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178Y1 - 하수관 이음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 이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178Y1
KR200458178Y1 KR2020110001899U KR20110001899U KR200458178Y1 KR 200458178 Y1 KR200458178 Y1 KR 200458178Y1 KR 2020110001899 U KR2020110001899 U KR 2020110001899U KR 20110001899 U KR20110001899 U KR 20110001899U KR 200458178 Y1 KR200458178 Y1 KR 200458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olt
sewer pipe
fastening rod
fasten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주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호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호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호폴리텍
Priority to KR2020110001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1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1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특정한 영역마다 체결력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하수관 이음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하수관 이음 장치는 원통형으로 만곡된 체결밴드 및, 상기 체결밴드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체결밴드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체결봉삽입부를 포함하는 체결부, 상기 체결밴드 내부의 일측단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밴드의 타측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봉삽입부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볼트관통공 및 이웃하는 볼트관통공 사이에 형성된 분리영역인 복수개의 분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관 이음 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sewage pipes}
본 발명은 하수관 이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 파이프를 누수없이 연결할 수 있는 하수관 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의 이음 부위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하수관 이음 장치를 사용하여 하수관의 이음 부위에서 누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수관 이음 장치는 하수관의 이음 부위에 밀착하여, 하수관의 연결 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수관 이음 장치는 복수개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하수관 이음 부위에 체결밴드가 밀착되도록 조여진다. 예컨대, 원형으로 된 하수관 이음 장치의 양말단에 체결봉을 결합한 후, 마주보는 체결봉에 복수개의 볼트를 관통시키고, 너트로 조여서, 하수관 이음 장치의 체결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하나의 체결봉에 복수개의 볼트가 결합된 경우, 특정한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이 주변영역의 체결력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웃하는 볼트와 너트 간 상호 영향을 받는다면, 개별적인 영역에서의 체결력 조절이 어려워 진다. 그러므로, 특정한 볼트와 너트의 결합을 조절하여, 이웃 영역에 영향을 주지않고, 특정한 영역의 체결력만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각각의 볼트와 너트 간의 체결력을 조절하여, 특정한 영역마다 체결력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하수관 이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는 원통형으로 만곡된 체결밴드 및, 상기 체결밴드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체결밴드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체결봉삽입부를 포함하는 체결부, 상기 체결밴드 내부의 일측단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밴드의 타측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봉삽입부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볼트관통공 및 이웃하는 볼트관통공 사이에 형성된 분리영역인 복수개의 분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는 원통형으로 만곡된 체결밴드 및, 상기 체결밴드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체결밴드의 외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체결봉삽입부를 포함하는 체결부, 상기 체결밴드 내부의 일측단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밴드의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체결밴드의 타측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압부, 상기 체결봉삽입부에 삽입되고, 체결봉홈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체결봉, 너트와 체결되는 복수개의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봉삽입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 볼트관통공,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 볼트관통공 및, 이웃하는 제1 볼트관통공 사이와 이웃하는 제2 볼트관통공 사이에 형성된 분리영역인 복수개의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볼트관통공 및 상기 제2 볼트관통공의 크기는 서로 다르고, 상기 분리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볼트관통공 및 상기 제2 볼트관통공을 합한 길이보다 길며, 체결밴드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체결봉은 상기 분리부 사이의 폭과 일치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볼트는 상기 제1 및 제2 볼트관통공 및 상기 체결봉홈을 관통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는, 각각의 볼트와 너트 간의 체결력을 조절하여, 특정한 영역마다 체결력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직경이 다른 파이프가 연결되더라도, 하수관 이음 장치가 파이프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하수관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는, 체결밴드와 가압부에 의하여, 하수관 이음 장치가 파이프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볼트와 너트가 체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수관 이음 장치를 Ⅰ 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하수관 이음 장치를 Ⅱ 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와 하수관을 결합시킨 구조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와 하수관을 결합시킨 구조체의 AA'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와 하수관을 결합시킨 구조체의 AA'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6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는 만곡되어 있는 체결밴드(20), 체결밴드(20)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봉삽입부(27) 및 체결밴드(20)의 내부의 일측단에 고정되며 체결밴드(20)의 타측단으로 연장된 가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봉삽입부(27)는 체결봉삽입공(29)과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볼트관통공(21, 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웃한 볼트관통공(21, 23) 사이에는 분리영역인 분리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봉삽입부(27)는 분리부(25)에 의해 복수개의 서브체결봉삽입부(28)로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는 체결봉(45), 볼트(40) 및 너트(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봉삽입부(27)에는 체결봉홈(47)을 포함하는 체결봉(45)이 삽입되며, 볼트(40)는 볼트관통공(21, 23) 및 체결봉홈(47)을 관통하여 너트(42)와 체결될 수 있다.
