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805B1 -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805B1
KR101329805B1 KR1020130020980A KR20130020980A KR101329805B1 KR 101329805 B1 KR101329805 B1 KR 101329805B1 KR 1020130020980 A KR1020130020980 A KR 1020130020980A KR 20130020980 A KR20130020980 A KR 20130020980A KR 101329805 B1 KR101329805 B1 KR 101329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ynthetic resin
resin housing
push member
rubb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터테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터테이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터테이크
Priority to KR102013002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805B1/ko
Priority to PCT/KR2013/011760 priority patent/WO20141332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latching members pushed radially by spring-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clamped by a wedg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배관간의 연결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저렴한 제조 비용과 우수한 수밀성, 고정력, 내구성 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관(1)이 삽입되는 합성수지 하우징(10)과, 합성수지 하우징(10) 내 배치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20)과, 고무패킹(20)이 합성수지 하우징(10)의 일정공간 내 위치하도록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링(30)과, 합성수지 하우징(10) 내 끼움설치되는 금속편(40)과, 합성수지 하우징(10)과 연결되어 가압스프링(2)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푸시부재(50)와, 푸시부재(50)에 설치되고 이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금속편(40)에 지지되면서 합성수지 하우징(10)으로 삽입된 배관(1)을 고정시키거나 배관(1)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밀착부재(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PIPE CONNECTING APPARATUS OF ONE-TOUCH TYPE}
본 발명은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관간의 연결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저렴한 제조 비용과 우수한 수밀성, 고정력, 내구성 등을 보장할 수 있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일정경로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의 관, 관이음체가 사용되며, 이의 조합에 따른 연결방식으로는 금속관 연결 시 연결부에 우수한 내구성 및 수밀성을 나타내는 용접방식, 합성수지관의 연결을 위한 본드 접합방식, 고무패킹이 배관에 밀착되도록 하는 URF(Union Rubber Ring Fitting)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용접방식은 관체 연결을 위한 용접 작업에 일정공간의 확보를 필수적으로 요구함과 더불어 용접에 따른 관체간의 이음 후에도 이에 대한 하자 발생 시 보수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데, 예를 들어 관체간의 연결이 용접방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용접 부위가 관체의 외주연을 따라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로 인한 작업공간 확보가 필수적이고, 압륜을 개재하여 관체를 용접으로 연결함에 따라 차후 하자보수 시 관체 사이에 압륜을 개재하거나 재설치해야 하는 경우, 관체 사이에 압륜 분리 및 재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플랜지, 용접결합 등의 방식에 따라 크기가 다른 관체를 연결할 때에는 고가의 관이음체가 별도로 마련되어야 함에 따라,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9461호(이하 '등록특허1'이라 함) 및 등록특허 제10-0927198호(이하 '등록특허2'이라 함)를 발명한 바 있으나, 이러한 등록특허1 및 등록특허2의 배관 연결장치는 외부로 노출되는 볼트의 조임에 의해 관체에 고정되는 방식임에 따라 그 볼트에 충격이 가해져 풀림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배관간 연결에서 수밀성 및 고정력을 보장할 수 없게 되는 한편으로, 다수개의 볼트를 견고히 결합해야 하는 과정이 필수적임에 따라 그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드접합 방식은 해당 플라스틱에 적합한 전용 본드를 사용하여 배관을 간단히 접합할 수 있는 것으로, 제품 단가가 가장 저렴한 구조이나 규격별로 경화시간을 준수(하자 보수시 통수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림)해야 하고, 이음관이나 배관의 재활용이 불가능하며, 이종 플라스틱이나 금속관 연결에는 적용 불가능하기 때문에 호환성이 떨어짐과 아울러 그 밖에 본드 사용으로 인한 실내 공기 오염, 정확한 시공상태 확인이 어려움, 본드가 외부로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지저분함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URF 방식은 고무패킹을 배관에 밀착시키기 위해 강한 물리적 힘이 고무패킹에 가해지도록 하는 구조에 따르는데, 예로써 상호간에 나선결합되는 바디 및 캡 사이의 공간에 고무패킹이 배치되어 바디 및 캡 결합시에 고무패킹이 배관에 밀착되며, 이를 위해서 공구로 바디 및 캡을 강하게 조여주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수적인 이유로 플라스틱 제품의 경우 시공하면서 이미 상당한 물리적 스트레스가 바디 및 캡에 가해짐으로 인해 충격에 매우 취약하고 동시에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기술된 바와 같은 종래 배관 이음 방식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0977308호를 발명하였으나, 성능에는 지장이 없도록 하면서 제품 단가를 낮춰 편리한 기술의 원활한 보급이 가능해지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방면으로의 