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492B1 -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 - Google Patents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492B1
KR102384492B1 KR1020200101593A KR20200101593A KR102384492B1 KR 102384492 B1 KR102384492 B1 KR 102384492B1 KR 1020200101593 A KR1020200101593 A KR 1020200101593A KR 20200101593 A KR20200101593 A KR 20200101593A KR 102384492 B1 KR102384492 B1 KR 102384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rrugated steel
sealing
watert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146A (ko
Inventor
서명호
Original Assignee
(주)서해금속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해금속산업 filed Critical (주)서해금속산업
Priority to KR1020200101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4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54Joints for corrugated pipes with specially shaped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6Corrug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강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파형강관들의 종단부를 연결하도록 된 파형강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골이 인입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상기 골의 사이마다 산이 형성된 파형강관의 종단부에서 상기 골의 저면에 결합되되 상기 골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수밀부 및 상기 수밀부와 중앙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인접한 상기 산을 감싸며 결합되는 밴드부를 구비하는 씰링유닛과,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에 상기 씰링유닛이 장착되어 상호 직렬상으로 배열된 상기 파형강관 상호간을 외측에서 삽입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파형강관의 외측의 상기 씰링유닛이 각각 진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제 1 내경보다 더 작은 제 2 내경을 갖게 돌출되어 양측에 상기 씰링유닛 및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가 밀착되며 상기 파형강관을 상호 연통시키는 패킹부를 구비하는 개스킷유닛과, 상기 밀봉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파형강관의 중앙방향으로 조임력을 발휘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Coupler for corrugated pipe and corrugated pipe and sectional corrugated pipe using it}
본 발명은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파형강관들의 종단부를 연결하도록 된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강관은 중공의 관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골이 인입형성되고, 파형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골의 사이마다 산이 형성된 배관의 한 종류이다. 파형강관은 높은 외압강도, 내구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여 각종 생활오수 등의 배출을 안내하는 흄판 대용으로 사용되거나 공기를 포함한 각종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형강관은 시공길이에 따라 복수개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종래의 파형강관의 연결은 파형강관의 종단부를 밴드부재로 감싸는 단계와, 파형부를 감싸는 밴드부재를 클램프 등의 결합유닛을 통해 고정하여 파형강관의 중심을 향해 조여지게 하는 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밴드부재와 파형강관의 골 사이에 형성된 누수공간을 차단함으로써 파형강관의 내부에서 흐르는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89438 호에는 파형강관과 밴드 사이에 고압으로 발포체를 주입함으로써 누수공간을 밀폐하는 '시트일체형 파형강관 커플링밴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시트일체형 파형강관 커플링 밴드는 고압으로 주입된 발포체가 누수공간을 밀폐함으로써 파형강관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이음관은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에 맞추기 위해 파형강관을 절단해야 하는 경우 적용이 불가하며, 파형강관의 제조원가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89438 호 : 시트일체형 파형강관 커플링 밴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44690 호 :파형강관의 이음부 연결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파형강관이 비틀려짐과 상관없이 누수공간을 차단할 수 있는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클램프를 적용할 수 있어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현장 시공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는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골이 인입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상기 골의 사이마다 산이 형성된 파형강관의 종단부에서 상기 골의 저면에 결합되되 상기 골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수밀부 및 상기 수밀부와 중앙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인접한 상기 산을 감싸며 결합되는 밴드부를 구비하는 씰링유닛과,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에 상기 씰링유닛이 장착되어 상호 직렬상으로 배열된 상기 파형강관 상호간을 외측에서 삽입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파형강관의 외측의 상기 씰링유닛이 각각 진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제 1 내경보다 더 작은 제 2 내경을 갖게 돌출되어 양측에 상기 씰링유닛 및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가 밀착되며 상기 파형강관을 상호 연통시키는 패킹부를 구비하는 개스킷유닛과, 상기 밀봉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파형강관의 중앙방향으로 조임력을 발휘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밀부는 상기 결합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조임력에 의해 상기 골의 저면에 밀착되게 변형되는 