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156B1 -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 Google Patents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156B1
KR102188156B1 KR1020200083752A KR20200083752A KR102188156B1 KR 102188156 B1 KR102188156 B1 KR 102188156B1 KR 1020200083752 A KR1020200083752 A KR 1020200083752A KR 20200083752 A KR20200083752 A KR 20200083752A KR 102188156 B1 KR102188156 B1 KR 102188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tight
circumferential surface
sew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원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팩트
한국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팩트, 한국환경공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팩트
Priority to KR1020200083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25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having radially directed ri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상하수도관을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고,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관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수밀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하수도관의 단부에 복수 개의 체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에 체결핀을 결합하여 서로 다른 상하수도관을 일체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하고 안정적인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수도관의 이음부로부터 세어나오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과 외부로부터 빗물 등의 유체가 상기 상하수도관의 이음부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유체 및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의해 상기 상하수도관의 이음부가 분리되어 상기 상하수도관이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Integral water and sewage pipes with connection sockets that prevent pipe separation and improve water tightness and stability}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상하수도관을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고,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관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수밀성과 안정성이 향상된 일체형 상하수도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하수도관의 단부에 복수 개의 체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에 체결핀을 결합하여 인접하는 상하수도관을 일체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하고 안정적인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수도관의 이음부로부터 세어나오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과 외부로부터 빗물 등의 유체가 상기 상하수도관의 이음부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지진이나 굴착 등에 의해 상기 일체형 상하수도관의 이음부가 분리되어 상기 상하수도관이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상하수도 시설 기반구축에 사용된 관종류는 상수도의 경우 강관이, 하수도의 경우 철근콘크리트관(흄관)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미 구축된 시설기반의 사용 연한이 길어짐에 따라 강관의 경우 부식으로 인한 수질의 오염과 내경에 코팅하는 방청제로 인한 오염문제 및 누수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철근콘크리트관의 경우 하수에 포함된 황화수소에 의한 부식과 산, 알칼리, 폐수, 염분, 유기물의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상하수도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PVC, PP, PE 등의 원료를 이용한 상하수도관이나 FRP(Fiber Reinforced Plastic)를 주재료로 제작된 유리섬유복합관(Fiberglass Composite Pipe)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상기와 같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상하수도관은 압출기에서 용융시켜 공급하는 합성수지에 의해 금형을 통하여 단일층이나 이층 및 삼층과 같은 다양한 층을 이루도록 압출하여 성형하는 방법과, 압출기에서 용융시켜 공급하는 합성수지를 자켓금형에 공급하여 요철형을 이루도록 DC 파이프를 성형하는 방법과, 합성수지를 압출기에서 용융시켜 금형을 통하여 소형의 프로파일이 냉각된 후 나선형으로 공급될 때 프로파일의 사이에 용융합성수지가 공급되어 원통형의 파이프를 성형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합성수지 파이프는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며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내압이나 지중에 매설된 후 성형한 형태가 변형되거나 압력으로 부분적인 취성에 의해 파손되는 결점에 의해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하수도관의 특성상 약 6미터의 길이로 절단되어 지중에 매설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연결구 또는 파이프의 일측 선단에 일체형으로 성형한 연결구조에 의해 연결하지만, 내압 등 하중이 연결부분에 집중되므로 연결부분이 쉽게 파손되거나 누수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상하수도관의 연결부분은 연결구 혹은 연결소켓은 상하수 등 유체를 이송하는 복수 개의 상하수도관을 연결할 때 사용되며, 상하수도관을 연결할 때 형성되는 연결부를 외부에서 감싸서 상하수도관의 내부에서 이송되는 유체 또는 기체가 연결부 즉, 이음부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로 연결되는 상하수도관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거나 상하수도관 내부에서 이송되는 유체의 압력변화에 따라 상하수도관이 요동치더라도 연결소켓으로부터 탈관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압착하고 있어야 하며, 이음부를 통해 상하수도관 내부에서 이송되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수밀성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상하수도관 연결소켓은 상하수도관의 이음부 외주연을 감사는 고무재질의 실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의 외주연을 감싸는 금속재 재킷과, 상기 재킷의 양단부에 마련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개재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봉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과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재킷과 상기 실링부재가 상하수도관의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하여 상하수도관의의 이음부로부터 유체 또는 기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하수도관의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고무재질의 실링부재는 내주면에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리브는 실링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실링부재를 압착하는 재킷에 의해 상하수도관의 외주면에 압착되는데, 이때 상하수도관 외주면에 상기 재킷이 과도하게 압착되거나 체결력이 균일하지 못하게되면 상기 리브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어 수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고무재질의 실링부재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부식되는 문제와 상하수도관의 이음부를 통해 세어나오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들뜨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고, 외부로부터 빗물 등의 유체가 침투되어 파이프 이음부의 결합력을 약화시켜 파이프가 탈관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3930호(2006.09.0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73539호(2010.07.