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402B1 -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402B1
KR101735402B1 KR1020160136025A KR20160136025A KR101735402B1 KR 101735402 B1 KR101735402 B1 KR 101735402B1 KR 1020160136025 A KR1020160136025 A KR 1020160136025A KR 20160136025 A KR20160136025 A KR 20160136025A KR 101735402 B1 KR101735402 B1 KR 101735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synthetic resin
band
groo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코
Priority to KR1020160136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B29D23/003Pipe joints, e.g. straight joints
    • B29C47/0023
    • B29C47/005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4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발명은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하수관의 양단을 연결하는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평판 형상의 반제품을 압출하는 단계; 상기 반제품을 둥글게 말아서 양단을 열융착하여 원통형상의 연결부재(1000)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재(1000)는 세로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 형상으로 좌측끝단부터 세로방향 중심선 방향으로 좌측밴드(210)가 설치되는 좌측밴드홈(1100), 좌측신축홈(120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우측끝단부터 세로방향 중심선 방향으로 우측밴드(220)가 설치되는 우측밴드홈(1300), 우측신축홈(140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설치가 간단하고 편리하며, 수밀이 확실하며, 파손 등의 하자가 적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connecting member of plastic waste pipe}
본발명은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상으로 세로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 형상으로 제조되되, 밴드가 설치되는 밴드홈, 신축홈, 수밀홈이 형성되어 설치가 간단하고 편리하며, 수밀이 확실하며, 파손등의 하자가 적은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하수관을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72741호에는 양측 끝단에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면(2)(3)을 갖는 연결용 합성수지관(1)과, 상기 연결용 합성수지관(1)의 경사면(2)(3)과 접하는 경사면(31)과 합성수지 하수관(10)(20)의 외면과 접하는 직면(32)을 일체로 갖는 원주형 고무패킹(30)과, 상기 고무패킹(30)의 외면(33)을 밀어주는 돌출부(41)가 내주면에 원주상으로 형성된 플랜지(40)와, 상기 플랜지(40)의 볼트공(42)을 서로 결합하면서 밀폐가 유지되도록 하는 볼트(43) 및 너트(44)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8578호에는 내주면의 중앙에 중앙돌테(12)가 형성되고, 원통형으로 된 연결구(10)의 단부에 패킹(5)이 선단의 요부(4)에 결합된 합성수지이중벽관(1) 또는 주름관(1-1)을 삽입하여 장착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의 외주면 단부에 복수개씩의 쐐기결속공(13)을 등 간격으로 통공한 것과, 각 쐐기결속공(13)에는 결속편(14-2)이 합성수지이중벽관(1) 또는 주름관(1-1)에 형성된 요부(4)에 삽입되어지는 쐐기(14)를 삽입 장전시킨 것과, 연결구(10)의 각 단부에 선단의 요부(4)에 패킹(5)이 결합된 합성수지이중벽관(1) 또는 주름관(1-1)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각 쐐기결속공(13)에 쐐기(14)를 삽입 장전시켜 결속편(14-2)이 합성수지이중벽관(1) 또는 주름관(1-1)의 요부(4)에 삽입 장착되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구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21938호에는 내부에 중공(11)이 형성되는 프로파일(12)의 사이에 연결빔(13)으로 형성되는 이중벽 하수관(10)의 내경을 가공하여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 하수관(10)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며 내경(21)의 돌출부(22) 양측으로 내경 가공날(33)을 통하여 가공되어 중공(11)이 노출되어 다수개의 요홈(24)이 형성되고, 이 요홈(24)에 공지의 패킹(26)이 삽입되어 양측으로 합성수지관(30, 30')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하수관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가 공개되어 있다.
