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828B1 - 배관연결용 플랜지 - Google Patents

배관연결용 플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828B1
KR101335828B1 KR1020120134260A KR20120134260A KR101335828B1 KR 101335828 B1 KR101335828 B1 KR 101335828B1 KR 1020120134260 A KR1020120134260 A KR 1020120134260A KR 20120134260 A KR20120134260 A KR 20120134260A KR 101335828 B1 KR101335828 B1 KR 101335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cking
delete delete
fluid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스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스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스텐
Priority to KR1020120134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828B1/ko
Priority to PCT/KR2013/008123 priority patent/WO2014081111A1/ko
Priority to EP13857523.8A priority patent/EP2924329A4/en
Priority to US14/435,441 priority patent/US10107428B2/en
Priority to PCT/KR2013/008124 priority patent/WO2014081112A1/ko
Priority to PCT/KR2013/008242 priority patent/WO2014081114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연결용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의 체결 시 수밀구조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는 상기 제1 파이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파이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제2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수용부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수밀구조를 형성하는 패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내에서 이동하는 유체를 수용하는 복수의 유체 수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킹의 파이프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의 탄성을 최대화함으로써 별도의 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시공이 편리하고, 대구경 관접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배관연결용 플랜지{Flange for coupling plumbing}
본 발명은 배관연결용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의 연결 시에 향상된 수밀구조를 제공하는 플랜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수도의 수질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이와 같이 수질문제를 중요시 하는 경향에 따라 수질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스테인리스 강관에 대한 수도관 사용이 주목 받고 있다.
지하에 매설되어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도관은 내부의 수질을 보호하는 내부식성이 있어야 하고, 연결부의 수밀성, 수압에 의한 이탈저지성, 및 시공의 편리성,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구조적 안정성 등이 요구된다. 스테인리스 강관은 이러한 수도관에 요구되는 조건에 가장 부합한 재질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스테인리스 강관은 소구경13A(0.8T)~50A(1.2T)일 경우에는, 관 끝을 확관한 소켓에 고무링을 넣고 관을 밀어 넣은 후 기계힘으로 눌러 접합하는 방식 통칭 프레스식 관 이음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80A이상은 관두께가 2.0T이상으로 프레스식으로는 현장작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용접작업을 통해서 관연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때, 80A이상의 관을 작업현장에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으로서, 숙련된 용접기술자를 필요로 하게 되며, 작업공정이 지연되는 문제를 갖게 된다.
따라서, 80A 이상의 수도관은 대부분 주철관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주철관은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운반 및 설치작업이 어렵고, 분기관 형성시 분기공 주변에서 녹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고, 관로 내부에 녹 발생을 위한 별도의 코팅공정을 수행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한 제조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99881호의 상수도용 스테인리스 강관(이하 선행기술이라 함) 등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상기 스테인리스 강관 외표면에 합성수지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스테인리스 강관 외표면에 합성수지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고, 스테인리스 관끼리의 연결 작업시, 고정밴드를 일측 스테인리스 관의 관삽입부 외경에 결합하는 선행작업이 요구되며, 이 후, 전용 작업공구를 이용해 연결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스테인리스 강관의 경우 강성이 높아 이음매의 연결을 위한 클램프 등의 고정이 상대적으로 어려워 현장에서의 능동적인 배관 작업을 어렵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강관이나 대구경 파이프 간의 연결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선행작업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의 배관 연결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전용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시공이 편리한 배관 연결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향상된 수밀구조를 구비하는 배관 연결 수단을 제공한다.