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216A -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216A
KR20080005216A KR1020077024120A KR20077024120A KR20080005216A KR 20080005216 A KR20080005216 A KR 20080005216A KR 1020077024120 A KR1020077024120 A KR 1020077024120A KR 20077024120 A KR20077024120 A KR 20077024120A KR 20080005216 A KR20080005216 A KR 20080005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female
contact
notch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5230B1 (ko
Inventor
니꼴라 리고예
파브리스 쁘레보
또니 로엥뜨뤼
Original Assignee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filed Critical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ublication of KR2008000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2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16L21/005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made of elastic material, e.g. partly or completely surrounded by clam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Gasket Seal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장치는, 2개의 튜브의 마주하는 끝부 주위에 배치되기에 적합하며, 조임 수단(22, 24)의 작용 하에서 직경이 감소될 수 있는 수단(11)을 구비하는 슬리브(10)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튜브의 끝부를 둘러쌀 목적으로 상기 슬리브(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밀봉 링(12)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밀봉 링은 조임시 맞물림 접촉되기에 적합한 끝부를 가지며 둥글게 형성되는 스트립에 의해 구성된다. 암수 세트의 숫형부 및 암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촉 탭(32A, 32B)에 형성되는 접촉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탭은 숫형부(28)가 조임의 영향 하에서 암형부(30) 내로 맞물리는 동안 암형부 내로의 숫형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방향으로 변형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DEVICE FOR SEALED COUPLING OF TWO SMOOTH TUBES}
본 발명은, 끝과 끝을 잇도록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밀봉 방식으로 함께 결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 장치는 2개의 튜브의 마주하는 끝부 주위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슬리브(sleeve)로서, 조임 수단(tightening means)의 작용 하에서 직경이 감소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슬리브를 포함하며, 이 장치는 2개의 튜브의 마주하는 끝부(facing ends)를 둘러쌀 목적으로 슬리브의 내측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밀봉 링으로서, 상기 밀봉 링이 상기 슬리브 내측에 위치되는 상태로, 상기 슬리브가 튜브들의 마주하는 끝부 주위에서 조여질 때, 암형부(female shaped portion)에 맞물리기에 적합한 숫형부(male shaped portion)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수 세트를 통하여 맞물림 접촉(engagement contact)되기에 적합한 2개의 끝부를 가지며 둥글게 형성되는 스트립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밀봉 링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타입의 장치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유럽 특허출원 EP 1 181 477 호에 개시되어 있다. 함께 결합될 튜브 주위에 배치된 이 장치를 조일 때, 숫형부는 암형부 내로 점진적으로 삽입되어 밀봉을 야기하는 맞물림 접촉이 이루어진다.
유럽 특허출원 EP 1 181 477 호에 있어서, 숫형부는 암형부를 형성하는 노치(notch) 내로 관통되는 설부(tongue)에 의해 형성된다. 숫형부 및 암형부의 각각의 폭의 관점에서, 설부의 자유단이 노치의 끝 벽으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가 남아있더라도 맞물림 접촉은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임시, 설부는 노치 내로 계속해서 삽입되어, 숫형부 및 암형부가 변형되도록 야기시킨다. 이러한 변형은 설부가 노치 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는 경향이 있는 대항력(opposing forces)을 생성시킨다.
따라서, 조임시, 밀봉은 매우 확실하지만, 상술한 대항력은, 예를 들어 일정 영역에서의 밀봉 링의 구부러짐과 같은 용인할 수 없는 변형을 야기시킬 수 있다는 위험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1의 화살표 III을 따라서 관찰되는, 상기 장치의 밀봉 링을 위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3의 화살표 IV를 따라서 관찰되는, 상기 밀봉 링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상기 밀봉 링의 변형예에 따른, 도 3과 유사한 도면,
도 6은 밀봉 링의 변형예에 따른 숫형부 및 암형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숫형부 및 암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함으로써 를 종래기술을 더욱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암수 세트의 숫형부 및 암형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접촉 탭(contact tab) 상에 형성된 접촉 가장자리(contact edge)를 가진다는 사실에 의해 성취되며, 숫형부가 조임의 영향 하에서 암형부 내로 맞물리는 동안 상기 탭은 암형부 내로의 숫형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방향으로 변형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서, 밀봉을 야기하는 맞물림 접촉은 접촉 탭의 접촉 가장자리 상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 탭이 구부러지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상술된 대항력은 감소되고 암형부 내로 삽입되는 숫형부에 의해 야기되는 변형은 소정의 밀봉 영역, 즉 접촉 탭에 우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보장된다.
