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191A - 파이프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191A
KR20090078191A KR1020080004015A KR20080004015A KR20090078191A KR 20090078191 A KR20090078191 A KR 20090078191A KR 1020080004015 A KR1020080004015 A KR 1020080004015A KR 20080004015 A KR20080004015 A KR 20080004015A KR 20090078191 A KR20090078191 A KR 20090078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wheel body
tightening whee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선
Original Assignee
박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선 filed Critical 박용선
Priority to KR1020080004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8191A/ko
Publication of KR20090078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렌지가 구비된 파이프와 플렌지가 없는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부재는, 일측단부 외주면에 플렌지가 결합되고, 타측단부 내주면에 확경부가 형성되며, 타측단부 외주면에 단턱부가 형성된 연결관체와; 상기 확경부로 삽입되는 링 형상의 씰링부재와; 중앙부에 관통공이 구비되고, 테두리부를 따라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조임륜체와; 결합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일측단부가 단턱부에 걸리는 걸림수단과, 걸림수단의 타측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조임수단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부재는, 플렌지가 구비된 파이프와 플렌지가 없는 파이프의 연결 시 별도의 연결자재가 필요로 되지 않으며, 파이프 연결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파이프, 관체, 이음관, 이음부재

Description

파이프 연결부재{Connecting members between the pipes}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플렌지가 구비된 파이프와 플렌지가 없는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플렌지를 가진 파이프와의 연결용 플렌지가 일측단부에 구비된 연결관체 및 플렌지가 없는 파이프를 연결관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연결관체에 결합되는 조임륜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특징은 도시화라 할 수 있을 만큼 수 많은 사람들이 도시 및 그 주변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집중된 도시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상·하수도를 비롯하여 기름, 가스, 전기 등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 배관망으로서, 배관망이 구축되지 않은 현대도시의 유지는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배관망은 기본적으로 유체(流體)를 특정한 곳에서 다수 곳에 공급하거나, 다수 곳에서 특정한 곳으로 모으기 위한 것으로, 크게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도시를 포함하여 작게는 각종 기계장치에도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배관망을 구성하는 파이프는 그 길이가 한정되기 때문에 배관망은 다수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배관망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각종 파이프의 연결방법은 다양한 형태가 있는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두 파이프를 맞댄 상태에서 용접하여 두 파이프를 직접 접합하는 방법으로서, 동 파이프 등에서 적용되고 있는 브래이징(blazing) 접합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용접에 의한 파이프 연결에는 전기아크 용접법이 적용된다.
상기 용접에 의해 연결된 두 파이프는 분리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바, 연결부를 손상시키지 않고는 두 파이프를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파이프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부위의 연결에는 적용할 수가 없을 뿐 아니라, 전원이 없는 곳에서는 파이프를 연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연결된 파이프의 분리가 불가능한 용접 연결과 달리 필요 시 연결되었던 부분을 분리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방법으로는, 내주면 양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체형 소켓을 이용한 방법이 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상이 되는 두 파이프(11)의 각 연결단부 외주면에 나사산(T)을 형성시킨 후, 두 파이프(11)의 연결단부 외주면을, 나사산(T)이 형성된 소켓(12)의 내주면 양 단부에 각각 나사결합시키는 방법이다.
소켓을 이용한 파이프의 연결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연결방법 중의 하나이긴 하나, 파이프의 직경이 클 경우에는 소켓의 내주면과 파이프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가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략 직경이 100mm 이하 정도의 소경 파이프에 적 합하며, 그 보다 큰 중·대경 파이프의 연결에는 적합치 않은 단점이 있다.
상기 소켓을 이용한 연결방법과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소경 파이프는 물론 중·대경 파이프의 연결에도 적용될 수 방법으로는 플렌지를 이용한 방법이 있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상이 되는 두 파이프(11)의 연결단부에 환상(環狀)의 플렌지(F)를 각각 구비하고, 두 파이프(11)의 플렌지(F)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플렌지(F)에 구비된 결합공(H1)을 통하여 볼트(B)/너트(N)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두 플렌지를 결합하는 방법이다.