가요성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결합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조임력에 의해 내주면과 인접하는 상기 산을 감싸도록 변형되는 가요성의 소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밀부는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에서 노출되게 상기 골에 장착된 일단으로부터 상기 골의 연장방향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연장된 타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일단부터 상기 파형강관의 길이방향으로의 연장선에 대해 상기 수밀부의 타단이 교차하는 위치 이상의 길이를 갖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씰링유닛은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수밀부와 인접한 상기 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산의 첨두로부터 상기 수밀부와 가까워지는 일방향과 상기 수밀부와 멀어지는 타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밴드부와 상기 파형강관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진입되는 보조수밀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패킹부는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의 밀착영역을 확장되게 제공하도록 상기 제2 내경이 상기 파형강관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스킷유닛은 상기 패킹부의 중심을 향하는 하단으로부터 상기 파형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 방향으로 상기 패킹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가 내측으로 진입되며 상기 파형강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끼움턱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은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골이 인입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상기 골의 사이마다 산이 형성된 파형강관과,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에서 상기 골의 저면에 결합되되 상기 골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수밀부 및 상기 수밀부와 중앙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인접한 상기 산을 감싸며 결합되는 밴드부를 갖는 씰링유닛을 구비하는 파형강관 연결체,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에 상기 씰링유닛이 장착되어 상호 직렬상으로 배열된 상기 파형강관 상호간을 외측에서 삽입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파형강관의 외측의 상기 씰링유닛이 각각 진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제 1 내경보다 더 작은 제 2 내경을 갖게 돌출되어 양측에 상기 씰링유닛 및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가 밀착되며 상기 파형강관을 상호 연통시키는 패킹부를 구비하는 개스킷유닛과, 상기 밀봉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파형강관의 중앙방향으로 조임력을 발휘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은 결합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조임력에 의해 파형강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밴드부와, 파형강관의 골의 저면에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수밀부를 구비함으로써 파형강관을 누수가 방지되게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파형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수밀부가 더 연장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 내지 도2 에는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는 파형강관(10)의 종단부에 설치되는 씰링유닛(20)과, 파형강관(10) 및 씰링유닛(20)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개스킷유닛(40)과, 개스킨 유닛(40)의 외측에 설치되어 파형강관(10)의 중심방향으로 조임력을 발휘하는 결합유닛(60)을 포함한다.
파형강관(10)은 중공의 관상으로 형성된다. 파형강관(1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골(11)이 인입형성된다. 파형강관(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골(11)의 사이마다 산(12)이 형성된다.
씰링유닛(20)은 파형강관(10)의 종단부에서 골(11)의 저면에 결합되는 수밀부(21)와, 파형강관(10)의 종단부에서 수밀부(21) 및 산(12)을 감싸며 결합되는 밴드부를 구비한다.
수밀부(21)는 환형 또는 골(11)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파형강관(10)의 외주면 상에서 골(11)의 저면에 결합되도록 골(11)의 연장방향을 따라 파형강관(10)의 종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수밀부(21)는 팡형강관(10)의 골(11)과 동일한 피치 및 리드각을 갖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수밀부(21)는 파형강관(10)의 종단부에서 노출되게 골(11)에 장착된 일단으로부터 골(11)의 연장방향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연장된 타단까지의 길이는 일단부터 파형강관(10)의 길이방향으로의 연장선에 대해 수밀부(21)의 타단이 교차하는 위치 이상의 길이를 갖게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의 연장선이 수밀부(21)의 타단과 교차하는 상태이다. 즉, 1회전의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수밀부921)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수밀부(21)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골(11)의 단면형상 및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수밀부(21)는 도 5와 같이 복수의 회전수를 갖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밀부(21)는 결합유닛(60)으로부터 인가되는 조임력에 의해 골(11)의 저면에 밀착되게 변형되는 가요성의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수밀부(21)는 결합유닛(60)에 의해 조임력이 인가되면 안착된 골(11)의 상부를 폐쇄하며 점유하도록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요성의 소재로는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를 포함한다. 또는 수밀부(21)는 수팽창 지수재로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수팽창 지수재는 고무재, 벤토나이트, 천연산 소디움을 포함하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팽창 지수재는 물과 접촉하는 상태에서 부피가 팽창하게 되어 6km/cm2 이상의 팽창압을 유지하여 후술할 누수공간(13)을 더욱 견고하게 차단시킨다.