변형 후퇴부(deflection setback)는 접촉 가장자리로부터 대향되는 접촉 탭의 측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 후퇴부는, 암형부 내로 삽입되는 숫형부의 영향 하에서 변형됨에 따라, 탭이 이동할 공간을 형성한다.
접촉 탭은, 오목한 기부(base portion)를 경유하여 이 접촉 탭을 지지하는 스트립의 끝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오목한 기부는 접촉 탭의 구부러짐에 대한 저항성을 부분적으로 감소시켜 탭에 대하여 각각의 우선적인 변형 방향을 부여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암수 세트의 숫형부는 설부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세트의 암형부는 2개의 접촉 탭 사이에서 구획 형성되는 노치로 이루어져, 상기 설부는 상기 노치 내로 삽입되며, 상기 설부의 폭에 의해 그리고 상기 노치의 폭에 의해 구성되는 가로 치수 중 적어도 하나는 설부가 노치 내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된다.
암수 세트의 암형부는 노치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세트의 숫형부는 상기 노치 내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2개의 측부 접촉 탭으로 이루어지며, 노치의 폭에 의해 그리고 접촉 탭의 접촉 가장자리 사이의 간극에 의해 구성되는 가로 치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탭이 상기 노치 내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된다.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예시를 위한 실시형태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은 더욱 잘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장점은 더욱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의 장치는 내측에 밀봉 링(12)이 배치되는 슬리브(sleeve)(10)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끝과 끝을 잇도록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밀봉 방식으로 함께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양쪽에서 인접 돌기(abutment projection)(13)와 인접될 때까지 밀봉 링(12) 내로 튜브의 2개의 마주하는 단부(facing ends)를 맞물리도록 할 필요가 있다. 편의상 2개의 튜브는 도 1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조립된 상세는 유럽 특허 EP 1 181 477 호를 참조할 수 있다.
슬리브(10)는 유럽 특허 EP 1 181 477 호에 개시된 슬리브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슬리브(10)는 벨트부(belt portion)(10A) 및 튜브의 2개의 마주하는 끝부에 배치되는 조임 수단(tightening means)을 가지며, 조임 수단 사이의 슬롯(11)은 길이방향으로, 즉 슬리브의 축선에 평행하게 구획 형성된다. 조임시, 상기 슬롯의 폭은 감소되며, 그에 따라 벨트부(10A)의 직경도 감소된다.
그렇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리브는 유럽 특허 EP 1 181 477 호의 슬리브와 상이하다. 슬리브를 조이기 위한 목적으로, 슬리브는 적어도 한 쌍의 돌출 러그(projecting lug)를 가지되, 이들 러그 사이에서 상술한 슬롯(11)이 구획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는 2 쌍의 돌출 러그(14A와 14B, 그리고 16A와 16B)를 가진다. 각 쌍에서의 러그는 서로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러그는, 벨트부(10A)에 연결되는 연결부(connection portion)(17)와, 조임 수단이 맞물리는 조임 벽(tightening wall)(18)을 가진다. 상기 조임 벽(18)은 연결부(17)로부터 벨트부를 향하여 절첩된다. 연결부와 조임 벽 사이에는 공간(space)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는 만곡되고, 그 오목한 쪽이 조임 벽을 향한다. 연결부는, 그 기부(base)에서, 곡률이 부분적으로 증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17A)를 가진다. 도 2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러그는, 2개의 축선방향 대향 끝부에 각각 하나씩, 이러한 타입의 2개의 돌기(17A)를 가진다.
