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681B1 -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 - Google Patents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681B1
KR101040681B1 KR1020110019918A KR20110019918A KR101040681B1 KR 101040681 B1 KR101040681 B1 KR 101040681B1 KR 1020110019918 A KR1020110019918 A KR 1020110019918A KR 20110019918 A KR20110019918 A KR 20110019918A KR 101040681 B1 KR101040681 B1 KR 101040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 bar
bolt
fastening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호
Original Assignee
벽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16L21/005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made of elastic material, e.g. partly or completely surrounded by clam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환봉바를 관통하여 조임하는 볼트의 머리 부분에 고정축을 돌출시키고 환봉바에 상기 고정축이 결합하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고정축과 고정홈이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를 조임하여 볼트 조임이 완료된 후 볼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상태를 제공함으로써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며, 조임력에 의해 환봉바의 사이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패킹의 조임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는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경에 패킹(40)이 설치되어 관(50)의 외경을 체결하며, 일정한 간격에 절단구멍(12)을 형성하고 환봉 삽입공(11)을 형성한 환봉 연결대(10)를 형성하여 돌출된 용접날개(13)를 체결밴드(30)의 양쪽 끝 부분에서 용접으로 고정하며 환봉 삽입공(11)에 결합한 환봉바(20)의 관통구멍(22)에 고정볼트(24)를 관통시켜 너트(28)로 체결하는 환봉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24)는 머리(25)에 형성된 머리날개(26)에 고정축(27)을 돌출시켜 체결 돌출부(21)의 고정홈(23)에 결합 고정볼트(24)를 고정하여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 후 너트(28)로 체결력을 제공하며,
상기 체결밴드(30)의 한쪽으로 연결하는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31)를 용접날개(13)와 함께 용접 고정하되; 상기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31)에는 절곡 요철부(33)를 형성하여 환봉 연결대(10)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Coupling pipe of round bar}
본 발명은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환봉바를 관통하여 조임하는 볼트의 머리 부분에 고정축을 돌출시키고 환봉바에 상기 고정축이 결합하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고정축과 고정홈이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를 조임하여 볼트 조임이 완료된 후 볼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상태를 제공함으로써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며, 조임력에 의해 환봉바의 사이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패킹의 조임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는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체를 운반하는 관 또는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며, 이중 환봉 연결구는 체결밴드의 양쪽으로 환봉이 삽입되는 환봉 삽입공을 형성하고,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으로 내경에 형성한 패킹을 조임함으로써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65420호(2004. 10. 11. 등록)와 같이 2개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부분에 장착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를 감싸는 환형 재킷; 상기 재킷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삽입된 실링부재; 상기 재킷의 양단이 외향으로 접혀서 형성된 수용부; 및 이 수용부에 개재되고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된 볼트에 기워진 슬리브 와셔와 너트를 지지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봉 삽입공의 내면이 지지봉의 외주연으로 일부 돌출되어 소정두께의 접촉면을 갖는 돌출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삽입공은 끝단의 일정부에서 지지봉의 외주연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경사부를 추가로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커플링 연결구는 환경 재킷의 양 선단을 외향으로 접어서 지지봉이 삽입되는 수용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지지봉을 체결하는 것이므로 전체적으로 하나의 지지봉으로 체결력이 제공되므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체결되지 못하며, 관경이 서로 다른 관이 체결되는 경우에는 한쪽에서는 체결력이 유지되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체결력이 전혀 제공되지 못하므로 누수가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안된 국내 특허등록번호 제0527640호(2005. 11. 03. 