밴드부(25)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밴드부(25)는 파형강관(10)의 종단부에서 수밀부(21)및 수밀부(21)와 중앙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인접한 산(12)을 감싸며 결합된다. 즉, 밴드부(25)는 수밀부(21)가 파형강관(10)의 골(11)에 밀착하도록 고정함과 동시에 파형강관(10)의 산(12)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형강관(10)의 외주면과 밴드부(25)의 내주면 사이에는 골(11)이 형성된 경로를 따라 나선형상의 누수공간(13)이 형성된다. 밴드부(25)는 결합유닛(60)으로부터 인가되는 조임력에 의해 내주면과 인접하는 산(12)을 감싸도록 변형되는 가요성의 소재로 형성된다. 밴드부(25)는 물과 접촉하면 팽창하는 수팽창 지수재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씰링부(20)는 수밀부(21) 및 밴드부(25)가 분할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나, 일체로 형성된 것 또한 무방하다.
개스킷유닛(40)은 중공의 관상으로 형성되는 밀봉부(41)와, 밀봉부(41)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패킹부(45)를 구비한다.
밀봉부(41)는 제1 내경(D1)의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밀봉부(41)는 씰링유닛(20)이 장착되어 상호 직렬상으로 배열된 파형강관(10) 상호간을 외측에서 삽입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밀봉부(41)의 제1 내경(D1)은 씰링유닛(20)이 각각 진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된다.
패킹부(45)는 밀봉부(41)의 중앙에서 내주면으로부터 제1 내경(D1)보다 더 작은 제2 내경(D2)을 갖게 돌출되어 소정의 폭을 갖는 환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패킹부(45)는 양측에 씰링유닛(20) 및 파형강관(10)의 종단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씰링유닛(20) 및 파형강관(10)의 추가적인 삽입을 제한함과 동시에 파형강관(10)을 상호 연통한다. 패킹부(45)는 파형강관(10)의 종단부의 밀착영역을 확장되게 제공하도록 제2 내경(D2)이 파형강관(10)의 내경(D3)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즉, 패킹부(45)의 측면에 씰링유닛(20)을 장착한 파형강관(1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파형강관(10)의 모든 종단이 패킹부(45)와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파형강관(10)의 종단면이 차단되어 파형강관(10)이 패킹부(45)에 의해 견고하기 지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형강관(10)의 내부로부터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결합유닛(60)은 개스킷유닛(4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개스킷유닛(40)의 밀봉부(41)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부(61)와, 클램프부(61)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플랜지부(63)들과, 플랜지부(63)에 형성된 조립구(64)를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양측의 플랜지부(63)들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밀착시킴으로써 파형강관(10)의 중심방향으로 조임력을 발휘하는 고정부(67)를 포함한다.
클램프부(61)는 복수개를 밀봉부(41)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밀봉부(41)의 외측을 감싸는 중공축의 형상을 이루도록 밀봉부(41)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며 소정길이의 분할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부(67)는 플랜지부(63)의 조립구(64)에 관통결합되는 고정볼트(68)와, 이에 결합되는 고정너트(4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클램프부(61)가 결합되어 밀봉부(41)의 외측을 감싸는 중공축의 형상을 이루는 파이프클램프(pipe clamp)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결합유닛(6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의 클램프부를 구비한 다른 종류의 파이프클램프로 이루어지거나, 밀봉부(41)의 외측을 감싸는 스트랩(strap)을 직경이 작아지게 조임으로써 조임력을 발휘하는 방식의 스트랩클램프(strap clamp)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파형강관을 연결하는 절차 및 효과를 설명한다.
작업자는 씰링유닛(20)이 결합된 파형강관(10)을 상호 대향되게 배치한다. 이후, 작업자는 각각의 씰링유닛(20) 및 파형강관(10)의 종단을 밀봉부(41)의 내측에서 패킹부(45)의 양 측면에 밀착하도록 삽입한다.
이후, 클램프부(61)를 밀봉부(41)의 외측에서 각각의 플랜지부(63)의 조립구(64)가 일직선이 되도록 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직선을 이루는 각각의 조립구(64)에 고정볼트(68)을 삽입하고, 고정너트(69)를 체결하여 각 플랜지부(63)가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결합시킨다.
