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121A -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121A
KR20040038121A KR1020020066995A KR20020066995A KR20040038121A KR 20040038121 A KR20040038121 A KR 20040038121A KR 1020020066995 A KR1020020066995 A KR 1020020066995A KR 20020066995 A KR20020066995 A KR 20020066995A KR 20040038121 A KR20040038121 A KR 20040038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joint
corrugated
sealing memb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20066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8121A/ko
Publication of KR2004003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12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관과 파형관의 이음부분을 연결하는 파형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형관과 파형관의 이음부분을 상호 연결함은 물론 밀봉기능을 수행하는 파형관의 연결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파형관의 이음부분에 각각의 고무패킹을 통해 덮혀씌워져 밀봉시키는 밀봉부재와; 밀봉부재의 둘레면에 덮혀씌어져 파형관의 이음부분을 고정함은 물론 그 양선단부에 각각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이음부재 및; 이음부재의 걸림돌기를 물어잡아 고정시키는 잠금부재로 이루어져, 파형관과 파형관의 이음부분이 밀봉부재와 고무패킹을 통해 밀봉되어 방수처리됨은 물론 이음부재를 통해 지지되어 뒤틀림이나 꺽임현상이 방지되므로, 파형관의 연결 및 분리에 따른 작업하중 및 작업공수가 절감됨은 물론 파형관 및 내장부품들의 유지보수에 따른 부대 비용이 절감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 {Device for connecting a connection part of corrugatde pipe}
본 발명은 파형관과 파형관의 이음부분을 연결하는 파형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형관의 연결구조를 변경하여 이음부분의 방수기능을 증대함은 물론 이음부분의 뒤틀림이나 꺽임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된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관은, 몸체에 연속으로 주름이 형성되어 온도 및 압력의 변화에 따라 신축하면서 내장부품들을 보호하는 관체로서, 이러한 파형관은 합성수지재질로 성형되고 전체길이가 한정된 상태이므로, 이음관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여 길이를 늘리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파형관의 이음방법으로는 공지에서와 같이, 파형관의 직경에 따라 예컨대, 파형관이 소경인 경우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이음관을 테이프로 감아 접속하는 방법과, 파형관이 대경인 경우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이음관을 보울트로 체결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따라서, 파형관과 파형관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파형관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던 마개를 벗기고 파형관에 감겨져 있는 철선을 풀어 정렬한 후 파형관의 연결부분에 이음관을 덮어 씌운 다음, 이음관의 틈새를 테이프로 감아 밀봉하거나 보울트로 고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지의 이음방법은 작업단계가 복잡하고 다단계로 이루어져 작업공수 및 작업하중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파형관의 이음개소가 외력에 의해 뒤틀리거나 꺽임현상이 발생되므로, 파형관의 내장부품들의 완벽한 포설이 어려움은 물론 방수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형관의 연결구조를 변경하여 이음부분의 방수기능을 증대함은 물론 이음부분의 뒤틀림이나 꺽임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된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형관과 파형관의 이음부분을 상호 연결함은 물론 밀봉기능을 수행하는 파형관의 연결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파형관의 이음부분에 각각의 고무패킹을 통해 덮혀씌워져 밀봉시키는 밀봉부재와; 밀봉부재의 둘레면에 덮혀씌어져 파형관의 이음부분을 고정함은 물론 그 양선단부에 각각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이음부재 및; 이음부재의 걸림돌기를 물어잡아 고정시키는 잠금부재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의 이음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의 이음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 시공장치의 구성부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00' : 파형관 200 : 밀봉부재
210.220 : 고무패킹 300 : 이음부재
310.320 : 걸림돌기 330 : 공간부
340 : 절결부 400 : 잠금부재
430 : 슬라이딩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의 이음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의 이음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 시공장치의 구성부품들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파형관(100)과 파형관(100')의 이음부분을 상호 연결함은 물론 밀봉기능을 수행하는 파형관의 연결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파형관(100.100')의 이음부분에 각각의 고무패킹(210.220)을 통해 덮혀씌워져 밀봉시키는 밀봉부재(200)와; 밀봉부재(200)의 둘레면에 덮혀씌어져 파형관(100.100')의 이음부분을 고정함은 물론 그 양선단부에 각각의 걸림돌기(310.320)가 형성된 이음부재(300) 및; 이음부재의 걸림돌기(310.320)를 물어잡아 고정시키는 잠금부재(4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중 파형관(100.100')는 그 둘레면에 연속적으로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면서 합성수지재질로 성형된 것으로서, 공지 기술과 기능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파형관(100.100')의 이음부분에 연결장치(10)가 장착된 것에 차이점이 포함된다.