등록)는 체결밴드의 단부에 환봉이 각각 분리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밴드를 절개하여 각각의 환봉이 독립적으로 조임 기능을 제공하여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하나의 체결밴드를 이용하는 것이 양자 모두 동일한 것이며, 단지 다수의 환봉을 삽입할 수 있도록 체결 밴드의 단부를 절개하여 환봉의 체결이 독립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는 길이가 매우 긴 하나의 체결밴드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이므로 성형성이 떨어지고 각각의 독립된 부분에서 조임력을 제공하더라도 관경이 다른 관을 결합하는 경우 관경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어떠한 효과도 발휘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환봉 연결구는 모두 양쪽으로 결합하는 환봉을 볼트가 관통하고 관통되는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여 볼트와 너트의 조임력에 의존하여 체결력을 제공하게 되었으나, 조임력이 제공된 후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서 볼트 또는 너트가 회전되면서 관 또는 파이프에 열팽창계수에 의한 수축과 팽창이 반복해서 이루어지고 토압이나 수압이 제공되면서 볼트와 너트의 조임력이 서서히 약해지게 되므로 누수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환봉 연결구의 환봉 삽입공에 환봉바를 삽입하고 고정볼트를 양쪽으로 관통시키고 너트로 고정볼트를 조여 조임력을 제공할 때 환봉바의 사이에 체결밴드의 끝 부분으로 연결부를 더 돌출시켜 체결밴드로 감싸지 못하는 패킹을 감싸서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지만, 조임력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 볼트와 너트를 계속해서 조이면 조임력이 상승되면서 환봉바의 사이에 있는 연결부의 중앙에서 외경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면서 패킹의 외경에 제공하는 조임력을 상실하게 되므로 돌출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65420호(2004. 10. 11.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0527640호(2005. 11. 03.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8441213호(2008. 06. 30. 등록) 문헌 4. 특허공개번호 제2008-0092533호(2008. 10. 16. 공개) 문헌 5. 특허등록번호 제0931920호(2009. 12. 07.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체결밴드의 양쪽 선단에서 소정의 폭으로 설치한 환봉 연결대에 환봉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환봉 삽입공에 환봉바를 삽입하여 상기 환봉바를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로 조임력을 제공하되; 환봉바에 볼트의 고정축이 결합하는 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볼트와 환봉바가 결합되어 조임력이 제공된 볼트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체결밴드의 한쪽 방향에서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를 돌출시켜 패킹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고정볼트와 너트의 조임력에도 한 부분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고 조임력이 안정되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경에 패킹이 설치되어 관의 외경을 체결하며, 일정한 간격에 절단구멍을 형성하고 환봉 삽입공을 형성한 환봉 연결대를 형성하여 돌출된 용접날개를 체결밴드의 양쪽 끝 부분에서 용접으로 고정하며 환봉 삽입공에 결합한 환봉바의 관통구멍에 고정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하는 환봉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는 머리에 형성된 머리날개에 고정축을 돌출시켜 체결 돌출부의 고정홈에 결합 고정볼트를 고정하여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 후 너트로 체결력을 제공하며,
상기 체결밴드의 한쪽으로 연결하는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를 용접날개와 함께 용접 고정하되; 상기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에는 절곡 요철부를 형성하여 환봉 연결대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체결밴드의 양쪽 선단에서 소정의 폭으로 설치한 환봉 연결대에 환봉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환봉 삽입공에 환봉바를 삽입하여 상기 환봉바를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로 조임력을 제공할 때 환봉바에 볼트의 고정축이 결합하는 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볼트의 고정축과 환봉바의 고정홈이 결합되어 조임력이 제공된 볼트가 지중에 매설된 이후에 다양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조임력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밀이 계속해서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체결 돌출부에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캡을 추가로 결합하여 고정볼트가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되어 풀림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체결밴드의 한쪽에서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를 돌출시켜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에 형성된 절곡 요철부를 통하여 고정볼트와 너트의 조임력에도 환봉바의 사이 한 부분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임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고정볼트와 너트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고정볼트와 환봉바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고정볼트에 대한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고정볼트에 대한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환봉바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환봉바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체결캡에 대한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에 대한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에 대한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에 대한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환봉 연결구에 대한 평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환봉 