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645B1 -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645B1
KR101557645B1 KR1020150034724A KR20150034724A KR101557645B1 KR 101557645 B1 KR101557645 B1 KR 101557645B1 KR 1020150034724 A KR1020150034724 A KR 1020150034724A KR 20150034724 A KR20150034724 A KR 20150034724A KR 101557645 B1 KR101557645 B1 KR 101557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communication cable
ball cover
storage room
mo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사근
Original Assignee
(주)공간이. 엔. 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공간이. 엔. 지 filed Critical (주)공간이. 엔. 지
Priority to KR1020150034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밀한 방수가 필요로 되는 특정 구간대에 배선된 전기 및 통신 케이블의 외표면에 손쉽게 연결 설치하여, 배선된 전기 및 통신 케이블의 외표면에 수분과 외부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및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에 관한 것으로, 이는 내주연에 패킹이 구비된 회동구멍과 반호형 수납실이 각각 마련되어 있고, 면접되는 부위에는 패킹링이 구비된 2조 1쌍의 반호체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볼커버; 상기 볼커버를 이루는 일측 반호체의 수납실 내에 설치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는 연결 볼트가 돌출 형성된 제 1동체; 상기 볼커버를 이루는 타측 반호체의 수납실 내에 설치가능하게 형성되고, 타측에는 너트공이 형성된 제 2동체; 및 상기 수납실의 정중앙에 설치되어 제 1, 제 2동체를 정위치시키는 탄성스프링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drainpipe of electrical and communication cable for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좀더 긴밀한 방수가 필요로 되는 특정 구간대에 배선된 전기 및 통신 케이블의 외표면에 손쉽게 연결 설치하여, 배선된 전기 및 통신 케이블의 외표면에 수분과 외부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및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 등의 전기 배선공사는 콘크리트 벽체 등에 전선용 배관의 일부를 매몰시키고, 그 매몰된 전선용 배관(이하, 전선관이라 칭함)의 일측과 타측 단부를 벽체 외부로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시켜, 그 인출된 전선관 내부에 전선을 유입 배설되게 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건축용 배선공사에 이용되는 전선관은 주로 자유롭게 절곡이 가능한 플렉시블 전선관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전선관은 전선의 외부 간섭 및 충격으로 부터 전선을 보호하고, 전선으로 부터 발생되는 전자파 및 외부 전기적 장애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이에, 건축용 배선공사에 이용되고 있는 종래 플렉시블 전선관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주름관의 신장, 수축 및 휨 변형이 용이하도록 다수개로 분리된 다수개의 주름마디 부재를 필요한 길이만큼 다수 개로 엮음 결합 되게 하여 구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축용 플렉시블 전선관은 단순히 주름마디 부재의 연결관계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외부로 부터 수분이 닿을 경우 주름마디 연결 틈새를 통해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현상에 의해 누전 및 감전사고의 원인을 제공되게 하는 상당한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건축용 플렉시블 전선관은 단지 전선을 수용 보호되게 하여, 안정적인 배선 관계를 이루도록 한 것에 불과한 것일 뿐, 그 전선관 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은 전혀 구비하지 못한 것으로, 이에 외부로부터 필요에 따른 신장, 수축 및 휨 변형 등이 가해질 경우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6-0118407호(발명의 명칭 : 건축물용 방수 전선관)가 소개된 바 있다.
상술한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형상의 관체로 양측단은 내측으로 체결요부가 형성되되, 체결요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중심측 외주연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관형상유지볼과;
상기 관형상유지볼과 인접된 다른 관형상유지볼을 이음결합시키는 관체로 양단 외주연에는 패킹이 안착되는 패킹홈이 형성되어 상기 관형상유지볼의 체결요부에 안착되고, 체결공 연장선상에 볼트공이 형성되어 연결 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날개가 형성되며, 몸체는 신축요철부가 형성된 고무재 신축밴드와;
상기 관형상유지볼의 지름을 갖고 관형상유지볼과 상기 고무재 신축밴드를 감싸는 망체로, 선단이 상기 관형상유지볼의 고정홈에 위치되어 내주연에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 고무재 고정마감재에 의해 양단이 고정결합되는 신축그물보호망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곡률반경이 우수하여 건물 내부의 배선작업시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곡률반경을 우수하게 유도하는 고무재 신축밴드의 외측을 신축그물보호망을 통해 보호하므로 시공과정에서 고무재 신축밴드의 마찰 파손을 방지하여 방수기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더 최근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더 보완하고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02000호(발명의 명칭 : 건축물용 방수 전선관)가 소개된 바 있다.
상술한 고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체로 일측단은 상부외측으로 연장되고, 타측단은 하부내측으로 연장되어 그 각 선단에 면접요부가 형성되며, 면접요부에서 상부외측과 하부내측으로 각각 돌출된 다수개의 체결바가 형성되고, 체결바 선단에는 체결볼이 각각 형성되는 고무재체결링과;
원형링체로 일측면은 상기 고무재체결링 타측단의 면접요부에 안착되어 고무재체결링 타측단에서 하부내측으로 돌출된 다수개 체결볼과 체결바가 각각 삽입고정되는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내측체결링과;
원형링체로 타측면에는 상기 고무재체결링 일측단의 면접요부에 안착되어 고무재체결링 일측단에서 상부외측으로 돌출된 다수개 체결볼과 체결바가 각각 삽입고정되는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내측체결링의 외주연보다 큰 내주연을 갖는 외측체결링과;