보강 수단은 조임 수단의 작용 하에서 변형(납작해짐)에 대항할 목적으로 러그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러그에 대하여, 상기 보강 수단은 연결부(17)와 조임 벽(18)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되는 보강 삽입물(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 삽입물은 웨브(web)가 연결부에 대항하여 배치되는 한편, 그 자유단은 조임 벽과 협력되는 홈통(trough) 형상을 가진다.
각 쌍의 러그에 대하여, 조임 수단은, 나사부(22A)가 상기 쌍의 2개의 러그 내의 마주하는 구멍을 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러그를 관통하는 볼트(22)와, 볼트의 나사부와 나사결합에 의해 협력될 목적으로, 또 다른 러그의 조임 벽에 대항하여 배치되는 너트(24)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동일한 조임 시스템이 제공되며, 각각의 조임 시스템은 한 쌍의 러그,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다. 조임력을 흡수할 목적으로, 도 2에 도시된 횡단 슬롯(26)이 슬리브의 벨트부 내에서 상기 2개의 시스템 사이에 구비된다. 러그(14B 및 16B) 내에 배치되는 삽입물(20)은 볼트의 나사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웨브에 구비되는 구멍을 가진다.
물론, 조임 수단 및 슬리브의 상술한 특정 형상은 공지된 타입의 다른 수단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특히, 슬리브는 유럽 특허출원 EP 1 181 477 호에 개시된 타입일 수도 있고, 아니면 상술한 타입의 슬리브일 수도 있으며, 단일 쌍의 러그와 단일의 너트 및 볼트 조립체가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보강 수단은, 예를 들어 러그의 조임 벽(18)으로부터 적절하게 절첩 형성되는, 동등한 효과를 가지는 또 다른 보강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밀봉 링의 형상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밀봉 링은 둥글게 형성되며 2개의 끝부(end)는 서로 맞물림 접촉(engagement contact)되기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는 스트립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3에 있어서, 밀봉 링의 제1 끝부는 설부(tongue)(28)에 의해 형성되는 숫형부(male shaped portion)를 구비하는 한편, 제2 끝부는 밀봉을 야기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맞물림 접촉을 이루기 위해서 설부(28)가 삽입되는 노치(30)로 이루어지는 암형부(female shaped portion)를 구비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암형부의 노치(30)는, 암형부 내로의 숫형부의 삽입을 야기시키는 칼라(collar)의 조임시, 암형부 내로의 숫형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기에 적합한 2개의 접촉 탭(contact tab)(32A 및 32B) 사이에서 구획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 맞물림 접촉은 접촉 탭(32A 및 32B)의 2개의 "내측" 측부 가장자리(30A 및 30B)와 설부(28)의 2개의 "외측" 측부 가장자리(28A 및 28B)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밀봉 링 및 슬리브의 축선(A)에 평행하게 측정되는 설부의 폭(l28)과,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되는 노치(30)의 폭(l30)은, 설부가 노치 내로 삽입되는 방향(S)으로 갈수록 감소된다는 것이 도 3에 나타나 있다.
따라서, 유럽 특허출원 EP 1 181 477 호에서와 같이, 밀봉 링이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동안, 숫형부 및 암형부의 접촉 가장자리(contact edge)는 칼라가 조여지기 전에 맞물릴 수 있다. 조임시, 설부(28)는 노치(30) 내로 더욱 전진되도록 강제되어, 양호한 밀봉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접촉 길이에 걸쳐서 접촉 가장자리 사이에서 접촉을 이룬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부가 노치 내로 더욱 전진되면, 변형이 야기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변형은 탭(32A 및 32B)이 노치 내로의 설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방향, 즉 화살표 P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노치의 폭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야기한다.
변형 후퇴부(deflection setback)(34A 및 34B)는 접촉 가장자리(30A 및 30B)로부터 대향되는 접촉 탭(32A 및 32B)의 측부에 구비된다는 것이 도 3에 나타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부러짐은 상기 변형 후퇴부 내에서 일어난다.