연결구에 대한 정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환봉 연결구에 대한 요부확대 정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세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볼트와 너트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폭을 갖는 금속 재질의 얇은 시트를 감아 성형하는 체결밴드(30)는 양쪽 끝 부분에서 외측 방향으로 환봉 연결대(10)를 형성하고 용접날개(13)가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환봉 연결대(10)는 절단구멍(12)이 관통되어 있고, 원형으로 감겨진 내경에 환봉 삽입공(11)을 형성하며, 용접날개(13)는 체결밴드(11)의 양쪽 끝 부분에서 외경에 결합하여 여러 곳에서 용접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밴드(30)의 환봉 연결대(10) 한쪽 방향에는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31)를 용접날개(13)와 함께 용접하여 환봉 연결대(10)의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환봉 연결대(10)의 환봉 삽입공(11)에는 환봉바(20)를 결합하여 체결 돌출부(21)가 절단구멍(1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한 후 용접날개(13)를 용접부로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밴드(30)의 내경에는 연결하는 관(50)의 외경을 감싸 수밀을 유지하는 패킹(40)이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볼트와 환봉바의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볼트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볼트에 대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환봉바(20)는 길게 돌출된 한쪽 방향으로 절단구멍(12)에 돌출되게 형성하는 체결 돌출부(21)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 돌출부(21)의 중앙에는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고정볼트(24)가 관통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 돌출부(21)의 외측 평면에는 같은 간격으로 고정홈(23)이 형성되어 고정축(27)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볼트(24)는 머리(25) 부분에서 원형으로 머리날개(26)를 형성하고, 상기 머리날개(26)에는 고정축(27)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돌출되어 고정홈(23)에 결합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환봉바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환봉바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체결캡에 대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환봉바(20)는 길게 돌출된 한쪽 방향으로 절단구멍(12)에 돌출되게 형성하는 체결 돌출부(21)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 돌출부(21)의 중앙에는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고정볼트(24)가 관통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 돌출부(21)의 외측 평면에는 같은 간격으로 고정홈(23)이 형성되어 고정축(27)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 돌출부(21)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체결캡(60)을 결합하는 것이며, 체결캡(60)은 관통구멍(22)과 일치하는 볼트구멍(61)이 형성되고 고정홈(23)과 일치하는 고정구멍(62)을 형성한 후 고정 날개홈(24)에 결합되어 회전이 방지되는 고정날개(63)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캡(60)은 체결 돌출부(21)에 결합하여 고정날개(63)가 고정 날개홈(24)에 박혀 고정되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에 대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31)는 체결밴드(30)의 내경 한쪽에서 용접날개(13)와 함께 체결밴드(30)에 용접 고정되는 것이며, 환봉 연결대(10)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고정볼트(24)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절곡 요철부(33)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31)는 일정한 간격에서 요철이 형성되도록 절곡 요철부(33)를 형성하여 조임력으로 굴곡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절곡 요철부(33)는 내경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하고, 최초에 고정볼트(24)와 너트(28)를 체결할 때 발생하는 환봉 연결대(10)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환봉 연결구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환봉 연결구에 대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환봉 연결구에 대한 요부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체결밴드(30)의 한쪽 끝 부분에 용접으로 연결하는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31)는 환봉 연결대(10)의 사이에서 위치하고 패킹(40)의 외경을 감싸는 것이며, 환봉바(20)의 관통구멍(22)을 고정볼트(24)가 관통하고 머리(25)의 반대편에서 너트(28)를 조임하여 체결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소정의 폭을 갖는 체결밴드(11)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양쪽 끝 부분의 안쪽에서 일정한 간격에 2∼6개의 절단구멍(12)을 갖도록 성형한다.
상기 절단구멍(12)이 각각 대칭되게 양쪽으로 형성되도록 체결밴드(11)의 끝 부분을 외측으로 말아 환봉 삽입공(11)을 갖는 환봉 연결대(10)를 형성하고, 상기 환봉 삽입공(11)에서 체결 돌출부(21)가 절단구멍(12)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환봉바(20)를 결합한다.
상기 환봉 삽입공(11)에 환봉바(20)를 삽입하고, 용접날개(13)를 체결밴드(11)의 외경에 대고 스폿 용접으로 여러 곳에서 용접하여 고정한다.
상기 환봉 연결대(10)가 양쪽에 용접 고정된 체결밴드(30)의 한쪽으로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31)를 한쪽 내측에서 용접날개(13)와 함께 스폿 용접하여 결합한다.
