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753B1 -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 Google Patents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753B1
KR101020753B1 KR1020100125063A KR20100125063A KR101020753B1 KR 101020753 B1 KR101020753 B1 KR 101020753B1 KR 1020100125063 A KR1020100125063 A KR 1020100125063A KR 20100125063 A KR20100125063 A KR 20100125063A KR 101020753 B1 KR101020753 B1 KR 101020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 bar
spacing
watertight
protrusions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1020100125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의 폭에 해당하는 환봉 연결대에 삽입하는 환봉바를 분리형으로 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안정된 결합력을 제공하고, 패킹에서의 간격 유지부와 수밀유지 돌출부의 경사각도에 따라서 강력한 수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경에 패킹(40)이 설치되어 관의 외경을 체결하며, 체결밴드(11)의 양쪽 끝 부분을 외측으로 말아 환봉 삽입공(12)을 형성한 환봉 연결대(10)에 절단구멍(13)을 형성하고, 상기 환봉 연결대(10)에서 돌출된 용접날개(14)를 스폿 용접부(15)로 고정하여 환봉 삽입공(12)에 결합한 환봉바의 관통공에 고정볼트(30)를 관통시켜 이중너트(31)로 체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환봉 삽입공(12)의 절단구멍(13)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출부(22)의 외경으로 다수의 보강돌기(23)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 돌출부(22)를 관통한 관통공(21)에 양쪽으로 안내 돌출부(24)를 형성하며, 상기 환봉 삽입공(12)에 독립되게 삽입한 분리 환봉바(20)와;
상기 체결밴드(11)의 내경에서 관을 감싸며 중앙부(41)의 양쪽으로 형성한 제1, 2, 3, 4 간격 유지부(42, 43, 44, 44ㅁ)의 사이에 형성하는 제1, 2, 3, 4 수밀 유지부(45, 46, 47, 47a)에 다수의 수밀 유지 돌출부(49)를 형성하되;
상기 제1, 2, 3, 4 수밀 유지부(45. 46, 47, 47a)는 중앙부(41)에서 제4 간격 유지부(44a) 방향으로 수밀 유지 돌출부(49)가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A coupling pipe}
본 발명은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의 폭에 해당하는 환봉 연결대에 삽입하는 환봉바를 분리형으로 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안정된 결합력을 제공하고, 패킹에서의 간격 유지부와 수밀유지 돌출부의 경사각도에 따라서 강력한 수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체를 운반하는 관 또는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며, 이중 환봉 연결구는 체결밴드의 양쪽으로 환봉이 삽입되는 환봉 삽입공을 형성하고,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으로 내경에 형성한 패킹을 조임함으로써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65420호(2004. 10. 11. 등록)와 같이 2개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부분에 장착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를 감싸는 환형 재킷; 상기 재킷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삽입된 실링부재; 상기 재킷의 양단이 외향으로 접혀서 형성된 수용부; 및 이 수용부에 개재되고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된 볼트에 기워진 슬리브 와셔와 너트를 지지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봉 삽입공의 내면이 지지봉의 외주연으로 일부 돌출되어 소정두께의 접촉면을 갖는 돌출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삽입공은 끝단의 일정부에서 지지봉의 외주연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경사부를 추가로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커플링 연결구는 환경 재킷의 양 선단을 외향으로 접어서 지지봉이 삽입되는 수용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지지봉을 체결하는 것이므로 전체적으로 하나의 지지봉으로 체결력이 제공되므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체결되지 못하며, 관경이 서로 다른 관이 체결되는 경우에는 한쪽에서는 체결력이 유지되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체결력이 전혀 제공되지 못하므로 누수가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안된 국내 특허등록번호 제0527640호(2005. 11. 03. 