이때 체결부재에 의해 밀착되는 두 플렌지 사이에는 오링(O-ring), 개스켓(gasket) 등과 같은 씰링부재가 개재되는 것이 밀반적이다.
그런데 주물관을 제외한 일반적인 강관에는 플렌지를 일체로 형성시기기가 매우 어려운 바, 강관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제작된 환상의 플렌지를 강관의 연결단부에 용접 결합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파이프를 포함한 모든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용접, 소켓, 플렌지 등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예를 들어, 플렌지가 구비되지 않았으면서도 소켓의 사용이 어려운 중·대경 파이프의 경우에는 용접 외의 방법으로 두 파이프를 연결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플렌지가 없으며 소켓을 사용할 수 없는 파이프를 쉽게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는 바, 국내 실용신안공보 실1989-345에 "수도 파이프 이음관"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은, 양 단부에 접촉륜과 압착륜이 구비된 이음관몸통의 양 측 에, 연결대상인 한 쌍의 파이프를 각각 삽입 결합한 후, 압착륜에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두 통공을 볼트/너트로 조일 수 있도록 구조로서, 소켓을 사용하지 않고도 플렌지가 구비되지 않은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배관은 상기와 같이 플렌지가 구비되지 않은 두 파이프를 연결해야 할 때도 있으나, 플렌지가 구비된 파이프와 플렌지가 구비되지 않은 파이프를 연결해야 하는 경우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파이프 연결방법들로는 플렌지가 구비된 파이프와 플렌지가 없는 파이프를 연결할 수가 없었는 바, 일측단부에 플렌지가 구비되나 타측단부에는 플렌지가 없는 중간연결관체가 필요로 되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렌지가 구비된 파이프(31)와 플렌지가 구비되지 않은 파이프(33)를 연결하는 경우, 일측단부에 플렌지가 구비되나 타측단부에는 플렌지가 없는 중간연결관체(32)를 플렌지(F)가 구비된 연결대상 파이프(31)와 1차 연결한다.
그 후, 상기 실용신안에 게시된 이음관(34) 등을 이용하여 플렌지가 없는 상기 중간연결관체(32)의 타측단부와 플렌지가 없는 연결대상 파이프(33)를 2차 연결해주어야 하는 바, 상기 실용신안에 게시된 이음관(34) 외에 중간연결관체(32) 등의 연결자재가 추가적으로 요구될 뿐만 아니라, 파이프 연결작업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플렌지가 구비된 파이프와 플렌지가 구비되지 않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하여 양 단부 중의 어느 일측에 플렌지가 구비된 중간연결관체를 사용하여야만 하는 종래의 파이프 연결부재들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중간연결관체 등과 같은 추가적인 연결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플렌지가 구비된 파이프와 플렌지가 없는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중간연결관체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연결부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더욱 빠른 시간 내에 두 파이프의 연결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플렌지가 구비된 연결대상 파이프에 결합하기 위한 플렌지가 일측단부에 구비된 연결관체와, 플렌지가 없는 상태에서 연결관체의 타측단부로 삽입되는 연결대상 파이프를 연결관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연결대상 파이프에 관통된 상태로 연결관체에 결합되는 조임륜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부재는, 플렌지가 구비된 파이프와 플렌지가 없는 파이프를 직접 연결할 수 있으며, 플렌지가 있는 파이프와 플렌지가 없는 파이프를 연결 시 본 발명의 연결부재 외에 중간연결관체 등과 같은 별도의 연결자재가 필요 로 되지 않기 때문에 자재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중간연결관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연결부의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파이프 연결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의 연결, 특히 플렌지가 구비된 파이프(이하에서는 "플렌지관"이라 한다.)와 플렌지가 구비되지 않은 파이프(이하에서는 "무플렌지관"이라 한다.)의 연결에 사용되는 파이프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부재는 플렌지관과 무플렌지관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대상이 되는 플렌지관과 무플렌지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관체와; 연결관체에 무플렌지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임륜체; 등으로 구성되는 바,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결관체는, 연결대상인 플렌지관과 무플렌지관 사이에 개재되는 관체로서, 그 일측단부에는 플렌지관의 플렌지와 밀착 결합될 수 있는 플렌지가 구비된다.
