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502Y1 - 수도관 수밀구조 - Google Patents

수도관 수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502Y1
KR200484502Y1 KR2020160000772U KR20160000772U KR200484502Y1 KR 200484502 Y1 KR200484502 Y1 KR 200484502Y1 KR 2020160000772 U KR2020160000772 U KR 2020160000772U KR 20160000772 U KR20160000772 U KR 20160000772U KR 200484502 Y1 KR200484502 Y1 KR 200484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pipe
shape
packing body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954U (ko
Inventor
전진화
Original Assignee
(주) 신한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한메탈 filed Critical (주) 신한메탈
Priority to KR2020160000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02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9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9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 F16L13/143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with a sealing element placed around the male part before crimping or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연결부 압착시 360° 균일한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패킹과 금속 리브에 의해 밀착됨과 동시에 360°균일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한 수도관 수밀구조에 관한 것으로, 연결관 일측을 확관하여 금속링과 패킹이 설치되도록 링설치홈과 패킹설치홈을 인접하게 형성한 관결합부와; 관결합부의 압착시 360° 균일한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패킹이 고르게 밀착되어 수밀성을 갖도록 링설치홈에 설치되는 금속링과; 관연결부의 압착시 금속링에 지지되어 연결관 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면의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관과 결합관의 수밀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내측에 리브를 가지며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패킹설치홈에 설치되는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금속링에 의해 형상을 유지하므로 관연결부 압착시 패킹이 결합관의 외주연을 360° 균일하게 밀착되고, 관연결부를 압착할 때 금속링과 패킹설치홈의 내측면에 패킹이 갇히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그로 인해 패킹이 연결관과 관연결부 사이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되며, 금속링에 의해 형상을 유지하므로 관연결부 압착시 패킹이 결합관의 외주연을 360° 균일하게 밀착되어 패킹에 의해 고르게 수밀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도관 수밀구조{Water pipe water-tight structure}
본 고안은 수도관 수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연결부 압착시 금속링에 의해 360° 균일한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패킹에 의해 360° 균일한 밀착이 이루어지는 수도관 수밀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상하수도 시설 기반구축에 사용된 관의 종류는 상수도의 경우 강관이 사용되고, 하수도는 최우 철근콘크리트관(흄관)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미 구축된 시설기반의 사용 연한이 증가할수록 발생하는 내구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강관은 부식으로 인한 수질의 오염과 내경에 코팅하는 방청제로 인한 오염문제 및 누수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철근콘크리트관은 하수에 포함된 황화수소에 의한 부식과 산, 알칼리, 폐수, 염분, 유기물의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상하수도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PVC, PP, PE 등의 원료를 이용한 상하수도관이나 FRP(Fiber Reinforced Plastic)를 주재료로 제작된 유리섬유복합관(Fiberglass Composite Pipe)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상하수도관은 압출기에서 용융시켜 공급하는 합성수지에 의해 금형을 통하여 단일층이나 이층 및 삼층과 같은 다양한 층을 이루도록 압출하여 성형하는 방법과, 압출기에서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금형에 공급하여 요철형을 이루도록 DC 파이프를 성형하는 방법과, 합성수지를 압출기에서 용융시켜 금형을 통하여 소형의 프로파일이 냉각된 후 나선형으로 공급될 때 프로파일 사이에 용융합성수지가 공급되어 원통형의 파이프를 성형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합성수지 파이프는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며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내압이나 지중에 매설된 후 성형한 형태가 변형되거나 압력으로 인한 부분적인 취성에 의해 파손되는 결점으로 다양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하수도관의 특성상 약 6미터의 길이로 절단되어 지중에 매설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연결구 또는 파이프의 일측 선단에 일체형으로 성형한 연결구조에 의해 연결하지만, 내압이 연결부분에 집중되기 때문에 연결부분이 쉽게 파손되거나 누수가 발생되어 제품의 신뢰성 및 A/S 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상하수도관의 경우에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체(11)를 소정의 규격을 갖도록 하고 동일한 두께로 압출하여 생산한 후 한쪽 끝 부분에서 패킹(14)을 삽입할 수 있는 패킹홈(13)을 성형하는 내경 연결부(12)를 별도의 확관장치를 사용하여 성형한 상하수도관(10)의 패킹홈(13)에 패킹(14)을 추후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 내경 연결부(12)는 압출하면서 최초에는 관체(11)와 동일한 두께로 성형되지만, 강제로 확관하면서 내경이 커지게 되며 두께가 관체(11)에 비하여 얇게 성형된다.