등록)는 체결밴드의 단부에 환봉이 각각 분리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밴드를 절개하여 각각의 환봉이 독립적으로 조임 기능을 제공하여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하나의 체결밴드를 이용하는 것이 양자 모두 동일한 것이며, 단지 다수의 환봉을 삽입할 수 있도록 체결 밴드의 단부를 절개하여 환봉의 체결이 독립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는 길이가 매우 긴 하나의 체결밴드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이므로 성형성이 떨어지고 각각의 독립된 부분에서 조임력을 제공하더라도 관경이 다른 관을 결합하는 경우 관경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어떠한 효과도 발휘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체결밴드의 내경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패킹 내경에는 일정한 간격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관의 외경을 원주방향에서 감싸도록 한 후 환봉에 의한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으로 관경을 고정시켜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패킹은 관의 외경을 원주방향의 전체면에서 감싸주지 못하는 결점에 의해 수밀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65420호(2004. 10. 11.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0527640호(2005. 11. 03.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8441213호(2008. 06. 30. 등록) 문헌 4. 특허공개번호 제2008-0092533호(2008. 10. 16. 공개) 문헌 5. 특허등록번호 제0931920호(2009. 12. 07.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체결밴드의 양쪽 선단에서 소정의 폭으로 설치한 환봉 연결대에 환봉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환봉 삽입공에 독립되게 형성한 분리 환봉바를 삽입하여 하나의 환봉 연결대에서 환봉바가 독립되게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패킹의 내경에서 간격 유지부의 간격을 달리하고, 수밀유지 돌출부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관의 외경을 수밀되도록 안정되게 결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환봉바 양쪽에 안내 돌출부가 수직으로 돌출되어 관통공의 전체면에서 수직면이 형성되어 고정볼트가 관통공의 내면을 파먹지 않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경에 패킹이 설치되어 관의 외경을 체결하며, 체결밴드의 양쪽 끝 부분을 외측으로 말아 환봉 삽입공을 형성한 환봉 연결대에 절단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환봉 연결대에서 돌출된 용접날개를 스폿 용접부로 고정하여 환봉 삽입공에 결합한 환봉바의 관통공에 고정볼트를 관통시켜 이중너트로 체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환봉 삽입공의 절단구멍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출부의 외경으로 다수의 보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 돌출부를 관통한 관통공에 양쪽으로 안내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환봉 삽입공에 독립되게 삽입한 분리 환봉바와;
상기 체결밴드의 내경에서 관을 감싸며 중앙부의 양쪽으로 형성한 제1, 2, 3, 4 간격 유지부의 사이에 형성하는 제1, 2, 3, 4 수밀 유지부에 다수의 수밀 유지 돌출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 2, 3, 4 수밀 유지부는 중앙부에서 제4 간격 유지부 방향으로 수밀 유지 돌출부가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체결밴드의 양쪽 선단에서 소정의 폭으로 설치한 환봉 연결대에 환봉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환봉 삽입공에 독립되게 형성한 분리 환봉바를 각각 나누어 삽입하여 하나의 환봉 연결대에서 환봉바가 독립되게 조임력을 제공함으로써 양쪽에 서로 다른 관경의 관이 삽입되는 경우에도 충분한 조임력을 제공하여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패킹의 내경에서 중앙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간격 유지부의 간격을 더 넓게 형성하여 간격 유지부의 간격을 달리하고, 수밀유지 돌출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며, 양쪽 끝 부분에서는 수밀유지 돌출부가 외측을 향하여 소정의 경사각도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관의 외경의 수밀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 돌기를 환봉바의 정면에서 볼 때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보강하는 것이며, 관통공의 체결 돌출부 반대편 양쪽에 형성한 안내 돌출부가 수직으로 돌출되어 관통공의 전체면에서 수직면이 형성되어 관통하는 고정볼트가 체결력을 제공할 때 관통공의 내면을 파먹지 않도록 안정되고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분리 환봉바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분리 환봉바에 대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분리 