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602B1 -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602B1
KR100960602B1 KR1020090058903A KR20090058903A KR100960602B1 KR 100960602 B1 KR100960602 B1 KR 100960602B1 KR 1020090058903 A KR1020090058903 A KR 1020090058903A KR 20090058903 A KR20090058903 A KR 20090058903A KR 100960602 B1 KR100960602 B1 KR 100960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ipe
ring
resin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식 김
Original Assignee
대연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연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연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8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한쪽 단 부에는 제1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고 다른 쪽 단 부에는 제2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한쪽 단 부 외주 면을 따라 단턱 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 단 부에는 상기 제2 합성수지관이 연결되는 중공 체의 이음관;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외주 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되는 절개 링; 상기 절개 링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외주 면에 끼워지며, 상기 이음관의 한쪽 단 부 내주 면에 접촉되는 밀착 링;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외주 면에 끼워지고 외곽에 볼트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 링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상기 밀착 링을 지지하는 환상의 지지 브래킷; 일단 부는 상기 단턱 부에 접촉되고 타단 부는 상기 볼트 홀에 삽입되는 볼트; 및 상기 단턱 부와 상기 지지 브래킷 사이에 위치한 상기 밀착 링을 압착하도록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합성수지관 연결, 밀착 링, 지지 브래킷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plastic pipe}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두개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 등과 같은 기체나, 상 하수 등의 유체를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파이프)이 사용되는데, 관은 재질이나 형상 내지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뉘게 된다. 특히, 상 하수와 같은 유체의 이송을 위한 관으로는 경량이면서 강성이 양호한 합성수지관을 많이 사용한다.
합성수지관을 목적지까지 연결하기 위해서는 매우 길이가 길어야 하는데, 그 길이에 맞추어 생산하기는 불가능하므로 일정길이로 생산된 합성수지관은 그 양단에 각각 연결부를 형성하여 기밀성이 유지되게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 합성수지관들의 연결방식에 대한 기술이 많이 선출원 되어 있는데, 대부분 합성수지관의 양단에 암부와 수부를 각각 설치하고,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관 암부에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관의 수부를 기밀성 있게 체결하는 방식이었다.
실용신안등록 제164483호에 개시된 "이중 관의 결합장치"는, 합성수지관의 일 측 단 부에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관의 단 부를 수용하는 제1 결합 구와, 합성수지관의 타 단에 서로 이웃하는 합성수지관의 제1 결합 구로 삽입되는 제2 결합 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종래 이중 관의 결합장치는 관 내부에 고압의 유체가 흐를 때 합성수지관의 이음 부위가 점차 벌어지는 취약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가 누출되거나 심지어 파손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관 내부에 고압의 유체가 흐를 때 발생하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밀착 링을 절개 링과 지지 브래킷 사이에서 압축 탄성 변형시켜서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의 연결부위를 좀더 견고하게 할 수 있어 유체의 높은 압력에 의한 연결부위의 파손이나 유체 누출(漏出)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한쪽 단 부에는 제1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고 다른 쪽 단 부에는 제2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한쪽 단 부 외주 면을 따라 단턱 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 단 부에는 상기 제2 합성수지관이 연결되는 중공 체의 이음관;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외주 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되는 절개 링; 상기 절개 링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외주 면에 끼워지며, 상기 이음관의 한쪽 단 부 내주 면에 접촉되는 밀착 링;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외주 면에 끼워지고 외곽에 볼트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 링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상기 밀착 링을 지지하는 환상의 지지 브래킷; 일단 부는 상기 단턱 부에 접촉되고 타단 부는 상기 볼트 홀에 삽입되는 볼트; 및 상기 단턱 부와 상기 지지 브래킷 사이에 위치한 상기 밀착 링을 압착하도록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이음관의 다른 쪽 단 부에는 열 융착 부에 의해서 상기 제2 합성수지관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열 융착 부는 상기 이음관의 다른 쪽 단 부 내주 면을 따라 설치되는 열선과, 상기 열선과 연결되며 상기 이음관의 다른 쪽 단 부 외주 면에 설치되는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 융착 부는 내주 면에 열선이 형성되고 외주 면에 단자가 형성된 열융착 시트일 수 있다.
