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055A - 관 연결구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055A
KR20100095055A KR1020090014158A KR20090014158A KR20100095055A KR 20100095055 A KR20100095055 A KR 20100095055A KR 1020090014158 A KR1020090014158 A KR 1020090014158A KR 20090014158 A KR20090014158 A KR 20090014158A KR 20100095055 A KR20100095055 A KR 20100095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and
piece mounting
mounting table
plat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코
Priority to KR1020090014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5055A/ko
Publication of KR2010009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16L55/17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means of rings, bands or sleeves pressed against the outside surface of the pipe or hose
    • F16L55/17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means of rings, bands or sleeves pressed against the outside surface of the pipe or hose the ring, band or sleeve being tightened by a tangentially arranged threaded pin and a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연결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 연결 부분을 둥글게 감아 이음하는 체결밴드의 일측에 상기 체결밴드보다 두께가 두껍고 끝단부에 쐐기단부가 형성된 연결압지곡면판이 설치됨으로써, 관이음시 긴밀하게 밀착되는 관의 외면과 체결밴드의 내측면으로 쐐기단부가 삽입되어 조여짐으로써, 수밀성이 향상되는 관 연결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밴드; 상기 체결밴드의 양단부에 형성된 압지편장착대; 상기 체결밴드의 일측단부 내측에 일측이 부착된 연결압지곡면판; 상기 압지편장착대에 삽입된 압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관 연결구와, 상기의 구조를 가진 관 연결구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관 연결구, 체결밴드, 쐐기단부

Description

관 연결구 및 이의 제조 방법{Clamp for connecting pi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관 연결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 연결 부분을 둥글게 감아 이음하는 체결밴드의 일측에 상기 체결밴드보다 두께가 두껍고 끝단부에 쐐기단부가 형성된 연결압지곡면판이 설치됨으로써, 관이음시 긴밀하게 밀착되는 관의 외면과 체결밴드의 내측면으로 쐐기단부가 삽입되어 조여짐으로써, 수밀성이 향상되는 관 연결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수관, 하수관 등 각종 관으로 사용되는 PE(Polyethylene)관 등 합성수지관체를 수밀되게 연결시키는 관 연결구는 합성수지관체를 일렬로 배열하고, 맞닿는 단부를 안정되게 일직선으로 연결시켜 높은 직진성과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구이다.
이와 같은 관 연결구의 기본적인 구조는 평판 형태 또는 둥글게 감겨진 원통형태의 체결밴드와; 상기 체결밴드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둥글게 감기고, 다수 개의 결합공이 뚫린 압지편장착대와; 상기 압지편장착대 또는 압지편장착대가 부착된 체결밴드 부분에 일측이 부착된 연결압지곡면판과; 상기 압지편장착대에 삽입되는 본체와 상기 압지편장착대의 결합공과 통하도록 본체에 관통된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압지편과; 상기 볼트공과 볼트삽입공에 끼워져 너트로 체결되어 체결밴드를 조여주는 볼트;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관 연결구 구조로 인접된 관을 이음하기 위하여는, 체결밴드를 관의 단부 접촉부에 둘러 감싸도록 하고, 볼트를 체결밴드의 양단에 설치된 압지편장착대에 체결된 압지편의 볼트삽입공에 끼운 후 너트로써 조여주게 된다.
