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493B1 - 편심형 수전 연결구 - Google Patents

편심형 수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493B1
KR102339493B1 KR1020170038651A KR20170038651A KR102339493B1 KR 102339493 B1 KR102339493 B1 KR 102339493B1 KR 1020170038651 A KR1020170038651 A KR 1020170038651A KR 20170038651 A KR20170038651 A KR 20170038651A KR 102339493 B1 KR102339493 B1 KR 102339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art
nut
nut coupling
nut membe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282A (ko
Inventor
임헌덕
Original Assignee
임헌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헌덕 filed Critical 임헌덕
Priority to KR1020170038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49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1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너트부재를 수전 연결몸체부에 체결 시 유압 리베이팅 방식으로 가압 체결하여 기존 T볼트와 같은 체결 부품 수를 줄이고, 조립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편심형 수전 연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편심형 수전 연결구는, 연결몸체부와, 연결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도관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나사결합부와, 나사결합부와 편심되게 이격 배치도록 연결몸체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전의 연결관에 체결을 위한 너트부재가 외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너트결합부를 포함하되, 너트부재가 너트결합부의 외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결합부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너트결합부의 상단부의 단면을 외측으로 확장시킴으로써 너트부재를 너트결합부에 이탈되지 않게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심형 수전 연결구{ECCENTRIC TYPE FAUCET CONNECTOR}
본 발명은 편심형 수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에 매립된 냉수 및 온수 수도관에 수전을 연결하는 편심형 수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이나 욕실에 구비되는 수전은 수전 연결구를 통해 벽면에 매립된 수도관에 연결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수도관은 전단부가 벽면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수도관은 온수관과 냉수관으로 구성되어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수전 연결구는 후단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후단부가 온수관과 냉수관에 각각 나사 결합된다.
또한, 수전 연결구는 후단부와 편심되는 전단부에 나사홀이 형성되고, T볼트가 너트부재의 내경을 관통하여 나사홀에 체결됨으로써, 너트부재는 수전 연결구와 결합될 수 있다.
수전은 수전 연결구에 연결되는 2개의 연결관부가 형성되며, 연결관부는 너트부재에 체결되어 수전 연결구와 결합됨으로써, 수전을 수도관에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너트부재를 T볼트로 수전 연결구에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T볼트와 같은 부품수가 증가하고, 조립공정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KR등록특허공보 제10-1160091호(2012.06.2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너트부재를 수전 연결몸체부에 체결 시 유압 리베이팅 방식으로 가압 체결하여 기존 T볼트와 같은 체결 부품 수를 줄이고, 조립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편심형 수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편심형 수전 연결구는, 연결몸체부; 상기 연결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도관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나사결합부; 및 상기 나사결합부와 편심되게 이격 배치도록 상기 연결몸체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전의 연결관에 체결을 위한 너트부재가 외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너트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너트부재가 상기 너트결합부의 외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결합부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너트결합부의 상단부의 단면을 외측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너트부재를 상기 너트결합부에 이탈되지 않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결합부는, 원형 관체의 외측면 중간부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로 띠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결합부는, 원형 관체의 내측면 상단부에 내주면을 따라 단차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결합부의 상단부를 가압 시 원형 관체의 내측면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단차홈과 원형 관체의 외측면 중간부에 형성된 상기 띠홈에 의해 상기 너트결합부의 상단부만 외측으로 단면이 확장되고, 상기 너트결합부의 상단부 아래쪽 부분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너트부재가 상기 너트결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너트결합부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너트결합부가 형성된 상기 연결몸체부의 내측 두께를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심형 수전 연결구에 따르면, 너트부재를 원형 관체의 너트결합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결합부의 상단부를 유압 리베이팅 방식으로 가압하여 단면을 확장시킴으로써 너트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너트부재를 T볼트로 연결몸체부에 체결하는 구조에 비하여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공정이 간단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결합부의 외측면 중간부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로 띠홈을 형성하고, 내측면 상단부에 내주면을 따라 '┗' 형상을 갖는 단차홈을 형성함으로써, 너트결합부의 상단부를 유압 리베이팅 방식으로 가압 시 너트결합부의 원형 관체 내측면 상단부에 형성된 단차홈과 원형 관체 외측면 중간부에 형성된 띠홈에 의해 너트결합부의 상단부만 외측으로 단면이 확장되고, 체결된 너트부재의 내경이 위치하는 너트결합부의 상단부 아래쪽 하단부분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된다. 