그리고 플렌지가 없는 연결관체의 타측단부 내경부를 통하여서는 무플렌지관이 연결관체의 내경부로 삽입되는 바, 무플렌지관을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오링(O-ring)이나 개스켓 등과 같은 씰링부재를 연결관체의 내경부에 개재시킬 수 있도록, 연결관체의 타측단부 내경부에는 그 내경이 확대된 확경부가 형성된다.
즉 연결관체의 내경은 플렌지가 있는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를 향하여 일정하게 형성된 후 타측단부에 이르러 그 내경이 커진 확경부가 형성되며, 이 확경부 의 내경은, 확경된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도 있으나, 연결관체의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를 향한 방향을 따라 점차 증가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내경이 증가한 후 확경된 내경이 유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관체의 길이를 300mm, 내경을 100mm라 할 때,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 측으로 70mm 부분까지 100mm의 내경이 유지된 후, 나머지 30mm 부분은 내경이 100mm에서 110mm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거나, 나머지 30mm 부분의 내경이 110mm로 확경된 상태에서 유지되거나, 나머지 30mm 중 20mm까지는 내경이 100mm에서 110mm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최종 10mm는 내경 110mm로 유지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확경부로 삽입되는 씰링부재는 조임륜체에 의해 밀려 연결관체의 일측단부 측으로 밀착되는 바, 조임륜체에 의해 밀려나는 씰링부재가 연결관체의 내경부로 삽입된 무플렌지관의 외주면 측으로도 밀착될 수 있도록 확경부에, 그 내경이 연결관체의 타측단부에서 그 일측단부 방향으로 점차 감소되는 부분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임륜체에 의해 밀리는 씰링부재가, 연결관체의 일측단부 측으로 점차 감소하는 내경부의 내주면 경사를 따라 무플렌지관의 외주면에도 더욱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조임륜체는, 상기 연결관체의 내경부로 삽입된 무플렌지관을 연결관체에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부에 무플렌지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된 링 또는 환의 형상이다.
그리고 연결대상 파이프인 무플렌지관은 조임륜체를 관통한 상태에서 연결관 체의 내경부로 삽입되는 바, 무플렌지관이 조립된 상태에서 조임륜체는 연결관체의 타측단부에 인접한 무플렌지관의 외주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즉 무플렌지관을 조임륜에 관통시킨 후 무플렌지관의 삽입단부를 연결관체의 내경부에 삽입하면, 무플렌지관의 외주면에 연결관체와 조임륜체가 순차적으로 위치하게 되는 바, 연결관체와 조임륜체를 결합함으로써 무플렌지관이 연결관체에 결합된다.
이때 무플렌지관은, 조임륜체를 관통한 후 씰링부재를 다시 관통한 상태에서 연결관체의 내경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무플렌지관의 삽입단부측 외주면에는 연결관체의 타측단부, 씰링부재 및 조임륜체가 순차적으로 위치하게 되고, 무플렌지관이 삽입된 연결관체의 타측단부의 내주면에는 확경부가 형성된 상태인 바, 볼트/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조임륜체를 연결관체 측으로 조이게 되면, 상기 씰링부재가 조임륜체에 의해 밀려 연결관체의 확경부로 삽입된다.
