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489B1 -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 - Google Patents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489B1
KR101117489B1 KR1020100016869A KR20100016869A KR101117489B1 KR 101117489 B1 KR101117489 B1 KR 101117489B1 KR 1020100016869 A KR1020100016869 A KR 1020100016869A KR 20100016869 A KR20100016869 A KR 20100016869A KR 101117489 B1 KR101117489 B1 KR 101117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ble protection
protection tube
tube
protectiv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7171A (ko
Inventor
서영곤
Original Assignee
하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6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489B1/ko
Publication of KR2011009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02G9/065Longitudinally split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63Joints for corrugated pipes with two corrugated pipe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6Corrug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인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은,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에 케이블이 내삽되어 케이블을 보호하고 외면부가 파(波)형으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의 후단에 케이블보호관의 외경이 인입되어 체결되는 내경을 갖는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케이블보호관과 케이블보호관의 연결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의 단축에 의한 작업효율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보호관과 케이블보호관을 연결하는 커플러가 구성되지 않음에 따라 설치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보호관(10)의 외면은 파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보호관(10)의 후단에는 파형으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10)의 선단 외경(a)이 인입되어 체결되도록 케이블보호관(10)의 선단 외경(a)과 동일한 내경(a')을 갖고 파형의 내면으로 형성되는 결합부(11)가 상기 케이블보호관(10)과 일체로 더 연장형성되어, 상기 케이블보호관(1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11)의 파형 내면에 다른 케이블보호관(10a)의 파형 외면 선단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CABLE SAFETY-PIPE WITH ONE BODY TYPE UNION PAR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전선 등의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波)형으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의 후단에 케이블보호관의 외경이 인입되어 체결되는 내경을 갖는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케이블보호관과 케이블보호관의 연결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의 단축에 의한 작업효율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보호관과 케이블보호관을 연결하는 커플러가 구성되지 않음에 따라 설치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신호나 전원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케이블은 철탑이나 전주를 통하여 지상에 설치되기도 하지만, 지중(땅속)에도 케이블이 묻히게 되어 일측 장소에서 다른 장소까지 신호나 전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을 지중에 매설할 경우 케이블의 보호를 위해 케이블이 인입되어 케이블의 외부가 포설되도록 하는 케이블보호관이 지중에 매설되어 있으며, 이러한 케이블보호관은 대개 외면이 파(波)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커플러와의 결합성 향상과 함께 지중에서의 휘어짐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지중에 케이블보호관에 의해 보호되는 케이블을 시공하는 방식을 관로식이라고 하며, 관로식은 파형의 케이블보호관을 사용하여 관로를 구성한 후 케이블을 부설(敷設)하는 방식으로써, 일정 거리의 관로 양끝에는 맨홀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설치하고 접속한다.
이러한, 관로식 공사에 사용되는 관로의 전체 길이가 약 200m 정도이기 때문에, 케이블보호관을 관로의 전체길이만큼 연결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30m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을 여러 개 연결하여 관로 전체 길이에 대하여 케이블보호관을 설치하는 것으로, 이 때 케이블보호관(1)과 또 다른 케이블보호관(2)을 연결하기 위해 커플러(3)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약 200m의 관로에 케이블보호관을 연결하여 설치하기 위해서는 30m 정도의 길이를 갖는 케이블보호관 7개와 이들을 연결하는 커플러 6개가 필요로 하게 되어 이 커플러 6개를 이용하여 케이블보호관 7개를 연결함으로써 관로에 케이블보호관의 설치를 완료한다.
그러나, 7개의 케이블보호관을 커플러 6개를 이용하여 일일이 연결함에 있어서, 작업시간이 지연됨은 물론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더욱이, 케이블보호관(1)과 또 다른 케이블보호관(2)을 커플러(3)의 내부 양측에 각각 인입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수단(4)을 이용하여 상기 커플러(3)를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지연됨은 물론 커플러와 체결수단이 더 구성되어야 함으로써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추가로 발생된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11686호인 일체형 케이블 보호관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관에는 케이블이 배치되는 다수의 삽입 구멍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삽입 구멍을 일치시키도록 케이블 보호관들을 연결시키는 정위치 맞춤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위치 맞춤 수단은 상기 케이블 보호관의 일측에 형성되는 맞춤 홈과 케이블 보호관의 타측에 형성되어 다른 케이블 보호관의 맞춤 홈에 끼워지는 맞춤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케이블보호관과 다른 케이블보호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맞춤홈과 맞춤돌기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커플러 없이도 케이블보호관을 연결하도록 하고 있으나, 케이블보호관에 맞춤홈과 맞춤돌기를 형성하기 위해서 부득이하게 케이블보호관의 내부에 케이블이 배치되는 다수의 삽입구멍을 추가로 통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케이블보호관을 