변형 후퇴부 및 노치(30)로부터 이격되어, 노치(30)가 형성되어 있는 밀봉 링(12)의 자유단(12A)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트립(12)의 중심 축선(A)에 평행한, 동일한 직선(l) 상에 위치된다. 마찬가지로, 설부(28)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설부가 형성되는 밀봉 링의 자유단(12B)은, 축선(A)에 평행한, 동일한 직선(l') 상에 위치된다. 밀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 장치가 2개의 함께 결합된 매끄러운 튜브 상에 클램핑되었을 때, 직선(l 및 l')이 가능한 한 서로 가까워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하, 함께 결합된 튜브의 자유단에 대하여 쐐기형 표면(wedging surface)을 형성할 목적으로 밀봉 링(12)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3)의 존재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 링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5)를 더 구비한다. 이 돌출부는 슬리브(10)의 벨트부(10A)에서의 오목부(9) 내에 배치되어, 밀봉 링(12)을 슬리브에 대하여 각도방향으로 고정시킨다. 숫형부 및 암형부가 조임 수단에 가깝게 밀봉 접촉을 이루는 한편 벨트부(10)의 연속되는 부분 아래쪽에 위치되는 것은 중요하다. 밀봉 링(12)의 2개의 마주하는 끝부 사이의 공간이 상술한 슬롯(11)과 교차되거나 상술한 슬롯(26)과 교차되면, 밀봉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나아가서, 노치 내로의 설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조임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도록 숫형부 및 암형부가 조임 수단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탭은, 오목한 기부(nicked base portion)를 경유하여 이 접촉 탭을 지지하는 스트립의 끝부에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노치(30)로부터 대향되는 접촉 탭의 측부에 구비되는 변형 후퇴부(34A 및 34B)는, 각각의 탭(32A 및 32B) 부근에 위치되는 경사 오목부(slanting nick)(36A 및 36B)를 갖는다. 상기 오목부들은 탭(32A 및 32B)에 인접한 변형 후퇴부의 끝 벽부의 영역 내에 배치되며, 설부가 노치(30) 내로 삽입되는 방향(S)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방식으로 기울어져 위치된다. 따라서, 탭은 도 3에서 화살표 P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용이하게 구부러진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링(12)은 상술한 설부(28) 및 상술한 노치(30)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암수 세트를 가진다.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5에 있어서, 복수의 인접하는 세트들이 밀봉 링(112)의 끝부에 구비될 수 있다. 각각 설부(128A) 및 노치(130A), 설부(128B) 및 노치(130B), 그리고 설부(128C) 및 노치(130C)로 이루어지는 3개의 유사한 암수 세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세트 각각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된 세트와 유사하며, 2개의 접촉 탭(예를 들어 132A 및 132B), 노치로부터 대향되는 탭의 측부에 배치되는 2개의 변형 후퇴부(예를 들어 134A 및 134B), 그리고 상술한 오목부(36A 및 36B)와 유사한 2개의 오목부(136A 및 136B)를 포함한다.
암형부를 가지는 밀봉 링(112)의 자유단(112A)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슬리브의 중심 축선에 평행한 직선(l) 상에 위치된다. 즉, 탭의 자유단과 같은, 노치와 변형 후퇴부 사이에 형성되는 모든 자유단 부분은 상기 직선 상에 위치된다.
자유단(112A)이 직선(l)까지 도달되는 중간 탭(113)은 2개의 인접한 세트의 변형 후퇴부 사이에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설부(128A, 128B, 및 128C)가 위치되는 밀봉 링의 자유단(112B)은 동일한 축선에 평행한 직선(l') 상에 위치되며, 이 직선에 대하여는 단지 설부만이 돌출된다.
도 5의 실시예가 3개의 암수 세트를 가지고 있지만, 상이한 개수의 세트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렇지만, 조임시 밀봉 링에 작용되는 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상기 밀봉 링이 원통의 중심 축선(A)에 수직인 중간평면(PS)을 중심으로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에 있어서, 설부(28) 및 노치(30)는 그러한 평면(PS)에 대하여 중심이 위치되며, 도 5의 중심의 암수 세트(128B, 130B) 역시 그러한 평면(PS) 상에서 중심이 위치된다.