클램프부(61)는 고정부(67)에 의해 플랜지부(63)가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결합될 때, 밀봉부(41)의 외측을 가압함으로써 파형강관(10)의 중심방향으로 밀봉부(41) 및 씰링부(20)가 파형강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조임력이 발휘된다. 이와 같은 결합유닛(60)이 밀봉부(41)의 외측에서 조립된 상태에서 각각의 플랜지부(63)들이 근접하도록 고정너트(44)를 조이면 클램프부(61)는 밀봉부(41)를 통해 씰링유닛(20)을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조임력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밴드부(25)는 외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조임력으로 인해 파형강관(10)의 산(12)과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밴드부(25)는 파형강관(10)의 산(12)에 밀착됨과 동시에 골(11)에 결합되어있는 수밀부(21)를 압박하여 수밀부(21)가 골(11)의 저면에 밀착된다. 이때, 조임력으로 인해 수밀부(21)는 골(11)과 산(12)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단면형상으로 탄성변형 됨으로써 파형강관(10)의 종단부에서 누수공간(13)을 폐쇄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는 1차적으로 패킹부(45)가 각 파형강관(10)의 상호 이어지는 길이방향의 골(11)의 종단을 폐쇄하여 파형강관(10)의 내부를 타고 흐르는 유체가 골(1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2차적으로 골(11)로 유체가 유입되더라도 파형강관(10)의 외주면을 밴드부(25)가 차단함으로써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골(11)과 밴드부(25)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수밀부(21)가 폐쇄함으로써 유체가 골(11)의 경로를 따라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는 파형강관(10)을 이음에 있어 골(11)의 경로를 따라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호 이어지는 파형강관(10)의 골(11) 및 산(12)이 형성된 나선방향과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연결되는 파형강관(10)의 상호 대향되는 골(11) 및 산(12)을 일치시키는 절차를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 현장에서의 시공성과 보수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파형강관(10)을 연결함에 있어 용접과 같은 화기작업을 요하지 않음으로써 인화성 가스를 함유하는 유체가 흐르는 파형강관(10)을 현장에서 보수하기 적합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 강관 이음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씰링유닛(20) 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함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씰링유닛(20)은 밴드부(25)의 내주면에서 수밀부(21)와 인접한 산(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산(12)의 첨두로부터 수밀부(21)와 가까워지는 일방향과 수밀부(21)와 멀어지는 타방향의 양측에서 밴드부(25)와 파형강관(10)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14)에 진입되는 보조수밀부(27)를 더 구비한다.
보조수밀부(27)는 산(12)의 일방향의 측면 및 타방향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결합되되, 산(12)의 연장방향을 따라 파형강관(10)의 종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보조수밀부(27)는 파형강관(10)의 종단부에서 노출되게 산(12)에 장착된 일단으로부터 산(12)의 연장방향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연장된 타단까지의 길이는 일단부터 파형강관(10)의 길이방향으로의 연장선에 대해 수밀부(21)의 타단이 교차하는 위치 이상의 길이를 갖게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의 연장선이 보조수밀부(27)의 타단과 교차하는 상태에다. 즉 1회전의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보조수밀부(27)가 도시되어 있다.
보조수밀부(27)는 밴드부(25)와 일체로 형성되어 밴드부(25)와 동일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결합유닛(60)으로부터 인가되는 조임력에 의해 밴드부(25)가 파형강관(10)의 중심방향으로 가압되면, 보조수밀부(27)는 인접한 산(12)의 보다 넓은 영역에 밀착되며 수밀부(21)가 점유하지 못한 틈새(14)를 점유함에 의해 골(11)과 산(12) 사이의 공간을 보다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보조수밀부(27)는 골(11)의 크기가 큰 대구경 파형강관(10)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보충척인 밀폐력을 발휘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조수밀부(27)는 수밀부(21)와 가까워지는 일방향으로 진입되며 결합유닛(60)으로부터 인가되는 조임력을 수밀부(21)에 보조적으로 인가하게 되는데, 이때 수밀부(21)가 누수공간(13)의 단면형상으로 탄성변형 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추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형 강관 이음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개스킷유닛(40) 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함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개스킷유닛(40)은 패킹부(45)의 중심을 향하는 하단으로부터 파형강관(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 방향으로 패킹부(45)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삽입된 파형강관(10)의 종단부가 내측으로 진입되며 파형강관(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끼움턱(47)을 더 구비한다.