상기 이음관의 다른 쪽 단 부에는 맞대기 용접에 의해서 상기 제2 합성수지관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볼트는 "ㄱ"자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턱 부에 접촉되는 볼트 몸체와 상기 볼트 몸체로부터 90도 절곡 형성되어 상기 볼트 홀에 삽입되는 나사 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 몸체와 접촉되는 위치의 상기 단턱 부에는 금속 편이 인서트 사출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한쪽 단 부 내주 면을 따라 밀착링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링 삽입 홈 안에 상기 밀착 링이 끼워진다.
상기 밀착 링은 상기 밀착링 삽입 홈 안에 삽입되는 삽입 부와, 상기 지지 브래킷의 가압 부와 접촉되는 접촉 부로 구성되며, 상기 접촉 부의 높이는 상기 가 압 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합성수지관과 상기 제2 합성수지관의 내부에 고압의 유체가 흐를 때 상기 밀착 링은 상기 절개 링과 상기 지지 브래킷 사이에서 압축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제1 합성수지관과 상기 이음관이 연결된다.
상기 이음관의 내주 면에는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연결방법은 제1 합성수지관과 제2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합성수지관 연결방법에 있어서, 양단 부가 개구되며, 한쪽 단 부 외주 면에 단턱 부가 형성된 이음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한쪽 단 부 외주 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 홈에 절개 링을 끼우는 단계;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한쪽 단 부를 상기 이음관의 한쪽 단 부 개구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절개 링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이음관의 한쪽 단 부 내주 면에 접촉되도록 밀착 링을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한쪽 단 부 외주 면에 끼우는 단계; 상기 밀착 링을 지지하도록 지지 브래킷을 상기 절개 링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한쪽 단 부 외주 면에 끼우는 단계; 볼트의 일단 부를 상기 단턱 부에 접촉시키고 상기 볼트의 타단 부를 상기 지지 브래킷의 볼트 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볼트의 끝단 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단턱 부와 상기 지지 브래킷 사이에 위치한 상기 밀착 링을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이음관의 다른 쪽에 제2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음관의 다른 쪽에 제2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단계에서는, 열 융착 부, 열 융착 시트 또는 맞대기 용접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상기 제2 합성수지관을 연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내부에 고압의 유체가 흐를 때 발생하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밀착 링을 절개 링과 지지 브래킷 사이에서 압축 탄성 변형시켜서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의 연결부위를 좀더 견고하게 할 수 있어 유체의 높은 압력에 의한 연결부위의 파손이나 유체 누출(漏出)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보인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밀착 링의 접촉 부 높이와 지지 브래킷의 가압 부 높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100)는 한쪽 단 부에 제1 합성수지관(1)을 연결하고 다른 쪽 단 부에 제2 합성수지관(1')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100)는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을 연결하기 위하여 한쪽 단 부 외주 면을 따라 단턱 부(111)가 형성되고, 다른 쪽 단 부에는 상기 제2 합성수지관(1')이 연결되는 중공 체의 이음관(110);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의 외주 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 홈(1a)에 삽입되는 절개 링(120); 상기 절개 링(12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의 외주 면에 끼워지며, 상기 이음관(110)의 한쪽 단 부 내주 면에 접촉되는 밀착 링(130);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의 