신축내관(10)의 플랜지(11,12) 외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체결부(33,37)를 각각 갖으며, 상하로 분 리되어 앵커볼트(38)와 너트(34)에 의해 체결고정된다.
이런 상하부체결관(31,35)은 인접된 다른 상하부체결관(31,35)의 플랜지체결부(33,37)와 관체결볼트(40) 및 관체결너트(41)에 의해서 관결합된다.
상기 고무커버(50)는 고무재질의 링체로, 관체결볼트(40)와 관체결너트(41)에 의해 관결합된 상하부체결관(31,35)의 플랜지체결부(33,37)를 외부에서 감싸면서 보호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축내관(10)의 외측에 상하부외관(21,22)을 위치시킨후, 하부외관(22)의 앵커볼트(23)에 상부외관(22)을 끼운 다음, 너트(24)체결고정시키면, 금속재질의 상하부외관(21,22)은 고무재질의 신축내관(10)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이때, 고무재질인 신축내관(10)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11,12)만이 외부로 형성되고, 일측 플랜지(11)와 접하는 다른 신축내관(10)의 타측 플랜지(12) 외측면에는 상하부체결관(31,35)이 각각 체결고정된다.
상하부체결관(31,35)의 관체결부(32,36)는 각각 상하부외관(21,22)의 일측단부 외측면에 위치되어 하부체결관(35)의 앵커볼트(38)를 상부체결관(31)에 너트(34)로 각각 체결고정시킨다.
이때, 상하부체결관(31,35)의 플랜지부(33,37)는 관체결볼트(40)와 관체결너트(41)에 의해 완강히 체결고정시킨다.
이렇게 상하부체결관(31,35)의 플랜지(33,37)가 관결합된 부분의 외면에는 고무커버(50)가 씌워져 보호하게 된다.
도 4와 같이, 고무커버(50)의 외측에서 관체결볼트(50)와 관체결너트(41)로 상하부체결관(31,35)의 플랜지부(33,37)를 관결합시킬 수도 있으나, 도 2 및 도 3과 같이, 금속재질인 상하부체결관(31,35)의 플랜지부(33,37)에서 관결합시킨 다음, 그 결합부 외관을 고무커버(50)로 씌워서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시공된 본 발명의 하수도용 신축관(1)은 고무재질인 신축내관(10)의 내부에 흐르는 오수의 온도 등에 의해 적절하게 원활히 신축되어 뒤틀림이나 파손을 미리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는 관이 관내를 이동하는 오수의 온도 및 주변의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지반 변동이 있는 경우에 변위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관의 뒤틀림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고무재질의 신축내관과;
    신축내관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앵커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금속재질의 상하부외관과;
    상기 상하부외관의 선단 외주연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관체인 관체결부를 갖고, 관체결부의 선단에 수직으로 직립된 반원형으로 신축내관의 플랜지 외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체결부를 갖고 앵커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상하부체결관과;
    상기 상하부체결관과 인접된 다른 상하부체결관의 각 플랜지체결부를 체결시키는 관체결볼트 및 관체결너트와;
    상기 관체결볼트와 관체결너트에 의해 관결합된 플랜지체결부를 감싸는 고무커버를 구비하는 하수도용 신축관.
KR1020050094232A 2005-10-07 2005-10-07 하수도용 신축관 KR100550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232A KR100550294B1 (ko) 2005-10-07 2005-10-07 하수도용 신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232A KR100550294B1 (ko) 2005-10-07 2005-10-07 하수도용 신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0294B1 true KR100550294B1 (ko) 2006-02-08

Family

ID=3717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232A KR100550294B1 (ko) 2005-10-07 2005-10-07 하수도용 신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2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921B1 (ko) * 2012-06-20 2014-07-1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용 엘보우 조인트
CN107152580A (zh) * 2016-03-03 2017-09-12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三通结构件及制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921B1 (ko) * 2012-06-20 2014-07-1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용 엘보우 조인트
CN107152580A (zh) * 2016-03-03 2017-09-12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三通结构件及制造方法
CN107152580B (zh) * 2016-03-03 2019-04-30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三通结构件及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7473B2 (ja) 管内面補修継手
KR100550294B1 (ko) 하수도용 신축관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0574745B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0516798B1 (ko) 배관의 연결구조
JP2006249721A (ja) 二重可撓継手の取付構造
KR20140087869A (ko) 신축 이음관
KR10052219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6050628B2 (ja) 管路の内張り構造
JP5819179B2 (ja) 補修伸縮可撓継手
KR200242207Y1 (ko) 벨로우즈형 익스팬션 파이프 조인트
KR100919107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256888B1 (ko) 건축용 배관의 익스펜션 조인트
KR101399189B1 (ko) 교량 배수관용 신축이음장치
KR200384217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780274B1 (ko) 신축조절이 가능한 하수도관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JP3556895B2 (ja) 埋設管の性能向上が可能な更生工法
KR200220001Y1 (ko) 매설형 상, 하수도관용 벨로즈 신축관
KR200344488Y1 (ko)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KR200357821Y1 (ko) 지하 매설용 신축관 커버구조
KR200405688Y1 (ko) 용수관의 이음장치
KR200425931Y1 (ko) 관 연결구조
JP2004324115A (ja) マンホール用管継手
KR200249048Y1 (ko) 만곡성 보강 배수로관 연결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