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885B1 - 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885B1
KR100694885B1 KR1020060064572A KR20060064572A KR100694885B1 KR 100694885 B1 KR100694885 B1 KR 100694885B1 KR 1020060064572 A KR1020060064572 A KR 1020060064572A KR 20060064572 A KR20060064572 A KR 20060064572A KR 100694885 B1 KR100694885 B1 KR 100694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reinforcing member
connecting device
pipe connec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478A (ko
Inventor
허일환
Original Assignee
허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일환 filed Critical 허일환
Priority to KR1020060064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8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체와 관체를 맞대기한 후 밴드를 결합할 때, 두 개의 보강부재에 가해지는 상반된 힘에 의해 밴드가 위로 밀려서 나타나는 누수현상을 방지한 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서로 맞대기한 두 개의 관체를 감싸는 밴드;와, 상기 밴드의 양측면에 각각 보강되는 보강부재를 감싸 고정하기 위해 부착되는 지지판;와, 상기 지지판 및 보강부재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삽입되어 서로 맞대기한 관체를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보강부재는 삼각환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삼각환봉은 상호 치차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부와 홈부가 각각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삼각환봉, 보강부재, 치자 결합, 실링, 밴드, 관체

Description

관 연결 장치{A Pipe Connect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관 연결 장치를 결합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관 연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밴드에 결합된 지지판과 보강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관 연결 장치의 결합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밴드 2: 지지판
3: 보강부재 5: 장볼트
6: 너트 9: 종래의 관 연결 장치
10: 밴드 20: 지지판
21: 체결공 30: 보강부재
31: 돌기부 31a: 라운딩부
32: 홈부 33: 체결공
40: 장볼트 50: 너트
100: 본 발명의 관 연결 장치 200: 관체
a: 밑변 b: 빗변
H: 높이변 h: 홈부면
c : 모서리
본 발명은 관체와 관체를 맞대기한 후 밴드를 결합할 때, 두 개의 보강부재에 가해지는 상반된 힘에 의해 밴드가 위로 밀려서 나타나는 누수현상을 방지한 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체와 관체를 연결할 때는 체결수단인 볼트와 너트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밴드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관 연결 장치에 쓰이는 보강부재는 그 형상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관 연결 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관 연결 장치의 결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관 연결 장치(9)는 밴드(1)와, 상기 밴드(1)의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판(2)과, 상기 지지판(2)에 감싸져 체결수단인 장볼트(5)와 너트(6)를 지지하는 보강부재(3)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관 연결 장치는 보강부재(3)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장볼트(5)의 체결력에 의해 밴드(1)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보강부재(3)의 형상(원형)에 따라 보강부재(3)와 보강부재(3)의 사이에 위치하는 밴드(1)가 서로 상반되게 작용하는 힘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2개의 보강부재(3)는 서로 장볼트(5)의 체결력에 의해 중심점(보강부재와 보강부재의 사이로)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이 때 보강부재(3)와 보강부재(3)의 사이에 위치하는 밴드(1) 역시 2개의 보강부재(3)와 함께 중심점을 향에 이동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밴드(1)를 관체(200)에 강하게 체결할수록 밴드(1)와 관체(200) 사이의 틈은 상대적으로 크게 벌어져 누수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관체와 관체를 맞대기한 후 밴드를 결합할 때, 밴드에 구비된 보강부재 압박으로 인해 밴드가 상승하여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한 관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밴드에 결합되는 보강부재의 형상을 삼각환봉으로 구성하되, 상기 각 보강부재는 상호 치차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부와 홈부를 각각 형성하여 밴드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방지한 관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두 개의 관체 양단을 서로 맞대기한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해 결합되는 관 연결 장치에 있어서,
서로 맞대기한 두개의 관체를 감싸는 밴드;와, 상기 밴드의 양측면에 각각 보강되는 보강부재를 감싸 고정하기 위해 부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및 보강부재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삽입되어 서로 맞대기한 관체를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보강부재는 삼각환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삼각환봉은 상호 치차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부와 홈부가 각각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 보강부재는 빗변과 밑변이 만나는 모서리에 다수의 돌기부와 홈부가 치차 결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보강부재의 돌기부는 둥글게 라운딩부가 형성되어 홈부의 접촉면과 접촉하였을 때 체결수단의 체결력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딩 되어 결합력이 집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 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관 연결 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 연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밴드에 결합된 지지판과 보강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관 연결 장치의 결합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체(200)와 관체(200)를 맞대기한 후 밴드(10)를 결합할 때, 두 개의 보강부재(30)에 가해지는 상반된 힘에 의해 밴드(10)가 위로 밀려서 나타나는 누수현상을 방지한 관 연결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관 연결 장치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밴드(10)와, 상기 밴드(10)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에 감싸져 고정되는 두 개의 보강부재(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밴드(10)는 연결할 관체(200)의 외주면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으며, 그 폭은 연결할 양쪽 관체(200)를 적당한 길이로 감쌀 수 있을 정도이면서, 일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판(20)은 밴드(10)의 양측에 결합되는데, 이때 지지판(20) 역시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리벳 또는 용접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 보강부재(30)는 각각의 지지판(20)에 감싸져 고정되는 것으로, 그 형상이 삼각환봉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체결수단은 각각의 보강부재(30)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장볼트(40)와 너트(50)로 구성된다. 때문에 상기 각 보강부재(30)와 더불어 상기 각 지지판(20)에도 체결공(31,21)이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각 보강부재(30)는 상호 치차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부(31)와 홈부(32)가 각각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돌기부(31)와 홈부(32)는 각각의 보강부재(30) 빗변(b)과 밑변(a)이 만나는 모서리(c)에 형성된 것이다. 때문에 각 보강부재(30)는 돌기부(31)와 홈부(32)가 상호 서로 맞물리는 구조이다.
이 때 각 보강부재(30)의 돌기부(31)는 둥글게 라운딩부(31a)가 형성되어 홈부면(h)과 접촉하였을 때 체결수단의 체결력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딩 되어 밴드(10)의 눌러주게 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는 관 연결 장치의 체결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따른 관 연결 장치의 결합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와 같이, 두 개의 관체(200) 사이에 밴드(10)를 감싼 후 2개의 보강부재(30)에 장볼트(40) 관통시켜 너트(50)로 고정한다.
그리고 너트(50)를 조이면, 상기 각 보강부재(30)는 서로 근접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밴드(10)는 관체(200)를 더욱더 압박하게 된다.
이 때 너트(50)를 더 조이면, 상기 각 보강부재(30)는 돌기부(31)와 홈부(32)에 의해 서로 맞물려 치차 결합된다.
이 후 더욱 더 너트(50)를 조이면, 각 보강부재(30)의 돌기부(31)가 홈부(32)의 홈부면(h)에 접촉함과 동시에 홈부면(h)을 따라 하부로 슬라이딩 되어 밴드(10)를 눌러주게 된다. 이는 각 보강부재(30)에 높이변(H) 상부에 장볼트(40)와 너트(50)가 체결됨으로 그 체결력은 빗변(b)과 밑변(a)이 만나는 모서리(c)에 그 힘이 집중되기 때문에 기인한다.
이렇게 되면 종래의 관 연결 장치와는 달리 각각의 돌기부(31)로 인해 밴드(10)가 관체에 눌려져 더욱 밀착됨으로 수밀력과 결합력이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장치에 따르면, 밴드가 보강부재에 밀려서 위로 들려져 나타나는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이로 인해 누수에 따른 유지보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밴드와 관체와의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어 수압으로 인한 관체 및 관 연결 장치의 파손을 줄 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관 연결용 밴드에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도 관체의 누수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비용절감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 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3)