체결밴드(20)는 원통형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수관(50)에 밀착되기 위해서, 원통형으로 만곡된 체결밴드(20)와 가압부(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단면은 원일 수 있다.
체결밴드(20)의 양단에는 각각 체결봉삽입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봉삽입부(27)는 체결봉삽입공(29)과 볼트관통공(21, 2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봉삽입부(27)는 체결밴드(20)의 양단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밴드(20)는 양단의 체결봉삽입부(27)가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만곡될 수 있다.
체결봉삽입부(27)는 체결밴드(20)의 양단부를 체결밴드(20)의 외측으로 만곡시킨 후, 체결밴드(20)의 양단부를 체결밴드(20)에 고정시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봉삽입부(27)의 형성을 위해, 체결밴드(20)의 양단부의 일정영역이 국지적으로 만곡될 수 있다. 체결밴드(20) 양단의 모서리는 만곡되어 체결밴드(20) 외측면과 맞닿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예컨대, 체결봉삽입부(27)의 형상을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밴드(20) 양단의 모서리를 체결밴드(20)의 외측면에 리베트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체결봉삽입부(27)의 형상은 도 1에서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체결밴드(20)의 양단부를 체결밴드(20)의 내측으로 만곡시킨 후, 체결밴드(20)의 양단부를 체결밴드(20)의 내측면에 고정시켜 체결봉삽입부(27)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에서 체결봉삽입부(27)는 별도의 체결봉삽입부를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체결밴드(20)의 양단부를 만곡시켜 형성하므로, 체결봉삽입부(27)의 형성이 용이할 수 있다.
체결봉삽입홀(29)은 체결밴드(20)의 양단에 위치하며, 체결밴드(20)로 둘러싸여 체결봉(45)이 삽입될 수 있는 영역을 지칭한다.
각각의 체결봉삽입부(27)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볼트관통공(21, 2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볼트관통공(21, 23)은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 볼트관통공(21)과, 제1 볼트관통공(21)과 인접하여 형성되며 제1 볼트관통공(21)과 같은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 볼트관통공(2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봉삽입부(27)를 기준으로, 제1 볼트관통공(21)은 체결봉삽입부(27)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2 볼트관통공(23)은 체결봉삽입부(27)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로 마주보는 체결봉삽입부(27)는 볼트(40)와 너트(42)의 체결에 의하여 연결된다. 볼트(40)는 체결밴드(20) 일단의 체결봉삽입부(27)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1, 23) 및 체결봉홈(47)을 관통하여, 체결밴드(20) 타단의 체결봉삽입부(27)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1, 23) 및 체결봉홈(47)을 관통하여 너트(42)와 체결된다.
볼트관통공(21, 23)의 크기 및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체결봉삽입부(27)의 외측에서 볼트관통공(21, 23)에 볼트(40) 및 너트(42)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볼트(40) 및 너트(42)가 통과가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볼트관통부(21, 23)는 원 또는 타원 형태일 수 있으며, 제2 볼트관통부(23)는 제1 볼트관통부(21)에 비하여 클 수 있다. 체결봉삽입부(27)의 외측에서 제2 볼트관통부(23)를 통해서 볼트(40) 및 너트(42)를 삽입해야 하므로, 제2 볼트관통부(23)가 크게 형성될수록 볼트(40) 및 너트(42)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다만, 제1 볼트관통부(21)와 제2 볼트관통부(23)의 크기는 상기의 기재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볼트관통부(21)와 제2 볼트관통부(23)의 크기가 같거나, 제1 볼트관통부(21)의 크기가 제2 볼트관통부(23)의 크기보다 클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볼트관통공(21, 23) 사이에 분리영역인 분리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분리부(25)는 체결밴드(20) 양단부에서 일정한 폭과 일정한 길이의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되는 분리영역을 의미한다. 분리부(25)의 길이는 제1 볼트관통공(21) 및 제2 볼트관통공(23)의 길이를 합한 것 보다 길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분리부(25)의 폭과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체결봉삽입부(27)는 분리부(25)에 의해서 복수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컨대, 체결봉삽입부(27)는 분리부(25)에 의해 복수개의 서브체결봉삽입부(28)로 분리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체결봉삽입부(28)는 체결봉삽입공(29), 제1 볼트관통공(21) 및 제2 볼트관통공(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주보는 체결봉삽입부(27)의 간격(D)은 볼트(40)와 너트(42)의 체결정도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체결봉삽입부(27)가 분리부(25)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는다면, 각각의 볼트(40)와 너트(42)의 체결력은 이웃하는 볼트(40)와 너트(42)의 체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컨대, 한쌍의 볼트(40)와 너트(42)에 의하여 마주보는 체결봉삽입부의 특정한 영역이 일정한 간극(D)으로 고정될 수 있다. 