이러한 상하수도관(10)은 지중에 매설할 때 상하수도관(10)의 끝 부분을 가공하여 내경 연결부(12)에 강제로 삽입하면 패킹(14)에 의해 수밀이 유지되면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관체(11)에 액체가 공급될 때 수압이 발생하면서 내경 연결부(12)에 집중적으로 수압이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수압의 집중현상에 따라 내경 연결부(12)가 파손되거나 수압으로 수밀이 유지되지 않아 누수현상이 발생하거나, 관체(11)가 내경 연결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경이 매우 미끄러워 고정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외력이나 수압 및 열팽창계수에 의해 분리되면서 누수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내경 연결부(12)의 내경이 패킹(14)의 외경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패킹(14)을 구부린 상태로 삽입하여 펼쳐서 결합해야 하므로 패킹의 삽입후 관체를 삽입할 때 패킹이 함께 안으로 밀려 들어가 패킹홈에서 수밀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내경 연결부(12)에 관체(11)의 선단을 삽입한 후 내경 연결부(12)가 얇아진 것을 보강하고 관체(11)가 내경 연결부(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경 연결부(12)의 외경에 링형으로 이루어진 연결구를 양쪽에서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게 된다.
그러나 연결구를 사용하여 체결해야 하므로 확관에 의한 성형비용 이외에 연결구의 비용과 체결을 위한 볼트와 너트를 적어도 4개를 체결해야 하는 시간 및 번거로움과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원가의 상승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면서도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결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 등록번호 제1029344호(2011. 04. 07. 등록) "압출용 관의 확관부 두께 균일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은 원통형으로 같은 두께를 갖도록 압출하는 관체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한쪽 끝 부분에서 외부 패킹홈과 내경 연결부를 갖는 편수 연결구를 확관하는 상수도관에 있어서, 상기 관체를 압출하는 과정에서 이중 확관구간에 두께 조절부를 형성하여 관체의 두께보다 3 ~ 10% 더 두껍게 성형하고, 상기 이중 확관구간의 중앙 절단면을 절단하며, 상기 두께 조절부를 확관하여 성형하는 외부 패킹홈의 안쪽으로 분리 방지홈을 성형하는 편수 연결구와; 상기 분리 방지홈의 안쪽이 더 경사지게 돌출되어 삽입된 스토퍼와; 상기 관체에 성형되며 스토퍼가 결합되어 분리가 방지되는 걸림턱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관체에 스토퍼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반드시 형성해야 스토퍼의 기능이 유지되나, 결합홈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스토퍼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은 물론 스토퍼에 의해 관체가 편수 연결구에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편수 연결구에 형성한 패킹홈이 일반적인 반원형의 형상이 아닌 일측으로 중심이 치우친 "
Figure 112016014792475-utm00001
"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성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패킹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체가 편수 연결구에 결합할 때 편수 연결구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패킹홈에 외부패킹이 정확하게 위치되지 못하여 수밀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관체를 편수 연결구에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패킹홈에 외부패킹이 위치되지 못한 상태에서 편수연결구의 패킹홈이 형성된 부분을 압착하는 경우 빈공간이 형성된 부분과 패킹이 밀려들어간 부분에 적용되는 압력이 고르게 작용하지 못하므로 압착에 의한 수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밀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관체와 편수연결구가 결합된 부분을 잘라낸 후 다시 상기의 결합과정을 통해 보수를 해야 하는 문제점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외부패킹 및 스토퍼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흐른 뒤에는 경화되는 현상에 의해 수밀성이 떨어져 반드시 외부패킹과 스토퍼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특허 등록번호 제0929216호(2009. 11. 23. 등록) 특허문헌 2: 특허 등록번호 제0745185호(2007. 07. 26. 등록) 특허문헌 3: 특허 등록번호 제0716063호(2008. 05. 02. 등록) 특허문헌 4: 특허 등록번호 제0927199호(2009. 11. 10. 등록) 특허문헌 5: 특허 등록번호 제1029344호(2011. 04. 07. 