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829Y1 -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829Y1
KR200352829Y1 KR20040008667U KR20040008667U KR200352829Y1 KR 200352829 Y1 KR200352829 Y1 KR 200352829Y1 KR 20040008667 U KR20040008667 U KR 20040008667U KR 20040008667 U KR20040008667 U KR 20040008667U KR 200352829 Y1 KR200352829 Y1 KR 200352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ing
fastening member
tightening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08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건
Original Assignee
김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건 filed Critical 김학건
Priority to KR20040008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8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수관, 우수관, 수도관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의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는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 연결구의 체결부재에 다수개의 누름홈을 설치하여 체결시 수밀부재를 견고하게 눌러 고정시켜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체결부재(210)가 이등분되어 상측 조임부(600)의 반대방향에 하측 조임부(700)가 형성되며, 체결부재(210)의 내측으로 다수의 누름홈(2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용 연결구{A plastic pipe for connecter}
본 고안은 오수관, 우수관, 수도관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의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는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 연결구의 체결부재에 다수개의 누름홈을 설치하여 체결시 수밀부재를 견고하게 눌러 고정시켜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커플링은 유체 또는 기체를 이송하는 관과 관의 맞닿는 부분을 외부에서 감싸고 볼트 및 너트로서 커플링의 재킷을 조여주어 이로부터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두 관을 긴밀하게 연결하여 주고, 두 관이 연결되어 맞닿은 부분의 틈새로 유체 또는 기체가 누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과 관의 이음새 부분을 고무, 합성수지 등의 실링(sealing)재로 밀봉하여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파이프 커플링은 두개의 관이 충격을 받거나 또는 관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의 압력 또는 흐름 변화에 따라 관이 요동을 하더라도 관의 연결이 탈관(脫棺)되지 아니하도록 긴밀하게 압착하고 있어야 하며, 두개의 관이 연결되는 관의 단부(斷部)의 틈새로 관을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가 누출이 되지 아니하도록 파이프 커플링의 내부에 밀봉성이 강한 실링재를 구성하여, 관의 내부로 압력을 가지고서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가 관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에서 이물질이 관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긴밀한 실링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파이프 커플링은 금속 재킷을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그 내부에는 재킷이 조여지면서 서로 엇갈리지 아니하고 원활하게 조여 지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슬라이드판을 그 너비와 길이가 재킷보다 작게 하여 재킷의 내부에 스폿용접하여 구성하고, 상기 재킷의 양 끝단부에 볼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볼트 구멍을 형성하고 재킷의 양 끝단부를 상기 재킷의 외부로 절곡하여 인장판을 구성한 후에 상기 재킷의 끝단부를 재킷의 외면에 스폿용접을 하여 고정한다.
상기 인장판과 재킷의 공간부에는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볼트 구멍이 형성된 반원주형의 인장봉을 삽입하고 볼트를 상기 인장판의 볼트 구멍과 상기 인장봉의 볼트구멍으로 삽입하여 너트로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장부를 구성하고, 상기의 원통형으로 형성한 재킷의 너비측은 내측으로 구부려 단부벽을 형성하여 재킷의 내부에 삽재되어 실링 역할을 하도록 하는 고무판이 외부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방지함과 동시에 연결된 두개의 합성수지관이 빠지지 않도록 관의 외주면을 단단하게 잡아주는 기능을 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파이프 커플링에 전후방에서 합성수지관을 끼우고, 볼트를 조여주게 되면 원통형 재킷은 슬라이드판의 가이드 궤적을 따라 조여지게 되고, 이와 같이 조여지면 재킷의 내면에 구성된 고무판과 단부벽이 끼워진 파이프를 긴밀하게 압착하면서 양 파이프를 연결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파이프 커플링은 외부에서 조여주는 힘이 전체면에 고르게 전달되지 못하여 파이프 커플링의 조립을 마친 후에도 누수현상이 발생되어 연결 불량이 많았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213650호(2000. 12. 4. 등록)는 양측의 단부벽을 제거하여 체결력을 높여주는 구조를 채택하였으나, 이 역시 볼트를 이용하여 일부분에서 체결을 하게 되므로 체결력이 볼트에서 가까운 부분은 강하게 작용하지만 볼트에서 먼 부분에는 체결력이 강하게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내부의 수밀부재가 합성수지관을 완전하게 조여 수밀을 유지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채결부재의 내부에 다수의 누름홈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하여 조임부에서 가해지는 조임력을 전체면에서 강하고 안정되게 전달되어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관 연결구를 이등분하여 상측 조임부와 하측 조임부로 분리하여 양측에서 조임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전체면에서 강한 조임력으로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체결부재가 이등분되어 상측 조임부의 반대방향에 하측 조임부가 형성되며, 체결부재의 내측으로 다수의 누름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결합성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체결부재와 수밀부재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수밀부재에 대한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0 : 합성수지관 200 : 관 연결구
210 : 체결부재 220 : 누름홈
230 : 바 삽입홈 300 : 고정볼트
400 : 고정바 500 : 수밀부재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100, 110)의 연결부분에서 조임력으로 누수를 방지하는 관 연결구(200)에 관한 것이다.