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의 체결 시 수밀구조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는 상기 제1 파이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파이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제2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수용부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수밀구조를 형성하는 패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내에서 이동하는 유체를 수용하는 복수의 유체 수용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패킹은 상기 제1 패킹 내측에서 상기 복수의 유체 수용홈들을 유체 소통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내측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내측 공간부는 종방향 단면 형상이 타원형 및 방추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내측 공간부는 종방향 단면 형상의 단축이 상기 제2 파이프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습성을 갖고 상기 내측 공간부내에 구비되는 흡습팽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유체 수용홈들 간에는 상기 내측 공간부로부터 외측에 이르기까지 절개된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수용홈은 타원형 및 방추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유체 수용홈은 종방향 단면 형상의 장축이 상기 제2 파이프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수용홈에 유체소통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유체 수용홈이 일정한 단면형상을 유지하도록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 중 어느 하나는 일자형, T자형 또는 L자형의 파이프 또는 밸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용부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파이프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삽입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패킹부는 상기 제2 파이프의 단부와 상기 삽입 제한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패킹부는 상기 제1 패킹과 상기 제2 패킹 사이 동시에 상기 제2 파이프와 상기 제2 수용부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3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3 패킹은 상기 제2 파이프 외주면과 접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테인리스 강관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무코팅 강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제2 파이프 진입 측 단부에는 상기 제2 파이프를 고정을 위한 대상 물품이 체결되는 후크형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킹의 파이프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의 탄성을 최대화함으로써 별도의 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시공이 편리하고, 대구경 관접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치 공구등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현장에서의 시공 편의성이 증가하고, 시공 속도가 기존에 비하여 매우 빠르고 시공의 품질 또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중 이상의 수밀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지수 능력이 탈월하고 순간적은 높은 압력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파이프 내의 수압이 증가할수록 패킹들에 의한 수밀구조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플랜지 및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일부 절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중심축을 따라 절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킹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킹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중심축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및 클램프에 파이프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플랜지 및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0)와 클램프(10)를 포함한다. 플랜지(20)는 어느 한 파이프에 사전 작업 등에 의하여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파이프의 단부를 수용하여 수밀 구조를 제공하는 구성부이다.
플랜지(10)는 플랜지(20)에 결합하여 플랜지(20)에 삽입된 파이프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각 파이프들은 일자형, T자형 또는 L자형의 파이프 또는 밸브 중 어느 하나 또는 그의 단부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파이프의 종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각 구성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를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일부 절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중심축을 따라 절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킹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킹의 횡단면도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중심축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20)는 외부 하우징을 형성하는 몸체부(200)와 수용되는 파이프 사이에 수밀구조를 형성하는 패킹부(250)를 포함한다.
몸체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된다. 몸체부(200)의 내주면에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로부터 제1 패킹 수용부(201) 및 제2 패킹 수용부(202) 및 삽입 제한부(205)가 형성된다.
제1 패킹 수용부(201)는 몸체부(200)의 타 내주면에 비하여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형성되는 일정한 공간부로 형성된다. 제1 패킹 수용부(201)는 후술할 제1 패킹(260)을 수용하여 몸체부(200)의 내주면 상에서 고정시킨다.
제2 패킹 수용부(202)는 몸체부(200)의 내주면을 일주하며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202) 및 제2 돌출부(204) 사이의 공간부로 형성된다. 제2 패킹 수용부(202)에는 후술할 제2 패킹(270)을 수용하여 몸체부(200)의 내주면 상에서 고정시킨다.