등록)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존의 압착연결관은 관연결부 압착시 360° 외부패킹이 편수연결구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에 의해 균일한 압착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장시간 사용시 불균형 압착에 의한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무링이 연결관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하여 관연결부의 압착시 360° 균일한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한 수도관 수밀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관연결부의 내측에 설치된 패킹이 연결관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패킹을 지지하여 관연결부가 360° 고른 수밀성을 갖도록 한 수도관 수밀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수도관 수밀구조는 연결관 일측을 확관하여 금속링과 패킹이 설치되도록 링설치홈과 패킹설치홈을 인접하게 형성한 관결합부와; 관결합부의 압착시 360° 균일한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패킹이 고르게 밀착되어 수밀성을 갖도록 링설치홈에 설치되는 금속링과; 관연결부의 압착시 금속링에 지지되어 연결관 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면의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관(10)과 결합관의 수밀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내주연에 리브를 가지며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패킹설치홈에 설치되는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패킹은 관연결부의 압착시 '○'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타원으로 구성하여 패킹설치홈에 설치되는 패킹몸체와; 패킹몸체의 내측면에서 일측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끝단에서 패킹몸체 내측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패킹은 관연결부의 압착시 '○'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타원으로 구성하여 패킹설치홈에 설치되는 패킹몸체와; 패킹몸체 내측면에서 일측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끝단에서 패킹몸체 내측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리브와; 리브가 형성된 패킹몸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탄성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패킹은 관연결부의 압착시 '○'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타원으로 구성하여 패킹설치홈에 설치되는 패킹몸체와; 패킹몸체 내측면에서 일측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끝단에서 패킹몸체 내측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리브와; 관연결부의 압착시 패킹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수밀성이 증대되도록 패킹몸체 내측에 설치되는 금속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패킹은 관연결부의 압착시 '○'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타원형이 일체로 형성되어 패킹설치홈에 설치되는 패킹몸체와; 패킹몸체의 내측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끝단에서 패킹몸체 내측 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하는 리브; 관연결부의 패킹설치홈에 설치되어 압착될 때 압착에 의한 탄성이 발생되도록 리브가 형성된 일측과 리브가 형성된 반대측에 형성되는 오목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의 관체가 편수연결구에 결합할 때 편수연결구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패킹홈에 외부패킹이 정확하게 위치되지 못하여 관체를 편수연결구에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본 고안은 관연결부를 압착할 때 금속링과 패킹설치홈의 내측면에 패킹이 갇히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그로 인해 패킹이 연결관과 관연결부 사이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의 패킹홈에 외부패킹이 위치되지 못한 상태에서 편수 연결구의 패킹홈이 형성된 부분을 압착하는 경우 빈공간이 형성된 부분과 패킹이 밀려들어간 부분에 적용되는 압력이 고르게 작용하지 못하므로 압착에 의한 수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본 고안은 금속링에 의해 형상을 유지하므로 관연결부 압착시 패킹이 결합관의 외주연을 360° 균일하게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관연결부의 압착시 타원형으로 형성된 패킹몸체가 원형으로 형성되면서 결합관 외측연을 고르게 밀착해 수밀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압출된 상하수도관의 관체에 대한 정면도.
도 2는 종래 압출된 상하수도관에 내경 연결부를 확관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도관 수밀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수도관 수밀수조의 패킹 구성을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수도관 밀구조가 관연결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결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수도관 수밀구조가 관연결부에 설치되어 결합관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관연결부에 설치되는 패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관연결부에 설치되는 패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관연결부에 설치되는 패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수도관 수밀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결합관(20)과 연결관(10)을 구성하고, 상기 연결관(10)과 결합관(20)이 연결되어 수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연결관(10) 일측을 확관하여 관연결부(100)를 형성한다.
상기 관연결부(100)는 압착시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링(200)이 설치되는 링설치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링설치홈(110)이 형성된 부분의 일측에 패킹(3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패킹설치홈(120)을 형성한다.
