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717B1 -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717B1
KR100749717B1 KR1020060031048A KR20060031048A KR100749717B1 KR 100749717 B1 KR100749717 B1 KR 100749717B1 KR 1020060031048 A KR1020060031048 A KR 1020060031048A KR 20060031048 A KR20060031048 A KR 20060031048A KR 100749717 B1 KR100749717 B1 KR 100749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spiral tube
synthetic resin
shap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미
Original Assignee
박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미 filed Critical 박주미
Priority to KR102006003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압출기에서 압출 성형한 후 냉각과정을 거쳐 권취드럼에 공급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드럼에서 권취하여 성형된 합성수지 나선관에 있어서, 프로파일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에는 상기 중공부를 지지하도록 + 자형 및 I 자형으로 형성된 보강대와, 사각형상, 원형상 및 삼각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의 중공을 갖도록 상기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중공의 내부에는 충진재 또는 합성수지로 채워질 수 있는 보조 중공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프로파일에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에 + 자형 및 I 자형 보강대가 형성하고,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외토압 견디는 강도를 보강하고 파손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합성수지, 나선관, 프로파일, 보강대, 보조 중공부, 충진재

Description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Corrugated plastic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6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7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8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9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을 연결하는 장치로 합성수지 나선관을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로 합성수지 나선관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
110: 프로파일 112: 중공부
114: 보강대 120: 보조 중공부
122; 충진재 130: 접착수지
본 발명은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압출기에서 압출 성형한 후 냉각과정을 거쳐 권취드럼에서 권취하여 성형된 나선관은, 프로파일에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에는 + 자형 및 I 자형 보강대를 형성하고, 상기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외토압에 견디는 강도의 보강 및 파손강도의 보강 등을 위한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나선관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는데, 대체로 가볍고 내식성이 좋으며 접합이 용이하여 많이 이용되며 굽힘에 대한 강도를 증가시키기고 관의 지름방향의 변형에 대한 버팀력 증강 및 내부 물질의 보온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합성수지 나선관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합성수지 나선관은 성형노즐을 통하여 내부에 중공을 갖는 사각형의 프로파일이 성형되는 합성수지 나선관을 사용하는 곳이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수지 나선관은 사각형의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대체로 사각 형태의 중공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강도가 크게 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상술한 종래의 합성수지 나선관의 강도가 요구치에 이르지 못하여 내부에 중공부에 I 자 형태로 보강대가 형성되도록 성형한 합성수지 나선관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중공부에 I 자 형태로 보강대가 형성된 종래의 합성수지 나선관 역시 외부의 윤압이나 하중에 견디는 강도가 미약하므로 쉽게 파손되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그러므로, 합성수지 나선관이 토압 또는 윤압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 및 그러한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조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파일에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에 + 자형 및 I 자형 보강대가 형성되어있고,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를 더 형성됨으로써, 외토압에 견디는 강도를 보강하고 파손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를 더 형성됨으로써, 합성수지 나선관이 외토압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 제조방법의 목적은, 프로파일에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에 + 자형 및 I 자형 보강대와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가 더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외토압에 견디는 강도를 보강하고 파손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 제조방법의 목적은, 상기 나선관의 양 측면을 접합 수지로 접합하되 접합된 표면에 제2 보조압출기에서 칼라 접합 수지를 공급하여 다양한 색상이 첨가된 합성수지 나선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의 목적은, 원주둘레 방향으로 테두리돌출부가 형성된 한 쌍의 나선관 연결구에 한 쌍의 나선관을 서로 맞물리게 결합하되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돌출부에 한 쌍의 클램프밴드로 체결하면 지하에 매설되는 나선관을 균일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나선관의 부식 또는 열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한 연결부분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구조와 설치가 간단하므로 시공현장에서 나선관 연결작업시 신속하게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으므로 시공시간이 절약되고 신속한 시공생산으로 비용 절감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은,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압출기에서 압출 성형한 후 냉각과정을 거쳐 권취드럼에 공급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드럼에서 권취하여 성형된 합성수지 나선관에 있어서, 프로파일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에는 상기 중공부를 지지하도록 + 자형 및 I 자형으로 형성된 보강대와, 사각형상, 원형상 및 삼각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의 중공을 갖도록 상기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중공의 내부에는 충진재 또는 합성수지로 채워질 수 있는 보조 중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 제조방법은, 압출성형기에서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프로파일로 압출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파일의 중공부에 형성되는 보강대를 + 자형 및 I 자 형상으로, 프로파일 상면으로 형성되는 보조 중공부를 사각형상, 원형상 및 삼각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 되도록 다이싱 하는 단계와, 상기 중공부에 보강대가 형성된 프로파일을 진공 사이징 탱크를 통과시켜 규격 사이즈로 사이징하는 단계와, 상기 사이징 된 프로파일을 냉각 장치로 냉각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파일의 상면을 제1 압착 롤러로 압착하는 단계와, 상기 냉각 장치에서 냉각된 프로파일을 권취드럼에서 나선형 나선관으로 권취하는 단계와, 상기 권취드럼에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상기 나선관의 사이로 제1 보조압출기에서 