연구가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관간의 연결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저렴한 제조단가와 안정적인 수밀성, 고정성, 내구성 등을 보장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관이 삽입가능하게 내부가 천공된 형상으로 중앙으로부터 외측 방향을 따라, 배관이 끼움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보다 더 크게 천공된 확장부가 구비되되, 상기 확장부에는 내측면에 제1 및 제2 단턱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삽입홈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합성수지 하우징과;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의 제1 단턱에 배치되어 끼움부까지 삽입된 배관으로 공급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패킹과; 상기 고무패킹을 지지하도록 제1 단턱에 위치되는 지지링과;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의 삽입홈에 끼움되고 배관과 마주보는 면에 배관 삽입 반대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금속편과; 외측 끝단에 돌출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의 끝단과 돌출리브 사이에 마련되는 일정공간에 가압스프링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고, 배관 삽입 또는 이탈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에 연결되는 원통형 푸시부재와;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 내 제2 단턱과 금속편의 경사면 및 배관간의 공간을 따라 이동되도록 푸시부재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톱니가 구비되어, 배관이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에 삽입될 경우 가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경사면에 지지되면서 톱니가 배관과 밀착되고 푸시부재가 배관 삽입방향으로 가압될 경우 제2 단턱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배관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밀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는 배관을 삽입하는 단순한 과정만으로도 배관간의 견고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배관 시공 및 유지보수 작업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한편, 플라스틱 사출가능한 구조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산 단가 또한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안정적인 수밀성 및 고압에서의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에 따라 건축용, 상하수용, 소방용, 조경용 등의 여러 분야에 부담없이 적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및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동작원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중 합성수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중 푸시부재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및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는 기본적으로 배관(1)이 삽입되는 합성수지 하우징(10)과, 합성수지 하우징(10) 내 배치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20)과, 고무패킹(20)이 합성수지 하우징(10)의 일정공간 내 위치하도록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링(30)과, 합성수지 하우징(10) 내 끼움설치되는 금속편(40)과, 합성수지 하우징(10)과 연결되어 가압스프링(2)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푸시부재(50)와, 푸시부재(50)에 설치되고 이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금속편(40)에 지지되면서 합성수지 하우징(10)으로 삽입된 배관(1)을 고정시키거나 배관(1)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밀착부재(60)로 구성된다.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10)은 배관(1)이 삽입가능하게 내부가 천공된 형상으로 중앙으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배관(1)이 끼움되는 끼움부(11)와, 끼움부(11)보다 더 크게 천공된 확장부(12)로 이루어지며, 특히 확장부(12)는 그 내측면에 제1 및 제2 단턱(12-1A, 12-1B)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삽입홈(12-2)을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턱(12-1A)은 고무패킹(20) 및 지지링(30)이 배치되는 곳이고, 제2 단턱(12-1B)은 제1 단턱(12-1A)보다 더 큰 직경을 갖게 됨에 따라 밀착부재(60)가 배관(1)을 압박하지 않도록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10)은 기본적으로 금형 1벌로 사출되는데, 특히 제2 단턱(12-1B) 및 삽입홈(12-2)의 경우 금형 코어의 형상 가변가능한 종래 구조를 적용하여 후가공 없이도 내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어 합성수지 하우징(10)의 자동화된 대량 사출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합성수지 하우징(10)의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와의 결합부위 없이 일체로 된 원통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합성수지 내부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대해 소재 자체의 저항 강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기술된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10)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형 뿐만 아니라, 배관간의 방향전환 연결을 위한 엘보형, T형, 분기형(직선형에서 양측으로 여러개 배관의 추가 설치가 가능한 형상) 등의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10)에 설치되는 고무패킹(20)은 기본적으로는 링 형상을 갖고 확장부(12)의 제1 단턱(12-1A)에 