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3766호(2011.11.0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상하수도관의 단부를 체결핀을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상하수도관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고, 연결소켓의 패킹부재의 내주면 양측 말단에 형성되는 외측기밀편과, 내주면 양측에 형성되는 제1,2내측기밀편을 이용하여 수밀성이 향상됨은 물론 상하수도관의 이음부의 연결상태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상하수도관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단부에 복수 개의 체결홈이 형성된 상하수도관과 어느 하나의 상하수도관의 체결홈에 일측이 결합된 후 다른 어느 하나의 상하수도관의 체결홈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상하수도관이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체결핀 및 상하수도관의 이음부에 설치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핀은 외주연에 나사산 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체결핀은 어느 하나가 다른 것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길이가 순차적으로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상기 연결소켓은 상하수도관의 이음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수도관을 연결하는 연결소켓에 있어서, 상기 상하수도관의 이음부 외주연에 설치되는 패킹부재;와 상기 패킹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킹부재는 내주면 양측 말단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하수도관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기밀편;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외측기밀편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이 내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내측기밀편;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내측기밀편;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이 내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제1,2내측기밀편과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이 가압되면, 상기 제1,2내측기밀편과 상기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이 각 수용되는 기밀공간;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상하수도관 연결소켓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패킹부재는 내주면 양측 말단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하수도관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기밀편;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외측기밀편보다 내측에 형성되고, 내주면과 외주면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확장부;와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확장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이 내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내측기밀편;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확장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내측기밀편;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이 내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제1,2내측기밀편과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이 가압되면, 상기 제1내측기밀편이 수용되는 내측기밀공간;과 상기 제2내측기밀편이 수용되는 외측기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이 각 수용되는 기밀공간;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패킹부재의 확장부와 대응되어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확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상하수도관 연결소켓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소켓의 패킹부재의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은 상하수도관의 말단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내측기밀편은 내측면에 돌출형성하되, 상기 확장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보강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내측기밀편은 외측면에 돌출형성하되, 상기 확장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보강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킹부재는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과 제2내측기밀편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중앙보강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킹부재는 외주면 양측 말단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부말단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보강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부재는 외측 말단에 상기 외측보강돌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상하수도관은 상하수도관의 단부에 복수 개의 체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에 체결핀을 이용하여 상하수도관의 이음부를 일체화시키되, 상기 체결핀의 길이를 다르게함으로써, 상하수도관 연결시공이 용이하면서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소켓의 패킹부재의 내주면 양측 말단에 상하수도관이 내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밀편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상하수도관의 이음부로 유체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 유체의 오염이나 섞이는 것을 방지는 물론 패킹부재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와, 상기 패킹부재의 내주면 양측에 기밀편과 상기 기밀편을 수용하는 기밀공간을 형성하되, 양쪽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기밀편과 기밀공간을 형성하여 상하수도관의 이음부로부터 세어나오는 유체의 누출을 효율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2차로 방지하여 상기 패킹부재의 내구성이 저하와 외부토양 또는 내부유체의 오염 방지를 효율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소켓의 패킹부재의 복수 개의 기밀편에 의해 향상된 수밀성 및 상하수도관 이음부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이탈 방지 효과와 상기 기밀편의 탄성을 보완할 수 있는 보강돌부를 형성하여 상기 기밀편의 탄성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연결소켓의 사용수명 연장 및 수밀성을 더욱더 향상시켜 상하수도관의 이음부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소켓의 패킹부재의 내경이 확장되도록 하는 확장부를 형성하여 체결부재를 통해 확장부와 비확장부를 동시에 균일하게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확장부에 형성되는 기밀공간을 통해 수밀성 및 체결력을 더욱더 향상시켜 상하수도관 이음부의 탈관 및 파손,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소켓이 설치된 상하수도관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상하수도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연결소켓이 설치된 상하수도관을 나타낸 부분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소켓이 설치된 상하수도관을 나타낸 부분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패킹부재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소켓이 설치된 상하수도관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소켓이 설치된 상하수도관을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결핀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상하수도관(10)을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고,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관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수밀성과 안정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하수도관(10)의 