즉, 너트결합부의 외측면이 나팔 형태로 형상이 변경되지 않도록 이를 방지함으로써, 너트부재가 너트결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결합부로부터 이탈 방지됨과 동시에 너트부재가 너트결합부의 외측에서 상하 이동 및 회전이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결합부가 형성되는 연결몸체부의 내측면에 돌출되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보강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너트결합부의 상단부를 가압할 때 보강리브에 의해 연결몸체부의 내측면이 보강되어 주저앉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심형 수전 연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너트부재를 수전 연결구의 너트결합부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너트부재를 너트결합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결합부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너트결합부의 상단부의 단면을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너트부재가 너트결합부의 상단부 확장 단면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게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심형 수전 연결구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11은 너트부재를 너트결합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결합부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너트결합부의 상단부의 단면을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심형 수전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심형 수전 연결구(10)는 연결몸체부(100), 나사결합부(200) 및 너트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심형 수전 연결구(10)는 주방이나 욕실에 구비되는 수전(미도시)을 벽면에 매립된 수도관(미도시)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연결몸체부(100)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블록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몸체부(100)는 하단 일측에 후술할 나사결합부(200)의 관체와 통공되게 연결되는 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연결몸체부(100)는 유입구와 편심되게 이격 배치되는 상단 타측에 후술할 너트결합부(300)의 관체와 통공되게 연결되는 배출구(101)가 형성되며, 연결몸체부(100)의 내부에는 유입구와 배출구(101)를 연결하는 내부통로(103)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수도관을 통해 온수 또는 냉수가 연결몸체부(100)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내부통로(103)를 통과한 후 연결몸체부(100)의 배출구를 통해 수전으로 배출되고 수전에서 밸브 조작을 통해 온수 또는 냉수가 배출된다.
또한, 연결몸체부(100)는 너트결합부(300)가 연결되는 배출구(101)의 내측면에 후술할 너트결합부(300)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너트결합부(300)가 형성된 연결몸체부(100)의 내측 두께를 보강하는 보강리브(1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너트결합부(300)가 형성되는 연결몸체부(100)의 내측면에 돌출되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보강리브(110)를 형성함으로써,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를 가압할 때 보강리브(110)에 의해 연결몸체부(100)의 내측면이 보강되어 주저앉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사결합부(200)는 연결몸체부(100)의 하단 일측에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나사결합부(200)는 벽체에 매립된 수도관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201)이 형성된 원형 관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를 통해 나사결합부(200)는 온수관 또는 냉수관과 같은 수도관에 나사 체결되어 수도관으로부터 온수 또는 냉수가 유입된다.
너트결합부(300)는 나사결합부(200)와 편심되게 이격 배치되도록 연결몸체부(100)의 상단 타측에 배출구(101)와 연통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너트결합부(300)는 수전의 연결관(미도시)에 체결을 위한 너트부재(400, 도 5 참조)가 외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관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너트결합부(300)와 나사결합부(200)는 서로 편심되게 이격 배치되면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너트결합부(300)는 너트부재(400)의 내경이 원형 관체 외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를 유압 리베이팅 방식으로 가압하여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의 단면을 외측으로 확장시킴으로써, 너트부재(400)를 너트결합부(300)에 이탈되지 않게 결합할 수 있다.
특히, 너트결합부(300)는 원형 관체의 외측면 중간부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로 띠홈(310)이 형성된다. 또한, 너트결합부(300)는 원형 관체의 내측면 상단부(301)에 내주면을 따라 '┗' 형상을 갖는 단차홈(320)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를 유압 리베이팅 방식으로 가압 시 너트결합부(300)의 원형 관체 내측면 상단부(301)에 형성된 단차홈(320)과 원형 관체 외측면 중간부에 형성된 띠홈(310)에 의해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만 외측으로 단면이 확장되고, 체결된 너트부재(400)의 내경이 위치하는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 아래쪽 하단부분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즉, 너트결합부(300)의 외측면이 나팔 형태로 형상이 변경되지 않도록 이를 방지함으로써, 너트부재(400)가 너트결합부(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결합부(300)로부터 이탈 방지되면서 상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너트부재를 수전 연결구의 너트결합부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부재(400)를 수전 연결구(10)의 너트결합부(300)에 삽입한다. 이때, 너트부재(400)의 내경이 너트결합부(300)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기 때문에 너트부재(400)가 너트결합부(300)에 원활하게 삽입되어 너트부재(400)의 내경 하단부(401)가 너트결합부(300)의 외경 하단부(303)에 위치하게 된다.