환봉바에 대한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분리 환봉바에 대한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패킹에 대한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패킹에 대한 주요부분의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세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폭을 갖는 금속 재질의 얇은 시트를 감아 성형하는 체결밴드(11)는 양쪽 끝 부분에서 외측 방향으로 환봉 연결대(10)를 형성하고 용접날개(14)가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환봉 연결대(10)는 절단구멍(13)이 관통되어 있고, 원형으로 감겨진 내경에 환봉 삽입공(12)을 형성하며, 용접날개(14)는 체결밴드(11)의 외경에 결합하여 스폿 용접부(15)와 같이 여러 곳에서 용접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밴드(11)의 환봉 연결대(10) 안쪽 한 방향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6)를 스폿 용접부(15)와 같이 용접하여 환봉 연결대(10)의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환봉 연결대(10)의 환봉 삽입공(12)에는 분리 환봉바(20)를 결합하여 체결 돌출부(22)가 절단구멍(13)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한 후 용접날개(14)를 스폿 용접부(15)로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분리 환봉바(20)는 절단구멍(13)의 관통 개수에 따라서 독립되게 삽입하는 것이며, 분리 환봉바(20)의 관통공(21)에 고정볼트(30)를 삽입 관통하여 반대쪽에서 이중너트(31)로 나사식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밴드(11)의 내경에는 패킹(40)이 삽입되어 관의 외경을 감싸는 것이며, 패킹(40)에는 간격 유지부(44)와 수밀유지 돌출부(49)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 환봉바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분리 환봉바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분리 환봉바에 대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분리 환봉바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분리 환봉바(20)는 환봉 연결대(10)에 독립되게 삽입하는 것이며, 중앙의 한쪽으로 체결 돌출부(22)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 돌출부(22)의 중앙에서 관통공(21)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 돌출부(2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보강돌기(23)가 돌출되고, 보강돌기(23)는 분리 환봉바(20)의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정면에서 볼 때 상측과 하측에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보강하는 것이며, 관통공(21)의 체결 돌출부(22) 반대편 양쪽에 안내 돌출부(24)가 수직으로 돌출되어 관통공(21)의 전체면에서 수직면(24a)이 형성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패킹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패킹에 대한 주요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패킹(40)은 원통형으로 형성하며, 중앙부(41)를 기준으로 양쪽에 제1 간격 유지부(42)와 제2 간격 유지부(43), 제3 간격 유지부(44) 및 제4 간격 유지부(44a)를 형성하고, 상기 제1, 2, 3, 4 간격 유지부(42, 43, 44, 44a)의 사이에는 제1, 2, 3, 4 수밀 유지부(45, 46, 47, 47a)를 형성한다.
상기 제1 간격 유지부(42)는 가장 좁은 간격을 유지하며, 제2 간격 유지부(43)는 제1 간격 유지부(42)의 간격보다 더 넓고, 제3 간격 유지부(44)는 제2 간격 유지부(43)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하며, 제4 간격 유지부(44a)는 제3 간격 유지부(44)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1, 2, 3, 4 수밀 유지부(45, 46, 47, 47a)는 양쪽 선단에서 중앙부(41)를 향하여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도록 경사지게 다수의 수밀 유지 돌출부(49)가 형성되며, 양쪽 끝 부분인 제4 간격 유지부(44a)의 외측에는 제4 간격 유지부(44a)에서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도록 경사지게 수밀유지 돌출부(49)가 돌출된 선단 수밀 유지부(48)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소정의 폭을 갖는 체결밴드(11)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양쪽 끝 부분의 안쪽에서 일정한 간격에 3개의 절단구멍(13)을 갖도록 성형한다.
상기 절단구멍(13)이 각각 대칭되게 양쪽으로 형성되도록 체결밴드(11)의 끝 부분을 외측으로 말아 환봉 삽입공(12)을 갖는 환봉 연결대(10)를 형성하고, 상기 환봉 삽입공(12)에서 체결 돌출부(22)가 절단구멍(13)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안내 돌출부(24)가 서로 마주보도록 분리 환봉바(20)를 각각 독립되게 결합한다.