단부에 복수 개의 체결홈(12)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12)에 체결핀(20)을 결합하여 서로 다른 상하수도관(10)을 일체로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상기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 외주연에 연결소켓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상하수도관(10)의 체결력을 증대시켜 유체의 흐름 및 지진 등에 의한 상기 상하수도관(10)의 관이탈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연결소켓의 패킹부재(100)의 외측기밀편(110)과 제1내측기밀편(130) 및 제2내측기밀편(150)을 이용하여 향상된 수밀성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 및 연결소켓의 내구성을 증대된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단부에 복수 개의 체결홈(12)이 형성된 상하수도관(10);과 어느 하나의 상하수도관(10)의 체결홈(12)에 일측이 결합된 후 다른 어느 하나의 상하수도관(10)의 체결홈(20)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상하수도관(10)이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체결핀(20); 및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에 설치되는 연결소켓(10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핀(20)은 외주연에 나사산 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결합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체결핀(20)은 어느 하나가 다른 것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길이가 순차적으로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 외주연에 설치되는 패킹부재(100);와 상기 패킹부재(10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체결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킹부재(100)는 내주면 양측 말단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기밀편(110);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외측기밀편(110)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내측기밀편(130);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내측기밀편(150);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는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140); 및 내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과 제2내측기밀편(150)의 경사진 방향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미세기밀편(140)의 내측방향에 각각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기밀공간(180);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밀공간(180)은 상기 제1,2내측기밀편(130,150)과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140)을 각 수용하게 되고, 각 기밀공간(180)에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유체가 채워지면 유압 또는 수압에 의해 수용된 해당 기밀편이 상하수관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하수관에 압착되어 수밀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 외주연에 설치되는 패킹부재(100);와 상기 패킹부재(10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체결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킹부재(100)는 내주면 양측 말단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기밀편(110);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외측기밀편(110)보다 내측에 형성되고, 내주면과 외주면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확장부(120);와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확장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내측기밀편(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재(200)는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패킹부재(100)의 확장부(120)와 대응되어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확대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킹부재(100)는 내주면 양측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확장부(12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1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은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확장부(120)의 내주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만곡된 형상의 제1보강돌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킹부재(100)는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확장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내측기밀편(1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내측기밀편(150)은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확장부(120)의 내주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만곡된 형상의 제2보강돌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킹부재(100)는 외주면 양측 말단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부말단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보강돌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킹부재(100)는 상기 미세기밀편(140)의 내측방향에 각각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기밀공간(1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상하수도관(10)은 이중벽 또는 삼중벽 또는 그 이상의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부에 복수 개의 체결홈(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홈(12)의 깊이와 직경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체결핀(20)의 길이와 직경에 대응되어 상기 체결핀(20)이 견고하게 억지끼움이나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체결핀(20)은 어느 하나의 상하수도관(10)의 체결홈(12)에 일측이 결합된 후 다른 어느 하나의 상하수도관(10) 즉, 일측 또는 타측에 연결되는 상하수도관(10)의 체결홈(12)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하수도관(10)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체결홈(12)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 즉, 적어도 두개 이상이 구비되어 연결되는 두개의 상하수도관(1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핀(20)은 외주연에 나사산(또는 스크류) 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결합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연결되는 두개의 상하수도관(10)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체결핀(20)은 복수 개 즉,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어느 하나가 다른 것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한꺼번에 복수 개의 체결핀(20)을 결합시키는 경우 하중이 큰 대구경의 상하수도관(10)의 경우 결합이 어려우므로, 길이가 가장 긴 체결핀(20)을 인접하는 두개의 상하수도관(10)에 먼저 가결합시킨 후 나머지 체결핀(20)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상기 체결핀(20)은 복수 개 즉,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길이가 다른 것보다 길게 형성되되, 길이가 순차적으로 짧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체결핀(20)이 세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길이가 가장 긴 체결핀(20)부터 순차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상하수도관(10)의 일체화는 길이가 가장 긴 체결핀(10)을 먼저 가결합시킨 다음 순차적으로 체결핀(10)을 가결합하며 길이가 가장 긴 체결핀(10)을 함께 조임으로써, 마지막으로 길이가 가장 짧은 체결핀(10)을 결합할 때, 길이가 가장 긴 체결핀(10)까지 