도 6은 너트부재를 너트결합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결합부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너트결합부의 상단부의 단면을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부재(400)를 너트결합부(300)에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를 유압 리베이팅 방식으로 가압하게 되면, 너트결합부(300)의 원형 관체 내측면 상단부(301)에 형성된 단차홈(320)과 원형 관체 외측면 중간부에 형성된 띠홈(310)에 의해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만 외측으로 단면이 확장되고, 체결된 너트부재(400)의 내경이 위치하는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 아래쪽 하단부분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된다. 즉, 너트결합부(300)의 외측면이 나팔 형태로 형상이 변경되지 않게 된다.
도 7은 너트부재가 너트결합부의 상단부 확장 단면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게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만 외측으로 단면이 확장되고, 체결된 너트부재(400)의 내경이 위치하는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 아래쪽 하단부분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되므로 너트부재(400)가 너트결합부(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부재(400)의 내경 하단부(401)가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 확장된 단면에 걸려서 너트결합부(300)로부터 이탈 방지되면서 상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심형 수전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11은 너트부재를 너트결합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결합부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너트결합부의 상단부의 단면을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심형 수전 연결구(20)는 연결몸체부(100), 나사결합부(200) 및 너트결합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결합부(30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 연결몸체부(100) 및 나사결합부(200)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인 너트결합부(30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너트결합부(300)는 나사결합부(200)와 편심되게 이격 배치되도록 연결몸체부(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너트결합부(300)는 수전의 연결관(미도시)에 체결을 위한 너트부재(400)가 외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관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너트결합부(300)는 원형 관체의 외측면과 내측면이 균일한 단면을 갖는 민자단면(330), 예컨대 일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즉, 제 2 실시예의 너트결합부(300)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너트결합부(300)의 원형 관체 외측면에 띠홈(310)이 형성되지 않고 균일한 원통형 민자단면(330)을 가지며, 너트결합부(300)의 원형 관체 내측면 상단부에 단차홈(320)이 형성되지 않고 테이퍼 경사면(340)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너트부재(400)의 내경이 너트결합부(300)의 원형 관체 외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를 유압 리베이팅 방식으로 가압하면,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 단면이 외측으로 확장됨으로써, 너트부재(400)가 너트결합부(300)에 이탈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같이 너트결합부(300)를 단면이 균일한 민자형으로 형성할 경우,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를 유압 리베이팅 방식으로 가압하게 되면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가 외측으로 단면이 확장됨과 동시에 너트부재(400)의 내경이 위치하는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 아래쪽 하단부분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너트결합부(300)가 전체적으로 나팔 형태로 형상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너트부재(400)가 너트결합부(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결합부(300)로부터 이탈 방지될 수 있지만, 나팔 형상 변경으로 인해 너트부재(400)가 너트결합부(300)의 외측에서 상하 이동 및 회전이 약간 자유롭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같이 너트결합부(300)의 외측면 중간부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로 띠홈(310)을 형성하고, 내측면 상단부(301)에 내주면을 따라 '┗' 형상을 갖는 단차홈(320)을 형성할 경우,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를 유압 리베이팅 방식으로 가압 시 너트결합부(300)의 원형 관체 내측면 상단부(301)에 형성된 단차홈(320)과 원형 관체 외측면 중간부에 형성된 띠홈(310)에 의해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만 외측으로 단면이 확장되고, 체결된 너트부재(400)의 내경이 위치하는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 아래쪽 하단부분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된다. 즉, 너트결합부(300)의 외측면이 나팔 형태로 형상이 변경되지 않도록 이를 방지함으로써, 너트부재(400)가 너트결합부(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결합부(300)로부터 이탈 방지됨과 동시에 너트부재(400)가 너트결합부(300)의 외측에서 상하 이동 및 회전이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심형 수전 연결구(10,20)는 너트부재(400)를 원형 관체의 너트결합부(300)에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결합부(300)의 상단부(301)를 유압 리베이팅 방식으로 가압하여 단면을 확장시킴으로써 너트부재(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너트부재(400)를 T볼트로 연결몸체부에 체결하는 구조에 비하여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공정이 간단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20 : 편심형 수전 연결구 100 : 연결몸체부
110 : 보강리브 200 : 나사결합부
300 : 너트결합부 310 : 띠홈
320 : 단차홈 330 : 민자단면
340 : 테이퍼 경사면 400 : 너트부재

Claims (5)

  1. 연결몸체부;
    상기 연결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도관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나사결합부; 및
    상기 나사결합부와 편심되게 이격 배치도록 상기 연결몸체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전의 연결관에 체결을 위한 너트부재가 외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너트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너트부재가 상기 너트결합부의 외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결합부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너트결합부의 상단부의 단면을 외측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너트부재를 상기 너트결합부에 이탈되지 않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너트결합부는, 원형 관체의 외측면 중간부에 외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로 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형 수전 연결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결합부는, 원형 관체의 내측면 상단부에 내주면을 따라 단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형 수전 연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결합부의 상단부를 가압 시 원형 관체의 내측면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단차홈과 원형 관체의 외측면 중간부에 형성된 상기 띠홈에 의해 상기 너트결합부의 상단부만 외측으로 단면이 확장되고, 상기 너트결합부의 상단부 아래쪽 부분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너트부재가 상기 너트결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결합부로부터 이탈 방지되면서 상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형 수전 연결구.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너트결합부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너트결합부가 형성된 상기 연결몸체부의 내측 두께를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형 수전 연결구.