도 5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설부(예를 들어 128A 및 128B) 사이에는 노치(127)가 구비되며, 이 노치 내로 2개의 접촉 탭, 예를 들어 2개의 인접한 암수 세트에 속하는 탭(132A 및 133B)이 삽입된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6을 참조하면, 노치(230)로 이루어지는 암형부와, 상기 노치 내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2개의 측부 접촉 탭(232A 및 232B)으로 이루어지는 숫형부가 마련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맞물림 접촉은 탭(232A 및 232B)의 "외측" 접촉 가장자리(230A 및 230B)와 노치(230)의 "내측" 접촉 가장자리(228A 및 228B)와의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암수 세트의 숫형부는 2개의 상술한 탭(232A 및 232B)을 포함한다. 도 6에는, 밀봉 링의 축선(A)에 평행하게 측정되는 노치의 폭(l230)과 접촉 에지들(230A 및 230B) 사이의 갭(e230)은, 탭이 노치 내로 삽입되는 방향(S)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숫형부는 접촉 탭(232A 및 232B)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변형 후퇴부(234A 및 234B)에 의해 접촉 탭으로부터 이격되는 중심 탭(231)을 더 포함한다. 중심 탭(231A)을 제거하고, 구부러질 때 탭(232A 및 232B)이 그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로 구부러지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밀봉 링의 2개의 끝부의 자유단이 가능한 한 함께 가까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탭(231)에 의해, 탭(232A 및 232B)의 자유단의 레벨까지 부분적으로 숫형부의 자유단을 가져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있어서, 변형 후퇴부는 접촉 탭(232A 및 232B)의 부근에 위치되는 경사 오목부(236A 및 236B)를 구비한다. 상기 오목부는, 상술한 변형 후퇴부 내에서 화살표 P'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탭의 구부러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숫형부가 암형부 내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수렴된다.
도 7의 변형예는 숫형부 및 암형부 양쪽 모두에 대하여 접촉 탭을 사용한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숫형부는 도 5의 숫형부와 동일하며, 그 구성요소들에는 도 5에서와 동일한 부재번호가 부여된다. 암형부는 도 3의 암형부와 동일하며, 그 구성요소들에는 도 3에서와 동일한 부재번호가 부여된다. 따라서, 숫형부가 암형부 내로 더욱 삽입될 때, 숫형부의 탭(232A 및 232B)은 중심 탭(231)의 양쪽에서 그들 탭 사이에 형성되는 후퇴부(234A 및 234B) 내로 구부러지는 한편, 암형부의 노치(30)를 구획 형성하는 탭(32A 및 32B)은 상기 탭의 양쪽에 구비되는 변형 후퇴부(34A 및 34B) 내로 구부러진다. 경사 오목부(36A, 36B, 236A 및 236B)는 이러한 구부러짐을 용이하게 한다.

