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404B1 -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404B1
KR101735404B1 KR1020160136027A KR20160136027A KR101735404B1 KR 101735404 B1 KR101735404 B1 KR 101735404B1 KR 1020160136027 A KR1020160136027 A KR 1020160136027A KR 20160136027 A KR20160136027 A KR 20160136027A KR 101735404 B1 KR101735404 B1 KR 101735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steel pipe
corrugated steel
semi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코
Priority to KR1020160136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B29D23/003Pipe joints, e.g. straight joints
    • B29C47/0023
    • B29C47/005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4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면에 파형이 형성되는 파형강관의 양단을 연결하는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평판 형상의 반제품을 압출하는 단계; 상기 반제품을 둥글게 말아서 양단을 열융착하여 원통형상의 연결부재(100)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발명은 설치가 간단하고 편리하며, 수밀이 확실하며, 파손등의 하자가 적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connecting member of corrugation steel pipe}
본발명은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면에 파형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세로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 형상으로 제조되되, 밴드가 설치되는 밴드홈, 신축홈, 수밀홈이 형성 되어 설치가 간단하고 편리하며, 수밀이 확실하며, 파손 등의 하자가 적은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강관 을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A) 공개번호 특2001-0112976호에는 한 부분이 분할된 상태로 원통형을 이루며 그 분할된 원주방향 양 끝단에 직선형 플랜지가 형성됨과 함께 길이방향 바깥쪽 끝단에는 상기 직선형 플랜지와 직교된 상태로 원주형 플랜지가 형성된 합성수지재의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의 끝부분을 끼우는 단계와, 상기 파형강관의 끝부분이 끼워져 있는 연결부재의 직선형 플랜지를 고정부재로서 서로 고정하여 연결부재가 파형강관의 중심을 향해 조여지게 하는 단계와, 상기 파형강관의 끝부분이 끼워져 있는 연결부재가 조여지는 과정에서 파형강관의 내측둘레면을 가열하여 연결부재의 내측둘레면 전부분이 적정두께 만큼 녹아내리면서 파형강관에 열융착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파형강관에 열융착된 연결부재가 서로 마주보도록 근접시키면서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 사이로 링형상의 패킹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의 원주형 플랜지를 고정부재로서 서로 고정하여 연결부재가 패킹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방향으로 밀착되게 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의 연결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06759호에는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파형강관을 지지하는 파형강관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파형강관의 단부에 플랜지를 형성하는 제 1성형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프레임에 설치되어 파형강관의 타측 단부에 플랜지를 형성하는 제 2성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2성형부는 각각 파형강관의 단부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제 1신축부재를 가지며 제 1이송부에 의해 전후진 되는 제 1성형부재와, 제 2이송부에 이송되며 제1부재와 결합되어 플랜지가 형성될 공간을 형성하는 제 2성형부재와, 상기 제 2성형부재에 설치되며 제 3이송부에 의해 파형강관의 외주면으로 전후진되며 파형강관의 형상을 따라 변형되어 상기 플랜지 성형공간을 밀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밀폐된 성형공간에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수단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공간과 대응되는 파형강관의 내주면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의 플랜지 제조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18734호에는 언코일러에 감겨진 강판이 일정한 속도로 풀려져 공급되는 언코일러 공정(S1)과; 상기 강판의 상, 하부 표면에 이물질을 블라스팅으로 제거하고 압연 로울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요부(11)와 철부(12)가 절곡되어지며 양 선단의 가장자리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져 나선형태로 감기면서 맞물려진 부분이 압착되어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락심에 의해 파형 강관(10, 10')이 성형되는 