외주 면에 끼워지고 외곽에 볼트 홀(141)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 링(120)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상기 밀착 링(130)을 지지하는 환상의 지지 브래킷(140); 일단 부는 상기 단턱 부(111)에 접촉되고 타단 부는 상기 볼트 홀(141)에 삽입되는 볼트(150); 및 상기 단턱 부(111)와 상기 지지 브래킷(140) 사이에 위치한 상기 밀착 링(130)을 압착하도록 상기 볼트(150)에 체결되는 너트(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100)의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이음관(110)은 그 한쪽 단 부에 제1 합성수지관(1)을 연결하고 그 다른 쪽 단 부에 제2 합성수지관(1')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공 체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이음관(110)은 합성수지 재질, 일례로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되며, 제2 합성수지관(1')이 연결되는 부위는 균일 직경으로 형성되고 제1 합성수지관(1)이 연결되는 부위는 직경이 다단(多段)으로 점차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이음관(110)의 한쪽 단 부 외주 면을 따라 단턱 부(1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이음관(110)의 내주 면에는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13)가 상기 이음관(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13)는 상기 이음관(110) 안으로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을 삽입할 때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이 정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개 링(120)은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의 외주 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 홈(1a)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 홈(1a)에 탄력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중간 부분이 절개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절개 링(120)은 강도 등을 고려하여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 링(130)은 러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 링(12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의 외주 면에 끼워진다. 상기 밀착 링(130)은 상기 이음관(110)의 한쪽 단 부 내주 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이음관(110)의 한쪽 단 부 내주 면을 따라 밀착링 삽입 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링 삽입 홈(115) 안에 상기 밀착 링(130)이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밀착 링(130)은 상기 밀착 링 삽입 홈(115) 안에 삽입되는 삽입 부(131)와, 상기 지지 브래킷(140)의 가압 부(140a)와 접촉되는 접촉 부(133)로 구성될 수 있는바, 상기 접촉 부(133)의 높이(H)는 상기 가압 부(140a)의 높이(h)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상기 밀착 링(130)은 밀착 링 삽입 홈(115)안에 끼워지게 된다. 즉, 삽입 부(131)는 물론이고 접촉 부(133)의 전 체 또는 일부가 밀착링 삽입 홈(115)안에 끼워지게 된다. 즉, 앞서 언급한 상기 접촉 부(133)의 높이(H)가 상기 가압 부(140a)의 높이(h)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은, 상기 가압 부(140a)의 높이보다 밀착 링(130)이 끼워지는 단턱부(111)의 공간 높이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접촉 부(133)의 높이(H)가 상기 가압 부(140a)의 높이(h)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고압의 유체가 제1 및 제2 합성수지관(1)(1') 내부를 흐를 때 지지 브래킷(140)이 밀착 링(130)을 더 압착하는 효과가 있어 상기 이음관(110)과 제1 합성수지관(1)이 좀더 견고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합성수지관(1)과 상기 제2 합성수지관(1')의 내부에 고압의 유체가 흐를 때 상기 밀착 링(130)은 상기 절개 링(120)과 상기 지지 브래킷(140) 사이에서 압축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 합성수지관(1)과 상기 이음관(110)을 견고하게 연결한다.
