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068B1 - 배관 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068B1
KR102176068B1 KR1020190174814A KR20190174814A KR102176068B1 KR 102176068 B1 KR102176068 B1 KR 102176068B1 KR 1020190174814 A KR1020190174814 A KR 1020190174814A KR 20190174814 A KR20190174814 A KR 20190174814A KR 102176068 B1 KR102176068 B1 KR 102176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structure
moving part
pipe
flang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우완
Original Assignee
윤우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우완 filed Critical 윤우완
Priority to KR102019017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으로서, 배관 연결용 플랜지를 구비하는 단계; 및 구비된 상기 배관 연결용 플랜지를 코팅피막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함되, 상기 배관 연결용 플랜지는, 제1 파이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파이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2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수용부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재1 패킹을 포함하는 패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연결용 플랜지는 코팅피막 형성 장치로 코팅피막 가공되며, 상기 코팅피막 형성 장치는, 코팅피막 형성 장치는, 목적물이 위치되는 소정의 제1 기반구조물(14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상에 구비되는 도포액 저장탱크(11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상에 위치되는 목적물을 코팅하기 위한 분사노즐(2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이웃하여 구비며, 펌프(130) 및 상기 분사노즐(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 공급관로(140)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60)에 전송하고, 기설정 압력조건 일 때, 상기 분사노즐(20)이 토출 개방되도록 하는 압력 측정부(15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상기 제어부(160) 하부에 결합되어 진동과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 기반구조물(210)을 포함하는 배관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의 편리성을 담보한느 구조를 가지므로 기본적인 시공 품질이 향상되며 별도의 추가적인 코팅피막을 형성하여 제품의 출고와 실사용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품질관리가 용이해지는 배관 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관 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FLANGE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배관 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의 편리성을 담보한느 구조를 가지므로 기본적인 시공 품질이 향상되며 별도의 추가적인 코팅피막을 형성하여 제품의 출고와 실사용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품질관리가 용이해지는 배관 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배관 연결을 위한 플랜지는 스테인리스 강관이나 대구경 파이프 간의 연결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선행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해 왔다. 이를 통해 시공이 편리하면서 수밀구조를 가지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플랜지를 통해 기존 대비 보다 실용적인 플랜지가 제공될 수는 있으나, 정작 출고에서부터 실사용 혹은 재고로의 보관, 재사용 등에 있어서 그 품질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출과에서부터 관리가 용이한 플랜지를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5771호
본 발명은, 시공의 편리성을 담보한느 구조를 가지므로 기본적인 시공 품질이 향상되며 별도의 추가적인 코팅피막을 형성하여 제품의 출고와 실사용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품질관리가 용이해지는 배관 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관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으로서, 배관 연결용 플랜지를 구비하는 단계; 및 구비된 상기 배관 연결용 플랜지를 코팅피막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함되, 상기 배관 연결용 플랜지는, 제1 파이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파이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2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수용부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재1 패킹을 포함하는 패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연결용 플랜지는 코팅피막 형성 장치로 코팅피막 가공되며, 상기 코팅피막 형성 장치는, 코팅피막 형성 장치는, 목적물이 위치되는 소정의 제1 기반구조물(14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상에 구비되는 도포액 저장탱크(11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상에 위치되는 목적물을 코팅하기 위한 분사노즐(2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이웃하여 구비며, 펌프(130) 및 상기 분사노즐(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 공급관로(140)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60)에 전송하고, 기설정 압력조건 일 때, 상기 분사노즐(20)이 토출 개방되도록 하는 압력 측정부(15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상기 제어부(160) 하부에 결합되어 진동과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 기반구조물(210)을 포함하는 배관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 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의 편리성을 담보한느 구조를 가지므로 기본적인 시공 품질이 향상되며 별도의 추가적인 코팅피막을 형성하여 제품의 출고와 실사용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품질관리가 용이해지는 배관 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플랜지 및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일부 절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중심축을 따라 절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1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킹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킹의 횡단면도이다.