제작할 때 발생되는 비용이 크게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내부가 중공된 형상이 아니라 내부가 완전히 막힌 상태에서 다수의 케이블 삽입구멍을 더 형성함으로써 케이블보호관 하나의 중량이 크게 늘어나게 되어 케이블보호관을 운반하기에 어렵고 작업자가 케이블보호관을 서로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74262호인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나선형 홈이 외면을 따라 형성되며 내부에 케이블 또는 수용관을 수용하는 두 개의 보호관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의 나선형 홈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를 각각 갖추고 있으며, 서로 협동하여 두 개의 보호관의 연결부를 감쌀 수 있도록 서로 분할되는 제 1 및 제 2분할몸체와, 상기 제 1 및 제 2분할몸체가 상기 보호관 연결부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분할몸체와 제 2분할몸체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수단과, 상기 보호관의 연결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보호관과 상기 제 1분할몸체, 상기 보호관과 상기 제 2분할 몸체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키는 밀봉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케이블보호관을 연결하는 연결구로서,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는 케이블보호관과 또 다른 케이블보호관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2개의 케이블보호관을 연결할 때 상기 연결구가 사용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커플러를 이용한 케이블보호관의 연결에 따른 문제점을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전선 등의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보호관을 연결하여 설치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파(波)형으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의 후단에 케이블보호관의 외경이 인입되어 체결되는 내경을 갖는 결합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케이블보호관의 후단에 형성된 결합부의 내측으로 다른 케이블보호관의 선단부가 인입되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연결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의 단축에 의한 작업효율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보호관과 케이블보호관을 연결하는 커플러가 구성되지 않음에 따라 설치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은,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보호관(10)의 외면은 파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보호관(10)의 후단에는 파형으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10)의 선단 외경(a)이 인입되어 체결되도록 케이블보호관(10)의 선단 외경(a)과 동일한 내경(a')을 갖고 파형의 내면으로 형성되는 결합부(11)가 상기 케이블보호관(10)과 일체로 더 연장형성되어, 상기 케이블보호관(1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11)의 파형 내면에 다른 케이블보호관(10a)의 파형 외면 선단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인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은,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에 케이블이 내삽되어 케이블을 보호하고 외면부가 파(波)형으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의 후단에 케이블보호관의 외경이 인입되어 체결되는 내경을 갖는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케이블보호관과 케이블보호관의 연결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의 단축에 의한 작업효율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보호관과 케이블보호관을 연결하는 커플러가 구성되지 않음에 따라 설치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1a는 종래 케이블보호관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1b는 종래 케이블보호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인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인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들이 연결된 내부에 와어이연결뭉치가 관통되는 상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은, 외면이 파형으로 형성되고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보호관(10)의 후단에는 케이블보호관(10)의 선단 외경(a)이 인입되어 체결되도록 케이블보호관(10)의 선단 외경(a)과 동일한 내경(a')을 갖는 결합부(11)가 더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은, 상기 결합부(11)가 케이블보호관(10)의 후단측에 이 케이블보호관(10)과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케이블보호관(10)을 성형할 때 결합부(11)가 같이 성형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11)의 내경(a')은, 상기 케이블보호관(10)의 선단 외경(a)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보호관(10)과 또 다른 케이블보호관(10a)을 연결할 때, 상기 케이블보호관(1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11)의 내측으로 상기 또 다른 케이블보호관(10a)의 선단측이 인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케이블보호관(10)과 또 다른 케이블보호관(10a)은, 그 외면이 전체적으로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케이블보호관(10)의 결합부(11)의 내측과 또 다른 케이블보호관(10a)의 선단은 나사체결방식으로 견고하게 체결된다.
이와 같이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에 케이블보호관을 연결하여 설치함에 있어서, 케이블보호관(1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11)와 또 다른 케이블보호관(10a)의 선단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다수의 케이블보호관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더욱이, 케이블보호관(1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11)에 또 다른 케이블보호관(10a)의 선단이 인입되어 체결됨으로써 다수의 케이블보호관의 연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커플러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치 않음으로써 케이블보호관을 설치 시공할 때 발생되는 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어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보호관(10)의 후단에 형성된 결합부(11)에 다른 케이블보호관(10a)의 선단이 인입되어 체결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케이블보호관(10)이 