이 때 체결밴드 또는 압지편장착대에 일측이 부착되어 설치된 연결압지곡면판의 타측 단부가 마주보는 압지편장착대(또는 체결밴드)와 관의 외측면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계속 볼트를 조여주게 되면, 양측 압지편의 사이 간격이 좁혀지면서 체결밴드가 관에 밀착되어 수밀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연결압지곡면판 또한 체결밴드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양측 압지편(또는 압지편장착대)사이의 공간 즉 체결밴드의 양단 사이의 공간부를 수밀되게 하는 역할이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체결밴드의 양단부가 각각 압지편장착대의 내측에 접착되어 고정되나, 그 두께가 있어 압지편장착대의 평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피할 수가 없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밴드를 조일 때, 연결압지곡면판의 타측단부는 체결밴드와 관의 외측면 사이로 파고들어 가듯이 삽입되어 져야 하는데, 연결압지곡면판의 타측단부가 압지편장착대에 돌출되어 부착된 체결밴드의 단부 돌출부분에 막혀 자연스럽게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관 이음 초기에 연결압지곡면판의 타측단부가 압지편장착대의 돌출 부분을 지나 체결밴드와 관의 외측면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었다고 하더라도 연결압지곡면판의 타측단부는 단순히 절단된 구조라서 쉽게 삽입되지 않고 마찰이나 미세 돌기부분에 걸려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양측 압지편장착대의 사이 공간에 위치된 연결압지곡면판은 체결밴드의 조여짐에 따라 상부로 돌출되어 관의 이음부를 수밀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뿐만 아니라 돌출되는 변형은 연결압지곡면판의 두께가 체결밴드보다 얇은 두께로 되어 있어 그 변형이 더욱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체결밴드를 볼트로써 조여줄 때 연결압지곡면판이 용이하게 체결밴드와 관의 외측면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수밀성을 향상시키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결압지곡면판의 두께를 체결밴드의 두께보다 두껍게 하여, 양측 압지편장착대의 사이 공간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변형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관의 외측면과 체결밴드의 사이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진행될 수 있도록 연결압지곡면판의 타측단부를 날카로운 쐐기 형상으로 된 쐐기단부로 형성한다. 특히 쐐기단부의 경사면을 체결밴드를 향한 쪽에 형성시켜 체결밴드가 압지편장착대의 면에서 돌출되어 있더라도 경사부에 의해 용이하게 연결압지곡면판이 삽입되어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 연결구의 체결시에 관과 밀착되는 연결압지곡면판이 두께에 의한 높은 강성을 가지므로 양측 압지편장착대의 사이 공간부분에서 변형이 생지기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부분에서의 수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압지곡면판의 쐐기단부에 의해 관과 체결밴드 사이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어 상기의 문제점의 원인이 되는 연결압지곡면판의 변형을 방지하고, 설치의 용이함은 물론이며, 기밀하게 접촉시켜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관 연결구의 기본적인 구조는 평판 형태 또는 둥글게 감겨진 원통형태의 체결밴드(1); 상기 체결밴드(1)의 양단부에 둥글게 감긴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결합공(2)이 뚫린 압지편장착대(3); 상기 압지편장착대(3) 또는 압지편장착대(3)가 부착된 체결밴드(1) 부분에 일측이 부착된 연결압지곡면판(4); 상기 압지편장착대(3)에 본체(5)가 삽입되고, 상기 압지편장착대(3)의 결합공(2)과 통하도록 본체(5)에 관통된 볼트삽입공(6)이 형성된 압지편(7); 상기 볼트공(8)과 볼트삽입공(6)에 끼워져 체결밴드(1)를 조여주는 볼트(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기본적인 구조에서 본 발명은 연결압지곡면판(4)의 형상과 두께에 특징이 있다. 즉, 도 1, 도 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압지곡면판(4)의 타측단부가 쐐기 형상의 쐐기단부(10)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압지곡면판(4) 의 쐐기단부(10)의 양측부 꼭지점 부분에 둥글게 모따기된 모따기부(11)가 형성되며, 도 1, 도 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압지곡면판(4)의 두께가 체결밴드(1)의 두께보다 큰 것임에 큰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압지곡면판(4)의 구조적 특징에 의하여 관 연결구를 관의 이음부에 체결하여 조여줄 때, 연결압지곡면판(4)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다. 