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854B1 -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 Google Patents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61854B1 KR100261854B1 KR1019980012486A KR19980012486A KR100261854B1 KR 100261854 B1 KR100261854 B1 KR 100261854B1 KR 1019980012486 A KR1019980012486 A KR 1019980012486A KR 19980012486 A KR19980012486 A KR 19980012486A KR 100261854 B1 KR100261854 B1 KR 1002618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ddle
- pipe
- knitting
- polyethylene
- pack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2—Joints for pipes being spaced apart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이(PE)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편수관을 연결시킬 때 양단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유니언이음과 같은 구조로 연결시켰다. 그러나 연결부의 내부에 개재된 패킹이 원형 링형상 구조이므로 접촉 면적이 적고, 부식 및 물성변화를 일으켜 틈이 발생하게 됨으로 누수가 되는 단점이 있고, 또 배관된 편수관은 계절, 날씨, 온도변화에 따라 그 길이가 신축될 때 그 신축된 길이를 흡수할 수 없어 결국 관이 휘거나 비틀어지고, 심지어는 취약한 부분이 파열되어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측 편수관 연결관을 새들로 연결시킬 때 새들의 돌출턱 양측단이 이탈방지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편수관을 확실하게 연결시킴과 동시에 새들의 양측단이 편수관의 신축정도에 따라 연결관의 이탈방지홈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하여 편수관의 수축 및 신장시 그 길이변화를 흡수하도록 하므로써 편수관의 휨이나 비틀림과 같은 변형 및 그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새들의 패킹홈에 개재된 패킹의 내경중심부에 신축홈을 형성하여 편수관이 신축할 때 연결관의 표면에 기밀하게 밀착된 패킹의 양단이 편수관의 신축에 따라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신축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라 신축되는 편수관의 길이 변화를 여유있게 수용하면서 양호한 기밀성 및 견고성을 갖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이(PE)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절의 온도변화에 따라 신축되는 편수관의 길이변화를 수용하면서 기밀하고 견고하게 편수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공장, 농촌, 주택 등과 같은 각종 시설물에는 식수, 농수, 공업용수 등을 공급하기 위해 그리고, 공급된 물을 사용한 후 발생된 오수, 폐수 등을 배수시키기 위해 반드시 배관공사를 한다.
배관공사에 쓰여지는 관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관을 사용하게 되는데, 주로 금속관이 사용되었다. 그렇지만 금속관은 무게가 무거워 운반 및 설치가 어렵고, 산화 부식이 잘되며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어, 큰 압력이 가하여지지 않는 한 요즘은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성, 성형성, 내부식성 및 견고성이 양호한 합성수지재로된 관(피이 폴리에틸렌 편수관)을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관을 배관시공할 때 목적하는 구간까지 배관시공을 하기까지는 일정한 길이로 미리 제조된 관을 연결하여 배관하여야 하는데, 그 연결부는 관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기밀하게 연결시킴은 물론 견고하게 연결시켜야 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관을 연결시킬 때 편수관을 일단에 내경을 확장시킨 소켓부를 갖도록 제조하여 연결시공시 인접되는 편수관의 소켓이 없는 단부를 소켓내에 삽입시키되, 소켓의 내주면과 삽입된 관의 단부에는 패킹을 개재하여 기밀성을 갖도록 연결하거나, 일측 편수관의 단부에는 유니언나사를 연결하고, 다른쪽 편수관의 단부에는 유니언 스위벨 엔드를 연결한 후, 유이언 스위벨 엔드의 외주로부터 유니언너트를 나사쪽으로 체결하여 편수관을 연결하는 유니언이음 방법 들이 대표적인 연결방법 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 방법은 패킹의 부식 및 물성변화를 일으켜 탄성력을 잃어버림에 따른 틈이 발생하게 됨으로 누수가 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배관된 편수관은 계절, 날씨, 온도변화에 따라 그 길이가 신축되는데, 신축된 길이를 흡수할 수 없어 결국 관이 휘거나 비틀어지고, 심지어는 연결부분과 같이 취약한 부분이 파열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계절의 온도변화에 따라 신축되는 편수관의 길이변화를 여유있게 수용하면서 양호한 기밀성 및 견고성을 갖도록 편수관을 연결하는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편수관 연결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관에 형성된 이탈방지홈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새들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상세도,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가 편수관의 신축에 따라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10b - 편수관 12 - 연결관 13a,13b - 이탈방지홈
131,132 - 돌출부 14 - 단턱 15 - 금속판
20 - 새들 22 - 패킹홈 24 - 돌출턱
25 - 플랜지 26 - 볼트 27 - 힌지
30 - 패킹 32 - 신축홈 34 - 탄성요철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은, 외주에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연결관을 연결되는 각 편수관의 양단에 융착 결합시키고, 링형상의 몸체를 2분할하여 각 분할단부에는 체결부를 구비한 새들을 구비하여 연결되는 양 편수관의 연결관을 맞대응시킨 후, 그 연결부에 새들을 씌우고 체결부에 나사를 체결하여 편수관을 연결하되, 새들의 내주면 중심부에 오목한 패킹홈을 형성하여 이에 연결관의 외부면과 기밀하게 밀착되는 패킹을 개재하고, 상기 패킹홈의 양측에 돌출턱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관의 이탈방지홈내에 삽입시켜 편수관이 기밀하고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이하 편수관이라함)(10a)(10b)을 연결시키는 연결장치는 편수관(10a)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관(12)과, 인접한 편수관(10b)의 연결관(12)을 대응시킨 후 그 둘레에 체결되는 새들(20) 및 이 새들 내부의 패킹(30)으로 구성된다.