상기 분리 환봉바(20)는 환봉 삽입공(12) 하나에 3개를 독립되게 삽입하고, 용접날개(14)를 체결밴드(11)의 외경에 대고 스폿 용접부(15)와 같이 여러 곳에서 용접하여 고정한다.
상기 양쪽의 환봉 연결대(10) 중 한쪽 내측으로 슬라이드 플레이트(16)를 대고 함께 스폿 용접하여 결합한다.
통상적인 관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관을 서로 맞대기한 후 패킹(40)으로 관의 연결부분에 감싸고 상기 패킹(40)의 외경에 체결밴드(11)를 감아 환봉 연결대(10)가 서로 마주보도록 하고 분리 환봉바(20)의 체결 돌출부(22)에 형성된 관통공(21)에 고정볼트(30)를 관통시킨다.
양쪽의 분리 환봉바(20)에 형성한 관통공(21)을 고정볼트(30)로 관통시킨 후 이중너트(31)로 체결하여 조임력으로 체결밴드(11)를 조이게 되는 것이며, 분리 환봉바(20)는 하나의 환봉 삽입공(12)에 독립되게 3개의 분리 환봉바(20)를 결합한 것이므로 3곳에서 조임력이 각각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환봉 연결대(10)의 환봉 삽입공(12)에 결합한 분리 환봉바(20)를 통하여 양쪽의 관 중앙과 양쪽에서 각각 결합력을 제공하여 패킹(40)을 원주방향에서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체결 돌출부(22)의 외경에 형성한 보강돌기(23)는 원주방향에 형성되어 체결 돌출부(22)에 강한 압력이 형성되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압력을 체결밴드(11)에 제공하는 것이고, 분리 환봉바(20)에 형성한 안내 돌출부(24)는 관통공(21)의 양쪽에 형성되고, 관통공(21)의 양쪽에서 수직면(24a)이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고정볼트(30)가 관통공(21)에서 체결력을 제공할 때 내면을 파먹지 않고 안정되게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분리 환봉바(20)는 환봉 삽입공(12)에서 3등분 되어 각각 결합력(체결력)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양쪽에 연결되는 관의 외경이 서로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서로 다른 결합력을 제공하게 되어 패킹(40)으로 안정된 결합력을 제공하여 수밀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패킹(40)은 중앙부(41)에서 외측 방향으로 제1 간격 유지부(42)에 비하여 제2 간격 유지부(43)의 간격이 더 넓고, 제2 간격 유지부(43)의 간격에 비하여 제3 간격 유지부(44)의 간격이 넓으며, 제3 간격 유지부(44)의 간격에 비하여 제4 간격 유지부(44a)의 간격이 더 넓어 전체적으로는 제1, 2, 3, 4 간격 유지부(42, 43, 44, 44a)의 간격이 끝 부분으로 갈수록 더 넓게 형성하며, 제1, 2, 3, 4 수밀 유지부(45, 46, 47, 47a)는 중앙부(41)에서 제4 수밀 유지부(44a) 방향으로 경사각(θ)과 같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수밀 유지 돌출부(49)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관의 외경을 감싸서 수밀을 유지하게 되므로 여러 번의 감싸는 결합으로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양쪽 끝 부분의 선단 수밀 유지부(48)는 제4 간격 유지부(44a)에서 끝 부분으로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도록 수밀 유지 돌출부(49)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패킹(40)의 양쪽 끝 부분에서 관을 감싸 수밀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패킹(40)은 중앙부(41)의 양쪽으로 제1, 2, 3, 4 간격 유지부(42, 43, 44, 44a)의 간격을 달리하고 소정의 경사각(θ)으로 수밀 유지 돌출부(49)가 경사지게 형성하여 여러 단계로 수밀을 유지하여 안쪽에서 누수되는 것을 여러 단계로 수밀이 되도록 다단 차단역할을 수행하며, 양쪽 끝 부분에서는 소정의 경사각(θ)은 안쪽의 수밀 유지부의 각도를 반대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서 관의 수밀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환봉 삽입공에 독립되게 결합력을 제공하는 분리 환봉바를 결합하여 관의 외경 치수가 다른 경우에도 각 관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결합력을 제공하여 패킹에 의한 수밀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패킹의 내경에서 간격 유지부의 폭을 달리하고 내측의 수밀 유지부와 선단의 수밀 유지부의 돌출부 경사각을 달리하여 여러 단계에서 관의 수밀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0 : 환봉 연결대 11 : 체결밴드