이의 작용은 후술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압지편(7)의 구조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일반적인 압지편(7)은 환봉 또는 다각봉과 같은 본체(5)에 볼트삽입공(6)이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뚫린 구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압지편(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에 수직으로 돌출관(12)이 형성되고, 볼트삽입공(6)은 상기 돌출관(12)의 내공이 됨에 특징이 있다. 즉, 돌출관(12)이 본체(5)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도 1, 도 3, 도 4에서와 같이 관 연결구의 체결 작업시 너트(13)나 볼트(9) 등을 다루기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의 구체적인 작용효과도 후술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체결밴드(1)와 압지편장착대(3)가 동일한 구조체로서, 압지편장착대(3)는 체결밴드(1)의 양측 단부가 각각 둥글게 감겨 형성된 것으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즉 종래의 경우에는 도 1과 도 3과 같이 체결밴드(1)와 압지편장착대(3)가 각각 독립된 구성체로 따로 제조되고, 이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시켰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밴드(1)의 양단부가 바로 압지편장착대(3)인 것이다. 이는 도 5 또는 도 9와 같은 구조의 체결밴드(1)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되고, 도 5는 결합공(2)의 사이에 긴 장공이 청공되어 구분되는 구조이나, 도 9의 경우는 결합공(2)의 사이에 절결홈(14)이 형성된 구조이고, 이들에 의한 관 연결구의 상세한 제조 방법은 후술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은 크게 분류해 보면, 체결밴드(1)와 압지편장착대(3)가 독립된 구성으로 제조되어 부착되는가, 아니면 단일체로 제조되는가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이 나올 수 있다. 그 각각의 유형에 대한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과 도 3과 같은 경우로서, 일정 크기의 평판에 다수 개의 결합공(2)을 천공하고, 압지편(7)의 돌출관(12)이 결합공(2)으로 돌출되어 나오도록 둥글게 말아서 압지편장착대(3)를 성형하는 제1단계; 체결밴드(1)의 양단부에 상기 압지편장착대(3)를 부착하는 제2단계; 체결밴드(1)의 일측 단부에 연결압지곡면판(4)의 일측단부를 부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압지편장착대(3)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단계는 도 2의 평판에 다수 개의 결합공(2)을 천공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평판의 크기는 압지편장착대(3)를 제조할 수 있는 크기이고, 압지편(7)의 돌출관(12)이 삽입되는 결합공(2)이 천공된다. 둥글게 말렸을 경우 결합공(2)이 서로 관통되어야 하므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직선상에 결합공(2)이 두 개씩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공(2)의 배열은 관 연결구의 크기에 따라 다수 개 형성되는데, 도 2의 경우 3개의 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공(2)의 사이에 길게 천공된 것은, 관 연결구를 체결할 때 각각의 볼트(9) 체결에 의한 변형이 생기더라도 이웃한 부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함에 있다.
제2단계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압지편장착대(3)를 사각 평판 형태의 체결밴드(1)의 양단에 부착하는 것으로, 용접 등 재질에 따른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제3단계는 연결압지곡면판(4)의 일측단부를 체결밴드(1)에 부착하는 것으로, 압지편장착대(3)가 부착된 반대 면의 체결밴드(1)에 용접 등으로 부착된다. 부착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부가 압지편장착대(3)의 부착단부에서 일정 간격 벗어나도록 하고, 단부가 서로 일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쉬운 변형이나 쉬운 찌그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기본적인 실시예의 제조 방법이 가능하고, 다음으로는 도 4와 같은 경우의 실시예의 제조 방법이다.
일정 크기의 평판인 체결밴드(1)의 마주보는 양측 단부에 각각 다수 개의 결합공(2)을 천공하고, 상기 결합공(2)들의 사이에 긴 장공을 천공하며, 각각의 단부를 압지편(7)의 돌출관(12)이 결합공(2)으로 돌출되어 나오도록 둥글게 말아서 압지편장착대(3)를 형성시키는 제1단계; 체결밴드(1)의 일측 단부에 연결압지곡면판(4)의 일측단부를 부착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일체형 체결밴드(1)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제1단계에서의 체결밴드(1)는 도 5와 같이 길게 형성되고, 양 단부에 결합 공(2)이 천공된다. 결합공(2)의 천공 구조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과 같고, 결합공(2)의 사이에 길게 천공된 것 또한 관 연결구를 체결할 때 각각의 볼트(9) 체결에 의한 변형이 생기더라도 이웃한 부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함에 있다.
제2단계에서의 연결압지곡면판(4)의 일측단부의 부착위치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것과 같다.