설치된 케이블보호관(10)들의 내부를 관통하여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다수의 케이블보호관(10)들 중 선측에 위치되는 케이블보호관(10b)의 내부로 인입되어 가장 후측에 위치되는 케이블보호관(10c)의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 연결뭉치(20)와, 상기 와이어 연결뭉치(20)를 불어주어 상기 와이어 연결뭉치(20)가 다수의 케이블보호관(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하는 콤프레셔송풍부(3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와이어 연결뭉치(20)의 선단에는 다수의 케이블보호관(10)의 내부를 감시하는 감시카메라(4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연결되는 케이블보호관들의 내부측으로 전선과 같은 케이블을 설치함에 있어서, 다수개 연결된 케이블보호관들 중 선측에 위치되는 케이블보호관(10b)측으로 상기 와이어 연결뭉치(20)를 인입한 다음, 상기 콤프레셔송풍부(30)를 강하게 불어 상기 와이어 연결뭉치(20)가 가장 후측에 위치되는 케이블보호관(10c)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을 케이블보호관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 연결뭉치(20)에는 케이블을 연결하는 와이어(21)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연결뭉치(20)가 상기 다수개 연결 구성된 케이블보호관들 중 가장 후측에 위치된 케이블보호관(10c)의 외측으로 인출되면, 상기 와이어 연결뭉치(20)에 연결된 와이어(21)의 끝단에 설치하고자 하는 케이블을 연결한 다음, 케이블을 상기 선측의 케이블보호관(10b)의 내측에서 상기 후측의 케이블보호관(10c)측으로 끌어내어 케이블을 다수개 설치된 케이블보호관의 내부에 설치하면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연결뭉치(20)에 더 구성된 감시카메라(40)를 통해 상기 와이어 연결뭉치(20)가 콤프레셔송풍부(30)를 통해 불어져 다수개 설치된 케이블보호관의 내부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다수개 설치된 케이블보호관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음으로써 감시카메라(40)를 통해 촬영된 촬영 동영상을 이용하여 연결 설치된 다수의 케이블보호관의 내부에 대한 검사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10a, 10b, 10c : 케이블보호관
11 : 결합부
20 : 연결뭉치 30 : 콤프레셔송풍부
40 : 감시카메라
a : 케이블보호관 선단외경
a' : 케이블보호관 결합부 내경

Claims (3)

  1.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보호관(10)의 외면은 파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보호관(10)의 후단에는 파형으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10)의 선단 외경(a)이 인입되어 체결되도록 케이블보호관(10)의 선단 외경(a)과 동일한 내경(a')을 갖고 파형의 내면으로 형성되는 결합부(11)가 상기 케이블보호관(10)과 일체로 더 연장형성되어,
    상기 케이블보호관(1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11)의 파형 내면에 다른 케이블보호관(10a)의 파형 외면 선단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
  2. 삭제
  3. 삭제
KR1020100016869A 2010-02-24 2010-02-24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 KR101117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869A KR101117489B1 (ko) 2010-02-24 2010-02-24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869A KR101117489B1 (ko) 2010-02-24 2010-02-24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171A KR20110097171A (ko) 2011-08-31
KR101117489B1 true KR101117489B1 (ko) 2012-02-27

Family

ID=4493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869A KR101117489B1 (ko) 2010-02-24 2010-02-24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0504A (ja) * 2017-11-16 2019-06-13 宇部樹脂加工株式会社 保護カバ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765A (ja) * 1998-03-19 1999-10-05 Shigeki Kanao 波形管
JP2002315128A (ja) * 2001-04-06 2002-10-25 Mitsubishi Cable Ind Ltd 通線具およびケーブルの布設方法
KR200313859Y1 (ko) * 2003-01-14 2003-05-22 김정환 융착 칼라 피이 관
KR200344560Y1 (ko) * 2003-10-09 2004-03-11 주식회사 코리아테크놀리지 플라스틱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765A (ja) * 1998-03-19 1999-10-05 Shigeki Kanao 波形管
JP2002315128A (ja) * 2001-04-06 2002-10-25 Mitsubishi Cable Ind Ltd 通線具およびケーブルの布設方法
KR200313859Y1 (ko) * 2003-01-14 2003-05-22 김정환 융착 칼라 피이 관
KR200344560Y1 (ko) * 2003-10-09 2004-03-11 주식회사 코리아테크놀리지 플라스틱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171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18916A1 (en) Fiber optic pulling grip assembly
CN205826927U (zh) 室内外综合布线ftth光纤接续盒
KR101117489B1 (ko)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
KR101491008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JP5619541B2 (ja) 多心メタルケーブルの接続構造、多心メタルケーブルの接続方法、鉄道信号用多心メタルケーブル、鉄道信号用ケーブル分岐アダプタ
JP5097736B2 (ja)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用けん引端部
JP4919646B2 (ja) マンホール構造及びケーブル敷設方法
JP2011059607A (ja) 光配線方法および光配線システム
RU187923U9 (ru) Труба для прокладки кабельной линии с защитой оболочки кабеля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повреждений на концевых участках
CN210572922U (zh) 一种预制光缆
KR102015616B1 (ko) 광 신호 전송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0362205B1 (ko) 포설용 케이블
CN219957940U (zh) 一种光纤复合电缆的光缆端头保护结构
CN100511893C (zh) 钢质薄壁穿线管及其配件
KR200439820Y1 (ko) 케이블 보호관
JP3815714B2 (ja) 信号線敷設方法
CN215835113U (zh) 一种通信线路用绝缘套
CN216959153U (zh) 井下缆线固定防护装置
CN203289056U (zh) 110kV电缆中间接头附件
CN209860169U (zh) 一种双钢丝不锈钢钢管电缆连接器
KR20170076261A (ko) 체결부가 일체로 구비된 케이블보호관
KR20110032699A (ko) 동일한 구조의 서브 보호관들을 사용하는 케이블 보호관
CN210016204U (zh) 室内电力系统布线结构及其布线装置
CN205646758U (zh) 一种可延长双拼接电缆中间接头结构
JP4369942B2 (ja) ケーブル用配管システム及びケーブル配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