분리부가 없는 체결봉삽입부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되어 있는 한쌍의 볼트(40) 및 너트(42)에 의해 이웃하여 형성되는 볼트(40) 및 너트(42)의 체결이 제약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체결봉삽입부(27)가 분리부(25)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는다면, 각각의 볼트(40) 및 너트(42)의 체결력을 개별적으로 조정하기 어려워, 마주보는 체결봉삽입부의 특정한 영역의 간극(D)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여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는 체결봉삽입부(27)가 복수개의 서브체결봉삽입부(28)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마주보는 서브체결봉삽입부(28) 사이의 간극(D)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한쌍의 볼트(40)와 너트(42)의 체결력이 이웃하는 다른 한쌍의 볼트(40)와 너트(42)의 체결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기 때문에, 각 쌍의 볼트(40)와 너트(42)마다 체결력의 조절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마주보는 서브체결봉삽입부(28)의 간극(D)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하수관 이음 장치(10)의 특정영역마다 하수관(50)을 압박하는 정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에서, 복수개의 분리부(25)의 길이는 모두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분리부(25)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서브체결봉삽입부(28)의 휘어질 수 있는 영역이 늘어나기 때문에, 마주보는 서브체결봉삽입부(28) 사이의 간극(D)을 조정할 수 있는 여지가 커진다. 그러므로, 각 쌍의 볼트(40)와 너트(42)마다 체결력을 조절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에서, 체결봉삽입부(27)의 가운데 위치한 분리부(25)가, 체결봉삽입부(27)의 양 끝에 형성된 분리부(25)에 비하여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2개의 하수관(50)의 연결 부위는 체결봉삽입부(27)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어지는 2개의 하수관(50)의 직경에 차이가 나는 경우에, 체결봉삽입부(27)의 가운데 위치한 분리부(25)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마주보는 체결봉삽입부(27)의 간극(D)을 조절할 수 있는 폭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에서, 분리부(25)의 길이를 체결밴드(2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체결봉삽입부(28)가 독립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한쌍의 볼트(40)와 너트(42)의 체결은 다른 쌍의 볼트(40)와 너트(42)의 체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각 볼트(40)와 너트(42) 사이의 체결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용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체결봉(45)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봉(45)의 길이는 분리부(25)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분리부(25) 사이의 간격은 분리부(25) 사이의 폭을 의미하며, 결국, 서브체결봉삽입부(28)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체결봉(45)의 길이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체결봉(45)의 길이는 분리부(25)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체결봉(45)은 볼트(40)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홈(47)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봉(45)은 서브체결봉삽입부(28)의 체결봉삽입공(29)에 삽입될 수 있다. 체결봉(45)의 길이가 분리부(25) 사이의 간격, 즉, 서브체결봉삽입부(28)의 폭과 동일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서브체결봉삽입부(28)에는 하나의 체결봉(45)만 삽입될 수 있다. 서브체결봉삽입부(28) 마다 별개의 체결봉(45)이 삽입되기 때문에, 각각의 볼트(40)는 서로 다른 체결봉(45)을 관통하게 되어, 한쌍의 볼트(40)와 너트(42)의 체결력이 이웃하는 다른 한쌍의 볼트(40)와 너트(42)의 체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가압부(30)는 체결밴드(20)의 내부의 일측단에 고정되며, 체결밴드(20)의 타측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가압부(30)는 제1 볼트관통공(21)이 형성된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체결밴드(2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가압부(30)는 전기용접의 방식으로 체결밴드(2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가압부(30)의 폭은 체결밴드(20)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30)의 길이는 체결밴드(20)의 길이보다 짧아, 가압부(30)가 만곡되는 경우에 원호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볼트(40)와 너트(42)를 체결하였을 때, 가압부(30)는 체결밴드(20)의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으로 연장되며, 체결밴드(20)의 타측단에서 가압부(30)와 체결밴드(20)가 접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수관(50)에 밀착되기 위해서, 원통형으로 만곡된 체결밴드(20)와 가압부(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단면은 원이 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가압부(30)는 체결봉삽입부(27)와 오버랩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30)는 체결밴드(20)와 더불어 하수관(50)을 빈틈없이 감쌀 수 있기 때문에, 하수관 이음 장치(10)가 하수관(50)과 밀착될 수 있으며, 하수관(50) 간의 연결부위를 효율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수관(50) 이음 부위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2개의 하수관(50)이 연결되도록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하나의 하수관(50)의 단부에 다른 하수관(50)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하수관 이음 장치(10)의 체결밴드(20)가 하수관(50)의 이음 부위를 감싸도록 하수관 이음 장치(1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어서, 마주보는 체결봉삽입부(27)의 볼트관통공(21, 23) 및 체결봉홈(47)에 볼트(40)를 삽입한 후에 너트(42)로 체결하여, 마주보는 체결봉삽입부(27) 사이의 간극(D)을 조절할 수 있다. 