12 : 환봉 삽입공 13 : 절단구멍
14 : 용접날개 15 : 스폿 용접부
16 : 슬라이드 플레이트 20 : 분리 환봉바
21 : 관통공 22 : 체결 돌출부
23 : 보강돌기 24 : 안내 돌출부
24a : 수직면 30 : 고정볼트
31 : 이중너트 40 : 패킹
41 : 중앙부 42 : 제1 간격 유지부
43 : 제2 간격 유지부 44 : 제3 간격 유지부
44a : 제4 간격 유지부 45 : 제1 수밀 유지부
46 : 제2 수밀 유지부 47 : 제3 수밀 유지부
47a : 제4 수밀 유지부 48 : 선단 수밀 유지부
49 : 수밀 유지 돌출부 θ : 경사각

Claims (4)

  1. 내경에 패킹(40)이 설치되어 관의 외경을 체결하며, 체결밴드(11)의 양쪽 끝 부분을 외측으로 말아 환봉 삽입공(12)을 형성한 환봉 연결대(10)에 절단구멍(13)을 형성하고, 상기 환봉 연결대(10)에서 돌출된 용접날개(14)를 스폿 용접부(15)로 고정하여 환봉 삽입공(12)에 결합한 환봉바의 관통공에 고정볼트(30)를 관통시켜 이중너트(31)로 체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환봉 삽입공(12)의 절단구멍(13)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출부(22)의 외경으로 다수의 보강돌기(23)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 돌출부(22)를 관통한 관통공(21)에 양쪽으로 안내 돌출부(24)를 형성하며, 상기 환봉 삽입공(12)에 독립되게 삽입한 분리 환봉바(20)와;
    상기 체결밴드(11)의 내경에서 관을 감싸며 중앙부(41)의 양쪽으로 형성한 제1, 2, 3, 4 간격 유지부(42, 43, 44, 44a)의 사이에 형성하는 제1, 2, 3, 4 수밀 유지부(45, 46, 47, 47a)에 다수의 수밀 유지 돌출부(49)를 형성하되;
    상기 제1, 2, 3, 4 수밀 유지부(45. 46, 47, 47a)는 중앙부(41)에서 제4 간격 유지부(44a) 방향으로 수밀 유지 돌출부(49)가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분리 환봉바(20)는 보강돌기(23)가 분리 환봉바(20)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정면에서 볼 때 상측과 하측에 돌출되지 않도록 다수 개 형성되어 보강하고, 관통공(21)이 체결 돌출부(22) 반대편 양쪽에 안내 돌출부(24)가 수직으로 돌출되며, 상기 관통공(21)의 양쪽에서 수직면(24a)이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패킹(40)은 제1 간격 유지부(42)의 넓이보다 제2 간격 유지부(43)의 간격이 더 넓고, 상기 제2 간격 유지부(43)의 간격보다 제3 간격 유지부(44)의 간격이 더 넓으며, 제3 간격 유지부(44)의 간격보다 제4 간격 유지부(44a)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하여 관의 외경을 다단으로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패킹(40)은 양쪽 끝 부분에 선단 수밀 유지부(48)를 형성하되; 선단 수밀 유지부(48)에 형성한 다수의 수밀 유지 돌출부(49)는 수밀 유지부(48)의 선단 끝 부분에서 안쪽 제4 간격 유지부(44a)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KR1020100125063A 2010-12-08 2010-12-08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KR101020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063A KR101020753B1 (ko) 2010-12-08 2010-12-08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063A KR101020753B1 (ko) 2010-12-08 2010-12-08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753B1 true KR101020753B1 (ko) 2011-03-09

Family

ID=4393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063A KR101020753B1 (ko) 2010-12-08 2010-12-08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7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668B1 (ko) 2012-01-10 2012-07-11 (주)명성화학 볼트와 너트의 풀림 방지용 환봉 연결구