관 연결구(200)는 전체적으로 체결부재(210)와 같이 얇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원형으로 형성되고 일부분이 분리되어 양측으로 바 삽입홈(230)이 형성되어 그바 삽입홈(230)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고정바(400)를 삽입한 상측 조임부(600)를 구성한다.
상측 조임부(600)는 양측으로 삽입된 고정바(400)에는 일측에서 고정볼트(300)가 삽입되고 반대편에서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체결부재(210)의 내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누름홈(220)이 원주방향의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일자형 또는 열십자형태의 격자형 무늬가 구성되는 돌기(510)가 형성된 수밀부재(500)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210)를 이등분하여 상측 조임부(600)와 동일한 형태의 구성을 갖는 하측 조임부(610)를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하여 양측에서 조임력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 하측 조임부(600, 610)는 합성수지관(100, 110)의 상, 하측에서 설치되는 것이기도 하지만 좌, 우 양측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100, 110)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합성수지관(100, 110)의 연결부분을 걸레로 닦아 이물이나 물기가 묻어있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관 연결구(200)의 체결부재(210)를 벌려 합성수지관(100, 110)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바 삽입홈(230)으로 삽입된 고정바(400)의 일측에서 고정볼트(300)를 삽입하고 반대편에서 너트를 이용하여 조임력을 제공한다.
그러면 체결부재(210)가 서서히 조여지면서 내부의 수밀부재(500)를 조이게 된다.
또한 체결부재(210)가 서서히 조여질 때 다수의 누름홈(220)이 수밀부재(500)를 전체면에서 원주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조여주게 되므로 조임력을 향상시키게 되면서 국부적인 조임력을 통하여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 6 과 같이 상측 조임부(600)의 반대편에 하측 조임부(700)를 형성하여 양측이 대칭이 되도록 하여 상측 조임부(600)나 하측 조임부(700)의 어느 한쪽을 조이고 나머지 방향을 조임하는 경우에는 한곳에서만 조임하는 도 1, 2 의 경우보다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측 조임부(600)와 하측 조임부(700)의 고정볼트(300)를 동시에 조이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체결부재(210)의 누름홈(220)에 의하여 더욱 강한 체결력을 원주방향에 제공하여 누수를 완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채결부재의 내부에 다수의 누름홈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하여 조임부에서 가해지는 조임력을 전체면에서 강하고 안정되게 전달되어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관 연결구를 이등분하여 상측 조임부와 하측 조임부로 분리하여 양측에서 조임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전체면에서 강한 조임력으로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수밀부재(500)가 설치되며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된 바 삽입홈(230)에 고정바(400)가 삽입되어 고정볼트(300)로 체결력을 체결부재(210)에서 제공하는 상측 조임부(600)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10)가 이등분되어 상측 조임부(600)의 반대방향에 하측 조임부(700)가 형성되며, 체결부재(210)의 내측으로 다수의 누름홈(2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체결부재(210)는 누름홈(220)이 형성되어 이등분되지 않고 하나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20040008667U 2004-03-29 2004-03-29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200352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8667U KR200352829Y1 (ko) 2004-03-29 2004-03-29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8667U KR200352829Y1 (ko) 2004-03-29 2004-03-29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829Y1 true KR200352829Y1 (ko) 2004-06-07

Family

ID=4179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08667U KR200352829Y1 (ko) 2004-03-29 2004-03-29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8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2083A1 (en) * 2008-07-03 2010-01-07 Samil Axon Co., Ltd. Pipe connector
KR101005187B1 (ko) * 2008-04-30 2011-01-04 허일환 홈이 형성된 관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187B1 (ko) * 2008-04-30 2011-01-04 허일환 홈이 형성된 관 연결장치
WO2010002083A1 (en) * 2008-07-03 2010-01-07 Samil Axon Co., Ltd. Pipe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062B1 (ko) 파이프 커플링
KR100511414B1 (ko) 파이프 연결 밀착수밀밴드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KR200352829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100663898B1 (ko) 분기관 연결구조
KR20030010129A (ko) 관 연결구의 결합장치
KR101102334B1 (ko) 오ㆍ폐수 및 우수용 파이프 커플링장치
KR100880799B1 (ko) 수밀성이 향상된 관 연결구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200374246Y1 (ko) 합성수지관용 커플링 연결구
KR200391564Y1 (ko) 플랜지형 하수관 연결장치
KR100603195B1 (ko) 압입형 하수관 분기구
KR100772001B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
KR200395246Y1 (ko) 면접촉부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의 인장봉
KR200419728Y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497535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365435Y1 (ko) 분기관 연결구조
KR200418499Y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
KR200274871Y1 (ko) 원형관 이음장치
KR200489471Y1 (ko) 상하수관 보수용 연결구
KR200397996Y1 (ko) 파이프 커플링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KR200187811Y1 (ko) 관의 이음장치
KR200170280Y1 (ko) 관 이음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