끼움턱(47)은 외경(124)이 파형강관(10)의 내경(D3)와 동일한 치수를 갖는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밀봉부(41)의 내주면과 패킹부(45)의 외측면과 끼움턱(47)의 외주면은 파형강관(10)의 종단부가 내측으로 진입되는 끼움공간(48)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파형강관(10)의 종단이 패킹부(45)의 측면과 밀착하도록 삽입되면, 파형강관(10)의 종단부의 내주면이 끼움턱(47)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된다.
끼움턱(47)은 파형강관(10)의 내주면의 일부와 밀착함으로써 파형강관(10)의 종단부를 밀봉하기 위한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며 파형강관(10) 내부의 유체가 누수공간(13)으로 유입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에 대해 설명한다. 파형강관 연결체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 연결장치와 동일함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은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골(11)이 인입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상기 골(11)의 사이마다 산(12)이 형성된 파형강관(10)과, 파형강관(10)의 종단부에서 상기 골(11)의 저면에 결합되되 골(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수밀부(21) 및 수밀부(21)와 중앙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인접한 산(12)을 감싸며 결합되는 밴드부(25)를 갖는 씰링유닛(20)을 구비하는 파형강관 연결체와, 파형강관(10)의 종단부에 씰링유닛(20)이 장착되어 상호 직렬상으로 배열된 상기 파형강관(10) 상호간을 외측에서 삽입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파형강관(10)의 외측의 씰링유닛(20)이 각각 진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제 1 내경보다 더 작은 제 2 내경을 갖게 돌출되어 양측에 씰링유닛(20) 및 파형강관(10)의 종단부가 밀착되며 파형강관(10)을 상호 연통시키는 패킹부(45)를 구비하는 개스킷유닛(40)과, 밀봉부(41)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파형강관(10)의 중앙방향으로 조임력을 발휘하는 결합유닛(60)을 포함한다. 파형강관 연결체를 구성하는 파형강관(10) 및 수밀부(2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은 파형강관(10) 및 수밀부(21)가 조립된 상태에서 현장에 비치되어 현장에서 신속하게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10 : 파형강관 11 : 골
12 : 산 20 : 씰링유닛
40 : 개스킷유닛 60 : 결합유닛

Claims (7)

  1.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골이 인입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상기 골의 사이마다 산이 형성된 파형강관의 종단부에서 상기 골의 저면에 결합되되 상기 골의 연장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연장된 수밀부와, 상기 수밀부와 중앙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인접한 상기 산을 감싸며 결합되는 밴드부를 구비하는 씰링유닛과;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에 상기 씰링유닛이 장착되어 상호 직렬상으로 배열된 상기 파형강관 상호간을 외측에서 삽입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파형강관의 외측의 상기 씰링유닛이 각각 진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제1 내경의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밀봉부와, 상기 밀봉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내경보다 더 작은 제 2 내경을 갖게 돌출되어 양측에 상기 씰링유닛 및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가 밀착되며 상기 파형강관을 상호 연통시키는 패킹부를 구비하는 개스킷유닛과;
    상기 밀봉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파형강관의 중앙방향으로 조임력을 발휘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의 밀착영역을 확장되게 제공하도록 상기 제2 내경이 상기 파형강관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며,
    상기 개스킷유닛은 상기 패킹부의 중심을 향하는 하단으로부터 상기 파형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 방향으로 상기 패킹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가 내측으로 진입되며 상기 파형강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끼움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는 상기 결합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조임력에 의해 상기 골의 저면에 밀착되게 변형되는 가요성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결합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조임력에 의해 내주면과 인접하는 상기 산을 감싸도록 변형되는 가요성의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이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는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에서 노출되게 상기 골에 장착된 일단으로부터 상기 골의 연장방향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연장된 타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일단부터 상기 파형강관의 길이방향으로의 연장선에 대해 상기 수밀부의 타단이 교차하는 위치 이상의 길이를 갖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이음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유닛은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수밀부와 인접한 상기 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산의 첨두로부터 상기 수밀부와 가까워지는 일방향과 상기 수밀부와 멀어지는 타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밴드부와 상기 파형강관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진입되는 보조수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이음장치.