이물질제거와 조관공정(S2)과; 상기 파형 강관이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절단기에서 절단하는 파형 강관 절단공정(S3)과; 상기 절단된 파형 강관의 내, 외경에 아연도금을 수행하고 폴리에틸렌 필름을 부착하거나 코팅액을 코팅노즐로 분사시키는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수행하는 코팅층 도포공정(S4)과; 상기 파형 강관의 코팅층(15)에 에어를 분사시켜 경화되도록 하는 경화공정(S5)과; 상기 경화된 파형 강관을 타발기에 공급하여 요부(11)와 철부(1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타발 구멍(13)을 형성하여 타발 돌출부(14)가 돌출되는 돌출부 타발공정(S6)과; 상기 타발 돌출부(14)를 형성한 파형 강관을 플랜지 몸체 성형장치(100)에 공급하여 세팅하고 용융 합성수지를 내부의 성형공간(130)에 공급하여 걸림턱(22)과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출부(23)를 형성한 플랜지 몸체(20)를 파형 강관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플랜지 몸체 성형공정(S7)과; 상기 플랜지 몸체(20)를 냉각한 후 몸체 성형장치(100)을 해제하여 플랜지 몸체가 일체형으로 성형된 파형 강관을 분리하는 파형 강관 분리공정(S8)과; 상기 플랜지 몸체(20)의 외경으로 형성한 고정 돌출부(23)에 체결구멍(32)과 일치하도록 결합구멍(24)을 성형하는 결합구멍 성형공정(S9)과; 상기 플랜지 몸체(20)가 일체형으로 성형된 파형 강관의 외관과 두께 및 내경을 검사하는 검사공정(S1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일체형 파형 강관의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설치가 복잡하고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며, 누수가 되기 쉽고, 파손등의 하자발생이 많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가 간단하고 편리하며, 수밀이 확실하며, 파손 등의 하자가 적은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면에 파형이 형성되는 파형강관의 양단을 연결하는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평판 형상의 반제품을 압출하는 단계; 상기 반제품을 둥글게 말아서 양단을 열융착하여 원통형상의 연결부재(1000)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설치가 간단하고 편리하며, 수밀이 확실하며, 파손등의 하자가 적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파형강관용 연결부재 단면도
도 2는 본발명 파형강관용 연결부재 평면도
도 3은 본발명의 연결부재가 파형강관에 적용된 상태도
도 4는 종래 연결부재 사시도
본발명은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면에 파형이 형성되는 파형강관의 양단을 연결하는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평판 형상의 반제품을 압출하는 단계; 상기 반제품을 둥글게 말아서 양단을 열융착하여 원통형상의 연결부재(1000)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000)는 내면이 파형으로 형성되며, 세로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좌측끝단부터 세로방향 중심선 방향으로 좌측밴드(210)가 설치되는 좌측밴드홈(1100), 좌측신축홈(120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우측끝단부터 세로방향 중심선 방향으로 우측밴드(220)가 설치되는 우측밴드홈(1300), 우측신축홈(140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000) 내면에는 수밀홈(1500)이 다수 개가 끝단부부터 중앙선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000) 중심에는 내부방향으로 돌출부(1600)가 형성되어, 양 파이프 끝단이 긴밀하게 상기 돌출부(1600) 측면에 가압되며 결합하여 수밀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파형강관용 연결부재 단면도, 도 2는 본발명 파형강관용 연결부재 평면도, 도 3은 본발명의 연결부재가 파형강관에 적용된 상태도, 도 4는 종래 연결부재 사시도이다.
본발명은 강관 하수관의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연결구의 재질은 합성수지로서 주로 pvc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관용의 압출기에서 관용의 압출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곧 연결부재는 압출에 의해 평판 형상으로 먼저 반제품으로 제조된 후, 반제품에 상기 반제품을 둥글게 말아서 원통형상으로 만든 후, 접합부위를 열융착하여 제조된다. 압출은 합성수지 입자를 원료통에 넣고 가열한 후 연결부재 형상의 압출금형을 통해 압출시키는 것으로, 가열온도는 140도 내지 160℃이며, 압출속도는 1∼3m/분이다. 상기 압출된 단면도 형상의 평판 형상의 반제품을 양단을 접합하는 것으로, 열융착방법을 사용하여, 원통형상으로 제작한다. 융착온도는 420도 내지 440℃이다. 시간은 10∼15초 정도이다. 상기 압출된 단면도 형상의 평판 형상의 반제품을 양단을 접합하는 것으로, 열압착 내지 열융착방법을 사용하여, 원통형상으로 제작한다.
연결부재 재질은 합성수지이며, 주로 pvc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파형강관용 연결부재는 세로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이는 두 개로 분리된 파이프 외부 끝단부에 설치되어 연결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부재는 관용의 압출기에서 관용의 압출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곧 연결부재는 압출에 의해 평판 형상으로 먼저 반제품으로 제조된 후, 상기 반제품을 둥글게 말아서 원통형상으로 만든 후, 접합부위를 열융착하여 제조된다.