삽입 제한부(205)는 제1 패킹 수용부(201) 측으로부터 제2 패킹 수용부(202) 방향으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구성부이다. 삽입 제한부(205)는 몸체부(200)의 내주면을 일주하며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삽입 제한부(205)의 내측 단부에는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된 형상의 연장부(20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06)는 삽입되는 파이프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파이프 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3 패킹(28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몸체부(200)의 상단에는 즉, 파이프가 진입하는 측의 단부에는 클램프가 체결될 수 있도록 후크 형상의 제1 고정돌기(22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몸체부(200) 중 파이프(1)가 삽입 및 수용되는 구간을 제1 수용부(P1)라 한다. 또한 파이프(1)와 연결되는 타 파이프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부분을 제2 수용부(P2)라 한다. 이 때 타 파이프는 제2 수용부(P2)의 단부에 구비되는 용접부(209)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는 이러한 용접 방식뿐 아니라 나사 체결 방식 등 기존의 관 체결 방식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패킹(270)은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제2 패킹(270)의 내주면, 즉 파이프와 접하는 면을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3 패킹(280)은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3 패킹(280)은 일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단부 패킹부(281)가 형성되어, 단면 형상이 L자형으로 형성된다. 단부 패킹부(281)는 상술한 파이프의 단부에 접촉하여 수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킹(260)은 가압방향(D1)으로 형성된 다수의 유체 수용홈(262)이 형성된다. 유체 수용홈(262)은 플랜지(200) 내의 유체를 수용하여 해당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확장되어 제1 패킹(260) 자체를 팽창시킨다. 또한 제1 패킹(260)을 포함하는 플랜지(200)가 시공 시 파이프(1)를 수용하는 경우 어느 정도 수축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 없이도 파이프(1)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유체 수용홀(26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이 타원형 또는 방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수용홀(262)의 장축(a1, a2)는 제1 패킹(260)의 중심축(Q)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 수용홀(262)이 타원형 또는 방추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체 수용홀(262)이 압축되는 경우에도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 이상의 유로가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체 수용홈(262)에 삽입되는 보강링(26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강링(26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유로 수용홈(262)의 형상에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강링(265)은 외력에 의하여 압축되는 경우에도 일정한 유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체 수용홈(262)의 강성을 보강한다.
또한 유체를 수용하고 확장함으로써 수밀구조를 강화하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수용홀(262)의 내측 단부간을 연결하는 내측 공간부(263)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내측 공간부(263)는 제1 패킹(260)의 내측을 일주하며 유체 수용홀(262)과 유체 소통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내측 공간부(262)와 외측 사이에는 절개선(264)을 형성할 수 있다. 절개선(264)은 내측 공간부(262)의 형성을 위한 공정 상에서 이용되거나, 내측 공간부(262) 상에 기타 다양한 부재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절개선(264)은 외측으로부터 V자형으로 절개함으로써 외부의 압력이 크게 증가하는 경우에 내측 공간부(262) 상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내측 공간부(262)에는 흡습성 재질의 흡습팽창부를 채워 넣는 것도 가능하다. 흡습팽창부는 유체를 흡수하는 경우 부피가 팽창함으로써 내측 공간부(262)에 유체만을 유입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팽창함으로써 수밀구조를 더욱 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측 공간부(262)는 단축(B1, B2)이 파이프(1)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공간부(262)에 유체가 유입되어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단축(B1, B2) 방향으로 압력이 집중되어 가장 많이 팽창된다. 즉, 단축(B1, B2)이 파이프(1)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1 패킹(260)이 파이프(1) 측으로 가장 많이 팽창함으로써 수밀 구조를 더욱 강화시키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이프(1)의 내의 유체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유체는 파이프(1)의 단부를 통하여 유출된 후 파이프(1)의 외주면과 플랜지(260)의 내주면 사이를 따라 진행하면서, 제3 패킹(280) 및 제2 패킹(270)을 지나 제1 패킹(260)에 도달한다. 이 때 제3 패킹(280) 및 제2 패킹(270)이 순차적으로 수밀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순간적으로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 패킹(260)에 의하여 수밀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즉, 약한 수 충격이나 낮은 유체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2 패킹(270) 및 제3 패킹(280)이 대응하여 수밀구조를 유지하게 되고, 높은 수 충격이나 높은 유체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 패킹(260)이 대응하여 수밀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및 클램프에 파이프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클램프(10)는 클램핑 몸체부(110)와 가압부(160)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몸체부(110)는 호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조립부재를 서로 맞대어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클램핑 몸체부(110)의 외주면 일 단부에는 제2 고정돌기(120)가 형성된다. 제2 고정돌기(120)는 다수개의 클램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경우에 각각의 인접하는 클램프간을 체결 및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제2 고정돌기(120)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클램핑 몸체부(110)의 외주면 타단부에는 제2 고정돌기(120)가 걸려서 체결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130)가 형성된다. 제2 고정돌기(120)는 타 클램프의 걸이부(13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관통됨으로써 두 클램프 간을 연결시키게 된다.