상기 관연결부(100)의 링설치홈(110)에는 패킹(300)을 지지함과 동시에 관연결부(100)의 단면 형상이 '○' 형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링(200)을 설치하고, 상기 관연결부(100)의 패킹설치홈(120)에는 결합관(20)과 관연결부(100) 사이에서 수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패킹(300)을 금속링(200)에 지지되게 설치한다.
상기 금속링(200)은 관결합부(100)의 압착시 360° 균일한 압착이 이루어져 관연결부(100)의 단면형상이 '○' 형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일측에 위치되는 패킹(300)이 연결관(10)의 내측 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패킹(300)은 관연결부(100)와 결합관(20) 사이에 수밀성을 갖도록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패킹몸체(310)를 구성하여 패킹설치홈(120)에 설치하고,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금속링(200)에 지지되어 일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면의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관(10)과 결합관(20)의 수밀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패킹몸체(310) 내측으로 리브(320)를 형성하여 결합관(20)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리브(320)는 패킹몸체(310) 내측 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면을 형성하고,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면 끝단에서 패킹몸체(310) 쪽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면을 형성하여 전체 형상이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리브(320)는 30~45°의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으로 결합관(20)이 인입되면, 90° 직각 형태로 이루어진 면이 접히면서 벌어지려는 탄발 작용이 일어나 결합관(20) 외면에 밀착이 고르게 이루어져 수밀성이 높아진다.
본 고안의 패킹(300)은 도 3 내지 6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8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패킹(300)은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타원으로 구성하여 관연결부(100)의 패킹설치홈(120)에 설치하는 패킹몸체(310)를 구성하고, 상기 패킹몸체(310)의 내측 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면을 형성하며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면의 끝단에서 패킹몸체(310) 내측 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리브(320)를 형성하고, 상기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탄발성을 갖도록 리브(320)가 형성된 패킹몸체(310)의 반대측에 탄성홈(311)을 형성한다.
상기 패킹(300)에 형성한 탄성홈(311)은 타원으로 형성한 패킹몸체(310)가 압착될 시에 탄성홈(311)을 중심으로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려는 탄발 작용에 의해 패킹몸체(310) 내주연에 형성한 리브(320)가 결합관(20)의 외주연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리브(320)의 90° 각도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부분에서도 탄발력이 작용되어 결합관(20) 외면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또한, 패킹은 도 7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8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이 패킹(300)은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타원으로 구성하여 관연결부(100)의 패킹설치홈(120)에 설치되는 패킹몸체(310)를 구성하고, 상기 패킹몸체(310)의 내측 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끝단에서 패킹몸체(310) 내측 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리브(320)를 형성하고, 상기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패킹(300)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수밀성이 증대되도록 패킹몸체(310) 내측에 설치되는 금속편(312)을 형성한다.
상기 패킹(300) 내측에 금속편(312)을 설치하므로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금속편(312)에 의해 패킹몸체(31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 형상에 가깝게 형태를 유지하므로 관연결부(100)와 결합관(20) 사이에 수밀성이 좋아진다.
또한, 상기 패킹몸체(310) 내측에 형성한 리브(320)가 일측은 90°로 직각이 되도록 이루어지고, 90° 직각으로 이루어진 면의 끝단 부분에서 패킹몸체(310) 쪽으로 30~45° 형태로 경사지게 면을 형성하므로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90° 직각으로 이루어진 면이 접혀지게 되고, 접혀진 부분이 다시 펼쳐지려는 탄발에 의해 리브(320)가 결합관(20) 외주연에 밀착되어 수밀성이 증대된다.