압출은 합성수지 입자를 원료통에 넣고 가열한 후 연결부재 반제품 형상의 압출금형을 통해 압출시키는 것으로, 가열온도는 140도 내지 160℃이며, 압출속도는 1 ~3m/분이다. 상기 압출된 단면도 형상의 평판 형상의 반제품은 뒤집기용홀 등을 절단기로 형성한 후, 양단을 접합하여 완제품을 만드는 것으로, 열융착방법을 사용하여, 원통형상으로 제작한다. 융착온도는 420도 내지 440℃이다. 융착시간은 10 ~ 15초 정도이다.
상기 연결부재를 두 개 파이프 양단 외면에 설치한 후 연결압지곡면판을 압지편을 이용해 체결한다. 곧 체결밴드(10)의 양단부에 다수 개의 압지편홀더(3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압지편장착대(40)와; 상기 체결밴드(10) 양단중 어느 한 곳에 결합되는 연결압지곡면판(50)과; 상기 압지편홀더(30)에 각각 결합되는 압지편(8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지편홀더(30)는 볼트(100)가 통과되는 결합공(20)이 형성되며, 상기 압지편(80)에는 볼트(100)가 관통되는 볼트삽입공(70)이 형성되어, 볼트(100)를 상기 압지편홀더(30)의 결합공(20)과 압지편(80)의 볼트삽입공(70)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킨 후, 너트(110)로 결합하여 체결밴드(10)를 조여주어 하수관을 긴밀하게 서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재 좌측은 좌측끝단부터 중앙선까지 밴드홈, 돌출턱, 신축홈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곧 좌측끝단에는 밴드가 설치되게 밴드홈이 형성된다. 연결부재 우측도 세로 중심선에 대칭되게 연결부재 좌측처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는 양단부에 볼트가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돌출턱은 밴드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측면을 고정한다. 신축홈이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통상 두 개를 형성한다.
내부면은 파형강관의 표면 형상에 일치되게 파형이 형성된다. 또한 내면에는 수밀홈이 다수개가 중앙선까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수밀홈의 역할은 파이프를 끼울때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양말을 뒤집듯이 연결부재 내면이 바깥이 되게 뒤집어서 뒤로 제낀후 파이프 일단을 삽입한 후 다시 원래대로 내면이 안으로 되게 하여 연결을 완성하는 것으로, 이때 수밀홈이 있으므로 뒤집기 편리하게 되며, 신축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상기 수밀홈에 의해 수밀성이 증가된다.
중심선에는 파이프 중심선 곧, 하부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데 , 양 파이프 끝단이 긴밀하게 상기 돌출부 측면에 가압되며 결합하여 수밀을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연결부재 좌우측 양끝단의 상측에는 수평부(1011)와 원형부(1012)로 이루어지는 뒤집기용홀(1010)이 형성된다.
상기 뒤집기용홀의 역할은 파이프를 끼울때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양말을 뒤집듯이 연결부재 내면이 바깥이 되게 뒤집어서 뒤로 제낀후 파이프 일단을 삽입한 후 다시 원래대로 내면이 안으로 되게 하여 연결을 완성하는 것으로, 이때 뒤집기용홀이 있으므로 뒤집기 편리하게 되며, 신축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상기 뒤집기용홀의 수평부는 파이프를 끼울 때 연결부재를 뒤집기 편리하게 하는 것이고, 상기 뒤집기용홀의 원형부는 뒤집기용홀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설치가 간단하고 편리하며, 수밀이 확실하며, 파손등의 하자가 적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체결밴드 20 : 결합공
30 : 압지편홀더 40 : 압지편장착대
50 : 연결압지곡면판 70 : 볼트삽입공
80 : 압지편 100 : 볼트
110 : 너트
200 : 밴드 210 : 좌측밴드
220 : 우측밴드
1000 : 연결부재 1010 : 뒤집기용홀
1011 : 수평부 1012 : 원형부
1100 : 좌측밴드홈 1200 : 좌측신축홈
1300 : 우측밴드홈 1400 : 우측신축홈
1500 : 수밀홈 1600 : 돌출부

Claims (4)

  1. 평판 형상의 반제품을 압출하는 단계; 상기 반제품을 둥글게 말아서 양단을 열융착하여 원통형상의 연결부재(1000)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00)는 내면이 파형으로 형성되며, 세로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좌측끝단부터 세로방향 중심선 방향으로는 좌측밴드(210)가 설치되는 좌측밴드홈(1100)과, 좌측신축홈(1200)이 형성되고, 우측끝단부터 세로방향 중심선 방향으로는 우측밴드(220)가 설치되는 우측밴드홈(1300)과, 우측신축홈(140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000) 좌우측 끝단의 상측에는 수평부(1011)와 원형부(1012)로 이루어지는 뒤집기용홀(10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00) 내면에는 수밀홈(1500)이 다수 개가 끝단부부터 중앙선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00) 중심에는 내부방향으로 돌출부(1600)가 형성되어, 양 파이프 끝단이 긴밀하게 상기 돌출부(1600) 측면에 가압되며 결합하여 수밀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