도 1f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중심축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g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h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i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및 클램프에 파이프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j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k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팅피막 형성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는 도 2의 코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계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코팅피막 형성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5은 도 4의 코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계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팅피막 형성장치의 코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코팅피막 형성장치의 코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 내지 도 15는 도 6에 따른 코팅피막 형성장치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배관연결용 플랜지 >
도 1a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플랜지 및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장치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0)와 클램프(10)를 포함한다. 플랜지(20)는 어느 한 파이프에 사전 작업 등에 의하여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파이프의 단부를 수용하여 수밀 구조를 제공하는 구성부이다. 플랜지(10)는 플랜지(20)에 결합하여 플랜지(20)에 삽입된 파이프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각 파이프들은 일자형, T자형 또는 L자형의 파이프 또는 밸브 중 어느 하나 또는 그의 단부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파이프의 종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각 구성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b 내지 도 1f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를 설명한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일부 절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중심축을 따라 절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다. 또한 도 1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킹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킹의 횡단면도이며, 도 1f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중심축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20)는 외부 하우징을 형성하는 몸체부(200)와 수용되는 파이프 사이에 수밀구조를 형성하는 패킹부(250)를 포함한다. 몸체부(200)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된다. 몸체부(200)의 내주면에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로부터 제1 패킹 수용부(201) 및 제2 패킹 수용부(202) 및 삽입 제한부(205)가 형성된다. 제1 패킹 수용부(201)는 몸체부(200)의 타 내주면에 비하여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형성되는 일정한 공간부로 형성된다. 제1 패킹 수용부(201)는 후술할 제1 패킹(260)을 수용하여 몸체부(200)의 내주면 상에서 고정시킨다. 제2 패킹 수용부(202)는 몸체부(200)의 내주면을 일주하며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202) 및 제2 돌출부(204) 사이의 공간부로 형성된다. 제2 패킹 수용부(202)에는 후술할 제2 패킹(270)을 수용하여 몸체부(200)의 내주면 상에서 고정시킨다. 삽입 제한부(205)는 제1 패킹 수용부(201) 측으로부터 제2 패킹 수용부(202) 방향으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구성부이다. 삽입 제한부(205)는 몸체부(200)의 내주면을 일주하며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삽입 제한부(205)의 내측 단부에는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된 형상의 연장부(20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06)는 삽입되는 파이프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파이프 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3 패킹(28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몸체부(200)의 상단에는 즉, 파이프가 진입하는 측의 단부에는 클램프가 체결될 수 있도록 후크 형상의 제1 고정돌기(22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몸체부(200) 중 파이프(1)가 삽입 및 수용되는 구간을 제1 수용부(P1)라 한다. 또한 파이프(1)와 연결되는 타 파이프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부분을 제2 수용부(P2)라 한다. 이 때 타 파이프는 제2 수용부(P2)의 단부에 구비되는 용접부(209)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는 이러한 용접 방식뿐 아니라 나사 체결 방식 등 기존의 관 체결 방식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패킹(270)은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제2 패킹(270)의 내주면, 즉 파이프와 접하는 면을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3 패킹(280)은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3 패킹(280)은 일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단부 패킹부(281)가 형성되어, 단면 형상이 L자형으로 형성된다. 단부 패킹부(281)는 상술한 파이프의 단부에 접촉하여 수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킹(260)은 가압방향(D1)으로 형성된 다수의 유체 수용홈(262)이 형성된다. 유체 수용홈(262)은 플랜지(200) 내의 유체를 수용하여 해당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확장되어 제1 패킹(260) 자체를 팽창시킨다. 또한 제1 패킹(260)을 포함하는 플랜지(200)가 시공 시 파이프(1)를 수용하는 경우 어느 정도 수축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 없이도 파이프(1)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수 있다.
이 때 유체 수용홀(262)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이 타원형 또는 방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수용홀(262)의 장축(a1, a2)는 제1 패킹(260)의 중심축(Q)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 수용홀(262)이 타원형 또는 방추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체 수용홀(262)이 압축되는 경우에도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 이상의 유로가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체 수용홈(262)에 삽입되는 보강링(26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강링(265)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유로 수용홈(262)의 형상에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강링(265)은 외력에 의하여 압축되는 경우에도 일정한 유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체 수용홈(262)의 강성을 보강한다.
또한 유체를 수용하고 확장함으로써 수밀구조를 강화하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유체 수용홀(262)의 내측 단부간을 연결하는 내측 공간부(263)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내측 공간부(263)는 제1 패킹(260)의 내측을 일주하며 유체 수용홀(262)과 유체 소통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내측 공간부(262)와 외측 사이에는 절개선(264)을 형성할 수 있다. 절개선(264)은 내측 공간부(262)의 형성을 위한 공정 상에서 이용되거나, 내측 공간부(262) 상에 기타 다양한 부재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절개선(264)은 외측으로부터 V자형으로 절개함으로써 외부의 압력이 크게 증가하는 경우에 내측 공간부(262) 상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내측 공간부(262)에는 흡습성 재질의 흡습팽창부를 채워 넣는 것도 가능하다. 흡습팽창부는 유체를 흡수하는 경우 부피가 팽창함으로써 내측 공간부(262)에 유체만을 유입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팽창함으로써 수밀구조를 더욱 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f을 참조하면, 내측 공간부(262)는 단축(B1, B2)이 파이프(1)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공간부(262)에 유체가 유입되어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단축(B1, B2) 방향으로 압력이 집중되어 가장많이 팽창된다. 즉, 단축(B1, B2)이 파이프(1)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1 패킹(260)이 파이프(1)측으로 가장 많이 팽창함으로써 수밀 구조를 더욱 강화시키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이프(1)의 내의 유체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유체는 파이프(1)의 단부를 통하여 유출된후 파이프(1)의 외주면과 플랜지(260)의 내주면 사이를 따라 진행하면서, 제3 패킹(280) 및 제2 패킹(270)을 지나 제1 패킹(260)에 도달한다. 이 때 제3 패킹(280) 및 제2 패킹(270)이 순차적으로 수밀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순간적으로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 패킹(260)에 의하여 수밀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즉, 약한 수 충격이나 낮은 유체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2 패킹(270) 및 제3 패킹(280)이 대응하여 수밀구조를 유지하게 되고, 높은 수 충격이나 높은 유체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 패킹(260)이 대응하여 수밀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도 1g 내지 도 1i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설명한다. 도 1g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h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i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및 클램프에 파이프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클램프(10)는 클램핑 몸체부(110)와 가압부(160)를 포함한다. 도 1g 및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몸체부(110)는 호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조립부재를 서로 맞대어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클램핑 몸체부(110)의 외주면 일 단부에는 제2 고정돌기(120)가 형성된다. 제2 고정돌기(120)는 다수개의 클램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경우에 각각의 인접하는 클램프간을 체결 및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제2 고정돌기(120)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클램핑 몸체부(110)의 외주면 타단부에는 제2 고정돌기(120)가 걸려서 체결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130)가 형성된다. 제2 고정돌기(120)는 타 클램프의 걸이부(13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관통됨으로써 두 클램프 간을 연결시키게 된다.