즉 연결관체의 확경부로 삽입되는 씰링부재가 조임륜체에 의해 압박되면서 연결관체의 확경부 내주면과 무플렌지관의 외주면 및 조임륜체에 밀착되는 바, 조임륜체의 압박에 의해 연결관체와 무플렌지관 및 조임륜체 사이에서 밀착되는 씰링부재의 탄성 밀착력에 의해 무플렌지관이 연결관체에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에 본 발명 일실시예 파이프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를, 도 5에 분해 단면도를, 도 6에 결합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부재는,
연결대상인 플렌지관(P)의 플렌지(F)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공(H1)이 관통 형성된 플렌지(41A)가 일측단부 외주면에 구비되고, 타측단부 외주면에 단턱부(J)가 형성되며, 타측단부 내주면에 내경이 확대된 확경부(I)가 형성되고, 상기 확경부(I)를 통하여 무플렌지관(P')이 삽입되는 연결관체(41)와;
상기 무플렌지관(P')에 관통된 상태에서 무플렌지관(P')의 외주면을 따라 연결관체(41)의 확경부(I)로 삽입되는 링 형상의 씰링부재(42)와;
상기 무플렌지관(P')을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H2)이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고, 테두리부를 따라 다수의 결합공(H1)이 관통 형성된 조임륜체(43)와;
상기 조임륜체(43)의 결합공(H1)을 관통한 상태에서 일측단부가 연결관체(41)의 단턱부(J)에 걸리는 볼트 형상의 걸림수단(44A)과, 걸림수단(44A)의 타측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 형상의 조임수단(44B)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44);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체(41)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단턱부(J)는 플렌지와 같은 환의 형상일 수도 있고, 조임륜체(43)의 결합공(H1) 수와 대응되도록 서로 끊어진 다수의 단턱부가 환의 형상을 따라 단속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부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플렌지관(P)과 무플렌지관(P')을 연결하게 된다.
연결관체(41)의 플렌지(41A)를 플렌지관(P)의 플렌지(F)에 결합한 후 무플렌지관(P')을 조임륜체(43)와 씰링부재(42)에 순차 관통시키고, 조임륜체(43)와 씰링부재(42)에 관통시킨 무플렌지관(P')의 삽입단부를 연결관체(41)의 확경부(I) 측에서 연결관체(41)의 내경부로 삽입한다.
그리고 걸림수단(44A)을 조임륜체(43)의 결합공(H1)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그 일측단부가 연결관체(41)의 단턱부(J)에 걸리도록 하고, 걸림수단(44A)의 타측단부에 조임수단(44B)을 나사결합한 후 조임수단(44B)을 조임으로써, 플렌지관(P)과 무플렌지관(P')이 연결된다.
이때 플렌지관(P)의 플렌지(F)와 연결관체(41)의 플렌지(41A) 사이에도, 도시되지 않았으나, 오링이나 개스켓 등과 같은 씰링부재를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임수단(44B)을 조임에 따라 조임륜체(43)가 무플렌지관(P')의 외주면을 따라 연결관체(41)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확경부(I) 내로 진입한 씰링부재(42)가 조임륜체(43)에 의해 압박되면서 씰링부재(42)가 연결관체(41)와 무플렌지관(P') 및 조임륜체(43)에 밀착됨으로써, 무플렌지관(P')이 연결관체(41)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조임륜체(43)에 의한 씰링부재(42)의 압박력을 더욱 강하게 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상 파이프인 무플렌지관(P')이 관통하게 되는 조임륜체(43)의 관통공(H2)에 접한 또는 인접한 내면(SI)에 연결관체(41)의 확경부(I)로 삽입되는 링 형상의 삽입돌기(E)를 돌출시키고, 이 삽입돌기(E)가 연결관체(41)의 확경부(I) 내로 진입하면서 씰링부재(42)를 더욱 압박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E)의 확경부(I) 삽입에 의해 연결관체(41)와 조임륜체(43)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바, 결합구조가 더욱 안정화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부재(44)를 이용하여 연결관체(41)와 조임륜(43)을 조이는 경우 걸림수단(44B)의 일측단부가 연결관체(41)의 단턱부(J)에서 이탈될 수가 있다.