한편, 체결밴드와 압지편에 관해 종래기술로서, 등록번호 제10-1272215호에는 하수관을 서로 연결할 수 있게 단면이 둥글게 형성되는 체결밴드(10)와, 상기 체결밴드(10)의 양단부에 다수 개의 압지편홀더(3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압지편장착대(40)와; 상기 체결밴드(10) 양단중 어느 한 곳에 결합되는 연결압지곡면판(50)과; 상기 압지편홀더(30)에 각각 결합되는 압지편(8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지편홀더(30)는 볼트(100)가 통과되는 결합공(20)이 형성되며, 상기 압지편(80)에는 볼트(100)가 관통되는 볼트삽입공(70)이 형성되어, 볼트(100)를 상기 압지편홀더(30)의 결합공(20)과 압지편(80)의 볼트삽입공(70)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킨 후, 너트(110)로 결합하여 체결밴드(10)를 조여주어 하수관을 긴밀하게 서로 연결하는 하수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압지곡면판(50)은 일단을 체결밴드(10) 양단중 어느 한 곳의 내면에 용접하여 결합하되, 연결압지곡면판(50) 타단에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제작된 실링부(130)를 형성하여 연결압지곡면판(50)이 체결밴드(10)내면에 긴밀하게 결합되게 하는 것이되, 상기 연결압지곡면판(50)은 두 개를 설치하여 각각을 체결밴드(10) 양단 내면에 용접하여 결합하되, 연결압지곡면판(50) 각각의 타단 사이는 중간압지곡면판(120)을 삽입하여 상호 연결하는 것이며, 상기 중간압지곡면판(120) 양단 내부와, 각각의 연결압지곡면판(50) 타단에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제작된 실링부(130)를 형성하여 상호 긴밀하게 결합되게 하는 것이며, 상기 중간압지곡면판(120)은 수직단면이 곡선이되, 중앙 부위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하고, 볼트가 안치될 수 있게 형성되며, 플라스틱을 사출하여 제조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압지편은 내부압지편(81)과 외부압지편(82)으로 구분되되, 상기 내부압지편(81)은 경질재질이며, 외부압지편(82)은 탄성재질로서 외부압지편(82)과 내부압지편(81) 양자를 일체화되게 하며, 상기 외부압지편(82)의 길이가 압지편홀더(30)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설치가 복잡하고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며, 누수가 되기 쉽고, 파손 등의 하자발생이 많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가 간단하고 편리하며, 수밀이 확실하며, 파손 등의 하자가 적은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하수관의 양단을 연결하는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평판 형상의 반제품을 압출하는 단계; 상기 반제품을 둥글게 말아서 양단을 열융착하여 원통형상의 연결부재(1000)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재(1000)는 세로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 형상으로 좌측끝단부터 세로방향 중심선 방향으로 좌측밴드(210)가 설치되는 좌측밴드홈(1100), 좌측신축홈(120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우측끝단부터 세로방향 중심선 방향으로 우측밴드(220)가 설치되는 우측밴드홈(1300), 우측신축홈(140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설치가 간단하고 편리하며, 수밀이 확실하며, 파손 등의 하자가 적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합성수지 재질의 하수관 연결부재 단면도
도 2는 본발명 합성수지 재질의 하수관 연결부재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연결부재가 하수관에 적용된 상태도
도 4는 종래 연결부재 사시도
본발명은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하수관의 양단을 연결하는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평판 형상의 반제품을 압출하는 단계; 상기 반제품을 둥글게 말아서 양단을 열융착하여 원통형상의 연결부재(1000)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재(1000)는 세로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 형상으로 좌측끝단부터 세로방향 중심선 방향으로 좌측밴드(210)가 설치되는 좌측밴드홈(1100), 좌측신축홈(120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우측끝단부터 세로방향 중심선 방향으로 우측밴드(220)가 설치되는 우측밴드홈(1300), 우측신축홈(140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000) 내면에는 수밀홈(1500)이 다수 개가 끝단부부터 중앙선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우측 연결부재(1000) 양끝단의 상측에는 수평부(1011)와 원형부(1012)로 이루어지는 뒤집기용홀(10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000) 중심에는 내부방향으로 돌출부(1600)가 형성되어, 양 파이프 끝단이 긴밀하게 상기 돌출부(1600) 측면에 가압되며 결합하여 수밀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합성수지 재질의 하수관 연결부재 단면도, 도 2는 본발명 합성수지 재질의 하수관 연결부재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연결부재가 하수관에 적용된 상태도, 도 4는 종래 연결부재 사시도이다.