일측단면이 S자형상인 링체로 상부내측에는 상기 외측체결링의 일측면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외측삽입요부가 형성되고, 하부내측에는 상기 내측체결링의 타측면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내측삽입요부가 형성되는 금속재연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양측단에 체결볼을 갖는 고무재체결링에 의해 내외측에 체결관이 체결고정된 상태에서 단면이 S형상인 금속재연결관에 의해서 연결접속되어 빗물 및 기타 생활하수 등에 대해 방수기능을 발휘하고, 이러한 방수기능에 의해 배선된 전선의 누전 및 그로 인한 감전사고 등의 원인을 원천적으로 해소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전선관에 필요에 따른 신장, 수축 및 휨 변형 등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이에 탄력적으로 대응되도록 하여 전선관이 쉽게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의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문헌 0001) (1)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6-0118407호) (문헌 0002) (2)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020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더 보완하고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좀더 긴밀한 방수와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보호가 필요로 되는 특정 구간대에 배선된 전기 및 통신 케이블의 외표면에 손쉽게 연결 설치할 수 있어, 실사용시 배선된 전기 및 통신 케이블의 외표면에 수분은 물론이고 외부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및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
(1)내주연에 패킹이 구비된 회동구멍과 반호형 수납실이 각각 마련되어 있고, 면접되는 부위에는 패킹링이 구비된 2조 1쌍의 반호체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볼커버;
상기 볼커버를 이루는 일측 반호체의 수납실 내에 설치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는 연결 볼트가 돌출 형성된 제 1동체;
상기 볼커버를 이루는 타측 반호체의 수납실 내에 설치가능하게 형성되고, 타측에는 너트공이 형성된 제 2동체; 및
상기 수납실의 정중앙에 설치되어 제 1, 제 2동체를 정위치시키는 탄성스프링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2)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동체는 절연플라스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좀더 긴밀한 방수와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보호가 필요로 되는 특정 구간대에 배선된 전기 및 통신 케이블의 외표면에 손쉽게 연결 설치할 수 있어, 실사용시 배선된 전기 및 통신 케이블의 외표면에 수분은 물론이고 외부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및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의 구성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의 결합 구성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의 단면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a, 4b는 본 발명인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종래 건축물용 방수 전선관의 체결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6은 또다른 종래 건축물용 방수 전선관의 체결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방수관(100)은 크게 상호간에 착탈 가능토록 전,후로 분할된 형태의 볼커버(110)와, 상기 볼커버(110)의 내측 전,후방에 개별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제 2동체(120a),(120b)와, 상기 제 1, 제 2동체(120a),(120b) 사이에 설치된 탄성스프링체(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볼커버(110)는 내주연에 패킹(111a)(111b)이 구비된 구멍(112a)(112b)과 반호형태의 수납실(113a)(113b)이 각각 마련되어 있고, 면접되는 부위에는 패킹링(114)이 구비된 2조 1쌍의 반호체(115a)(115b)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볼커버(110)는 도시된 예에서는 외형이 볼형체로 형상화 되어 있으나, 꼭 이러한 형상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사각 및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체와 타원체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1동체(120a)는 상기 볼커버(110)를 이루는 일측 반호체(115a)의 수납실(116a) 내에 설치 가능하게 형성되고, 전방에는 연결 볼트(122)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2동체(120b)는 상기 볼커버(110)를 이루는 타측 반호체(115b)의 수납실(116b) 내에 설치 가능하게 형성되고, 후방에는 너트공(12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 상기 탄성스프링체(130)는 수납실(113a)(113b)의 정중앙에 설치되어 제 1, 제 2동체(120a)(120)를 정위치시킬 수 있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 1, 제 2동체(120a),(120b)는 절연 플라스틱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설치 방법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도 4a, 4b는 본 발명인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는 방수에 취약한 지점. 즉, 지하 콘크리트 벽체 내에 매몰된 전선용 배관과 외부에 노출 배선되는 전기 및 통신 케이블(10) 구간에 추가 설치하여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으로, 수납실(113a)(113b) 내에 제 1, 제 2동체(120a)(120b)와 탄성스프링체(130)를 설치하여 조립된 볼커버(110)를 상술한 바와 같은 구간대에 배선되는 전기 및 통신 케이블(10)에 연속 반복적으로 끼움 체결하면 설치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체결은 먼저 끼움된 볼커버(110)의 후방에 위치한 제 2동체(120b)의 너트공(124)에 나중에 끼움되는 볼커버(110)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 1동체(120a)의 연결 볼트(122)를 회동시켜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설치가 이루어진 방수관(100)을 이루는 볼커버(110) 측으로 외부로 부터 수분과 외부 충격이 전달되어 올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차단 및 방호할 수 있으므로, 방수에 취약한 특정 지점에 배선된 전기 및 통신 케이블(10)이라 할지라도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및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방수관(100)은 볼커버(110)와 이 볼커버(110) 전,후방 내측에서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 제 1, 제 2동체(120a),(120b)에 의한 곡률반경이 우수하여 다양한 형태로 배선된 전기 및 통신 케이블(10)에 적용을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동체(120a),(120b)는 사이에 설치된 탄성스프링체(130)에 의해 탄지되어 수납실(113a)(113b) 내의 전,후방에 긴밀히 밀착 위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제 2동체(120a),(120b)는 볼커버(110)를 이루는 반호체(115a)(115b)의 구멍(112a)(112b) 내주연에 구비된 패킹(111a)(111b)에 긴밀히 맞닿는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설치과정에서 제 1, 제 2동체(120a),(120b)가 움직이게 되더라도 방수기능은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에서 개시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방수관
110 : 볼커버 111a,111b : 패킹
112a,112b : 구멍 113a,113b : 수납실
114 : 패킹링 115a,115b : 반호체
120a,120b :제 1, 제 2동체 122 : 연결 볼트
124 : 너트공
130 : 탄성스프링체