배치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배관(1)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기능하며, 추가적으로 합성수지 하우징(10)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날개부(미도시)를 더 구비함으로써 수압에 의해 이러한 날개부가 배관(1) 외주면을 따라 밀착되어져 배관(1)에 진동이 가해질 시에도 우수한 수밀성을 보장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날개부를 갖는 고무패킹(20) 구조에 따르면, 링 형상의 부위가 배관으로부터 제1 단턱(12-1A)측으로 향하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날개부가 배관과 고무패킹(20) 사이 공간에서 유체 누출을 방지하게 되며, 여기서 날개부는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범위가 넓기 때문에 기존 오링 형태 패킹보다 진동에 대해 보다 우수한 수밀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지지링(30)은 배관(1)이 통과가능한 원통체로서 고무패킹(20) 및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푸시부재(50) 사이에 개재되어 합성수지 하우징(10)의 끼움부(11)에 수압이 가해질 시에 제1 단턱(12-1A)이 형성된 범위를 고무패킹(20)이 벗어나지 않도록 푸시부재(5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무패킹(2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금속편(40)은 합성수지 하우징(10)의 삽입홈(12-2)에 삽입되고 배관(1)과 마주보는 면에 배관(1) 삽입 반대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경사면(41)이 형성된 금속조각으로 합성수지 하우징(10)의 끼움부(11)에 강한 수압이 발생하여 이 수압이 고무패킹(20) 및 지지링(30)을 거쳐 푸시부재(50)까지 전달될 시에 푸시부재(50)에 설치된 밀착부재(60)가 경사면(41)에 지지되면서 배관(1)을 압박하는 과정에서 금속편(40)의 재질 특성상 밀착부재(6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어 확장부(12)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면서 배관(1)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이러한 금속편(40)은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저렴하게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유로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상기 원통형 푸시부재(50)는 외측 끝단에 돌출리브(51)를 구비하여 합성수지 하우징(10)의 끝단과 돌출리브(51) 사이에 마련되는 일정공간에 가압스프링(2)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고 배관(1) 삽입 또는 이탈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합성수지 하우징(10)에 연결되는 것으로, 하기에 언급되는 일례를 통해서나 그 밖의 방식을 통해 합성수지 하우징(10)에 회전되지 않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가압스프링(2)을 누르거나 가압스프링(2)의 복원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직선방향의 운동 경로만 갖고 이에 대응하여 밀착부재(60) 또한 금속편(40)의 경사면(41)과 제2 단턱(12-1B)을 따라서만 이동가능한 이유로 확장부(12)의 다른 부분과 밀착부재(60)가 접촉되지 않게 된다.
만약에 상기 원통형 푸시부재(50)가 합성수지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면 밀착부재(60) 또한 동시에 회전되기 때문에 접촉하는 경사부분이 금속편(40)과는 달리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어야 하고, 이러한 구조에서는 결국 링 형태의 금속물을 제작하는 과정, 그 금속물을 금형에 넣고 인서트 사출하는 과정, 인서트된 금속물에 경사부분을 형성하는 가공과정 등의 큰 비용을 발생시키는 작업을 수반하게 한다.
참고로 상기 푸시부재(50) 및 합성수지 하우징(10) 사이에 가압스프링(2)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푸시부재(50)의 이동경로가 가압스프링(2)의 배치를 위한 공간으로도 활용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가압스프링(2)을 합성수지 하우징(10) 내측에 배치할 때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길이 축소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밀착부재(60)는 합성수지 하우징(10) 내 설치된 금속편(40)의 경사면(41)과 제2 단턱(12-1B)을 따라 이동되도록 푸시부재(50)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배관(1)과 접촉하는 톱니(61)가 구비된 구조로, 배관(1)이 합성수지 하우징(10)에 삽입될 시에 가압스프링(2)의 복원력에 의해 경사면(41)에 지지되면서 톱니(61)가 배관(1) 외주면을 압박하면서 배관간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푸시부재(50)가 배관(1) 삽입방향으로 가압될 경우 제2 단턱(12-1B)으로 이동되어져 배관(1) 및 제2 단턱(12-1B) 사이 공간으로 밀착부재(60)가 이동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배관(1)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푸시부재(50)에는 밀착부재(60)가 삽입되는 삽입홀(52)이 형성되고 밀착부재(60)에는 톱니(61)가 배관(1)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경사면(41)에 의해 지지되는 돌출편(62)이 구비되도록 하여,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배관(1)이 합성수지 하우징(10)에 인입될 경우 삽입홀(52)로부터 배관(1)측으로 돌출되는 톱니(61)와 배관(10)이 밀착된 상태에서는 푸시부재(50)가 합성수지 하우징(10) 중앙측으로 이동하게 되다가 밀착부재(60)가 제2 단턱(12-1B)에 위치하게 될 시에는 푸시부재(50) 및 금속편(40)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톱니(61)가 삽입홀(52) 내 위치되는 순간에 가압스프링(2)의 복원력에 의해 푸시부재(50)가 배관(1) 삽입 반대방향으로 밀려나면서 돌출편(62)이 경사면(41)에 지지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밀착부재(60)가 배관(1)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압박하게 되며, 배관(1)이 연결된 상태에서 작용하는 수압은 도 5에서처럼 고무패킹(20) 및 지지링(30)을 거쳐 푸시부재(50)까지 전달된다.