연결관(12)은 도 2에서와 같이 일측단 내경에 편수관(10a)(10b)의 외경을 내경으로 하는 단턱(14)이 형성되어 있어 이에 편수관(10a)(10b)의 단부가 삽입되며, 열 융착에 의해 일체화되어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이룬다.
또한 연결관(12)의 둘레에는 후술될 새들(20)의 돌출턱(24)이 삽입되는 이탈방지홈(13a)(13b)이 형성된다. 이탈방지홈(13a)(13b)에 의해 연결관(12)의 두께가 얇아져 강도가 떨어지므로 연결관(12) 외주면에는 금속판(15)(강도가 높은 재질의 것이면 무방함)이 보강된다. 즉, 연결관(12)을 사출성형 때 금속판(15)의 일단이 상기 연결관(12)의 몸체 내에 묻히도록 하고, 타단은 표면에 이탈방지홈을 갖도록 연결관(12)의 표면을 따라 연장시킨 구조로 금속판(15)을 덧대어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화시킨 것이다.
이때 이탈방지홈(13a)(13b)은 그 내부에 삽입된 돌출턱(24)이 계절, 날씨에 따른 온도에 의해 편수관(10a)(10b)이 신축되는 길이와 동일한 유동길이로 유동될 수 있는 충분한 간격으로 형성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이탈방지홈(13a)(13b)을 형성함에 있어서, 연결관(12)의 외주면을 오목하게 파서 이탈방지홈(13a)(13b)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탈방지홈(13a)(13b)이 형성되는 위치의 양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두 개의 돌출부(131)(132)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이탈방지홈(13a)(13b)이 자연히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이탈방지홈(13a)(13b)이 형성되는 부위의 두께가 연결관(12)의 두께와 동일하게 됨으로 연결관(12)의 강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새들(20)은 도 1에서와 같이 링형상의 몸체를 2분할하여 분할 된 양측 분할부 각각에 맞대응되는 플랜지(25)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25)에 볼트(26)를 체결하여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일측 분할단부를 힌지(27)결합시키고 다른 분할단부에는 맞대응되는 플랜지(25)를 구비하여 볼트(26)체결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 새들(20)의 내주면 중심부에는 도 1, 도 4에서와 같이 오목한 패킹홈(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킹홈(22)의 양측에는 연결관(12)의 이탈방지홈(13a)(13b)에 삽입되는 돌출턱(24)이 형성되어 있다.
패킹홈(22)의 내부에 개재되는 패킹(30)은 중앙부에 신축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패킹홈(22)의 깊이 이상의 두께를 갖아 새들(20)의 체결시 연결관(12)의 외부면과 기밀하게 밀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편수관(10a)(10b) 연결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관(12)이 연결된 편수관(10a)(10b)을 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신축정도를 예상하여 적당한 간격을 띄어 배치하고, 그 둘레에 새들(20)을 체결한다. 새들(20)의 내경 양측에 형성된 돌출턱(24)을 양측 편수관(10a)(10b)의 연결관(12)에 형성된 이탈방지홈(13a)(13b)에 삽입시킨 다음 새들(20) 양측에 구비된 플랜지(25)에 볼트(26)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하면 내부의 패킹홈(22)에 개재된 패킹(30)은 탄력수축하면서 기밀하게 밀착되게 되고, 신축홈(32)을 기준으로 한 패킹(30)의 양측 내주면이 연결되는 편수관(10a)(10b)의 각 연결관(12) 외주면에 기밀하게 밀착된다. 특히, 패킹(30)의 폭과 두께가 두꺼워 높은 밀착력을 갖고 패킹(30)의 외주면에 탄성요철부(34)가 구비되어 수축탄력성이 향상됨으로 패킹홈(22)의 내주면에 높은 밀착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편수관(10a)(10b)이 연결된 상태에서 계절, 기후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 편수관(10a)(10b)이 신축되면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편수관(10a)(10b)의 주변 온도가 높게되면 편수관(10a)(10b)이 신장되게 되는데, 그 신장방향은 각 연결부쪽으로 신장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새들(20)의 양측 돌출턱(24)과 편수관(10a)(10b) 연결관(12)에 형성된 이탈방지홈(13a)(13b)의 사이는 편수관(10a)(10b)의 신장길이만큼 슬라이딩되고, 여유간격을 두고 설치된 양측 편수관(10a)(10b)의 간격은 그만큼 가까워지게 된다. 이때 패킹(30)의 양단은 도 5a에서와 같이 이동하는 연결관(12)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함께 이동한다.