클램프 몸체부(110)를 구성하는 각 조립부재들은 양 단부에 연장부(140)가 형성된다. 연장부(140)는 각 조립부재들의 양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연장부(140)에는 볼트가 수용될 수 있도록 관통된 체결구(141)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몸체부(110)는 각각의 체결구(140)를 볼트(171)가 관통한 후 해당 볼트(171)에 너트(172)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한편, 클램핑 몸체부(110)의 조립 시 인접하는 각각 연장부(140) 쌍 중 어느 하나에는 연장부(140) 쌍 간을 이격 시키는 이격부(142)가 형성된다. 이격부(142)는 연장부(140)간을 이격 시킴으로써 볼트(171) 및 너트(172)에 의하여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클램프 간 또는 클램프와 플랜지간 연결구조로 인하여 현장에서 신속 용이하게 필요한 만큼의 클램프를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클램핑 몸체부(110)의 내주면에는 가압부 고정부재(150)를 수용하는 고정부재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고정부재 수용부(111)는 타 내주면에 비하여 일정 깊이 단차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수용된 가압부 고정부재(150)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가압부 고정부재(15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사출물로서 내측에 가압부(160)가 내측으로 일정부분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가압부 고정부재(150)는 파이프의 중심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60)는 종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60)는 클램핑 몸체부(110)가 조여지는 경우 내측의 파이프를 가압함으로써 미끄러지거나 파이프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 때 가압부(160)는 뿔의 꼭지점이 파이프가 이탈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뿔형상의 바닥면이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파이프가 용이하게 삽입되는 반면, 뿔형상의 바닥면 모서리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파이프의 이탈이 어려운 환경을 형성한다. 이러한 혼 베어링 형상의 가압부는 스테인리스 강과 같이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 파이프의 경우에도 미끄러짐 없이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파이프(1)는 플랜지(20) 내로 삽입 및 수용된 후 필요한 고정력에 따른 개수의 클램프(10)로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플랜지(20)의 용접부(209)에 다른 파이프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함으로써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설명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10a)는 클램핑 몸체부(110a)의 내측에 가압부 고정부재가 없는 면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클램핑 몸체부(110a)의 내주면에 직접 가압부(160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압부(160a)는 뿔이 종방향으로 절반이 잘린 형상으로 클램핑 몸체부(110a)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때 가압부(160a)는 내주면을 따라 일 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교차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클램핑 몸체부(110a)의 조립 시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 고정부재 없이 조립된다. 볼트(171)와 너트(172)가 체결구(141)를 관통하여 체결된 후에 조여지는 경우 가압부(160a)가 내측의 파이프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고정부(160a) 이외의 다른 구성부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플랜지 및 클램프는 고정력이 종래의 동일 장치에 비하여 고정력 및 수 충격에 대응하는 밀폐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스테인리스 강관의 경우에도 별도의 사전 작업이나 코팅 작업 없이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배관연결용 플랜지로 구현될 수 있다.
10: 클램프 20: 플랜지
120: 고정돌기 130: 걸이부
150: 가압부 160: 가압부 고정부재
200: 몸체부 250: 패킹부
262: 유체 수용홀 263: 내측 공간부
264: 절개선

Claims (18)

  1. 스테인리스 재질인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의 체결 시 수밀구조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파이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파이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제2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수용부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수밀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내에서 이동하는 유체를 수용하는 복수의 유체 수용홈이 형성되는 재1 패킹을 포함하는 패킹부; 및
    상기 유체 수용홈에 유체소통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유체 수용홈이 일정한 단면형상을 유지하여 외력에 의하여 압축되는 경우에도 유로를 확보하도록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킹은 상기 제1 패킹 내측에서 상기 복수의 유체 수용홈들을 유체 소통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내측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제2 파이프의 단부와 상기 삽입 제한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패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킹과 상기 제2 패킹 사이 그리고 동시에 상기 제2 파이프와 상기 제2 수용부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3 패킹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 공간부는 종방향 단면 형상의 단축이 상기 제2 파이프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흡습성을 갖고 상기 내측 공간부내에 구비되는 흡습팽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체 수용홈들 간에는 상기 내측 공간부로부터 외측에 이르기까지 절개된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부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파이프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삽입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수용홈은 종방향 단면 형상의 장축이 상기 제2 파이프의 중심축을 향하는 타원형 및 방추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랜지.