그리고, 밀봉부재(200)는 파형관(100.100')의 이음부분에 고무패킹(210.220)을 통해 덮혀씌워지는 고무재질의 방수부재로서, 그 몸체중심부에 파형관의 각단부가 삽입되는 공간부(230)가 형성되면서 그 내벽에 파형관(100.100')의 볼록부와 동일한 크기 및 높이를 갖는 볼록돌기(2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무패킹(210.220)은 파형관(100.100')의 둘레면을 이루는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형관(100.100')의 오목부에 비해 약간 높은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음부재(300)는, 밀봉부재(200)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는 금속재질의 부재로서, 그 몸체중심부에 파형관(100.100')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공간부(330)가 형성되며, 그 몸체일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결부 (340)가 형성되면서, 절결부(340)에 그 양방향을 따라 외측방향을 향해 절곡되는 각각의 걸림돌기(310.3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밀봉부재(200)와 이음부재(300)는 그 전체길이를 동일하거나 또는 이음부재(300)의 전체길이를 약간 크게 형성하여, 밀봉부재(200)와 이음부재(300)의 접착력을 향상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잠금부재(400)는, 이음부재(300)의 걸림돌기(310.320)를 물어잡아 고정하는 부재로서, 그 몸체중심부에 걸림돌기(310.320)가 미끄럼이동하는 슬라이딩홈(430)이 형성되면서, 슬라이딩홈(430)의 내벽양측부에 걸림돌기(310.320)가 각각 끼워지는 각각의 삽입홈(410.420)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10)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파형관(100, 100')의 선단부에 씌워져 있던 마개(미도시)를 벗긴 다음, 파형관에 감겨져 있던 철선을 풀어 가지런히 정리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이어서, 파형관(100)과 파형관(100')의 둘레면에 형성되어있는 오목홈에 각각의 고무패킹(210.220)을 장착하고 파형관(100.100')의 이음부분에 밀봉부재(200)를 덮어 씌우면, 파형관(100.100')의 이음부분이 밀봉부재(200)에 의해 연결되는 과정에서 고무패킹(210.220)을 통해 밀봉된다.
이어서, 밀봉부재(20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 다음, 밀봉부재(200)의 둘레면에 이음부재(300)를 맞대고 오무리게 되면, 이음부재(300)가 밀봉부재(200)와 면접촉되면서, 이음부재(300)의 몸체양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던 걸림돌기(310.320)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위치한다.