즉 조임륜체(43)의 테두리부에 걸린 걸림수단(44B)의 일측단부가 조임수단(44B)을 조이는 과정에서 조임륜체(43)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움직이면서 단턱부(J)에서 이탈될 수가 있는 바, 걸림수단(44B)의 일측단부가 단턱부(J)에서 벗어날 정도로 조임륜체(43)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임륜체(43)의 내면(SI) 테두리부에 연결관체(41) 측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벽(W)을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의 이탈방지벽(W)을 구비하지 않고도 걸림수단(44B)의 일측단부가 단턱부(J)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체(41)의 단턱부(J)를, 결합공(H1)이 구비된 플렌지(41B)로 대체하고, 이 플렌지(41B)와 조임륜체(43)를 플렌지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두 파이프를 연결할 때 연결대상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다를 수도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체(41)의 직경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즉 플렌지관(P)과 무플렌지관(P')의 직경이 상이하여 확경부(I)를 제외하고 무플렌지관(P')이 삽입되는 내경부 직경이 동일한 연결관체(41)로서 두 파이프를 연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직경이 다른 연결대상 각 파이프에 맞추어 연결관체(41)의 직경이 축 방향을 따라 소경부(D1)와 대경부(D2)의 두 부분으로 구분되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관체(41)와 플렌지관(P)의 연결 시 두 관체(41)(P)의 맞대기 작업을 가능한 손쉽게 하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체(41)의 일측단부 선단면에, 플렌지관(P)의 내경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외주면이 플렌지관(P)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환형 단턱부(J')를 돌출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관체(41)의 내경부 전체로 무플렌지관(P')이 삽입되는 경우, 특히 두 파이프(P)(P')의 내·외경이 동일한 경우, 두 파이프(P)(P')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체(41)의 일측단부 내주면에, 무플렌지관(P')의 선단면이 걸리는 단턱부(J")를 돌출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단턱부(J")와 무플렌지관(P') 사이에 씰링부재(도면 미도시)를 개재하는되것이 좋다.
그 외에, 조임륜체(43) 및 씰링부재(42)를 관통한 상태에서 연결관체(41)로 삽입된 무플렌지관(P)이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압착부재(45)가 조임륜체(43)의 내·외주면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조임륜체(43)의 외주면에서 관통공(H2)의 내주면(또는 '조임륜체의 내주면')으로 관통하면서 나사결합된 압착부재(45)는 회전에 의해 관통공(H2)의 직경 방향을 따라 관통공(H2)의 중심을 향하여 또는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바, 압착부재(45)를 회전시켜 관통공(H2)의 중심을 향한 압착부재(45)의 길이 방향 내측단부가 무플렌지관(P')의 외주면에 단단히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무플렌지관(P')을 조임륜체(43)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륜체(43) 및 연결관체(41)의 플렌지(41A)(41B) 등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H1)은 연결대상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가상의 원을 따라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멍으로 관통 형성되지 않고 플렌지의 외주면 측으로 개방됨으로써 "U"자의 형상을 하는 홈의 형태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도 1은 소켓을 이용한 파이프의 종래 연결방법을 보인 분리 모식도.
도 2는 플렌지를 이용한 파이프의 종래 연결방법을 보인 분리 모식도.
도 3은 이음관과 중간연결관체를 이용한 파이프의 종래 연결방법을 보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 파이프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 파이프 연결부재의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 파이프 연결부재를 사용한 파이프의 연결방법을 보인 것으로,
(가)는 체결부재를 완전히 조이기 전의 결합 단면도.