상기 상하수도관(10)의 체결홈(12)에 모두 내입되도록 하여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연결소켓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수도관(10)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 외주연에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패킹부재(100)와, 상기 패킹부재(10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체결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부재(100)는 일측의 상하수도관(10)의 타측 말단이 일측에 내입된 후 상기 일측의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지 않은 타측이 상기 일측의 상하수도관(10)으로 접히고, 상기 일측의 상하수도관(10)의 타측 말단에 다른 상하수도관(10)의 일측 말단이 밀접되도록 한 후 접힌 타측이 펼쳐지며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 외주연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100)는 내주면에 복수 개의 기밀편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수도관(10)의 직경에 의해 상기 기밀편이 1차로 압착되어 기밀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부재(200)는 상기 패킹부재(10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재킷 또는 클램프 등을 사용하고, 앞서 설명된 패킹부재(10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내주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패킹부재(100)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압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킹부재(100)는 내주면 양측 말단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하수도관(10)의 말단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가지게 형성되는 외측기밀편(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기밀편(110)은 상기 패킹부재(100)의 내주면 일측에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즉, 일측에서 내입되는 상하수도관(10)의 반대방향인 타측방향으로 말단이 돌출형성되는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재(100)의 내주면 타측에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즉, 타측에서 내입되는 상하수도관(10)의 반대방향인 일측방향으로 말단이 돌출형성되는 뽀족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외측기밀편(110)은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된 후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된 반대방향으로 압착되어 외부로부터 빗물 등의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상하수도관(10) 이음부로부터 세어나오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100)는 외주면 양측 말단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상부말단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보강돌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외측보강돌부(170)는 체결부재(200)가 상기 패킹부재(10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결합됨에 따라 상기 상하수도관(10)방향으로 압착되어 상기 외측기밀편(110)이 보다 안정적으로 압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외측기밀편(110)의 상부말단의 내구성을 보강하여 상기 외측기밀편(11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탄성력이 안정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수밀성이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상기 체결부재(200)는 외측 말단에 상기 외측보강돌부(17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지지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220)를 통해 상기 외측보강돌부(170)가 압착되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제한시켜 상기 패킹부재(100)의 외측말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외측보강돌부(170)가 보다 안정적으로 압착되어 보다 우수한 수밀성과 관이탈 방지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패킹부재(100)는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외측기밀편(110)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내측기밀편(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은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수도관(10)과 체결부재(200)에 의해 압착되어 수밀성을 형성하며, 특히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로부터 세어나오는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부가적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은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되, 패킹부재(100)의 내주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만곡된 형상의 제1보강돌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보강돌부(132)는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이 압착되는 내측방향 즉, 타측방향으로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이 압착될 때,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의 하부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증대시켜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의 하부말단이 상하수도관(10)과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수밀성이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패킹부재(100)는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내측기밀편(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내측기밀편(150)은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수도관(10)과 체결부재(200)에 의해 압착되어 수밀성을 형성하며, 특히 외부로부터 앞서 설명된 외측기밀편(1100을 통과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부가적으로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로부터 세어나오는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2내측기밀편(150)은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패킹부재(100)의 내주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만곡된 형상의 제2보강돌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보강돌부(152)는 상기 제2내측기밀편(150)이 압착되는 외측방향 즉, 일측방향으로 상기 제2내측기밀편(150)이 압착될 때,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의 하부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증대시켜 상기 제2내측기밀편(150)의 하부말단이 상하수도관(10)과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돌고 함으로써, 우수한 수밀성과 안정성이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패킹부재(100)는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과 제2내측기밀편(15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만곡된 형상의 중앙보강돌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중앙보강돌부(160)는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과 제2내측기밀편(150)의 압착될 때, 상기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과 제2내측기밀편(150)의 사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과 제2내측기밀편(150)의 복원력을 증대시켜 더욱더 우수한 수밀성과 관이탈 방지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중앙보강돌부(160)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의 외측 즉, 일측면과 제2내측기밀편(150) 내측 즉, 타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패킹부재(100)는 내주면 