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부재(50)가 합성수지 하우징(10)으로부터 회전되지 않음과 동시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일례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하면 푸시부재(50)의 삽입홀(52) 및 돌출리브(51) 사이에 관통홀(53)이 형성되도록 하고 합성수지 하우징(10)의 확장부(12) 또는 금속편(40)에 고정돌기(12-3)가 구비되도록 하여, 밀착부재(60)가 설치된 푸시부재(50)의 일부가 구부러지면서 합성수지 하우징(10)에 삽입될 시에 관통홀(53)에 고정돌기(12-3)가 위치될 수 있음에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푸시부재(50)가 합성수지 하우징(10)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며, 여기서 관통홀(53)은 고정돌기(12-3)가 위치되는 지점부터 돌출리브(51) 방향으로 푸시부재(50)가 합성수지 하우징(10)에 삽입되는 거리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10)에 푸시부재(50)의 일부가 구부러지도록 강제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바로 고정돌기(12-3)가 관통홀(53)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러한 때에 푸시부재(50)를 합성수지 하우징(10)에 밀어 넣음과 동시에 고정돌기(12-3)가 관통홀(53)에 위치되도록 하는 작업이 다소 번거로울 수 있기 때문에, 푸시부재(50)에 고정돌기(12-3)가 통과가능하게 하는 두께감소부(54)를 복수개의 삽입홀(52) 및 관통홀(53) 사이마다 형성하고 추가로 두께감소부(54) 및 관통홀(53) 사이에 그 관통홀(53)을 향해 점차적으로 상향 경사진 슬라이딩면을 갖는 탄성후크(55)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밀착부재(60)가 설치된 푸시부재(50)를 합성수지 하우징(10)에 밀어 넣을 시에 두께감소부(54)로 고정돌기(12-3)가 통과되도록 하면서 관통홀(53)과 고정돌기(12-3)가 상호간에 최단거리로 배치되었을 때 푸시부재(50)를 특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돌기(12-3)가 휨성을 갖는 탄성후크(55)의 슬라이딩면을 타고 관통홀(53)에 손쉽게 위치될 수 있고, 이 때 고정돌기(12-3)에 의해 눌려있던 탄성후크(55)가 원 상태로 복귀되면서 밀착부재(60)와 함께 푸시부재(50)가 합성수지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직선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밀착부재(60)는 푸시부재(50)가 직선방향으로 이동될 시에 금속편(40) 또한 이탈되지 않도록 경사면(41) 일부를 지속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10)의 확장부(12) 또는 금속편(40)에 고정돌기(12-3)가 마련되는 경우, 지지링(30)을 제1 단턱(12-1A)까지 삽입하는 방식으로는 자체 휨성을 갖는 지지링(30)을 구부린 상태로 고정돌기(12-3)에 걸리지 않도록 하면서 삽입하거나 지지링(30)에 고정돌기(12-3)가 통과가능한 홈을 형성하여 삽입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 연결장치가 지하나 벽체에 매설될 시에 합성수지 하우징(10)과 푸시부재(50) 틈 사이로 이물질이 개재되어 차후 유지보수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리브(51) 끝단 둘레를 따라 합성수지 하우징(10)측으로 연장되는 덮개부(5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10) 내측면에 배관(1)이 양측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제한리브(13)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배관(1)이 일정한 길이만큼만 삽입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합성수지 하우징(10) 양측에 배치되는 배관이 동일한 길이만큼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5)

  1. 배관(1)이 삽입가능하게 내부가 천공된 형상으로 중앙으로부터 외측 방향을 따라, 배관(1)이 끼움되는 끼움부(11)와 상기 끼움부(11)보다 더 크게 천공된 확장부(12)가 구비되되, 상기 확장부(12)에는 내측면에 제1 및 제2 단턱(12-1A, 12-1B)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삽입홈(12-2)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합성수지 하우징(10)과;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10)의 제1 단턱(12-1A)에 배치되어 끼움부(11)까지 삽입된 배관(1)으로 공급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패킹(20)과;
    상기 고무패킹(20)을 지지하도록 제1 단턱(12-1A)에 위치되는 지지링(30)과;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10)의 삽입홈(12-2)에 끼움되고 배관(1)과 마주보는 면에 배관(1) 삽입 반대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경사면(41)이 형성된 금속편(40)과;
    외측 끝단에 돌출리브(51)를 구비하여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10)의 끝단과 돌출리브(51) 사이에 마련되는 일정공간에 가압스프링(2)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고, 배관(1) 삽입 또는 이탈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10)에 연결되는 원통형 푸시부재(50)와;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10) 내 제2 단턱(12-1B)과 금속편(40)의 경사면(41) 및 배관(1)간의 공간을 따라 이동되도록 푸시부재(50)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톱니(61)가 구비되어, 배관(1)이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10)에 삽입될 경우 가압스프링(2)의 복원력에 의해 경사면(41)에 지지되면서 톱니(61)가 배관(1)과 밀착되고 푸시부재(50)가 배관(1) 삽입방향으로 가압될 경우 제2 단턱(12-1B)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배관(1)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밀착부재(60);로 구성되되,
    상기 푸시부재(50)에는 밀착부재(60)가 삽입되는 삽입홀(5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52)에 삽입되는 밀착부재(60)에는 톱니(61)가 배관(1)에 밀착되도록 경사면(41)에 의해 지지되는 돌출편(62)이 구비되며,