상기 지지 브래킷(140)은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의 외주 면에 끼워지고 외곽에 볼트 홀(14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 브래킷(140)은 상기 절개 링(120)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상기 밀착 링(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볼트(150)는 "ㄱ"자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턱 부(111)에 접촉되는 볼트 몸체(151)와 상기 볼트 몸체(151)로부터 90°절곡 형성되어 상기 볼트 홀(141)에 삽입되는 나사 부(153)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 몸체(151)와 접촉되는 위치의 상기 단턱 부(111)에 금속 편(117)이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단턱 부(111)에 금속 편(117)이 인 서트 사출 성형될 경우 상기 볼트 몸체(151)와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단턱 부(111)가 손상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너트(160)는 상기 단턱 부(111)와 상기 지지 브래킷(140) 사이에 위치한 상기 밀착 링(130)을 압착하도록 상기 볼트(150)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음관(110)의 다른 쪽 단 부에는 열 융착 부(170)에 의해서 상기 제2 합성수지관(1')이 연결될 수 있는바, 상기 열 융착 부(170)는 상기 이음관(110)의 다른 쪽 단 부 내주 면을 따라 설치되는 열선(171)과, 상기 열선(171)과 연결되며 상기 이음관(110)의 다른 쪽 단 부 외주 면에 설치되는 단자(17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열 융착 부의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열 융착 부의 변형 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융착 부의 변형 예로는 내주 면에 열선(271)이 형성되고 외주 면에 단자(272)가 형성된 열융착 시트 부재(27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융착 시트 부재(270)는 단자(272)에 전류가 공급되면 열선(271)이 발열하여 열융착 시트 부재(270)가 용융하면서 상기 이음관(110)과 제2 합성수지 관(1')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융착 시트 부재(270)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열 융착 부의 다른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열 융착 부의 다른 변형 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융착 부의 다른 변형 예로는 이음관(110)의 다른 쪽 단 부에 맞대기 용접(370)에 의해서 상기 제2 합성수지관(1')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합성수지관(1)(1') 내부에 고압의 유체가 흐르면,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은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이 화살표 방향으로 약간 밀리게 된다. 지지 브래킷(140)이 밀착 링(130)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합성수지관(1)과 함께 절개링(120)도 후방으로 밀리면서 밀착 링(130)을 압축하게 된다. 이때 밀착 링(130)은 탄성 변형되면서 이음관(110)의 내벽 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1 합성수지관(1)과 상기 이음관(110)을 좀더 견고하게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방법은 양단 부가 개구되며, 한쪽 단 부 외주 면에 단턱 부(111)가 형성된 이음관(110)을 준비하는 단계(S110); 제1 합성수지관(1)의 한쪽 단 부 외주 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 홈(1a)에 절개 링(120)을 끼우는 단계(S120);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의 한쪽 단 부를 상기 이음관(110)의 한쪽 단 부 개구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S130); 상기 절개 링(12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이음관(110)의 한쪽 단 부 내주 면에 접촉되도록 밀착 링(130)을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의 한쪽 단 부 외주 면에 끼우는 단계(S140); 상기 밀착 링(130)을 지지하도록 지지 브래킷(140)을 상기 절개 링(120)의 반대쪽에 위치토록 하여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의 한쪽 단 부 외주 면에 끼우는 단계(S150); 볼트(150)의 일단 부를 상기 단턱 부(111)에 접촉시키고 상기 볼트(150)의 타단 부를 상기 지지 브래킷(140)의 볼트 홀(141)에 삽입하는 단계(S160); 상기 볼트(150)의 끝단 부에 너트(160)를 체결하여 상기 단턱 부(111)와 상기 지지 브래킷(140) 사이에 위치한 상기 밀착 링(130)을 압착하는 단계(S170); 및 상기 이음관(110)의 다른 쪽에 제2 합성수지관(1')을 연결하는 단계(S180);를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양단 부가 개구되며 한쪽 단 부 외주 면에 단턱 부(111)가 형성된 이음관(110)을 준비한 후(S110),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의 한쪽 단 부 외주 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 홈(1a)에 절개 링(120)을 끼우게 되는데, 여기서 절개 링(120)의 절개부분을 이용하여 절개 링(120)을 살짝 벌리면서 삽입 홈(1a)에 쉽게 끼울 수 있다(S120). 상기 절개링(120)이 끼워진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의 한쪽 단 부를 상기 이음관(110)의 한쪽 단 부 개구 안으로 삽입한다(S130). 이때 상기 이음관(110)의 한쪽 단 부 내주 면을 따라 밀착링 삽입 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링 삽입 홈(115) 안에 상기 밀착 링(130)을 끼운다. 즉, 상기 절개 링(12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이음관(110)의 한쪽 단 부 내주 면에 접촉되도록 밀착 링(120)을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의 한쪽 단 부 외주 면에 끼운다(S140). 상기 밀착 링(120)을 지지하도록 지지 브래킷(140)을 상기 절개 링(120)의 반대쪽에 위치토록 하고 상기 제1 합성수지관(1)의 한쪽 단 부 외주 면에 끼운다(S150). 상기 볼트(150)의 볼트 몸체(151)를 단턱 부에 접촉시키고, 볼트(150)의 나사부(153)를 상기 볼트 홀(141)에 삽입한다(S160). 상기 볼트(150)의 끝단 부에 너트(160)를 체결하여 상기 단턱 부(111)와 상기 지지 브래킷(140) 사이에 위치한 상기 밀착 링(120)을 압착한다(S170). 그리고 상기 이음관(110)의 다른 쪽에 제2 합성수지관(1')을 연결한다(S180).