클램프 몸체부(110)를 구성하는 각 조립부재들은 양 단부에 연장부(140)가 형성된다. 연장부(140)는 각 조립부재들의 양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연장부(140)에는 볼트가 수용될 수 있도록 관통된 체결구(141)가 형성된다.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몸체부(110)는 각각의 체결구(140)를 볼트(171)가 관통한 후 해당볼트(171)에 너트(172)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한편, 클램핑 몸체부(110)의 조립 시 인접하는 각각 연장부(140) 쌍 중 어느 하나에는 연장부(140) 쌍 간을 이격 시키는 이격부(142)가 형성된다. 이격부(142)는 연장부(140)간을 이격 시킴으로써 볼트(171) 및 너트(172)에 의하여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클램프 간 또는 클램프와 플랜지간 연결구조로 인하여 현장에서 신속 용이하게 필요한 만큼의 클램프를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클램핑 몸체부(110)의 내주면에는 가압부 고정부재(150)를 수용하는 고정부재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고정부재 수용부(111)는 타 내주면에 비하여 일정 깊이 단차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수용된 가압부 고정부재(150)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가압부 고정부재(15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사출물로서 내측에 가압부(160)가 내측으로 일정부분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가압부 고정부재(150)는 파이프의 중심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60)는 종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60)는 클램핑 몸체부(110)가 조여지는 경우 내측의 파이프를 가압함으로써 미끄러지거나 파이프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 때 가압부(160)는 뿔의 꼭지점이 파이프가 이탈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뿔형상의 바닥면이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파이프가 용이하게 삽입되는 반면, 뿔형상의 바닥면 모서리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파이프의 이탈이 어려운 환경을 형성한다. 이러한 혼 베어링 형상의 가압부는 스테인리스 강과 같이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 파이프의 경우에도 미끄러짐 없이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i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파이프(1)는 플랜지(20) 내로 삽입 및 수용된 후 필요한 고정력에 따른 개수의 클램프(10)로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플랜지(20)의 용접부(209)에 다른 파이프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함으로써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j 및 도 1k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설명한다. 도 1j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k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10a)는 클램핑 몸체부(110a)의 내측에 가압부 고정부재가 없는 면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클램핑 몸체부(110a)의 내주면에 직접 가압부(160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압부(160a)는 뿔이 종방향으로 절반이 잘린 형상으로 클램핑 몸체부(110a)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때 가압부(160a)는 내주면을 따라 일 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1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교차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클램핑 몸체부(110a)의 조립 시에는 도 1k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 고정부재 없이 조립된다. 볼트(171)와 너트(172)가 체결구(141)를 관통하여 체결된 후에 조여지는 경우 가압부(160a)가 내측의 파이프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고정부(160a) 이외의 다른 구성부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플랜지 및 클램프는 고정력이 종래의 동일 장치에 비하여 고정력 및 수충격에 대응하는 밀폐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스테인리스 강관의 경우에도 별도의 사전 작업이나 코팅 작업 없이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코팅피막 형성 장치>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점도 도포액 코팅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는 도 2의 코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계통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코팅피막 형성장치는, 도포액이 저장되는 도포액저장탱크(110)와, 상기 도포액 저장탱크(110) 내의 도포액을 공급관로(140)를 통해 분사노즐(180) 측으로 압송시키는 펌프(130)와, 상기 펌프(130) 및 분사노즐(18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 및 상기 공급관로(140)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60)에 전송하고, 기설정 압력조건일 때 분사노즐(180)이 토출 개방되도 록 하는 압력 측정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포액 저장탱크(110)의 공급관로(140) 선단에는 탱크밸브(111)가 설치되고, 상기 탱크밸브(111)는 제어부(160)에 의해 개/폐 단속된다. 상기 펌프(130)는 실린더 및 피스톤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피스톤(미도시)이 전진하여 분사노즐(180) 측으로 도포액을 압송할 때에는 탱크밸브(111)를 닫아 도포액 저장탱크(110) 측으로 도포액이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피스톤이 후퇴할 때는 실린더 내부에 도포액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여 탱크밸브(111)를 개방시키도록 한다.