본발명은 pe, pp 등의 합성수지 재질의 하수관의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연결부재의 재질도 합성수지로서 주로 pvc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세로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이는 두 개로 분리된 파이프 외부 끝단부에 설치되어 연결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부재는 관용의 압출기에서 관용의 압출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곧 연결부재는 압출에 의해 평판 형상으로 먼저 반제품으로 제조된 후, 상기 반제품을 둥글게 말아서 원통형상으로 만든 후, 접합부위를 열융착하여 제조된다. 압출은 합성수지 입자를 원료통에 넣고 가열한 후 연결부재 형상의 압출금형을 통해 압출시키는 것으로, 가열온도는 140도 내지 160℃이며, 압출속도는 1∼3m/분이다. 상기 압출된 단면도 형상의 평판 형상의 반제품을 양단을 접합하는 것으로, 열융착방법을 사용하여, 원통형상으로 제작한다. 융착온도는 420도 내지 440℃이다. 시간은 10∼15초 정도이다.
상기 연결부재를 두 개 파이프 양단 외면에 설치한 후 연결압지곡면판을 압지편을 이용해 체결한다. 곧 체결밴드(10)의 양단부에 다수 개의 압지편홀더(3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압지편장착대(40)와; 상기 체결밴드(10) 양단중 어느 한 곳에 결합되는 연결압지곡면판(50)과; 상기 압지편홀더(30)에 각각 결합되는 압지편(8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지편홀더(30)는 볼트(100)가 통과되는 결합공(20)이 형성되며, 상기 압지편(80)에는 볼트(100)가 관통되는 볼트삽입공(70)이 형성되어, 볼트(100)를 상기 압지편홀더(30)의 결합공(20)과 압지편(80)의 볼트삽입공(70)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킨 후, 너트(110)로 결합하여 체결밴드(10)를 조여주어 하수관을 긴밀하게 서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끝단부터 세로 중심선 방향으로 밴드가 설치되는 밴드홈, 신축홈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압출에 의해 평면으로 제조된 후, 양단을 열압착하여 둥글게 제조되는 것이다.
연결부재의 좌측은 좌측끝단부터 중앙선까지 밴드홈, 단차, 신축홈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곧 좌측끝단에는 밴드가 설치되게 밴드홈이 형성되고, 단차가 형성되며, 신축홈이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통상 두 개를 형성한다. 연결부재 우측도 중앙선에 대칭되게 연결부재 좌측처럼 형성한다.
내면에는 수밀홈이 다수개가 중앙선까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수밀홈의 역할을 파이프를 끼울때 뒤집기 편리하게 설치되며, 신축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는 양단부에 볼트가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결합된다.
중심선에는 파이프 중심선 곧, 내부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데, 양 파이프 끝단이 긴밀하게 상기 돌출부 측면에 가압되며 결합하여 수밀을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수밀홈에 의해 수밀성이 증가된다.
상기 연결부재 좌우측 양끝단의 상측에는 수평부(1011)와 원형부(1012)로 이루어지는 뒤집기용홀(1010)이 형성된다.