양측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패킹부재(10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미세기밀편(140)은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로부터 세어나오는 유체를 최초에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함과 동시에 부가적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즉, 외측기밀편(110)과 제1,2내측기밀편(130)을 통과한 유체가 상하수도관(10)으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가 부식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미세기밀편(140)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기 패킹부재(100)의 내주면 양측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하수도관(10)이 유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세기밀편(140)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기 패킹부재(100)의 내부념 양측에 돌출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갈수록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킹부재(100)는 내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과 제2내측기밀편(150)의 경사진 방향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기밀공간(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기밀공간(180)은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과 제2내측기밀편(150)이 상기 상하수도관(10)의 외주면에 압착될 때,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과 제2내측기밀편(150)이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과 제2내측기밀편(150)에 의해 상기 패킹부재(100)의 내측면이 상기 상하수도관(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성이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로부터 유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 또는 물이 기밀공간을 채우면서 제1,2내측기밀편을 상하수도관 방향으로 밀어내어 압착시키는 유압 작용을 일으켜 기밀성과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기밀공간(180)은 상기 패킹부재(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미세기밀편(140)의 내측방향에 각각 위치되도록 복수 개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미세기밀편(140)이 수용되게 함으로써, 상기 미세기밀편(140)에 의해 상기 패킹부재(100)의 내측면이 상기 상하수도관(10)의 외주면으로보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로부터 유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 또는 물이 기밀공간(180)을 채우면서 해당 미세기밀편을 상하수도관 방향으로 밀어내어 압착시키는 유압 작용을 일으켜 기밀성과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상기 확장부(120)는 상기 패킹부재(100)의 내경과 함께 외경까지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패킹부재(100)의 외주연이 돌출되지 않은 부분과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체결부재(200)가 설치되면 상기 돌출되지 않은 패킹부재(100)의 외주연 부분이 보다 견고하게 압착되는 효과를 실현케 하여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200)는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패킹부재(100)의 확장부(120)와 대응되어 내경과 외경 즉,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확대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패킹부재(100)의 외주연을 감싸며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패킹부재(100)를 압착하여 상기와 같이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확장부(12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은 상기 패킹부재(100)의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확장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내측기밀편(150)은 상기 패킹부재(100)의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확장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보강돌부(132)와 제2보강돌부(152)는 상기 확장부(12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확장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부가하여, 상기 확장부(120)는 상기 체결부재(200)와 상하수도관(10)에 의해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이 가압 즉, 압착되면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의 하부말단이 상기 패킹부재(100)의 내측 즉, 내주면 타측에 접촉되어 내측기밀공간(122)을 형성하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기밀공간(122)에 채워지는 유체의 유압에 의해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의 탄성력이 증대되어 보다 향상된 수밀성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10)은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홈(12)과 상기 체결홈(12)에 결합되는 체결핀(20)을 이용하여 체결력을 증대시키 일체화하되, 연결소켓은 제1내측기밀편(130)과 제2내측기밀편(150) 및 외측기밀편(110), 기밀공간(122,124,180)을 이용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되, 확장부(120)를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수밀성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하수도관(10)을 일체화시켜 관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수밀성과 안정성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상하수도관 12 : 체결홈
20 : 체결핀 22 : 결합부
100 : 패킹부재 110 : 외측기밀편
120 : 확장부 122 : 내측기밀공간
124 : 외측기밀공간 130 : 제1내측기밀편
132 : 제1보강돌부 140 : 미세기밀편
150 : 제2내측기밀편 152 : 제2보강돌부
160 : 중앙보강돌부 170 : 외측보강돌부
180 : 기밀공간 200 : 체결부재
210 : 확대부 220 : 지지부

Claims (11)

  1. 단부에 복수 개의 체결홈(12)이 형성된 상하수도관(10);과
    어느 하나의 상하수도관(10)의 체결홈(12)에 일측이 결합된 후 다른 어느 하나의 상하수도관(10)의 체결홈(12)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상하수도관(10)이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체결핀(20); 및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에 설치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소켓은
    상하수도관(10)의 이음부 외주연에 설치되는 패킹부재(100);와
    상기 패킹부재(10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체결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킹부재(100)는
    내주면 양측 말단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기밀편(110);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외측기밀편(110)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내측기밀편(130);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내측기밀편(150);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140);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재(100)는 상기 체결부재(200)에 의해 제1,2내측기밀편(130,150)과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140)이 가압되면,
    상기 제1,2내측기밀편(130, 150)과 상기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140)이 각 수용되는 기밀공간(180);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20)은
    외주연에 나사산 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결합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체결핀(20)은
    어느 하나가 다른 것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체결핀(20)은
    길이가 순차적으로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100)는