상기 이음관(110)의 다른 쪽에 제2 합성수지관(1')을 연결하는 단계(S180)에서는, 전술한 열 융착 부를 이용하거나 맞대기 용접 등에 의하여 상기 제2 합성수지관(1')을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수지관 내부에 고압의 유체가 흐를 때 발생하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밀착 링을 절개 링과 지지 브래킷 사이에서 압축 탄성 변형시켜서 합성수지관과 이음관의 연결부위를 좀더 견고하게 할 수 있어 유체의 높은 압력에 의한 연결부위의 이탈이나 유체 누출(漏出)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밀착 링의 접촉 부 높이와 지지 브래킷의 가압 부 높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열 융착 부의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열 융착 부의 변형 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열 융착 부의 다른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열 융착 부의 다른 변형 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방법을 설명하면 흐름도이다.
*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설명 *
1: 제1 합성수지관
1a: 삽입 홈
1': 제2 합성수지관
110: 이음관
111: 단턱 부
113: 스토퍼
115: 밀착링 삽입 홈
117: 금속 편
120: 절개 링
130: 밀착 링
131: 삽입 부
133: 접촉 부
140: 지지 브래킷
140a: 가압 부
141: 볼트 홀
150: 볼트
151: 볼트 몸체
153: 나사 부
170: 열 융착 부
171: 열선
172: 단자
H: 접촉 부의 높이
h: 가압 부의 높이

Claims (13)

  1. 한쪽 단 부에는 제1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고 다른 쪽 단 부에는 제2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한쪽 단 부 외주 면을 따라 단턱 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 단 부에는 상기 제2 합성수지관이 연결되는 중공 체의 이음관;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외주 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되는 절개 링;
    상기 절개 링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외주 면과 상기 이음관의 사이에 형성되는 밀착 링 삽입 홈에 끼워지며,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외주 면과 상기 이음관의 내주 면에 접촉되는 밀착 링;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외주 면에 끼워지고 외곽에 볼트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 링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상기 밀착 링을 지지하는 환상의 지지 브래킷;
    "ㄱ"자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턱 부에 접촉되는 볼트 몸체와 상기 볼트 몸체로부터 90도 절곡 형성되어 상기 볼트 홀에 삽입되는 나사 부를 구비하는 볼트;
    상기 볼트 몸체와 접촉되는 위치의 상기 단턱 부에 형성되는 금속 편;
    상기 이음관의 내주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합성수지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단턱 부와 상기 지지 브래킷 사이에 위치한 상기 밀착 링을 압착하도록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 링은 상기 밀착 링 삽입 홈 안에 삽입되는 삽입 부와, 지지 브래킷의 가압 부와 접촉되는 접촉 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 부의 높이는 상기 지지 브래킷의 가압 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합성수지관과 상기 제2 합성수지관의 내부에 고압의 유체가 흐를 때 상기 밀착 링은 상기 절개 링과 상기 지지 브래킷 사이에서 압축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제1 합성수지관과 상기 이음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90058903A 2009-06-30 2009-06-30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0960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903A KR100960602B1 (ko) 2009-06-30 2009-06-30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903A KR100960602B1 (ko) 2009-06-30 2009-06-30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602B1 true KR100960602B1 (ko) 2010-06-07

Family

ID=4236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903A KR100960602B1 (ko) 2009-06-30 2009-06-30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60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735B1 (ko) * 2012-08-21 2013-02-21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파이프와 고압력 연결구를 일체로 하는 수도관 연결 조립체