또한, 30~45°의 경사각으로 형성된 면이 결합관(20)의 외주연에 고르게 밀착되어 수밀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즉, 패킹몸체(310)에 형성한 금속편(312)과 리브(320)의 탄발 작용이 복합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리브(320)에서 결합관(20) 외주연에 밀착이 견고한 것은 물론 패킹몸체(310)의 탄성이 소멸되어도 리브(320)가 계속하여 결합관(20) 외주연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수밀성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패킹은 도 8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9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패킹(300)은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타원이 일체로 형성되어 패킹설치홈(120)에 설치되는 패킹몸체(310)를 구성하고, 상기 패킹몸체(310)의 내측 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면 형성하며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끝단에서 패킹몸체(310) 내측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는 면으로 형성하는 리브(320)를 구성하고, 관연결부(100)의 패킹설치홈(120)에 설치되어 압착될 때 압착에 의한 탄성이 발생되도록 리브(320)가 형성된 일측과 리브(320)가 형성된 반대측의 타원형 패킹몸체(310)에 오목요홈(313)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한 복수의 타원형 패킹몸체(310)를 가압하면,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패킹몸체(310)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타원형 패킹몸체(310)가 서로 벌어지려는 탄발력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패킹몸체(310)에 형성한 리브(320)도 90° 각도로 형성된 면이 벌어지려는 탄발력이 발생되어 결합관(20) 외측 면에 밀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므로 결합관(20)과 관연결부(100) 사이에 견고한 수밀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관연결부(100)에 금속편(312)을 통해 관연결부(100)의 단면이 '○' 형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고, 동시에 패킹(300)을 지지하여 연결관(10) 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므로 패킹(300)이 결합관(20)의 외주연에 고르게 밀착되므로 수밀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패킹(300)에 형성한 리브(320), 탄성홈(311) 및 오목요홈(313)에 의해 벌어지려는 탄성력이 발생하고, 그리고 리브(320)가 결합관(20)과 결합하여 접혀진 상태에서 90° 직각 형태로 이루어진 면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 작용에 의해 리브(320)는 결합관(20)의 외주연에 견고한 밀착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결합부(100)에 금속링(200)과 패킹(300)에 의해 결합관(20)과 관연결부(100)의 수밀성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므로 수돗물의 누수를 방지하므로 누수에 의한 수돗물의 손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관연결부(100)를 압착할 때 금속링(200)에 지지가 되므로 패킹(300)이 연결관(10) 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금속링(200)이 링설치홈(110)의 형상을 유지하므로 관연결부(100) 압착시 패킹(300)이 결합관(20)의 외주연에 균일한 밀착이 이루어져 수밀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10: 연결관 20: 결합관
100: 관결합부 110: 링설치홈
120: 패킹설치홈 200: 금속링
300: 패킹 310: 패킹몸체
311: 탄성홈 312: 금속편
313: 오목요홈 320: 리브

Claims (5)

  1. 수도관 수밀구조에 있어서,
    연결관(10) 일측을 확관하여 금속링(200)과 패킹(300)이 설치되도록 링설치홈(110)과 패킹설치홈(120)을 인접하게 형성한 관결합부(100)와;
    관결합부(100)의 압착시 360° 균일한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패킹(300)이 고르게 밀착되어 수밀성을 갖도록 링설치홈(110)에 설치되는 금속링(200)과;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금속링(200)에 지지되어 연결관(10) 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면의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관(10)과 결합관(20)의 수밀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내측에 리브(320)를 가지며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패킹설치홈(120)에 설치되는 패킹(300);을 포함하되,
    상기 패킹(300)은,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타원형이 일체로 형성되어 패킹설치홈(120)에 설치되는 패킹몸체(310)와; 패킹몸체(310)의 내측 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끝단에서 패킹몸체(310) 내측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하는 리브(320)와; 관연결부(100)의 패킹설치홈(120)에 설치되어 압착될 때 압착에 의한 탄성이 발생되도록 리브(320)가 형성된 일측과 리브(320)가 형성된 반대측에 형성되는 오목요홈(313)으로 구성되고,
    상기 패킹몸체(310)가 타원형으로 돌아가려는 반발력과 리브(320)에 의해 90° 직각 형태로 이루어진 부분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 및 오목요홈(313)에 의해 벌어지려는 탄성력이 함께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연결관(10)과 결합관(20)이 견고한 밀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수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300)은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타원으로 구성하여 패킹설치홈(120)에 설치되는 패킹몸체(310)와;
    패킹몸체(310)의 내측 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끝단에서 패킹몸체(310) 내측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리브(32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수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300)은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타원으로 구성하여 패킹설치홈(120)에 설치되는 패킹몸체(310)와;
    패킹몸체(310)의 내측 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끝단에서 패킹몸체(310) 내측 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리브(320)와;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탄발성을 갖도록 리브(320)가 형성된 패킹몸체(310)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탄성홈(311);
    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수밀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300)은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타원으로 구성하여 패킹설치홈(120)에 설치되는 패킹몸체(310)와;
    패킹몸체(310) 내측 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90° 직각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90° 직각 형태로 돌출된 끝단에서 패킹몸체(310) 내측 면으로 30~45°의 경사를 갖도록 리브(320)와;
    관연결부(100)의 압착시 패킹몸체(310)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수밀성이 증대되도록 패킹몸체(310) 내측에 설치되는 금속편(3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수밀구조.