상기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고, 상기의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관 연결구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다수 개의 관을 단부끼리 연접시켜 배열하고, 단부 연접부에 체결밴드(1)를 감싸도록 두른 후, 대향하는 압지편(7)에 볼트(9)를 끼워 체결한다. 이 때 연결압지곡면판(4)은 관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형태가 되고, 그 쐐기단부(10)는 체결밴드(1)와 관의 외측면의 사이로 삽입되거나 삽입되려고 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의 연결압지곡면판(4)은 평판으로 제조하여 체결밴드(1)에 부착하고, 관 이음시에 관의 곡률에 맞게 휘어 사용하거나, 미리 관의 곡률과 같게 성형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볼트(9)는 압지편(7)의 돌출관(12)에 뚫린 볼트삽입공(6)으로 삽입하고, 맞은 편의 압지편(7)의 돌출관(12)으로 나오도록 한 후 너트(13)로써 체결한다. 압지편(7)의 돌출관(12)은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볼트(9)를 끼우고 너트(13)로 체결할 때, 볼트 머리와 너트(13)는 체결밴드(1)의 외측면에서 일정 거리 벗어난 위치에 있게 된다. 이는 돌출관(12)이 길어서 너트(13)와 볼트 머리가 멀리 위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돌출관(12)을 길게 형성시킴으로써 볼트(9)나 너트(13)를 도구를 이용하여 작업할 경우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여 작업의 편이성과 효율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볼트(9)와 너트(13)를 조여 체결하게 되면, 체결밴드(1)의 직경이 좁아지면서 관을 밀착하게 되는데, 이 때 연결압지곡면판(4)의 쐐기단부(10)가 체결밴드(1)와 관의 외면 사이로 파고 들어가게 된다.
특히 쐐기단부(10)의 쐐기 형상은 체결밴드(1)의 끝단부에 의한 돌출부(단턱)을 용이하게 넘을 수 있어, 볼트(9)와 너트(13)를 조여 체결할 때 수밀성이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계속 체결하게 되면, 강한 압착력에 의해 연결압지곡면판(4)의 진행이 힘들어지고, 이 때 상부 부분이 변형이 생겨 볼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수밀성을 저하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도 해소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쐐기단부(10)의 구조적인 특징 뿐만 아니라, 연결압지곡면판(4)의 두께를 체결밴드(1)의 두께보다 크게 하여 강한 체결력이 발생하더라도 변형이 생기지 않는 강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연결압지곡면판(4)이 체결밴드(1)에 용접 등으로 부착된 부위는 압지편장착대(3)가 체결밴드(1)에 부착된 위치보다 더 내측으로, 즉 수평 상태로 벌린 체결밴드(1)의 가운데 부분으로 더 진행시킨 위치이다. 따라서 체결에 의해 접합부에 변형이 생길 수 있는데, 동일한 위치에 접합시키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연결압지곡면판(4)은 도 3과 같이 모따기부(11)가 양측 꼭지점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날까로운 부분이 제거됨으로써 작업시의 상해를 줄일 수 있고, 또한 관이나 기타 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손상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와 도 5와 같이, 체결밴드(1)와 압지편장착대(3)가 일체로 된 실시예의 경우는 도 4 또는 도 8과 같은데, 이 경우는 체결시에 매우 효용이 있다. 즉, 연결압지곡면판(4)의 쐐기단부(10)에 걸리는 돌부가 없어 용이하게 수밀성 높게 체결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특히 도 8과 같은 경우는 도 9에 도시된 체결밴드(1)에 의해 관 연결구의 조임시에 각각의 압지편(7)이 보다 더 독립적으로 작용할 수 있어 조임력이 향상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절결부(14)에 의해 도 8과 같은 조임시에 각각의 압지편(7)이 인접된 안지편(7)에 의해 방해 받지 않게 되어 볼트(9)의 비틀어짐 등을 방지하여 고른 압착력에 의한 수밀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일실시 예의 단면도
도 2는 압지편장착대의 전개도
도 3은 일실시 예의 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체결밴드의 전개도
도 6은 압지편의 사시도
도 7은 연결압지곡면판의 부분 상세도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체결밴드의 전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체결밴드 2 : 결합공
3 : 압지편장착대 4 : 연결압지곡면판
5 : 본체 6 : 볼트삽입공
7 : 압지편 8 : 볼트공
9 : 볼트 10 : 쐐기단부
11 : 모따기부 12 : 돌출관
13 : 너트 14 : 절결홈

Claims (7)

  1. 체결밴드(1); 상기 체결밴드(1)의 양단부에 형성된 압지편장착대(3); 상기 체결밴드(1)의 일측단부 내측에 일측이 부착된 연결압지곡면판(4); 상기 압지편장착대(3)에 삽입된 압지편(7);을 포함하여 구성된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압지곡면판(4)의 타측에는 쐐기 형상의 쐐기단부(1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압지곡면판(4)의 쐐기단부(10)의 양측부 꼭지점 부분에는 둥글게 모따기된 모따기부(1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압지곡면판(4)의 두께는 체결밴드(1)의 두께보다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편(7)은 압지편장착대(3)에 삽입되는 본체(5)와, 본체(5)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가운데에 형성된 볼트삽입공(6)이 본체(5)를 관통하게 형성된 돌출관(12)으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밴드(1)와 압지편장착대(3)는 동일한 구조체로서, 압지편장착대(3)는 체결밴드(1)의 양측 단부가 각각 둥글게 감겨 형성된 것임 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6. 일정 크기의 평판에 다수 개의 결합공(2)을 천공하고, 압지편(7)의 돌출관(12)이 결합공(2)으로 돌출되어 나오도록 둥글게 말아서 압지편장착대(3)를 성형하는 단계; 체결밴드(1)의 양단부에 상기 압지편장착대(3)를 부착하는 단계; 체결밴드(1)의 일측 단부에 연결압지곡면판(4)의 일측단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의 제조 방법.