그런 다음, 이음부재(300)의 걸림돌기(310.320)를 별도의 조임공구(미도시)로 조이면서, 잠금부재(400)를 걸림돌기(310.320)에 맞대고 측방향으로 밀면, 잠금부재(400)의 슬라이딩홈(430)을 따라 걸림돌기(310.320)가 미끄럼이동하면서 삽입홈(410.420)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하면, 파형관(100)과 파형관(100')의 이음부분이 밀봉부재(200)의 고무패킹(210.220)을 통해 밀봉되어 방수처리됨과 더불어 이음부재(300)을 통해 지지되어 뒤틀림이나 꺽임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에 의하면, 파형관과 파형관의 이음부분이 밀봉부재와 고무패킹을 통해 밀봉되어 방수처리됨은 물론 이음부재를 통해 지지되어 뒤틀림이나 꺽임현상이 방지되므로, 파형관의 연결 및 분리에 따른 작업하중 및 작업공수가 절감됨은 물론 파형관 및 내장부품들의 유지보수에 따른 부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파형관(100)과 파형관(100')의 이음부분을 상호 연결함은 물론 밀봉기능을 수행하는 파형관의 연결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파형관(100.100')의 이음부분에 각각의 고무패킹(210.220)을 통해 덮혀씌워진 밀봉부재(200)와; 밀봉부재(200)의 둘레면에 덮혀씌어져 파형관(100.100')의 이음부분을 고정함과 더불어 그 몸체의 양선단부에 각각의 걸림돌기(310.320)가 형성된 이음부재(300) 및; 이음부재(300)의 걸림돌기(310.320)를 물어잡아 고정시키는 잠금부재(4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잠금부재(400)는, 그 내부공간에 걸림돌기(310.320)가 미끄럼이동하는 슬라이딩홈(430)이 형성되면서, 슬라이딩홈(430)의 내벽양측에 걸림돌기(310.320)가 각각의 삽입홈(410.4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
KR1020020066995A 2002-10-31 2002-10-31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 KR20040038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995A KR20040038121A (ko) 2002-10-31 2002-10-31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995A KR20040038121A (ko) 2002-10-31 2002-10-31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121A true KR20040038121A (ko) 2004-05-08

Family

ID=3733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995A KR20040038121A (ko) 2002-10-31 2002-10-31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81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078B1 (ko) * 2007-11-09 2008-06-04 서명호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2211987B1 (ko) * 2020-08-19 2021-02-04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파형관 hm 수밀밴드 및 이를 이용한 파형관 연결구조
KR20220021146A (ko) * 2020-08-13 2022-02-22 (주)서해금속산업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673A (ja) * 1998-10-27 2000-05-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波付き管用管継手
KR20000009786U (ko) * 1998-11-07 2000-06-05 김명대 파형전선관의 연결장치
KR200234951Y1 (ko) * 2001-03-28 2001-10-18 이주형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673A (ja) * 1998-10-27 2000-05-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波付き管用管継手
KR20000009786U (ko) * 1998-11-07 2000-06-05 김명대 파형전선관의 연결장치
KR200234951Y1 (ko) * 2001-03-28 2001-10-18 이주형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078B1 (ko) * 2007-11-09 2008-06-04 서명호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220021146A (ko) * 2020-08-13 2022-02-22 (주)서해금속산업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
KR102211987B1 (ko) * 2020-08-19 2021-02-04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파형관 hm 수밀밴드 및 이를 이용한 파형관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0005A (en) Method and device for coupling pipes
US5104159A (en) Threadless coupling for pipes and an air-tight inner cylinder therefor
KR20040038121A (ko)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
KR200234951Y1 (ko)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KR100540783B1 (ko) 배관용 연결구
KR200146812Y1 (ko) 가요 전선관용 커넥터
KR960009117Y1 (ko) 관연결구
JP2627485B2 (ja) フレキシブル管継手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KR200342279Y1 (ko) 자켓 커버와 자켓 압축판을 이용한 하수관 이음 구조
JPH05118484A (ja) ダクト用挿入継手
KR200265488Y1 (ko)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조
KR100213407B1 (ko) 관 이음구
JP5461911B2 (ja) 連結バンド及び管用栓ユニット
KR200402964Y1 (ko) 파이프 결합장치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300312Y1 (ko) 관의 클램프 밴드식 연결구조
JP5779672B2 (ja) 栓部材
KR100313235B1 (ko)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KR950005532Y1 (ko) 흄관 연결구
RU6594U1 (ru) Не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JP3856890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クロージャ
JPH1014071A (ja) 地中配線用管路ブロックとその接続構造
KR970005209B1 (ko) 관 이음쇠
KR950002946Y1 (ko) 와이어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