  5. 삭제
KR2020160000772U 2016-02-15 2016-02-15 수도관 수밀구조 KR200484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772U KR200484502Y1 (ko) 2016-02-15 2016-02-15 수도관 수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772U KR200484502Y1 (ko) 2016-02-15 2016-02-15 수도관 수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54U KR20170002954U (ko) 2017-08-23
KR200484502Y1 true KR200484502Y1 (ko) 2017-09-26

Family

ID=6057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772U KR200484502Y1 (ko) 2016-02-15 2016-02-15 수도관 수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561A (ko) 2022-04-28 2023-11-07 홍성돈 압착식 연결관 수밀 실리콘고무패킹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8932A1 (en) * 2012-07-10 2014-01-16 King Industrial Limited. Press fitting and joint assembly with such a press fitt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151Y2 (ja) * 1991-12-10 1995-04-12 株式会社エム・エス・ジャパン 管継手構造
JP2598734Y2 (ja) * 1993-03-05 1999-08-16 日東工器株式会社 シ−ルリング
JPH10122372A (ja) * 1996-10-18 1998-05-15 Koken Sangyo Kk コンクリート製管路の継手用離脱防止パッキン環
KR100716063B1 (ko) 2006-12-11 2007-05-08 김학건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KR100745185B1 (ko) 2007-02-12 2007-08-01 김학건 연결구와 연결링 융착형 연결용 합성수지관
KR20100011308A (ko) * 2008-07-24 2010-02-03 이수홍 배관연결용 탄성링
KR100929216B1 (ko) 2009-07-07 2009-12-01 김학건 확관부와 패킹 일체형 상하수도관의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27199B1 (ko) 2009-07-07 2009-11-18 김학건 보강섬유를 이용한 섬유강화플라스틱 상하수도관
KR101029344B1 (ko) 2010-10-04 2011-04-13 대현산업 (주) 압출용 관의 확관부 두께 균일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8932A1 (en) * 2012-07-10 2014-01-16 King Industrial Limited. Press fitting and joint assembly with such a press fit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561A (ko) 2022-04-28 2023-11-07 홍성돈 압착식 연결관 수밀 실리콘고무패킹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54U (ko)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344B1 (ko) 압출용 관의 확관부 두께 균일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US9752711B2 (en) Pipe coupling assembly
BRPI0921779B1 (pt) Acoplamento para um tubo corrugado de três paredes, seção de tubo corrugado de três paredes, e método de acoplamento de um tubo corrugado de três paredes
CN113950593B (zh) 用于在塑料管线中使用的密封和约束密封圈
US8991830B2 (en) Heat-fusible gasket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484502Y1 (ko) 수도관 수밀구조
KR101498604B1 (ko)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KR20180132318A (ko) 파이프 구조체
KR101120145B1 (ko) 관 조인트
KR101029347B1 (ko) 상하수도관 고정형 연결구
KR101658756B1 (ko) 추진관
KR101032096B1 (ko) 고무링과 스토퍼를 이용한 상하수도관의 연결구조
KR102188156B1 (ko)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KR100892135B1 (ko) 하수관 연결 고정용 커플러
JP2009047302A (ja) 金属樹脂複合管の接続構造、及び該接続構造に用いる金属樹脂複合管
KR20110016645A (ko) 푸셔 일체형 관 연결용 패킹
KR101735402B1 (ko)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
CN214535053U (zh) 一种便于快速连接frp管道的结构
JP2009024874A (ja) 螺旋波形管の結合構造
KR100743207B1 (ko) 플랜지 일체형 접속용 합성수지관
JP6267585B2 (ja) 製管用部材
KR101406776B1 (ko) 관리보수가 용이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EP0569185B1 (en) Hollow tubular lining member for sewers and method of lining a sewer
KR200355574Y1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CN210336936U (zh) 一种塑料管道接合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