이와 반대로 편수관(10a)(10b)의 주변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편수관(10a)(10b)이 수축하게 된다. 수축방향은 편수관(10a)(10b)의 중심부 쪽으로 수축한다. 이 때문에 편수관(10a)(10b)의 양단은 중심부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새들(20) 돌출턱(24)과 편수관 연결관(12)에 형성된 이탈방지홈(13a)(13b)의 사이는 수축이동길이만큼 슬라이딩되고, 연결부의 편수관(10a)과 편수관(10b) 사이의 간격은 멀어지게 된다. 이때 패킹(30)은 도 5b에서와 같이 신축홈(32)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편수관(10a)(10b) 연결관(12)의 표면과 밀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즉, 편수관(10a)(10b)의 신축에 따라 이동하는 연결관(12)을 기밀하게 연결해주는 패킹(30)의 중앙부에 신축홈(3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관(12)이 이동할 때 신축홈(32)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면서 패킹(30)의 양단이 연결관(12)에 밀착된 상태로 연결관(12)과 일체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따라서 패킹(30)과 연결관(12)은 서로 마찰이 되지 않아 패킹(30)의 마모가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 패킹(3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되는 양측 편수관 연결관을 새들로 연결시킬 때 새들의 내경 양측단이 연결관 이탈방지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편수관을 확실하게 연결시킴과 동시에 새들의 양측단이 편수관의 신축정도에 따라 연결관의 이탈방지홈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하여 편수관의 수축 및 신장시 그 길이변화를 흡수하도록 하므로써 편수관의 휨이나 비틀림과 같은 변형 및 그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새들의 패킹홈에 개재된 패킹의 내경중심부에 신축홈을 형성하여 편수관이 신축할 때 신축홈 간격이 좁혀졌다 벌어졌다하는 작용에 의해 연결관의 표면에 기밀하게 밀착된 패킹의 양단이 편수관의 신축에 따라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신축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절, 기후의 온도변화에 따라 신축되는 편수관의 길이변화를 여유있게 수용하면서 양호한 기밀성 및 견고성을 갖게 된다.
Claims (6)
- 외주에 이탈방지홈(13a)(13b)이 형성된 연결관(12)을 연결되는 각 편수관(10a)(10b)의 양단에 융착 결합시키고, 링형상의 몸체를 2분할하여 일측 분할단부는 힌지(27)결합하고 다른 분할단부에는 체결부를 구비한 새들(20)을 구비하여 연결되는 양 편수관(10a)(10b)의 연결관(12)을 맞대응시킨 후, 그 연결부에 새들(20)을 씌우고 체결부의 나사결합에 의해 편수관(10a)(10b)을 연결하되, 새들(20)의 내주면 중심부에 오목한 패킹홈(22)을 형성하여 이에 연결관(12)의 외부면과 기밀하게 밀착되는 패킹(30)을 개재하고, 상기 패킹홈(22)의 양측에 돌출턱(24)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관(12)의 이탈방지홈(13a)(13b)내에 삽입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홈(13a)(13b)은 그 내부에 삽입된 돌출턱(24)이 계절, 날씨에 따른 온도에 의해 편수관(10a)(10b)이 신축되는 길이와 동일한 유동길이로 유동될 수 있는 충분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홈(13a)(13b)은 연결관(12)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두 개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2)의 표면에 일단이 상기 연결관(12)의 몸체 내에 묻히도록 하고, 타단은 표면에 이탈방지홈(13a)(13b)을 갖도록 연결관(12)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금속판(15)을 구비하여 연결관(12)제조시 사출성형에 따라 일체화시켜 연결관(12)을 보강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30)은 내경 중앙부에 신축홈(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 제 5 항 에 있어서, 상기 패킹(30)의 외경에 탄성요철부(3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12486A KR100261854B1 (ko) | 1998-04-08 | 1998-04-08 |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12486A KR100261854B1 (ko) | 1998-04-08 | 1998-04-08 |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5273A KR19980025273A (ko) | 1998-07-06 |
KR100261854B1 true KR100261854B1 (ko) | 2000-08-01 |
Family
ID=1953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12486A KR100261854B1 (ko) | 1998-04-08 | 1998-04-08 |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61854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6497B1 (ko) * | 2006-04-07 | 2007-02-01 | (주)피앤에프 | 원터치형 연결구 일체형 하수관 |
KR100868490B1 (ko) | 2008-06-30 | 2008-11-12 | 주식회사 용전 |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