상기 압력 측정부(150)는, 상기 펌프(130)와 분사노즐(180) 사이의 공급관로(140) 상에 설치되는 압력센서(151) 및 상기 분사노즐(180) 측의 공급관로(140)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센서(151) 측정 값이 기 설정 값을 충족하는 상태에서 제어부(160)의 신호에 따라 공급관로(140)를 개방하도록 된 토출밸브(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151)는 공급관로(140) 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160)에 피드백시키게 되는데, 상기 제어부(160)는 설정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토출밸브(153)가 닫힌 상태로 펌프(130)의 압축행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도포개시위치에서 공급관로(140) 내에 충분한 예비 토출압력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면, 토출밸브(153)를 개방시켜 도포액이 분사노즐(180)을 통해 분사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송장치(190)를 작동시켜 분사노즐(180)을 이송시킴으로써, 기판 표면에 소정두께의 도포액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 압력은, 공급관로(140)의 길이 및 공급관로(140) 내의 도포액의 점도를 감안하여 설정되도록 하는데, 공급관로(140) 내부가 설정 압력에 이른 상태는 도포액이 압축된 상태로서, 토출밸브(153)의 개방과 동시에 팽창력에 의한 도포액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점도 도포액 코팅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은 도 4의 코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계통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코팅피막 형성장치는, 도포액 저장탱크(110)와, 상기 도포액 저장탱크(110) 내의 도포액을 공급관로(140)를 통해 분사노즐(180) 측으로 압송시키는 펌프(130)와, 상기 펌프(130) 및 분사노즐(18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 및 상기 제어부(160)의 분사노즐(180) 작동 신호를 기설정된 시간까지 지연시키는 신호 지연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도포액 저장탱크(110)의 공급관로(140) 선단에는 탱크밸브(111)가 설치되고, 상기 탱크밸브(111)는 제어부(160)에 의해 개/폐 단속된다. 상기 펌프(130)는 실린더 및 피스톤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피스톤(미도시)의 전진하여 분사노즐(180) 측으로 도포액을 압송할 때에는 탱크밸브(111)를 닫아 도포액 저장탱크(110) 측으로 도포액이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피스톤이 후퇴할 때는 실린더 내부에 도포액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여 탱크밸브(111)를 개방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지연부(170)는, 공급관로(140)의 길이 및 공급관로(140) 내의 도포액의 점도를 고려하여 지연시간이 설정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160)의 신호에 의해 펌프(130)가 압축행정을 진행하게 되고, 신호 지연부(170)는 공급관로(140) 내에서의 고점도 도포액이 이동되는 속도를 계산하여 계산된 지연시간 후에 분사노즐(180)의 이송장치(190)를 구동시킴으로써, 분사노즐(180)의 구동시점과 도포액의 토출 시점이 일치되도록 한다. 이하, 도 6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점도 도포액 코팅장치를 이용한 도포액 코팅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점도 도포액 코팅장치의 코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도포액 저장탱크 내의 도포액을 분사노즐 측으로 압송시키기 위해 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S11)를 수행한다.
다음, 분사노즐 측의 공급관로를 닫고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S12)를 수행한 후, 상기 측정압력과 기설정압력을 비교하는 단계(S13)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공급관로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펌프와 분사노즐 사이의 공급관로 상에 압력센서를 설치하도록 하는데, 상기 압력센서는 측정압력을 제어부에 피드백시켜 기설정 압력인지를 비교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설정 압력은 공급관로의 길이 및 공급관로 내의 도포액의 점도를 감안한 설정된 압력 값으로서, 토출밸브의 개방시점과 분사노즐을 통한 도포액의 토출 시점이 일치하는 압력 값을 의미한다. 그런 다음, 상기 비교결과 측정압력이 기 설정 압력 이상일 때, 토출밸브를 개방시켜 도포액을 토출시키는 단계(S14)를 수행하도록 하는데,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도포액이 토출되는 동시에 이송장치를 구동시켜 분사노즐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측정압력과 기설정 압력을 비교한 결과, 측정압력이 기 설정 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공급관로 내부의 압력 측정값을 제어부에 피드백시켜 기설정 압력 이상이 될 때까지 펌프의 압축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지속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점도 도포액 코팅장치의 코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동 도면에서와 같이 먼저, 도포액 저장탱크 내의 도포액을 분사노즐 측으로 압송시키기 위해 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S21)를 수행한다.