    상기 푸시부재(50)의 돌출리브(51) 및 삽입홀(52) 사이에는 관통홀(53)이 형성되고, 상기 합성수지 하우징(10)의 확장부(12) 또는 금속편(40)에는 관통홀(53)에 위치되어 푸시부재(50)가 합성수지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돌기(1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50)에는 고정돌기(12-3)가 통과가능하게 하는 두께감소부(54)가 복수개의 삽입홀(52) 및 관통홀(53) 사이마다 구비되며, 상기 두께감소부(54) 및 관통홀(53) 사이에는 그 관통홀(53)을 향해 상향 경사진 슬라이딩면을 갖는 탄성후크(5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50)의 돌출리브(51) 끝단 둘레를 따라서는 가압스프링(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 하우징(10)측으로 연장되는 덮개부(5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배관 연결 장치.
KR1020130020980A 2013-02-27 2013-02-27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329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980A KR101329805B1 (ko) 2013-02-27 2013-02-27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PCT/KR2013/011760 WO2014133253A1 (ko) 2013-02-27 2013-12-18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980A KR101329805B1 (ko) 2013-02-27 2013-02-27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805B1 true KR101329805B1 (ko) 2013-11-15

Family

ID=4985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980A KR101329805B1 (ko) 2013-02-27 2013-02-27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8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945B1 (ko) 2013-11-08 2014-08-21 주식회사 워터테이크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565468B1 (ko) 2015-05-18 2015-11-03 김홍남 원터치식 철근 결합장치
WO2016108517A1 (ko) * 2015-01-01 2016-07-07 김석윤 회전쐐기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CN107969141A (zh) * 2015-01-01 2018-04-27 金石允 一种使用旋转楔钉榫的管件连接装置
KR20190121980A (ko) 2018-04-19 2019-10-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712A (ko) * 2003-01-03 2004-07-09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배관 연결구의 원터치식 배관 고정장치
KR20090132072A (ko) * 2008-06-20 2009-12-30 김승현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KR200457645Y1 (ko) 2009-10-16 2011-12-28 박병옥 파이프 커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712A (ko) * 2003-01-03 2004-07-09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배관 연결구의 원터치식 배관 고정장치
KR20090132072A (ko) * 2008-06-20 2009-12-30 김승현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KR200457645Y1 (ko) 2009-10-16 2011-12-28 박병옥 파이프 커플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945B1 (ko) 2013-11-08 2014-08-21 주식회사 워터테이크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WO2016108517A1 (ko) * 2015-01-01 2016-07-07 김석윤 회전쐐기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CN107969141A (zh) * 2015-01-01 2018-04-27 金石允 一种使用旋转楔钉榫的管件连接装置
KR101565468B1 (ko) 2015-05-18 2015-11-03 김홍남 원터치식 철근 결합장치
KR20190121980A (ko) 2018-04-19 2019-10-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805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025542B1 (ko) 관체 연결 장치
JP5438869B2 (ja) ワンタッチ式配管連結装置
KR101274094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EA026348B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полимерных труб
US20130056976A1 (en)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KR10096060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US11525533B2 (en) Pipe device having a bonded joint
CN103363236A (zh) 具有补偿器的管道连接器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KR101377198B1 (ko) 부품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KR20140085958A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024577B1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CN103562611A (zh) 用于连接聚丙烯管道和金属管道的管道配件
KR101432945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WO2011133377A1 (en) Self-restraining system for belled pipe
WO2014133253A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140137153A (ko) 개스킷
KR102063912B1 (ko) 그루브 조인트 연결용 cpvc 배관의 단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관통형 내진 배관 구조체
CN111322482A (zh) 长度补偿器
KR102005277B1 (ko) 관 연결부 밀폐장치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101023940B1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20140021845A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040230B1 (ko) 배관용 연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