상기 뒤집기용홀의 역할은 파이프를 끼울때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양말을 뒤집듯이 연결부재 내면이 바깥이 되게 뒤집어서 뒤로 제낀후 파이프 일단을 삽입한 후 다시 원래대로 내면이 안으로 되게 하여 연결을 완성하는 것으로, 이때 뒤집기용홀이 있으므로 뒤집기 편리하게 되며, 신축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상기 뒤집기용홀의 수평부는 파이프를 끼울 때 연결부재를 뒤집기 편리하게 하는 것이고, 상기 뒤집기용홀의 원형부는 뒤집기용홀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설치가 간단하고 편리하며, 수밀이 확실하며, 파손 등의 하자가 적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체결밴드 20 : 결합공
30 : 압지편홀더 40 : 압지편장착대
50 : 연결압지곡면판 70 : 볼트삽입공
80 : 압지편 100 : 볼트
110 : 너트
200 : 밴드 210 : 좌측밴드
220 : 우측밴드 230 : 체결봉
1000 : 연결부재 1010 : 뒤집기용홀
1011 : 수평부 1012 : 원형부
1100 : 좌측밴드홈 1200 : 좌측신축홈
1300 : 우측밴드홈 1400 : 우측신축홈
1500 : 수밀홈 1600 : 돌출부

Claims (5)

  1. 평판 형상의 반제품을 압출하는 단계; 상기 반제품을 둥글게 말아서 양단을 열융착하여 원통형상의 연결부재(1000)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00)는 세로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 형상으로 좌측끝단부터 세로방향 중심선 방향으로는 좌측밴드(210)가 설치되는 좌측밴드홈(1100)과, 좌측신축홈(1200)이 형성되고, 우측끝단부터 세로방향 중심선 방향으로는 우측밴드(220)가 설치되는 우측밴드홈(1300)과, 우측신축홈(140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000) 좌우측 끝단의 상측에는 수평부(1011)와 원형부(1012)로 이루어지는 뒤집기용홀(10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00) 내면에는 수밀홈(1500)이 다수 개가 끝단부부터 중앙선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00) 중심에는 내부방향으로 돌출부(1600)가 형성되어, 양 파이프 끝단이 긴밀하게 상기 돌출부(1600) 측면에 가압되며 결합하여 수밀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
KR1020160136025A 2016-10-19 2016-10-19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 KR101735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025A KR101735402B1 (ko) 2016-10-19 2016-10-19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025A KR101735402B1 (ko) 2016-10-19 2016-10-19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402B1 true KR101735402B1 (ko) 2017-05-15

Family

ID=5873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025A KR101735402B1 (ko) 2016-10-19 2016-10-19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313A (ko) * 2017-12-15 2019-06-25 정회석 클린룸에 설치되는 밸브의 누설방지용 연결소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72B1 (ko) * 2012-02-23 2012-10-09 주식회사 퍼팩트 패킹링의 파손이 방지되는 소켓관
KR101243644B1 (ko) * 2012-09-27 2013-03-15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수밀성이 우수한 파이프 커플링용 패킹부재의 제조방법
KR101561031B1 (ko) * 2015-02-26 2015-10-26 (주)썬패치테크노 관연결부의 누설방지 및 보호장치와 관연결부의 누설방지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72B1 (ko) * 2012-02-23 2012-10-09 주식회사 퍼팩트 패킹링의 파손이 방지되는 소켓관
KR101243644B1 (ko) * 2012-09-27 2013-03-15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수밀성이 우수한 파이프 커플링용 패킹부재의 제조방법
KR101561031B1 (ko) * 2015-02-26 2015-10-26 (주)썬패치테크노 관연결부의 누설방지 및 보호장치와 관연결부의 누설방지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313A (ko) * 2017-12-15 2019-06-25 정회석 클린룸에 설치되는 밸브의 누설방지용 연결소켓
KR101997587B1 (ko) 2017-12-15 2019-07-08 정회석 클린룸에 설치되는 밸브의 누설방지용 연결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9755C (en) Seismic conduit joint connector
KR100995106B1 (ko) 하수관 연결용 이음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029344B1 (ko) 압출용 관의 확관부 두께 균일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US6237966B1 (en) Co-extruded dual durometer hardness pipe gasket
KR100670554B1 (ko) 고강도 구조 합성수지 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5402B1 (ko)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
KR100749717B1 (ko)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
EP0563043A1 (en) Coupling for ribbed pipe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101486704B1 (ko) 강관 내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을 갖는 복합관과 그 제조방법 및 연결방법
KR200484502Y1 (ko) 수도관 수밀구조
KR101656219B1 (ko)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성형장치
KR200355574Y1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101735404B1 (ko)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
KR100959302B1 (ko) 쐐기를 이용한 관 연결구
FI108574B (fi) Putkien välinen puristusliitos
KR100952725B1 (ko) 케이피식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KR200373000Y1 (ko) 관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볼트식 연결장치
KR101160170B1 (ko) 파이프 연결용 일체형 연결소켓의 제조방법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WO2014118769A1 (en) Pipe clamp
KR100435575B1 (ko) 나선형 합성수지관의 결합장치
KR200348813Y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1406776B1 (ko) 관리보수가 용이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1188807B1 (ko) 헤드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수밀 유지용 합성수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