너트(42)를 조일수록, 마주보는 체결봉삽입부(27) 사이의 간극(D)이 좁아지며, 체결밴드(20) 및 가압부(30)가 하수관(50)에 밀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체결밴드(20)와 가압부(30)에 의해 하수관 이음부가 압박되어, 하수관(50)의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인 하수관 이음 장치는 체결봉삽입부의 체결봉삽입공에 하나의 체결봉을 삽입하며, 체결봉의 길이는 체결봉삽입부의 폭과 동일하다. 즉, 체결밴드의 말단에 각각 한 개씩 체결봉을 삽입한다. 체결봉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봉홈을 통해 하나의 체결봉에 복수개의 볼트가 관통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볼트의 체결력은 체결봉을 통해 이웃하는 볼트의 체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컨대, 특정부분의 체결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특정한 너트를 조여서 마주보는 체결봉삽입부의 특정 영역의 간극을 줄이려고 하더라도, 동일한 체결봉에 연결된 다른 볼트와 너트가 고정되어 있어 마주보는 체결봉삽입부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면, 특정한 너트를 조여서 마주보는 체결봉삽입부의 특정 영역의 간극을 줄이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는 볼트관통공(21, 23) 사이에 형성된 분리부(25)를 포함한다. 분리부(25)에 의해서, 체결봉삽입부(27)는 복수개의 서브체결봉삽입부(28)로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개의 체결봉(45)은 서브체결봉삽입부(28)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각각의 체결봉(45)은 각각의 서브체결봉삽입부(28)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한쌍의 마주보는 서브체결봉삽입부(28)마다 각각의 볼트(40)와 너트(42)가 체결되기 때문에, 마주보는 특정한 서브체결봉삽입부(28) 사이의 간극(D)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각각의 볼트(40)와 너트(42)의 체결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개개의 마주보는 서브체결봉삽입부(28)의 간극(D) 조절이 가능하다.
도 10과 같이, 직경의 차이가 있는 하수관(50)을 연결하더라도, 각각의 하수관(50) 상에 대응되는 볼트(40)와 너트(42)의 조이는 정도를 달리하여, 하수관(50) 직경마다 하수관 이음 장치(10)의 체결력을 달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직경이 다른 하수관(10)을 연결하더라도 하수관의 이음부를 효율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예컨대, 직경이 작은 곳에 대응되는 마주보는 서브체결봉삽입부(28)의 간극(D)은 상대적으로 좁게하고, 직경이 큰 곳에 대응되는 마주보는 서브체결봉삽입부(28)의 간극(D)은 상대적으로 넓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는 별도의 체결봉삽입부(27)를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체결밴드(20)의 양단부를 만곡시켜 체결봉삽입부(27)를 형성하므로, 체결봉삽입부(27)를 관통하는 볼트(40)와 너트(42)의 체결력이 일체형의 하수관 이음 장치(10)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는 마주보는 서브체결봉삽입부(28) 사이에는 체결력의 전달력은 높이고, 이웃하는 서브체결봉삽입부(28)는 서로 체결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수관 이음 장치(10)가 하수관(50)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은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이음 장치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체결밴드(20)의 양단부뿐만 아니라, 가압부(30)의 일단에도 가압부분리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분리부(35)는 가압부(30)의 일단의 일정한 폭과 일정한 길이의 영역을 제거하어 형성되는 분리영역을 의미한다. 예컨대, 가압부분리부(35)와 분리부(25)의 폭은 동일할 수 있으며, 가압부분리부(35)는 분리부(25)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가압부(30)가 가압부분리부(35)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며, 가압부분리부(35)와 분리부(25)와 오버랩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웃하는 서브체결봉삽입부(28) 사이에 서로 체결력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하수관 이음 장치(10)가 직경이 다른 하수관(50)을 효과적으로 밀착하여 압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하수관 이음 장치 20: 체결밴드
21: 제1 볼트관통공 23: 제2 볼트관통공
25: 분리부 27: 체결봉삽입부
28: 서브체결봉삽입부 29: 체결봉삽입공
30: 가압부 35: 가압부분리부
40: 볼트 42: 너트
45: 체결봉 47: 체결봉홈
50: 하수관

Claims (9)