KR101264787B1 (ko) 2011-04-05 2013-05-24 주식회사 동명 밀봉형 수전구
KR101264785B1 (ko) 2011-04-05 2013-05-24 주식회사 동명 밀봉형 수전구
EP2899446A1 (de) 2014-01-22 2015-07-29 Georg Fischer Rohrleitungssysteme AG Teleskopfitting
KR101607291B1 (ko) 2014-05-22 2016-03-30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파이프 연결장치
KR101607294B1 (ko) 2014-05-22 2016-03-30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파이프 연결장치
CN105587960A (zh) * 2015-06-18 2016-05-18 崔文亮 一种热熔连接组件及连接方法
KR20160110287A (ko) 2016-08-04 2016-09-21 강석근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방법
CN113324117A (zh) * 2021-06-30 2021-08-31 江苏新宏大集团有限公司 应用于石油化工安装工程的简易拼接式连接法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886B1 (ko) * 2009-03-02 2009-06-16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파이프와 일체로 형성된 상수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886B1 (ko) * 2009-03-02 2009-06-16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파이프와 일체로 형성된 상수관 연결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787B1 (ko) 2011-04-05 2013-05-24 주식회사 동명 밀봉형 수전구
KR101264785B1 (ko) 2011-04-05 2013-05-24 주식회사 동명 밀봉형 수전구
KR101235735B1 (ko) * 2012-08-21 2013-02-21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파이프와 고압력 연결구를 일체로 하는 수도관 연결 조립체
EP2899446A1 (de) 2014-01-22 2015-07-29 Georg Fischer Rohrleitungssysteme AG Teleskopfitting
KR101607291B1 (ko) 2014-05-22 2016-03-30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파이프 연결장치
KR101607294B1 (ko) 2014-05-22 2016-03-30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파이프 연결장치
CN105587960A (zh) * 2015-06-18 2016-05-18 崔文亮 一种热熔连接组件及连接方法
KR20160110287A (ko) 2016-08-04 2016-09-21 강석근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방법
CN113324117A (zh) * 2021-06-30 2021-08-31 江苏新宏大集团有限公司 应用于石油化工安装工程的简易拼接式连接法兰
CN113324117B (zh) * 2021-06-30 2021-11-30 江苏新宏大集团有限公司 应用于石油化工安装工程的简易拼接式连接法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60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US9851028B2 (en) Coupling and joint for fixedly and sealingly securing components to one another
JP2015517067A (ja) ポリマー管継手アセンブリ
KR20060113387A (ko) 수지제 관 연결 유닛
KR101612064B1 (ko) 초고진공 및 초고압력용 튜브피팅재
CN103562611A (zh) 用于连接聚丙烯管道和金属管道的管道配件
CN109915676B (zh) 管道连接结构
KR102192632B1 (ko) 배관 접속용 협지 지그
JP2010048413A (ja) 互いに接続される複数のパイプを備えるパイプライン用のパイプ、およびこのような種類のパイプを接続する方法
KR101997671B1 (ko) 배관 커플링 구조체
KR101329805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883492B1 (ko) 무용접결합방식에 의한 파이프라인 연결장치
KR20130074394A (ko) 파이프 연결구
JP4781164B2 (ja) 継手体の接続方法
US20050040649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a thermoplastic tube, integrated assembly and method
US20040222630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a thermoplastic tube, integrated assembly and method
KR101344183B1 (ko) 이형질 가스배관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20140085958A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0484093Y1 (ko) 신축성 이음관
WO2019204951A1 (zh) 一种管件连接结构
JP4092354B2 (ja) 冷媒流路用配管継手
CN219828077U (zh) 一种化工管道的连接结构
KR102455136B1 (ko) 배관 연결 장치
KR100791455B1 (ko)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CN210566822U (zh) 一种管道连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