다음, 상기 펌프의 작동신호와 더불어 분사노즐의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2)를 수행한다. 다음, 상기 분사노즐 작동신호를 신호 지연부에서 받아 기 설정된 시간까지 신호를 지연시키는 단계(S23)를 수행한다. 이때, 기설정 시간은, 공급관로의 길이 및 공급관로 내의 도포액의 점도를 고려하여 설정하되, 펌프의 작동시점으로부터 분사노즐을 통해 도포액이 토출되는 도포액 토출 시점까지의 지연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다음, 상기 신호지연 시간이 기설정 시간인지를 체크하는 단계(S24)를 수행하는데, 상기 체크결과 신호지연 시간이 기설정 시간인 경우, 분사노즐이 이송되도록하는 단계(S25)를 수행한다.
이때, 체크결과 신호지연 시간이 기설정 시간 이전인 경우에는, 상기 신호 지연부에서 기 설정 시간까지 계속해서 신호를 지연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 예를 이용한 당업자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8 내지 도 15는 도 6에 따른 코팅피막 형성장치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코팅피막 형성 장치는, 목적물이 위치되는 소정의 제1 기반구조물(140);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상에 구비되는 도포액 저장탱크(11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상에 위치되는 목적물을 코팅하기 위한 분사노즐(2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이웃하여 구비며, 펌프(130) 및 상기 분사노즐(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 공급관로(140)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60)에 전송하고, 기설정 압력조건 일 때, 상기 분사노즐(20)이 토출 개방되도록 하는 압력 측정부(15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상기 제어부(160) 하부에 결합되어 진동과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 기반구조물(210)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피막 형성 장치는,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기반구동부(14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반구동부(141)는, 상기 제1 기반구동부(141)의 하부 최외곽 일측에 구비되어 좌우이동 가능한 제1 이동부(141a)와, 상기 제1 기반구동부(141)의 하부의 최외곽 타측에 구비되어 좌우이동 가능한 제2 이동부(141b)와, 상기 제1 기반구동부(141)의 하부의 상기 제1 이동부(141a)와 상기 제2 이동부(141b) 사이의 구비되어 좌우이동 가능한 제3 이동부(141c), 제4 이동부(141d)와, 상기 제3 이동부(141c)와 상기 제4 이동부(141d) 사이에 구비되어 좌우 이동 가능한 제5 이동부(141e)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은 상기 제1 기반구동부(141)의 상기 제1 이동부(141a) 내지 상기 제4 이동부(141d)를 매개로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 과 결합된다.
상기 제2 기반구조물은, 상부에 상기 제1 이동부(141a)와 상기 제3 이동부(141c)사이에 진입하는 제1 진입체(211)와, 상부에 상기 제2 이동부(141b)와 상기 제4 이동부(141d)사이에 진입하는 제2 진입체(212)와, 상부에 상기 제3 이동부(141c)와 상기 제5 이동부(141e)사이에 진입하는 제3 진입체(213)와, 상부에 상기 제4 이동부(141d)와 상기 제5 이동부(141e)사이에 진입하는 제4 진입체(2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진입체(211) 내지 상기 제4 진입체(214)는 전체적 또는 개별 선택적으로 둘레방향 모터 설치 기반으로 회전 유동되어 주변 둘레부 구조물에 대한 가압 고정힘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진입체(211) 내지 상기 제4 진입체(214)는 다각으로 형성되어 주변부와 면접촉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기반구동부(141)의 상기 제1 이동부(141a) 내지 상기 제5 이동부(141e)는 상기 상호간의 이격폭을 좁히도록 유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이동부(141a) 내지 상기 제5 이동부(141e)는, 상기 제1 진입체(211) 내지 상기 제4 진입체(214)가 상기 제1 이동부(141a) 내지 상기 제5 이동부(141e) 사이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호간의 이격폭을 좁히도록 유동된다.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 및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의 외측면과, 상기 제어부(160) 및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의 외측면에 가각 장착되어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상호간의 수직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제1-1 결속구조물(221)과, 상기 제어부(160)와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상호간의 수직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제1-2 결속구조물(222)을 포함하는 제1 결속구조물(2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1 결속구조물(221)은,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의 측면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중앙구조부(221a)와, 상기 제1 중앙구조부(221a)에 연동되어 상기 제1 중앙구조부(221a)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의 측면부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1 돌출형 걸개부(221b1)를 매개로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에 결속되는 제1 상측구조부(221b)와, 상기 제1 중앙구조부(221a)에 연동되어 상기 제1 중앙구조부(221a)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의 측면부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2 돌출형 걸개부(221c1)를 매개로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에 결속되는 제1 하측구조부(221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상측구조부(221b)와 상기 제1 하측구조부(221c)는 상기 제1 중앙구조부(221a)로부터 승강 또는 하강 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제1-2 결속구조물(222)은, 상기 제어부(160)와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의 측면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중앙구조부(222a)와, 상기 제2 중앙구조부(222a)에 연동되어 상기 제2 중앙구조부(222a)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160)의 측면부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3 