  1. 원통형으로 만곡된 체결밴드 및, 상기 체결밴드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체결밴드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체결봉삽입부를 포함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밴드 내부의 일측단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밴드의 타측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봉삽입부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볼트관통공 및 이웃하는 볼트관통공 사이에 형성된 분리영역인 복수개의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의 일단에 형성된 분리영역인 복수개의 가압부분리부를 포함하는, 하수관 이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삽입부의 바깥쪽에 형성된 상기 분리부 보다 상기 체결봉삽입부의 가운데 형성된 상기 분리부의 길이가 더 긴 하수관 이음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의 길이는 상기 체결밴드의 길이와 동일한 하수관 이음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의 폭과 상기 가압부분리부의 폭이 동일한 하수관 이음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상기 볼트관통공은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 볼트관통공 및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 볼트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봉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분리부 사이의 폭과 일치하는 길이를 가지며, 체결봉홈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체결봉;
    상기 제1 및 제2 볼트관통공 및 상기 체결봉홈을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되는 복수개의 볼트를 더 포함하는 하수관 이음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체결밴드를 조이면, 상기 가압부의 상기 체결밴드의 상기 타측단으로 연장된 영역은 상기 체결밴드의 상기 타측단의 내측과 접촉하는 하수관 이음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볼트관통공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하수관 이음 장치.
  9. 삭제
KR2020110001899U 2011-03-08 2011-03-08 하수관 이음 장치 KR200458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899U KR200458178Y1 (ko) 2011-03-08 2011-03-08 하수관 이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899U KR200458178Y1 (ko) 2011-03-08 2011-03-08 하수관 이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178Y1 true KR200458178Y1 (ko) 2012-01-25

Family

ID=4584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899U KR200458178Y1 (ko) 2011-03-08 2011-03-08 하수관 이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1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15B1 (ko) * 2012-09-11 2013-06-11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하수관 연결구
KR200488681Y1 (ko) 2017-06-16 2019-03-08 주식회사성호철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나선관용 연결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314B1 (ko) * 2009-02-20 2009-10-21 주식회사 시코 관 연결구
KR100929660B1 (ko) * 2009-01-21 2009-12-03 벽진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 시트와 금속 밴드 혼합형 파이프 커플링
KR20100095055A (ko) * 2009-02-20 2010-08-30 주식회사 시코 관 연결구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660B1 (ko) * 2009-01-21 2009-12-03 벽진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 시트와 금속 밴드 혼합형 파이프 커플링
KR100922314B1 (ko) * 2009-02-20 2009-10-21 주식회사 시코 관 연결구
KR20100095055A (ko) * 2009-02-20 2010-08-30 주식회사 시코 관 연결구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15B1 (ko) * 2012-09-11 2013-06-11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하수관 연결구
KR200488681Y1 (ko) 2017-06-16 2019-03-08 주식회사성호철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나선관용 연결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7302B2 (ja) 電気組継ぎ(splice)コネクタ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CA2749222A1 (en) Mechanical pipe coupling having spacers
KR20100127764A (ko) 개스킷을 구비한 중앙 리브를 가진 단일 볼트 밴드 클램프 및 이 밴드 클램프를 사용한 겹치기 이음매
KR20090042557A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1508659B1 (ko) 배관용 조인트 장치
KR200458178Y1 (ko) 하수관 이음 장치
KR20190130016A (ko) 파이프 커플링
KR20080005216A (ko)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
KR101210235B1 (ko) 반도체 및 lcd 제조설비용 가스배관
KR101095174B1 (ko) 유동구조물 연결용 턴버클
KR100922314B1 (ko) 관 연결구
KR100983087B1 (ko) 파이프용 커플러
KR101020753B1 (ko) 환봉 내부 분리형 연결구
KR100940228B1 (ko) 배전선로 전선관 간격편
KR100956766B1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1102334B1 (ko) 오ㆍ폐수 및 우수용 파이프 커플링장치
KR20080092533A (ko) 환봉지지 스텐밴드 분할형 연결구
KR102264918B1 (ko) 관 연결 장치, 및 그 구조
KR101147515B1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장치
KR101040952B1 (ko) 송수관용 연결구조
KR20180124660A (ko) 파형관 연결장치
CN204012153U (zh) 中间绝缘接头的扩张工具
KR101225697B1 (ko) 하수관을 연결하는 관연결장치
KR200440560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