KR101478321B1 (ko) * 2014-07-21 2014-12-31 주식회사 씨피에스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
CN111539533A (zh) * 2020-04-20 2020-08-14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基于极限学习机和小孔特征的焊接熔透定量评价方法
KR102188156B1 (ko) * 2020-07-07 2020-12-08 주식회사 퍼팩트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248Y1 (ko) 2005-06-30 2005-09-07 벽진산업 주식회사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JP2007170660A (ja) 2005-11-28 2007-07-05 Kanaflex Corporation 管体の継手構造および継手装置
KR100880799B1 (ko) 2008-08-25 2009-02-02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수밀성이 향상된 관 연결구
KR20100095055A (ko) * 2009-02-20 2010-08-30 주식회사 시코 관 연결구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248Y1 (ko) 2005-06-30 2005-09-07 벽진산업 주식회사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JP2007170660A (ja) 2005-11-28 2007-07-05 Kanaflex Corporation 管体の継手構造および継手装置
KR100880799B1 (ko) 2008-08-25 2009-02-02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수밀성이 향상된 관 연결구
KR20100095055A (ko) * 2009-02-20 2010-08-30 주식회사 시코 관 연결구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668B1 (ko) 2012-01-10 2012-07-11 (주)명성화학 볼트와 너트의 풀림 방지용 환봉 연결구
KR101478321B1 (ko) * 2014-07-21 2014-12-31 주식회사 씨피에스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
CN111539533A (zh) * 2020-04-20 2020-08-14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基于极限学习机和小孔特征的焊接熔透定量评价方法
KR102188156B1 (ko) * 2020-07-07 2020-12-08 주식회사 퍼팩트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753B1 (ko)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US7431343B2 (en) Joint structure for quickly connecting corrugated pipe
KR100757883B1 (ko) 꼬임메쉬휀스용 지주
KR101163668B1 (ko) 볼트와 너트의 풀림 방지용 환봉 연결구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716062B1 (ko) 파이프 커플링
KR102563006B1 (ko) 파이프 커플링
KR100883643B1 (ko) 균일하고 강한 연결이 가능한 커플링 연결구
KR100966786B1 (ko) 소켓 관과 클램프를 이용한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JPH074988U (ja) 管継手
KR20080092533A (ko) 환봉지지 스텐밴드 분할형 연결구
KR200451092Y1 (ko) 체결이 용이한 환봉 지지형 연결구
KR20150090550A (ko) 연결용 유닛이 구비된 파형강관
JP6262544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環状保護部材
KR20080029157A (ko) 환봉지지 분리형 연결구
KR101083327B1 (ko) 플랜지와 스토퍼를 이용하여 연결한 상하수도관
KR100966884B1 (ko)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
KR101083766B1 (ko) 플랜지와 스토퍼를 이용하여 연결한 상하수도관과 그 체결방법
KR101040685B1 (ko) 관 고정용 환봉 연결구
TW201700894A (zh) 大口徑沉水管接頭裝置及其結合方法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101040681B1 (ko)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
KR101163672B1 (ko) 조임력 증가용 환봉 연결구
KR20090078191A (ko) 파이프 연결부재
KR200458178Y1 (ko) 하수관 이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