돌출형 걸개부(222b1)를 매개로 상기 제어부(160)에 결속되는 제2 상측구조부(222b)와, 상기 제2 중앙구조부(222a)에 연동되어 상기 제2 중앙구조부(222a)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의 측면부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4 돌출형 걸개부(222c1)를 매개로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에 결속되는 제2 하측구조부(222c)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측구조부(222b)와 상기 제2 하측구조부(222c)는 상기 제2 중앙구조부(222a)로부터 승강 또는 하강 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결속구조물(220)을 상기 제1 중앙구조부(221a)와 상기 제2 중앙구조부(222a)를 매개로 상호 연동시키는 제2 결속구조물(2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구조물(230)은,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의 전면부 및 후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비되는 중앙구동부(231)와, 상기 중앙구동부(23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중앙구조부(221a)에 결속되는 일측유동부(232)와, 상기 중앙구동부(23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중앙구조부(222a)에 결속되는 타측유동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1 결속구조물(221)과 상기 제1-2 결속구조물(222)이 상기 제2 결속구조물(230)에 결속된 상태인 소정의 결속물로 구비된 이후,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 및 상기 제어부(160)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1-2 결속구조물(222)가 상기 제어부(160)와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 측면부에 먼저 접촉되도록 설치된 이후, 상기 제1-1 결속구조물(221)이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 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1 결속구조물(221)은, 상기 제2 결속구조물(230)의 상기 일측유동부(232)의 후퇴 유동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속도로 유동되며 가격방식으로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 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의 정합상태를 보정하도록 한다.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2 결속구조물(230)을 내부측으로 밀착 가압하여 결속시키기 위한 제3 결속구조물(2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결속구조물(240)은,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상에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한쌍의 베이스부(241, 242)와, 상기 베이스부(241, 242)의 대향하는 각 단부에서 연동부재(243)를 통하여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도록 동작되어, 상기 베이스부(241, 242)들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중앙구동부(231)를 가압하는 유동부(244)를 포함한다.
상기 제3 결속구조물(240)의 상기 유동부(244)는, 상기 유동부(244)와 상기 중앙구동부(231)의 간극을 메우도록 내부측에서 외부로 출몰되어 상기 중앙구동부(231)를 2차 가압하는 보조가압부(244a)가 구비된다. 상기 제3 결속구조물(240)의 상기 베이스부(241, 242) 상단 좌측부와 상기 제2 결속구조물(230)의 상기 중앙구동부(23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결속구조물(230)과 상기 제3 결속구조물(240) 상호 간의 결속 고정을 보강하는 제1 보강모듈(251)과, 상기 제3 결속구조물(240)의 상기 베이스부(241, 242) 상단 우측부와 상기 제2 결속구조물(230)의 상기 중앙구동부(23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결속구조물(230)과 상기 제3 결속구조물(240) 상호 간의 결속 고정을 보강하는 제2 보강모듈(252)과, 상기 제3 결속구조물(240)의 상기 베이스부(241, 242) 하단 우측부와 상기 제2 결속구조물(230)의 상기 중앙구동부(23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결속구조물(230)과 상기 제3 결속구조물(240) 상호 간의 결속 고정을 보강하는 제3 보강모듈(253)과, 상기 제3 결속구조물(240)의 상기 베이스부(241, 242) 하단 좌측부와 상기 제2 결속구조물(230)의 상기 중앙구동부(23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결속구조물(230)과 상기 제3 결속구조물(240) 상호 간의 결속 고정을 보강하는 제4 보강모듈(25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보강모듈(251)은,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상에 구비되는 제1 본체(251a)와, 상기 제1 본체(251a)로부터 제1-1 연동부재(L11)를 통해 전진 유동되는 제1 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동체는, 상기 제3 결속구조물(240)의 상기 베이스(241)에 접촉되는 제1-1 유동체(251b)와, 상기 제1-1 유동체(251b)로부터 제1-2 연동부재(L12)를 통해 상기 제1 본체(251a)의 길방향측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중앙구동부(231)의 일부를 접촉 가압하는 제1-2 유동체(251c)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보강모듈(252)은,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상에 구비되는 제2 본체(252a)와, 상기 제2 본체(252a)로부터 제2-1 연동부재(L21)를 통해 전진 유동되는 제2 유동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유동체는, 상기 제3 결속구조물(240)의 상기 베이스(241)에 접촉되는 제2-1 유동체(252b)와, 상기 제2-1 유동체(252b)로부터 제2-2 연동부재(L22)를 통해 상기 제2 본체(252a)의 길방향측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중앙구동부(231)의 일부를 접촉 가압하는 제2-2 유동체(252c)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보강모듈(253)은,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상에 구비되는 제3 본체(253a)와, 상기 제3 본체(253a)로부터 제3-1 연동부재(L31)를 통해 전진 유동되는 제3 유동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유동체는, 상기 제3 결속구조물(240)의 상기 베이스(242)에 접촉되는 제3-1 유동체(253b)와, 상기 제3-1 유동체(253b)로부터 제3-2 연동부재(L32)를 통해 상기 제3 본체(253a)의 길방향측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중앙구동부(231)의 일부를 접촉 가압하는 제3-2 유동체(253c)를 포함한다.