  7. 일정 크기의 평판인 체결밴드(1)의 마주보는 양측 단부에 각각 다수 개의 결합공(2)을 천공하고, 각각의 단부를 압지편(7)의 돌출관(12)이 결합공(2)으로 돌출되어 나오도록 둥글게 말아서 압지편장착대(3)를 형성시키는 단계; 체결밴드(1)의 일측 단부에 연결압지곡면판(4)의 일측단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의 제조 방법.
KR1020090014158A 2009-02-20 2009-02-20 관 연결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95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158A KR20100095055A (ko) 2009-02-20 2009-02-20 관 연결구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158A KR20100095055A (ko) 2009-02-20 2009-02-20 관 연결구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055A true KR20100095055A (ko) 2010-08-30

Family

ID=4275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158A KR20100095055A (ko) 2009-02-20 2009-02-20 관 연결구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505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53B1 (ko) * 2010-12-08 2011-03-09 이영희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KR200458178Y1 (ko) * 2011-03-08 2012-01-25 주식회사 성호폴리텍 하수관 이음 장치
KR101356133B1 (ko) * 2011-06-28 2014-01-28 주식회사 시코 연결압지곡면판이 일체로 형성된 관 연결구
WO2023286567A1 (ja) * 2021-07-16 2023-01-19 横浜市 漏水補修金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53B1 (ko) * 2010-12-08 2011-03-09 이영희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KR200458178Y1 (ko) * 2011-03-08 2012-01-25 주식회사 성호폴리텍 하수관 이음 장치
KR101356133B1 (ko) * 2011-06-28 2014-01-28 주식회사 시코 연결압지곡면판이 일체로 형성된 관 연결구
WO2023286567A1 (ja) * 2021-07-16 2023-01-19 横浜市 漏水補修金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7107405A (ru) Хомут для шланга
KR20100095055A (ko) 관 연결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831843A (zh) 幕墙金属结构竖向龙骨及竖向龙骨和横向龙骨的连接结构
KR20120133972A (ko) 철근 연결 장치
KR20060052756A (ko) 철근이음장치
JP4412589B2 (ja) フランジ接合装置
KR101929420B1 (ko) 확장형 영구 앵커
JP2010077692A (ja) 折板屋根用取付具
CN205088822U (zh) 幕墙金属结构竖向龙骨及竖向龙骨和横向龙骨的连接结构
KR20130112994A (ko) 앵커볼트 브라켓
KR200445056Y1 (ko) 파이프 이격기능이 구비된 파이프 체결 어셈블리
KR100880799B1 (ko) 수밀성이 향상된 관 연결구
US20080115336A1 (en) Hose clamp
KR20150090550A (ko) 연결용 유닛이 구비된 파형강관
KR100757890B1 (ko) 꼬임메쉬휀스용 지주
KR200390879Y1 (ko) 플렉시블 죠인트의 연결구용 고정구
KR200357228Y1 (ko) 금속관 압착 체결구조
KR101376055B1 (ko) 콘크리트파일의 선단부 체결구조
CN216009882U (zh) 一种新型卡箍
KR200336225Y1 (ko) 수도관 이탈방지 이음구조
KR101335828B1 (ko) 배관연결용 플랜지
JP5191195B2 (ja) 家具天板の連結構造
JP4203894B2 (ja) 鋼管杭の継手
JP5640115B1 (ja) 屋根上物品取付具
KR101422935B1 (ko) 배관연결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