  1. 두 개의 관체 양단을 서로 맞대기한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해 결합되는 관 연결 장치에 있어서,
    서로 맞대기한 두개의 관체를 감싸는 밴드;
    상기 밴드의 양측면에 각각 보강되는 보강부재를 감싸 고정하기 위해 부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및 보강부재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삽입되어 서로 맞대기한 관체를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보강부재는 삼각환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삼각환봉은 상호 치차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부와 홈부가 각각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강부재는 빗변과 밑변이 만나는 모서리에 다수의 돌기부와 홈부가 치차 결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강부재의 돌기부는 둥글게 라운딩부가 형성되어 홈부면과 접촉하였을 때 체결수단의 체결력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딩 되어 밴드의 눌러주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관 연결 장치.
KR1020060064572A 2006-07-10 2006-07-10 관 연결 장치 KR100694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572A KR100694885B1 (ko) 2006-07-10 2006-07-10 관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572A KR100694885B1 (ko) 2006-07-10 2006-07-10 관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478A KR20060099478A (ko) 2006-09-19
KR100694885B1 true KR100694885B1 (ko) 2007-03-14

Family

ID=37630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572A KR100694885B1 (ko) 2006-07-10 2006-07-10 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187B1 (ko) * 2008-04-30 2011-01-04 허일환 홈이 형성된 관 연결장치
KR101953206B1 (ko) * 2018-10-05 2019-02-28 황승하 체결부의 누수방지와 보강을 위한 환봉 연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953A (ja) 1997-10-30 1999-08-06 Cie Saint Gobain Pont A Mousson 配管部材用スリーブ
KR200261416Y1 (ko) * 2001-10-19 2002-01-23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중저압용 파이프 커플링
KR100511414B1 (ko) * 2005-03-14 2005-08-30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 밀착수밀밴드
KR200395246Y1 (ko) * 2005-06-30 2005-09-07 벽진산업 주식회사 면접촉부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의 인장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953A (ja) 1997-10-30 1999-08-06 Cie Saint Gobain Pont A Mousson 配管部材用スリーブ
KR200261416Y1 (ko) * 2001-10-19 2002-01-23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중저압용 파이프 커플링
KR100511414B1 (ko) * 2005-03-14 2005-08-30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 밀착수밀밴드
KR200395246Y1 (ko) * 2005-06-30 2005-09-07 벽진산업 주식회사 면접촉부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의 인장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478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406B2 (en) Gasket
JP2013503311A (ja) スリーブおよびガスケットを備えたパイプクランプ
KR100694885B1 (ko) 관 연결 장치
KR100574745B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1074032B1 (ko) 관 연결장치
KR100636014B1 (ko)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
KR101179754B1 (ko) 슬래브 거푸집용 유로폼 시스템
KR101907984B1 (ko) 파형 강관의 결속장치
KR101005187B1 (ko) 홈이 형성된 관 연결장치
KR10132629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569710B1 (ko) 원터치 방식의 관부재 이음장치
KR20090023428A (ko) 치차 결합된 보강부재를 구비한 관 연결장치
KR200420349Y1 (ko) 관 연결용 밴드
KR101102334B1 (ko) 오ㆍ폐수 및 우수용 파이프 커플링장치
KR10100329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관 연결장치
KR100925867B1 (ko)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100919107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6148697B2 (ja) 型枠
KR200457343Y1 (ko) 관 연결장치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200368056Y1 (ko) 파이프 커플링
KR100669496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110674B1 (ko) 내부 평활관용 파이프 연결시스템
KR200419764Y1 (ko) 나선관 연결용 스테인리스강 밴드
JP5135041B2 (ja) 配管補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