KR1020170038651A 2017-03-27 2017-03-27 편심형 수전 연결구 KR102339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651A KR102339493B1 (ko) 2017-03-27 2017-03-27 편심형 수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651A KR102339493B1 (ko) 2017-03-27 2017-03-27 편심형 수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282A KR20180109282A (ko) 2018-10-08
KR102339493B1 true KR102339493B1 (ko) 2021-12-14

Family

ID=6386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651A KR102339493B1 (ko) 2017-03-27 2017-03-27 편심형 수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557B1 (ko) 2022-10-13 2024-01-16 주식회사 제이시엘인더스트리 냉,온수 수전용 편심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056B1 (ko) * 2019-12-04 2021-06-30 송병규 냉온수 수전용 편심연결관
CN112728222B (zh) * 2020-12-24 2022-11-04 九牧厨卫德国有限公司 一种入墙式龙头组件及其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967Y1 (ko) 2004-12-22 2005-03-25 주식회사 이즈텍 편심유니온
JP3742629B2 (ja) 2003-03-20 2006-02-08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混合栓用偏心管
JP2006132207A (ja) 2004-11-05 2006-05-25 San-Ei Faucet Mfg Co Ltd 偏心管
JP4317972B2 (ja) * 2004-10-19 2009-08-19 株式会社カクダイ 混合水栓接続用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434A (ko) * 2006-06-27 2008-01-02 서완석 에프 커넥터 및 그의 조립방법
KR101160091B1 (ko) 2012-02-16 2012-06-29 윤다은 수전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2629B2 (ja) 2003-03-20 2006-02-08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混合栓用偏心管
JP4317972B2 (ja) * 2004-10-19 2009-08-19 株式会社カクダイ 混合水栓接続用管継手
JP2006132207A (ja) 2004-11-05 2006-05-25 San-Ei Faucet Mfg Co Ltd 偏心管
KR200379967Y1 (ko) 2004-12-22 2005-03-25 주식회사 이즈텍 편심유니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557B1 (ko) 2022-10-13 2024-01-16 주식회사 제이시엘인더스트리 냉,온수 수전용 편심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282A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493B1 (ko) 편심형 수전 연결구
EP2937476A1 (en) An embedded faucet assembly
US20150308593A1 (en) Plumbing fitting adapter
SE1550319A1 (sv) Seal
CA2915914A1 (en) Sealing plug for closing holes in walls and the like
US20220235889A1 (en) Hose connector, hose l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hose connector
US3210101A (en) Interlocking hose end fitting
JP6387310B2 (ja) ロックボルト用材料管
JP2015068448A (ja) ドレンパイプの接続構造
US633324A (en) Pipe coupling or connection.
JP3193036U (ja) 部材連結構造
KR101989187B1 (ko) 루프드레인
US8003181B2 (en) Anticorrosion sleeve
JP2008169868A (ja) 管継手部の離脱防止構造と挿口管部の係止部大径改造方法及び挿口管部用係止部大径改造具
JP2014219085A (ja) 分水栓密着コア
CN209892920U (zh) 制冰机供水接头的连接水管结构
EP1612465A1 (en) Device for connecting pipes for pressurized fluids to a faucet and the like
CN107503403B (zh) 一种用于水龙头安装的锁紧装置
KR200486267Y1 (ko) 수도꼭지의 pb 파이프 연결 소켓장치
KR200255542Y1 (ko) 인서트를 가진 파이프 연결장치
CN207848137U (zh) 一种自膨胀式锚栓
US965008A (en) Plumber's fitting.
CN221171000U (zh) 一种单把侧开穿管龙头结构
JP4107308B2 (ja) 水栓装置
KR200414913Y1 (ko) 이탈방지용 일체형 편수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