KR101096809B1 (ko) | 2009-11-23 | 2011-12-22 |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 파이프의 부식 방지 장치 |
US10207320B2 (en) | 2012-11-02 | 2019-02-19 | Anvil International, Llc | Coupling with extending parting line |
KR20210110420A (ko) * | 2020-02-19 | 2021-09-08 | 김광태 | 밀폐 안정성이 확보된 그루브 조인트용 cpvc 배관 연결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관통형 내진 배관 구조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82136B2 (en) | 2008-06-30 | 2012-10-09 | Mueller International, Llc | Slip on groove coupling with multiple sealing gasket |
US9039046B2 (en) | 2012-01-20 | 2015-05-26 | Mueller International, Llc | Coupling with tongue and groove |
US9500307B2 (en) | 2012-01-20 | 2016-11-22 | Mueller International, Llc | Slip-on coupling gasket |
US9534715B2 (en) | 2012-01-20 | 2017-01-03 | Mueller International, Llc | Coupling gasket with multiple sealing surfaces |
KR101864484B1 (ko) * | 2016-07-13 | 2018-06-04 | 주식회사 하이스텐 | 커플링 |
US20190145556A1 (en) * | 2017-05-12 | 2019-05-16 | Hi-Sten Co., Ltd. | Packing member for sealing a pipe |
-
1998
- 1998-04-08 KR KR1019980012486A patent/KR1002618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6497B1 (ko) * | 2006-04-07 | 2007-02-01 | (주)피앤에프 | 원터치형 연결구 일체형 하수관 |
KR100868490B1 (ko) | 2008-06-30 | 2008-11-12 | 주식회사 용전 |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
KR101096809B1 (ko) | 2009-11-23 | 2011-12-22 |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 파이프의 부식 방지 장치 |
US10207320B2 (en) | 2012-11-02 | 2019-02-19 | Anvil International, Llc | Coupling with extending parting line |
KR20210110420A (ko) * | 2020-02-19 | 2021-09-08 | 김광태 | 밀폐 안정성이 확보된 그루브 조인트용 cpvc 배관 연결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관통형 내진 배관 구조체 |
KR102305700B1 (ko) * | 2020-02-19 | 2021-09-27 | 김광태 | 밀폐 안정성이 확보된 그루브 조인트용 cpvc 배관 연결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관통형 내진 배관 구조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5273A (ko) | 1998-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52711B2 (en) | Pipe coupling assembly | |
US7232160B2 (en) | Pipe clamp inner seal | |
US3633947A (en) | Coupling | |
KR100261854B1 (ko) |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 |
US8801049B2 (en) | Pipe coupling system and method | |
JP2011002012A (ja) | 管継手部構造 | |
RU94039549A (ru) | Трубная муфта | |
KR20190136677A (ko) | 신축성 이음부를 포함하는 배관 | |
KR100638415B1 (ko) | 연결 소켓의 팽창, 수축을 이용한 접속부 수밀구조를 가진나선 파형관 | |
CA2458710C (en) | Improved pipe clamp inner seal | |
KR20090010479A (ko) | 파이프 연결구 | |
KR20090008779A (ko) |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 |
KR102005277B1 (ko) | 관 연결부 밀폐장치 | |
KR101656219B1 (ko) |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성형장치 | |
KR100627322B1 (ko) |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 |
KR101676735B1 (ko) |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 |
KR100751804B1 (ko) | 경사진 플랜지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접속장치 | |
KR200325953Y1 (ko) | 배관용 파이프의 이음관 결합구조 | |
KR200411386Y1 (ko) | 상, 하수도관 연결장치 | |
KR101676739B1 (ko) |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 |
KR200197326Y1 (ko) | 배관용 파이프의 이음관 결합구조 | |
KR200307198Y1 (ko) | 관 연결구 | |
KR101676737B1 (ko) |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결합장치 | |
KR200337801Y1 (ko) |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 |
KR100318009B1 (ko) | 배관용 연결 소켓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42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