상기 제4 보강모듈(254)은,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상에 구비되는 제4 본체(254a)와, 상기 제4 본체(254a)로부터 제4-1 연동부재(L41)를 통해 전진 유동되는 제4 유동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유동체(254)는, 상기 제3 결속구조물(240)의 상기 베이스(242)에 접촉되는 제4-1 유동체(254b)와, 상기 제4-1 유동체(254b)로부터 제4-2 연동부재(L42)를 통해 상기 제4 본체(254a)의 길방향측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중앙구동부(231)의 일부를 접촉 가압하는 제4-2 유동체(254c)를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내용들에 기반하는 배관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은, 배관 연결용 플랜지를 구비하는 단계; 및 구비된 상기 배관 연결용 플랜지를 코팅피막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 연결용 플랜지는, 제1 파이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파이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2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수용부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재1 패킹을 포함하는 패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연결용 플랜지는 코팅피막 형성 장치로 코팅피막 가공되며, 상기 코팅피막 형성 장치는, 코팅피막 형성 장치는, 목적물이 위치되는 소정의 제1 기반구조물(14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상에 구비되는 도포액 저장탱크(11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상에 위치되는 목적물을 코팅하기 위한 분사노즐(2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이웃하여 구비며, 펌프(130) 및 상기 분사노즐(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 공급관로(140)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60)에 전송하고, 기설정 압력조건 일 때, 상기 분사노즐(20)이 토출 개방되도록 하는 압력 측정부(15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상기 제어부(160) 하부에 결합되어 진동과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 기반구조물(2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클램프
20: 플랜지
120: 고정돌기
130: 걸이부
150: 가압부

Claims (6)

  1. 배관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으로서,
    배관 연결용 플랜지를 구비하는 단계; 및
    구비된 상기 배관 연결용 플랜지를 코팅피막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함되,
    상기 배관 연결용 플랜지는,
    제1 파이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파이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2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수용부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재1 패킹을 포함하는 패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연결용 플랜지는 코팅피막 형성 장치로 코팅피막 가공되며, 상기 코팅피막 형성 장치는,
    목적물이 위치되는 소정의 제1 기반구조물(14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상에 구비되는 도포액 저장탱크(11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상에 위치되는 목적물을 코팅하기 위한 분사노즐(2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이웃하여 구비되며, 펌프(130) 및 상기 분사노즐(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
    공급관로(140)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60)에 전송하고, 기설정 압력조건 일 때, 상기 분사노즐(20)이 토출 개방되도록 하는 압력 측정부(150);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상기 제어부(160) 하부에 결합되어 진동과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 기반구조물(210)을 포함하되,
    상기 코팅피막 형성 장치는,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기반구동부(14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반구동부(141)는,
    상기 제1 기반구동부(141)의 하부 최외곽 일측에 구비되어 좌우이동 가능한 제1 이동부(141a)와
    상기 제1 기반구동부(141)의 하부의 최외곽 타측에 구비되어 좌우이동 가능한 제2 이동부(141b)와
    상기 제1 기반구동부(141)의 하부의 상기 제1 이동부(141a)와 상기 제2 이동부(141b) 사이에 구비되어 좌우이동 가능한 제3 이동부(141c), 제4 이동부(141d)와,
    상기 제3 이동부(141c)와 상기 제4 이동부(141d) 사이에 구비되어 좌우 이동 가능한 제5 이동부(141e)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은 상기 제1 기반구동부(141)의 상기 제1 이동부(141a) 내지 상기 제4 이동부(141d)를 매개로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과 결합되는 배관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반구조물은,
    상부에 상기 제1 이동부(141a)와 상기 제3 이동부(141c)사이에 진입하는 제1 진입체(211)와,
    상부에 상기 제2 이동부(141b)와 상기 제4 이동부(141d)사이에 진입하는 제2 진입체(212)와,
    상부에 상기 제3 이동부(141c)와 상기 제5 이동부(141e)사이에 진입하는 제3 진입체(213)와,
    상부에 상기 제4 이동부(141d)와 상기 제5 이동부(141e)사이에 진입하는 제4 진입체(2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진입체(211) 내지 상기 제4 진입체(214)는 모터 기반 으로 전체적 또는 개별 선택적으로 둘레방향 회전 유동되는 배관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반구동부(141)의 상기 제1 이동부(141a) 내지 상기 제5 이동부(141e)는 상호간의 이격폭을 좁히도록 유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이동부(141a) 내지 상기 제5 이동부(141e)는,
    상기 제1 진입체(211) 내지 상기 제4 진입체(214)가 상기 제1 이동부(141a) 내지 상기 제5 이동부(141e) 사이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호간의 이격폭을 좁히도록 유동되는 배관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 및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의 외측면과, 상기 제어부(160) 및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의 외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상호간의 수직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제1-1 결속구조물(221)과,