(나)는 체결부재를 완전히 조인 후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 파이프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연결관체의 사용방법을 보인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3실시예 파이프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연결관체의 사용방법을 보인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예 파이프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연결관체의 사용방법을 보인 결합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4실시예 파이프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연결관체의 사용방법을 보인 결합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제5실시예 파이프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연결관체의 사용방 법을 보인 결합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제6실시예 파이프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조임륜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1. 연결관체 41A.41B. 플렌지 42. 씰링부재
43. 조임륜체 44. 체결부재 44A. 걸림수단
44B. 조임수단 45. 압착부재
D1. 소경부 D2. 대경부 E. 삽입돌기
F. 플렌지 H1. 결합공 H2. 관통공
I. 확경부 J,J',J". 단턱부 P. 플렌지관
P'. 무플렌지관 SI. 내면 W.이탈방지벽

Claims (9)

  1. 플렌지(41A)가 일측단부 외주면에 구비되고, 타측단부 내·외주면에 확경부(I)와 단턱부(J)가 각각 형성된 연결관체(41)와;
    상기 연결관체(41)의 확경부(I)로 삽입되는 씰링부재(42)와;
    중앙부에 관통공(H2)이 구비되고, 테두리부를 따라 다수의 결합공(H1)이 관통 형성된 조임륜체(43)와;
    상기 조임륜체(43)의 결합공(H1)을 관통한 일측단부가 연결관체(41)의 단턱부(J)에 걸리는 걸림수단(44A)과, 걸림수단(44A)의 타측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조임수단(44B)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44);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륜체(43)의 내면(SI)에는,
    연결관체(41)의 확경부(I)로 삽입되는 삽입돌기(E)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륜체(43)의 내면(SI) 테두리부에는,
    단턱부(J)에서 걸림수단(44A)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이탈방지벽(W)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J)는,
    다수의 결합공(H1)이 관통 형성된 플렌지(41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체(41)는,
    축 방향을 따라 직경이 다른 소경부(D1)와, 대경부(D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륜체(43)에는,
    관통공(H2)의 직경 방향을 따른 왕복 이동에 의해 조임륜체(43)의 관통공(H2)을 관통하는 연결대상 파이프(P')의 외주면에 압착가능한 하나 이상의 압착부재(45)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체(41)의 확경부(I)에는,
    연결관체(41)의 플렌지(41A)측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측 방향을 따라 내경이 점차 증가하는 부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체(41)의 플렌지관(P)측 선단면에는,
    연결대상 파이프의 내경부로 삽입되는 단턱부(J')가 돌출구비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체(41)의 일측단부 내주면에는,
    단턱부(J")가 돌출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재.
KR1020080004015A 2008-01-14 2008-01-14 파이프 연결부재 KR20090078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015A KR20090078191A (ko) 2008-01-14 2008-01-14 파이프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015A KR20090078191A (ko) 2008-01-14 2008-01-14 파이프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191A true KR20090078191A (ko) 2009-07-17

Family

ID=4133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015A KR20090078191A (ko) 2008-01-14 2008-01-14 파이프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81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303B1 (ko) * 2010-01-25 2010-05-25 (주) 제일산업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
KR100982561B1 (ko) * 2010-01-25 2010-09-16 (주) 제일산업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와 그 체결방법
KR102345963B1 (ko) 2021-02-26 2021-12-31 주식회사 아이제이그룹 부동산 매물의 역경매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303B1 (ko) * 2010-01-25 2010-05-25 (주) 제일산업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
KR100982561B1 (ko) * 2010-01-25 2010-09-16 (주) 제일산업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와 그 체결방법
KR102345963B1 (ko) 2021-02-26 2021-12-31 주식회사 아이제이그룹 부동산 매물의 역경매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28933A (ko) 2021-02-26 2022-09-22 주식회사 아이제이그룹 부동산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위한 장치
KR20220128934A (ko) 2021-02-26 2022-09-22 주식회사 아이제이그룹 부동산 관련 역경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9934B2 (en) Pipe coupling
JP6623261B2 (ja) 管継手
US4779900A (en) Segmented pipe joint retainer glands
KR100999943B1 (ko) 조립성 및 밀봉성이 향상된 무용접 파이프 연결 조인트
JP5941643B2 (ja) 継手
US4896903A (en) Segmented pipe joint retainer glands
KR101116344B1 (ko) 회전식 파이프 연결 장치
WO2015170407A1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US7467814B2 (en) Flange
KR20090078191A (ko) 파이프 연결부재
KR101171334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6262544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環状保護部材
KR10215736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US4215880A (en) Tube clamp
WO1998022741A1 (en) Device on a conduit end and arrangement for joining conduits
JP6964879B2 (ja) 漏洩補修構造及び漏洩補修具
KR20080092533A (ko) 환봉지지 스텐밴드 분할형 연결구
KR20200123920A (ko)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CN102062273A (zh) 一种钢丝塑料复合管的连接方法
US20130207387A1 (en) Pipe Connector
JP2006316816A (ja) 管継手構造
JP2006250341A (ja) 管接続方法および管接続構造
KR100779984B1 (ko) 관 연결구
JPH11108267A (ja) 管継手
KR20190091172A (ko) 파이프 배관용 2단 플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