    내주면 양측 말단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기밀편(110);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외측기밀편(110)보다 내측에 형성되고, 내주면과 외주면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확장부(120);와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확장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내측기밀편(130);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확장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내측기밀편(150);과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10)이 내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140);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재(100)는 상기 체결부재(200)에 의해 제1,2내측기밀편(130,150)과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140)이 가압되면,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이 수용되는 내측기밀공간(122);과 상기 제2내측기밀편(150)이 수용되는 외측기밀공간(124);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140)이 각 수용되는 기밀공간(180);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재(200)는
    상기 패킹부재(100)의 확장부(120)와 대응되어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확대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100)의 복수 개의 미세기밀편(140)은 상하수도관(10)의 말단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은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확장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보강돌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내측기밀편(150)은
    외측면에 돌출형성하되, 상기 확장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보강돌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100)는
    내주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내측기밀편(130)과 제2내측기밀편(15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중앙보강돌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100)는
    외주면 양측 말단에 대칭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부말단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보강돌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상하수도관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0)는
    외측 말단에 상기 외측보강돌부(17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지지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상하수도관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KR1020200083752A 2020-07-07 2020-07-07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KR102188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752A KR102188156B1 (ko) 2020-07-07 2020-07-07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752A KR102188156B1 (ko) 2020-07-07 2020-07-07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156B1 true KR102188156B1 (ko) 2020-12-08

Family

ID=7377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752A KR102188156B1 (ko) 2020-07-07 2020-07-07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1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080B1 (ko) * 2022-08-04 2024-05-14 (주)이알코리아 배관의 밀봉과 연결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056Y1 (ko) * 2004-08-14 2004-11-17 백충원 파이프 커플링
KR200420346Y1 (ko) * 2006-03-30 2006-06-30 새한합성산업 주식회사 하수관 결합구조
KR100623930B1 (ko) 2005-12-19 2006-09-13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긴밀한 결합을 갖는 하수도관 연결구조
KR20100073539A (ko) 2008-12-23 2010-07-01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수축 팽창용 연결구가 부착된 하수도관
KR101020753B1 (ko) * 2010-12-08 2011-03-09 이영희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KR101040685B1 (ko) * 2011-03-07 2011-06-13 벽진산업 주식회사 관 고정용 환봉 연결구
KR101059518B1 (ko) * 2008-12-08 2011-08-26 주식회사 흥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KR101083766B1 (ko) 2011-06-09 2011-11-18 (주)파이프로 플랜지와 스토퍼를 이용하여 연결한 상하수도관과 그 체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056Y1 (ko) * 2004-08-14 2004-11-17 백충원 파이프 커플링
KR100623930B1 (ko) 2005-12-19 2006-09-13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긴밀한 결합을 갖는 하수도관 연결구조
KR200420346Y1 (ko) * 2006-03-30 2006-06-30 새한합성산업 주식회사 하수관 결합구조
KR101059518B1 (ko) * 2008-12-08 2011-08-26 주식회사 흥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KR20100073539A (ko) 2008-12-23 2010-07-01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수축 팽창용 연결구가 부착된 하수도관
KR101020753B1 (ko) * 2010-12-08 2011-03-09 이영희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KR101040685B1 (ko) * 2011-03-07 2011-06-13 벽진산업 주식회사 관 고정용 환봉 연결구
KR101083766B1 (ko) 2011-06-09 2011-11-18 (주)파이프로 플랜지와 스토퍼를 이용하여 연결한 상하수도관과 그 체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080B1 (ko) * 2022-08-04 2024-05-14 (주)이알코리아 배관의 밀봉과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4768B2 (en) Expandable sealing mechanism
KR102188156B1 (ko)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KR101670907B1 (ko)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
KR200489918Y1 (ko) 내진성이 우수한 매립 압력관용 연결관 구조
KR102159161B1 (ko)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상하수도관 연결소켓
KR20090008779A (ko)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WO1999040355A1 (en) Restrained bell and spigot fluid pipe connection
KR100950956B1 (ko) 암거블록
KR10048821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200484502Y1 (ko) 수도관 수밀구조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200361426Y1 (ko) 하수용 관의 일체화 결합구조
KR100627322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0836512B1 (ko) 관로의 보수재, 보수 구조 및 그 보수 방법
KR100909111B1 (ko) 합성수지제 맨홀용 접속관 및 합성수지제 접속관을 일체로갖는 콘크리트 맨홀의 제작방법
KR100743207B1 (ko) 플랜지 일체형 접속용 합성수지관
KR102386569B1 (ko)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
CN113833914B (zh) 一种钢筋混凝土企口管接口
KR200276352Y1 (ko) 지중매설용 주철관
KR100735063B1 (ko) 관로갱생공법 및 그 보수재
KR100894896B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KR100756307B1 (ko) 오폐수 도관의 결합구조
KR200337801Y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200280294Y1 (ko) 분할형 이음관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