통상적인 관(50)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관(50)을 서로 맞대기한 후 패킹(40)으로 관(50)의 연결부분에 감싸고 상기 패킹(40)의 외경에 체결밴드(11)를 감아 환봉 연결대(10)가 서로 마주보도록 하고 환봉바(20)의 체결 돌출부(21)에 형성된 관통구멍(22)에 고정볼트(24)를 관통시킨다.
양쪽의 환봉바(20)에 형성한 관통구멍(22)을 고정볼트(24)로 관통시킨 후 머리날개(26)에 형성된 고정축(27)이 체결 돌출부(21)에 형성된 고정홈(23)과 결합되도록 하고, 너트(28)로 체결하여 너트(28)를 조임으로써 조임력을 가하는 것으로 체결밴드(11)를 조여 체결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너트(28)의 조임으로 체결력이 가해지면서 환봉 연결대(10)의 간격이 서서히 가까워 지게 되고, 체결밴드(30)가 패킹(40)에 체결력을 가해 관(50)의 외경을 감싸 수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볼트(24)와 너트(28)를 통하여 제공되는 체결력으로 환봉 연결대(10)의 간격이 서서히 가까워지면서 밴드 연결부(31)는 슬라이딩 되면서 체결력을 제공하게 되며, 체결력이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31)에 집중적으로 전달되더라도 환봉 연결대(10)의 사이에서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31)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곡 요철부(33)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체결력에 의해 중앙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패킹(40)의 수밀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환봉바(20)는 체결 돌출부(21)의 외측에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체결캡(60)을 결합하여 볼트구멍(61)과 관통구멍(22) 및 고정구멍(62)과 고정홈(23)이 일치되도록 한 후 외측에서 때려 박아 고정날개(63)가 고정 날개홈(24)에 박혀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 돌출부(21)에 결합하는 체결캡(60)은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양쪽의 환봉바(20)에 형성한 관통구멍(22)과 체결캡(60)의 볼트구멍(61)을 고정볼트(24)로 관통시킨 후 머리날개(26)에 형성된 고정축(27)이 체결캡(60)의 고정구멍(62)과 체결 돌출부(21)에 형성된 고정홈(23)과 결합되도록 하고, 너트(28)로 체결하여 너트(28)를 조임으로써 조임력을 가하는 것으로 체결밴드(11)를 조여 체결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볼트(24)의 고정축(27)을 체결캡(60)의 고정구멍(62)과 체결 돌출부(21)의 고정홈(23)에 결합시킨 후 체결력을 제공하여 안정되게 체결한 후 지중에 관(50)과 함께 매설되더라도 관(50)의 수축과 팽창 및 수압과 토압과 같은 외부 요인이 항상 작용하게 되더라도 금속재질의 체결캡(60)을 통하여 고정볼트(24)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를 제공하게 되므로 고정볼트(24)의 회전에 의한 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환봉바를 관통하는 고정볼트를 너트로 조임하여 체결력을 제공할 때 체결력으로 환봉 연결대의 사이에 있는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에 형성된 절곡 요철부가 중앙 부분에서 외경으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수밀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고정볼트의 머리날개에 형성된 고정축을 체결 돌출부의 고정홈과 고정캡의 고정구멍에 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고정볼트의 체결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다.