  5. 삭제
  6. 삭제
  7.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골이 인입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상기 골의 사이마다 산이 형성된 파형강관과,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에서 상기 골의 저면에 결합되되 상기 골의 연장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연장된 수밀부 및 상기 수밀부 중앙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인접한 상기 산을 감싸며 결합되는 밴드부를 구비하는 씰링유닛을 구비하는 파형강관 연결체와;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에 상기 씰링유닛이 장착되어 상호 직렬상으로 배열된 상기 파형강관 상호간을 외측에서 삽입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파형강관의 외측의 상기 씰링유닛이 각각 진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제1 내경의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밀봉부와, 상기 밀봉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내경보다 더 작은 제 2 내경을 갖게 돌출되어 양측에 상기 씰링유닛 및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가 밀착되며 상기 파형강관을 상호 연통시키는 패킹부를 구비하는 개스킷유닛과;
    상기 밀봉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파형강관의 중앙방향으로 조임력을 발휘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의 밀착영역을 확장되게 제공하도록 상기 제2 내경이 상기 파형강관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며,
    상기 개스킷유닛은 상기 패킹부의 중심을 향하는 하단으로부터 상기 파형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 방향으로 상기 패킹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파형강관의 종단부가 내측으로 진입되며 상기 파형강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끼움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
KR1020200101593A 2020-08-13 2020-08-13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 KR102384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93A KR102384492B1 (ko) 2020-08-13 2020-08-13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93A KR102384492B1 (ko) 2020-08-13 2020-08-13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146A KR20220021146A (ko) 2022-02-22
KR102384492B1 true KR102384492B1 (ko) 2022-04-08

Family

ID=8049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593A KR102384492B1 (ko) 2020-08-13 2020-08-13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192B1 (ko) * 2023-01-26 2024-02-21 오승윤 배관 연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930B1 (ko) * 2012-01-31 2014-05-07 (주) 영남메탈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1545332B1 (ko) * 2015-01-21 2015-08-19 박영은 파형강관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121A (ko) * 2002-10-31 2004-05-08 한국전력공사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
KR100989438B1 (ko) 2010-04-28 2010-10-26 영남산업 주식회사 시트 일체형 파형강관 커플링 밴드
KR20150055608A (ko) * 2015-05-01 2015-05-21 주식회사 피앤아이 주름관 연결 기구
KR102044690B1 (ko) 2018-08-09 2019-11-14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파형강관의 이음부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930B1 (ko) * 2012-01-31 2014-05-07 (주) 영남메탈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1545332B1 (ko) * 2015-01-21 2015-08-19 박영은 파형강관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192B1 (ko) * 2023-01-26 2024-02-21 오승윤 배관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146A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E62593B1 (en) Secondary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KR102384492B1 (ko)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
US5934711A (en) Mold shot riser element with O-ring sealing
KR100638415B1 (ko) 연결 소켓의 팽창, 수축을 이용한 접속부 수밀구조를 가진나선 파형관
CA2458710C (en) Improved pipe clamp inner seal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200430628Y1 (ko) 환형케이스를 구비하는 파이프 커플링
KR20090008779A (ko)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KR100665208B1 (ko) 연결관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US7137414B2 (en) Fluid transfer apparatus
KR100256514B1 (ko) 유체 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KR200318955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KR100786669B1 (ko) 내압성이 뛰어난 배관용 파이프부속 및 그 전기융착방법
KR100806879B1 (ko) 이중벽관용 커플러
KR200206360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KR200207753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18148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80107598A (ko) 나선 파형관의 접속부 수밀구조
KR200276352Y1 (ko) 지중매설용 주철관
KR19990030743A (ko) 나선파형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ES2797000B2 (es) Brida de union de elementos de tuberias y metodo de fabricacion de brida de union de elementos de tuberias
KR100756307B1 (ko) 오폐수 도관의 결합구조
JP3421002B2 (ja) 金属管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