Claims (9)

  1. 끝과 끝을 잇도록 배치되고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밀봉 방식으로 함께 결합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2개의 튜브의 마주하는 끝부 주위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슬리브(10)로서, 조임 수단(22, 24)의 작용 하에서 직경이 감소될 수 있는 수단(11)을 구비하는 상기 슬리브와;
    상기 2개의 튜브의 마주하는 끝부를 둘러쌀 목적으로 상기 슬리브(10)의 내측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밀봉 링(12, 112)으로서, 상기 밀봉 링이 상기 슬리브(10) 내측에 위치되는 상태로, 상기 슬리브가 튜브들의 마주하는 끝부 주위에서 조여질 때, 암형부(30; 130A, 130B, 130C; 230)에 맞물리기에 적합한 숫형부(28; 128A, 128B, 128C; 232A, 232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수 세트를 통하여 맞물림 접촉되기에 적합한 2개의 끝부(12A, 12B; 112A, 112B)를 가지며 둥글게 형성되는 스트립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밀봉 링; 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암수 세트의 숫형부 및 암형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접촉 탭(32A, 32B; 132A, 132B; 232A, 232B) 상에 형성된 접촉 가장자리(30A, 30B; 230A, 230B)를 가지며, 상기 탭은, 숫형부가 조임의 영향 하에서 암형부 내로 맞물리는 동안 암형부 내로의 숫형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방향으로 변형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변형 후퇴부(34A, 34B; 134A, 134B)는 상기 접촉 가장자리(30A, 30B)로부터 대향되는 상기 접촉 탭(32A, 32B; 132A, 132B)의 측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 탭(32A, 32B; 132A, 132B)은 오목한 기부(base portion)(36A, 36B; 136A, 136B)를 경유하여 상기 접촉 탭을 지지하는 스트립의 끝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 세트의 숫형부는 설부(tongue)(28; 128A)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세트의 암형부는 2개의 접촉 탭(32A, 32B; 132A, 132B) 사이에서 구획 형성되는 노치(30; 130A)를 포함하여, 상기 설부는 상기 노치 내로 삽입되며, 상기 설부의 폭(l28)에 의해 그리고 상기 노치의 폭(l30)에 의해 구성되는 가로 치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설부가 상기 노치 내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변형 후퇴부(34A, 34B; 134A, 134B)는 상기 노치(30; 130A)로부터 대향되는 상기 접촉 탭(32A, 32B; 132A, 132B)의 측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변형 후퇴부(34A, 34B; 134A, 134B)는 상기 접촉 탭(32A, 32B; 132A, 132B)의 부근에 위치되는 경사 오목부(36A, 36B; 136A, 136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 세트의 암형부는 노치(230; 30)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세트의 숫형부는 상기 노치(230; 30) 내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2개의 측부 접촉 탭(232A, 232B)을 포함하며, 상기 노치의 폭(l230)에 의해 그리고 상기 접촉 탭의 상기 접촉 가장자리(230A, 230B) 사이의 간극(e230)에 의해 구성되는 가로 치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탭이 상기 노치 내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숫형부는 상기 접촉 탭(232A, 232B)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변형 후퇴부(234A, 234B)에 의해 상기 접촉 탭으로부터 이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심 탭(23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변형 후퇴부(234A, 234B)는 상기 접촉 탭(232A, 232B)의 부근에 위치되는 경사 오목부(236A, 236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
KR1020077024120A 2005-04-13 2006-04-12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 KR101285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3690A FR2884582B1 (fr) 2005-04-13 2005-04-13 Dispositif pour l'accouplement etanche de deux tubes lisses
FR0503690 2005-04-13
PCT/FR2006/050342 WO2006109002A1 (fr) 2005-04-13 2006-04-12 Dispositif pour l'accouplement etanche de deux tubes lis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216A true KR20080005216A (ko) 2008-01-10
KR101285230B1 KR101285230B1 (ko) 2013-07-11

Family

ID=3522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120A KR101285230B1 (ko) 2005-04-13 2006-04-12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875116B1 (ko)
JP (1) JP4989626B2 (ko)