    상기 제어부(160)와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상호간의 수직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제1-2 결속구조물(222)을 포함하는 제1 결속구조물(2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1 결속구조물(221)은,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과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의 측면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중앙구조부(221a)와,
    상기 제1 중앙구조부(221a)에 연동되어 상기 제1 중앙구조부(221a)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의 측면부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1 돌출형 걸개부(221b1)를 매개로 상기 제1 기반구조물(140)에 결속되는 제1 상측구조부(221b)와,
    상기 제1 중앙구조부(221a)에 연동되어 상기 제1 중앙구조부(221a)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의 측면부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2 돌출형 걸개부(221c1)를 매개로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에 결속되는 제1 하측구조부(221c)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측구조부(221b)와 상기 제1 하측구조부(221c)는 상기 제1 중앙구조부(221a)로부터 승강 또는 하강 하도록 구동되는 배관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2 결속구조물(222)은,
    상기 제어부(160)와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의 측면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중앙구조부(222a)와,
    상기 제2 중앙구조부(222a)에 연동되어 상기 제2 중앙구조부(222a)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160)의 측면부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3 돌출형 걸개부(222b1)를 매개로 상기 제어부(160)에 결속되는 제2 상측구조부(222b)와,
    상기 제2 중앙구조부(222a)에 연동되어 상기 제2 중앙구조부(222a)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의 측면부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4 돌출형 걸개부(222c1)를 매개로 상기 제2 기반구조물(210)에 결속되는 제2 하측구조부(222c)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측구조부(222b)와 상기 제2 하측구조부(222c)는 상기 제2 중앙구조부(222a)로부터 승강 또는 하강 하도록 구동되는 배관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
KR1020190174814A 2019-12-26 2019-12-26 배관 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 KR102176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814A KR102176068B1 (ko) 2019-12-26 2019-12-26 배관 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814A KR102176068B1 (ko) 2019-12-26 2019-12-26 배관 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068B1 true KR102176068B1 (ko) 2020-11-09

Family

ID=7342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814A KR102176068B1 (ko) 2019-12-26 2019-12-26 배관 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0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29B1 (ko) * 2007-05-08 2008-11-06 주식회사 케이씨텍 슬릿코터의 고점도 도포액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
KR101215771B1 (ko) 2009-12-18 2013-01-11 대신강업(주) 자동차 배관용 플랜지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1335828B1 (ko) * 2012-11-26 2013-12-03 주식회사 하이스텐 배관연결용 플랜지
CN107457118A (zh) * 2017-08-18 2017-12-12 孙永丽 一种使用方便的轮毂喷漆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29B1 (ko) * 2007-05-08 2008-11-06 주식회사 케이씨텍 슬릿코터의 고점도 도포액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
KR101215771B1 (ko) 2009-12-18 2013-01-11 대신강업(주) 자동차 배관용 플랜지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1335828B1 (ko) * 2012-11-26 2013-12-03 주식회사 하이스텐 배관연결용 플랜지
CN107457118A (zh) * 2017-08-18 2017-12-12 孙永丽 一种使用方便的轮毂喷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405B2 (en) Bolt tensioning system
US6474910B2 (en) Rockbolt assembly
US11780667B2 (en) Piston for a collapsible cartridge
KR102176068B1 (ko) 배관 연결용 플랜지 제작 방법
JP3467545B2 (ja)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の拡管装置
SE504605C2 (sv) Skarvning av en rörformad bergbult
JP2023166595A (ja) 注入器
TWI672430B (zh) 用於對填充圍繞錨桿的環形空間的噴射器
US10787813B2 (en) Tendon coupler
KR102339493B1 (ko) 편심형 수전 연결구
WO2007110736A2 (en) Radial press for joining high pressure hydraulic pipes
KR20150004780A (ko) 초음파 용접 장치 및 앤빌에 대해 초음파 용접 혼을 정렬하는 방법
WO2003067103A1 (en) Tightening member
RU2670644C9 (ru) Направляющий блок для исполнительного механизма
KR20120105129A (ko) 확장형 앵커볼트
KR20170105185A (ko)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의 습동 그리스 분사 장치
US5765969A (en) Tubeformed rock bolt
US5676427A (en) Apparatus for hydraulically splitting up rock
KR102116853B1 (ko) 보수재 주입용 패커
KR101335828B1 (ko) 배관연결용 플랜지
KR101710312B1 (ko) 차량용 작동유의 불순물 여과기 제작방법
KR101902873B1 (ko) 유수관 커플러 유닛을 이용한 가압식 이형관 결합방법
CA3040749C (en) Tendon coupler
KR102430729B1 (ko) 배관용 관통 이음장치의 배관 수평 유지장치
KR101422935B1 (ko) 배관연결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