Claims (2)

  1. 내주연에 패킹이 구비된 회동구멍과 반호형 수납실이 각각 마련되어 있고, 면접되는 부위에는 패킹링이 구비된 2조 1쌍의 반호체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볼커버;
    상기 볼커버를 이루는 일측 반호체의 수납실 내에 설치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는 연결 볼트가 돌출 형성된 제 1동체;
    상기 볼커버를 이루는 타측 반호체의 수납실 내에 설치가능하게 형성되고, 타측에는 너트공이 형성된 제 2동체; 및
    상기 수납실의 정중앙에 설치되어 제 1, 제 2동체를 정위치시키는 탄성스프링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






  2. 삭제
KR1020150034724A 2015-03-13 2015-03-13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 KR101557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724A KR101557645B1 (ko) 2015-03-13 2015-03-13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724A KR101557645B1 (ko) 2015-03-13 2015-03-13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645B1 true KR101557645B1 (ko) 2015-10-06

Family

ID=5434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724A KR101557645B1 (ko) 2015-03-13 2015-03-13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6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874B1 (ko) 2020-02-25 2020-08-19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용 통신과 전기케이블 방수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295B1 (ko) 2005-08-30 2006-03-29 주식회사 이지건축 전기 전선보호관용 연결구 구조
KR101262797B1 (ko) 2013-02-12 2013-05-09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295B1 (ko) 2005-08-30 2006-03-29 주식회사 이지건축 전기 전선보호관용 연결구 구조
KR101262797B1 (ko) 2013-02-12 2013-05-09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874B1 (ko) 2020-02-25 2020-08-19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용 통신과 전기케이블 방수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4649T3 (es) Sistema para sellar dinámicamente un manguito de canalización a través del cual se extiende un tubo o cable
KR100659017B1 (ko) 건축용 방수 전선관
RU2015136334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способ защиты соединений труб и уплотнение для установки
KR101557645B1 (ko)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
KR100884331B1 (ko)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관 연결구조
KR101180466B1 (ko) 지중송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2338036B1 (ko) 지중배전용 파형관 삽입형 튜브 방수 구조체
KR100706785B1 (ko) 지중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KR101297594B1 (ko) 하수관 연결구
KR100678384B1 (ko) 건축용 고신축형 방수 전선관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0698474B1 (ko) 건축물용 방수 전선관
KR100709569B1 (ko) 건축물용 방수 전선관
JP3619879B2 (ja) 管継手部の構造
KR102018818B1 (ko) 삽입제한 및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경질 폴리염화비닐 관
KR101538045B1 (ko) 건축물용 전선관 방수구
KR100310659B1 (ko)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KR101328191B1 (ko) 관 연결구
KR100742198B1 (ko) 지중케이블 보호관
KR101000666B1 (ko) 확장돌기를 이용한 양방향 관연결구
KR100849527B1 (ko) 맨홀의 관 연결부재
KR102031765B1 (ko) 공동주택용 지하 매설 전선보호구
KR101217847B1 (ko) 지중 송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1797894B1 (ko)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조립체
KR101423758B1 (ko) 공동주택용 방수 전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