KR (1) KR101285230B1 (ko)
CN (1) CN100582545C (ko)
AT (1) ATE538339T1 (ko)
BR (1) BRPI0610561B1 (ko)
FR (1) FR2884582B1 (ko)
MX (1) MX2007012719A (ko)
RU (1) RU2397395C2 (ko)
WO (1) WO2006109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64088Y (es) * 2006-11-07 2007-05-01 Metalurgicas Pabur S L Dispositivo de union estanca de dos tubos cilindricos de diametros diferentes
JP5739427B2 (ja) * 2009-08-28 2015-06-24 ノーマ・ユー・エス・ホールディング・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Norma U. S. Holding Llc スリーブおよびガスケットを備えたパイプクランプ
CN104372843B (zh) * 2014-11-17 2016-02-24 唐山现代工控技术有限公司 一种城市内涝测水管清淤方法
CN105889667A (zh) * 2016-06-12 2016-08-24 国机重工(常州)挖掘机有限公司 对接管路用密封抱箍
FR3062702B1 (fr) 2017-02-07 2020-08-21 Caillau Ets Dispositif pour l'accouplement de deux tubes avec pre-montage
FR3090068B1 (fr) 2018-12-17 2021-03-05 Caillau Ets Dispositif de serrage comprenant une ceinture et une bague d'étanchéité
FR3095683B1 (fr) * 2019-05-03 2022-12-09 Caillau Joint d’étanchéité et dispositif et ensemble de serrage comprenant un tel joint d’étanchéité
FR3095682B1 (fr) * 2019-05-03 2023-01-06 Caillau Dispositif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et un joint d’étanchéit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7551A (en) * 1939-06-07 1941-01-07 Jolly L Morris Pipe coupling and pipe clamp
DE3304316A1 (de) * 1983-02-09 1984-08-09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Mess- und daempfungswiderstandsanordnung fuer ein hochspannungsgeraet
FR2794517B1 (fr) * 1999-06-02 2001-08-24 Caillau Ets Dispositif pour le raccordement etanche de deux tubes lisses
US6758501B2 (en) * 2000-06-23 2004-07-06 Breeze-Torca Products, Llc Pipe coupler
US6860527B2 (en) * 2001-12-07 2005-03-01 Donaldson Company, Inc. Strap clamp
ATE398257T1 (de) * 2003-03-26 2008-07-15 Straub Werke Ag Rohrkupp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7012719A (es) 2008-04-29
JP4989626B2 (ja) 2012-08-01
CN100582545C (zh) 2010-01-20
RU2007141931A (ru) 2009-05-20
FR2884582A1 (fr) 2006-10-20
EP1875116B1 (fr) 2011-12-21
BRPI0610561B1 (pt) 2018-11-21
BRPI0610561A2 (pt) 2012-10-30
FR2884582B1 (fr) 2010-01-08
KR101285230B1 (ko) 2013-07-11
CN101156015A (zh) 2008-04-02
EP1875116A1 (fr) 2008-01-09
RU2397395C2 (ru) 2010-08-20
WO2006109002A1 (fr) 2006-10-19
JP2008537771A (ja) 2008-09-25
ATE538339T1 (de) 2012-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230B1 (ko) 밀봉 방식으로 2개의 매끄러운 튜브를 함께 결합하는 장치
US8042234B2 (en) Clamping device with reinforced clamping lugs
RU2434177C2 (ru) Зажимный хомут
KR102274109B1 (ko) 스프링 클램프용 위치선정 장치
MXPA03012059A (es) Cople de tuberia.
JP2013145055A (ja) ボールジョイントパイプクランプ
KR102212313B1 (ko) 밀봉 요소를 가진 프로파일 클램프
KR960002986B1 (ko) 귀없는 클램프 구조물
US20220316647A1 (en) Clamp assembly with a heat protection device
KR20130113990A (ko) 콘-형태 플랜지 연결부용 연결 장치, 및 콘-형태 플랜지 연결부
AU2006343202A1 (en) Band clamp
RU2717193C2 (ru) Зажимное кольцо с проставкой
KR20190130016A (ko) 파이프 커플링
KR20090026353A (ko) 튜브 커플링용 하우징
KR100668589B1 (ko) 단차가 없는 내부 클램핑 표면을 갖는 호스 클램프 및 그제조 방법
CN114746687A (zh) 软管夹
TWI493125B (zh) 軟管夾具
JP2015511301A (ja) 管継手
KR20050093702A (ko) 소성 변형 가능한 이어부를 구비한 개방 호스 클램프 및그의 제조 방법
SK102095A3 (en) Jack and method of fastening of its compensation
US20230313923A1 (en) Band clamp with rib on its inner surface
KR20200123920A (ko)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EP2889976B1 (en) A trunking assembly
JP7368988B2 (ja) クランプ部材
KR102183808B1 (ko) 이종 지름 파이프 묶음용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