10 : 환봉 연결대 11 : 환봉 삽입공
12 : 절단구멍 13 : 용접날개
20 : 분리 환봉바 21 : 체결 돌출부
22 : 관통구멍 23 : 고정홈
24 : 고정볼트 25 : 머리
26 : 머리날개 27 : 고정축
28 : 너트 30 : 체결밴드
31 :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 33 : 절곡 요철부
40 : 패킹 50 : 관
60 : 체결캡 61 : 볼트구멍
62 : 고정구멍 63 : 고정날개

Claims (3)

  1. 내경에 패킹(40)이 설치되어 관(50)의 외경을 체결하며, 일정한 간격에 절단구멍(12)을 형성하고 환봉 삽입공(11)을 형성한 환봉 연결대(10)를 형성하여 돌출된 용접날개(13)를 체결밴드(30)의 한쪽 끝 부분에서 용접으로 고정하며 환봉 삽입공(11)에 결합한 환봉바(20)의 관통구멍(22)에 고정볼트(24)를 관통시켜 너트(28)로 체결하는 환봉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24)는 머리(25)에 형성된 머리날개(26)에 고정축(27)을 돌출시켜 체결 돌출부(21)의 고정홈(23)에 결합 고정볼트(24)를 고정하여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 후 너트(28)로 체결력을 제공하며,
    상기 체결밴드(30)의 한쪽으로 연결하는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31)를 용접날개(13)와 함께 용접 고정하되; 상기 밴드 슬라이드 연결부(31)에는 절곡 요철부(33)를 형성하여 환봉 연결대(10)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절곡 요철부(33)는 내경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하고, 최초에 고정볼트(24)와 너트(28)를 체결할 때 발생하는 환봉 연결대(10)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환봉바(20)의 체결 돌출부(21)에는 고정 날개홈(24)을 형성하고, 볼트구멍(61)이 관통구멍(22)과 일치하며 고정홈(23)이 고정구멍(62)과 일치되고 상기 고정 날개홈(24)에 고정하는 고정날개(63)를 형성한 고정캡(60)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
KR1020110019918A 2011-03-07 2011-03-07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 KR101040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918A KR101040681B1 (ko) 2011-03-07 2011-03-07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918A KR101040681B1 (ko) 2011-03-07 2011-03-07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681B1 true KR101040681B1 (ko) 2011-06-13

Family

ID=4440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918A KR101040681B1 (ko) 2011-03-07 2011-03-07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6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334B1 (ko) * 2011-07-04 2012-01-03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오ㆍ폐수 및 우수용 파이프 커플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362Y1 (ko) 2000-03-23 2000-08-16 권용진 차량용 번호판의 체결볼트
KR20010093362A (ko) * 2000-03-28 2001-10-29 김사만 간편한 전자상거래 거래이행보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362Y1 (ko) 2000-03-23 2000-08-16 권용진 차량용 번호판의 체결볼트
KR20010093362A (ko) * 2000-03-28 2001-10-29 김사만 간편한 전자상거래 거래이행보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334B1 (ko) * 2011-07-04 2012-01-03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오ㆍ폐수 및 우수용 파이프 커플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668B1 (ko) 볼트와 너트의 풀림 방지용 환봉 연결구
KR100966786B1 (ko) 소켓 관과 클램프를 이용한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101040681B1 (ko)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
KR100883643B1 (ko) 균일하고 강한 연결이 가능한 커플링 연결구
FR3042016A1 (fr) Collier de serrage a entretoise
KR101020753B1 (ko)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US20080007065A1 (en) Flange
KR101045356B1 (ko) 볼트 회전 방지와 돌출방지용 환봉 연결구
KR101366184B1 (ko) 별도의 고정링을 갖는 플랜지형 비용접 이음관 및 플레어가 형성된 관
KR100844123B1 (ko) 환봉지지 분리형 연결구
KR101805790B1 (ko) 패킹이 구비된 파이프 이음장치
KR20080092533A (ko) 환봉지지 스텐밴드 분할형 연결구
KR101040685B1 (ko) 관 고정용 환봉 연결구
KR101262540B1 (ko) 농업용 용수관의 분기관 결합부재
KR100952726B1 (ko)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KR100966884B1 (ko)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
JP4980296B2 (ja) パイプ接続構造
JP2006077482A (ja) 鋼管杭構造
KR101163672B1 (ko) 조임력 증가용 환봉 연결구
KR101040952B1 (ko) 송수관용 연결구조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JP5584583B2 (ja) 樹脂管用継手及び樹脂管用継手を用いた連結方法
KR100921992B1 (ko)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
KR101953206B1 (ko) 체결부의 누수방지와 보강을 위한 환봉 연결구
KR101335828B1 (ko) 배관연결용 플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