  2. 삭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공간부는 종방향 단면 형상이 타원형 및 방추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랜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20134260A 2012-11-26 2012-11-26 배관연결용 플랜지 KR101335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260A KR101335828B1 (ko) 2012-11-26 2012-11-26 배관연결용 플랜지
PCT/KR2013/008123 WO2014081111A1 (ko) 2012-11-26 2013-09-09 배관연결용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러
EP13857523.8A EP2924329A4 (en) 2012-11-26 2013-09-09 TUBE CONNECTION CLAMP AND TUBE COUPLING THEREWITH
US14/435,441 US10107428B2 (en) 2012-11-26 2013-09-09 Clamp for connecting pipe and device for connecting pipe including the same
PCT/KR2013/008124 WO2014081112A1 (ko) 2012-11-26 2013-09-09 배관연결용 플랜지
PCT/KR2013/008242 WO2014081114A2 (ko) 2012-11-26 2013-09-12 배관연결용 플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260A KR101335828B1 (ko) 2012-11-26 2012-11-26 배관연결용 플랜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828B1 true KR101335828B1 (ko) 2013-12-03

Family

ID=4998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260A KR101335828B1 (ko) 2012-11-26 2012-11-26 배관연결용 플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068B1 (ko) * 2019-12-26 2020-11-09 윤우완 배관 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185Y1 (ko) * 2004-07-01 2004-09-24 (주) 정우카프링 배관용 연결구
KR100997534B1 (ko) * 2010-09-09 2010-12-01 김창규 상수도용 클램프 이음관
US20110140369A1 (en) * 2009-12-11 2011-06-16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pring-energized dynamic sealing assembly
KR20120034274A (ko) * 2010-10-01 2012-04-12 (주)아진상사 금속관 연결 구조 및 이에 적합한 연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185Y1 (ko) * 2004-07-01 2004-09-24 (주) 정우카프링 배관용 연결구
US20110140369A1 (en) * 2009-12-11 2011-06-16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pring-energized dynamic sealing assembly
KR100997534B1 (ko) * 2010-09-09 2010-12-01 김창규 상수도용 클램프 이음관
KR20120034274A (ko) * 2010-10-01 2012-04-12 (주)아진상사 금속관 연결 구조 및 이에 적합한 연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068B1 (ko) * 2019-12-26 2020-11-09 윤우완 배관 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7428B2 (en) Clamp for connecting pipe and device for connecting pipe including the same
KR101330452B1 (ko) 배관연결용 플랜지
US20170241578A1 (en) Pipe connecting device
KR101681908B1 (ko) 무용접 체결 방식의 연결장치 일체형 파형강관
KR101335828B1 (ko) 배관연결용 플랜지
US20080007065A1 (en) Flange
WO2015111303A1 (ja) 離脱防止管継手および管路構成部材
KR20140049653A (ko) 배관 연결장치
KR101171334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6262544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環状保護部材
KR101422935B1 (ko) 배관연결용 클램프
JP2015068448A (ja) ドレンパイプの接続構造
KR101534288B1 (ko) 파이프 수밀용 패킹부재
KR200432862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1235735B1 (ko) 파이프와 고압력 연결구를 일체로 하는 수도관 연결 조립체
JP4542364B2 (ja) 管接続構造及び挿口管部への管内作業機の取付け方法
KR100952726B1 (ko)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KR101773392B1 (ko) 하수관용 맨홀 연결구 및 그 맨홀 연결구를 이용한 하수관 연결방법
KR101512276B1 (ko) 하수맨홀의 구조체
KR200342277Y1 (ko) 맨홀의 관 접합장치
KR101225697B1 (ko) 하수관을 연결하는 관연결장치
KR101040952B1 (ko) 송수관용 연결구조
KR20090047422A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1308401B1 (ko) 파이프와 고강도 연결구를 일체로 하는 하수관 연결 조립체
KR100779984B1 (ko) 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