KR1020160136027A 2016-10-19 2016-10-19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 KR101735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027A KR101735404B1 (ko) 2016-10-19 2016-10-19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027A KR101735404B1 (ko) 2016-10-19 2016-10-19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404B1 true KR101735404B1 (ko) 2017-05-15

Family

ID=58739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027A KR101735404B1 (ko) 2016-10-19 2016-10-19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4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05506A (zh) * 2022-06-02 2022-07-05 潍坊标智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环境监测用水质采样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72B1 (ko) * 2012-02-23 2012-10-09 주식회사 퍼팩트 패킹링의 파손이 방지되는 소켓관
KR101243644B1 (ko) * 2012-09-27 2013-03-15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수밀성이 우수한 파이프 커플링용 패킹부재의 제조방법
KR101561031B1 (ko) * 2015-02-26 2015-10-26 (주)썬패치테크노 관연결부의 누설방지 및 보호장치와 관연결부의 누설방지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72B1 (ko) * 2012-02-23 2012-10-09 주식회사 퍼팩트 패킹링의 파손이 방지되는 소켓관
KR101243644B1 (ko) * 2012-09-27 2013-03-15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수밀성이 우수한 파이프 커플링용 패킹부재의 제조방법
KR101561031B1 (ko) * 2015-02-26 2015-10-26 (주)썬패치테크노 관연결부의 누설방지 및 보호장치와 관연결부의 누설방지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05506A (zh) * 2022-06-02 2022-07-05 潍坊标智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环境监测用水质采样装置
CN114705506B (zh) * 2022-06-02 2022-08-23 潍坊标智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环境监测用水质采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9334B2 (en) Pipe with integral male and female ends, a joint made using the same pipe, and processes of making the pipe and the joint
EP3470719B1 (en) Compound tube
US7503992B2 (en) Flashless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JP6666205B2 (ja) 波付複合管の製造方法
JP2006192919A (ja) 自動車用燃料タ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35404B1 (ko) 파형강관 연결부재 제조방법
TW201912368A (zh) 樹脂包覆鋼管之製造方法
EP0052017A1 (en) Channelled plastic pipe with channel ends close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486704B1 (ko) 강관 내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을 갖는 복합관과 그 제조방법 및 연결방법
JPH072382B2 (ja)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からなる中空成形体をそれと溶接可能な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からなる薄壁成形体と端面側で密に結合する方法
CA2765493C (en) Plastic pipe with bell
CN107379575B (zh) 玻纤缠绕结构壁管材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KR101407428B1 (ko) 더블 블로잉 방식을 이용한 자전거용 프레임의 성형장치
CN101863124B (zh) 一种塑料管网的焊接方法及焊接设备
JP3725419B2 (ja) プラスチック管接続端末の製造方法
KR101735402B1 (ko)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
CN114013005A (zh) 一种hdpe梯形增强肋缠绕管的制作方法
JP2002178070A (ja) 合成樹脂ライニング付金属容器の製造方法
JP5549799B2 (ja) 床暖房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1527157B1 (ko) 강관과 합성수지관이 일체화되는 복합관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관
JP2020011385A (ja) 樹脂成形品の接合方法
JP2012016847A (ja) 二重管の製造方法、及び二重管の製造装置
JPH0564583B2 (ko)
KR100701211B1 (ko) 나선형 고강도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CN109973721B (zh) 一种中空螺旋缠绕塑料软管及其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