접합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권취되는 나선관의 양 측면을 접합하는 단계와, 접합 수지 표면에 제2 보조압출기에서 칼라 접합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나선관에 색상을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나선형으로 접합 된 나선관의 상면을 제2 압착 롤러로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나선형으로 성형된 나선관을 컷팅기로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는, 중공부에는 사각 프로파일을 지지하는 + 자형 및 I 자형으로 보강대가 형성되도록 성형된 사각 프로파일이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이루어진 제1 나선관과 제2 나선관과, 외측의 원 주둘레에는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제1 테두리돌출부와, 내측의 원주둘레에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제1 나선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나선관 연결구와, 외측의 원주둘레에는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제2 테두리돌출부와, 내측의 원주둘레에는 돌출홈이 형성되어 제2 나선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나선관 연결구와, 상기 제1 나선관와 제1 나선관 연결구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나선관와 제1 나선관 연결구가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나선관 연결구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홈과 상기 제2 나선관 연결홈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홈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링과, 상기 제1 나선관과 제1 나선관 연결구가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나선관 연결구에 외측 원주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테두리돌출부에 결합되는 제1 클램프 밴드 및 상기 제2 나선관과 제2 나선관 연결구가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나선관 연결구에 외측 원주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테두리돌출부에 결합되는 제2 클램프 밴드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클램프 밴드와 제2 클램프 밴드는, 길이방향 외측의 양 측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길이방향 끝단이 '『' 형태로 형성된 반원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의 중앙으로 단면이 'ㄷ' 형태인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플랜지부가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클램프 몸체 및 길이방향 외측의 양 측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길이방향 끝단이 '』' 형태로 형성된 반원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의 중앙으로 단면이 'ㄷ' 형태인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플랜지부가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클램프 몸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는, 상기 제1 클램프 몸체부와 상기 제2 클램프 몸체부의 길이방향 끝단이 '『』' 형태로 체결하되, 상기 '『』' 형태로 체결되는 부분의 양 측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와 너트로 조여 체결하면, 제1 클램프 밴드와 제2 클램프 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클램프 밴드를 제1 나선관과 제1 나선관 연결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나선관 연결구에 형성된 제1 테두리돌출부에 체결하고, 상기 제2 클램프 밴드를 제2 나선관과 제2 나선관 연결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나선관 연결구에 형성된 제2 테두리돌출부에 체결한 후, 상기 제1 클램프 밴드와 제2 클램프 밴드의 양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공에 볼트와 너트를 조여 체결함으로써, 제1 나선관과 제2 나선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은, 프로파일(110)이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프로파일(110)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 형태의 중공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중공부(112)에는 프로파일(110)을 지지하는 + 자 형태의 보강대(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강대(114)는 프로파일(1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112)에 형성되는데, 프로파일(11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 자형 보강대(114)와 프로파일(11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프로파일(110)의 상면에는 외측 원주둘레의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태의 보조 중공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 중공부(120)의 형태는 사각 형상뿐만 아니라 원형상 또는 삼각형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보조 중공부(120)의 형상은 사각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로파일(110)의 상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120)를 프로파일(110)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내압 강도와 외압 강도를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은, 프로파일(110)이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프로파일(110)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 형태의 중공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중공부(112)는 프로파일(110)을 지지하는 I 자형 보강대(114)가 더 형 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대(114)가 형성되지 않도록 프로파일(1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파일(110)의 상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외측 원주둘레의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사각형태의 보조 중공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I 자형 보강대(114)의 윤압이나 하중에 견디는 강도가 미약한 점을 보조 중공부(120)를 더 형성함으로써, 이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로파일(110)들은 접합수지(130)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프로파일(110)의 상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120)를 프로파일(110)과 일체로 형성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내압에 대한 강도와 외압에 대한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6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은, 프로파일(110)이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프로파일(110)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 형태의 중공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중공부(112)에는 프로파일(110)을 지지하는 보강대(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강대(114)는 프로파일(1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112)를 지지하는데 + 자형 또는 I 자형 보강대(114)가 프로파일(110)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내압에 대한 강도와 내압에 대한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대(114)가 형성되지 않도록 프로파일(1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파일(110)의 상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외측 원주둘레의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사각형태의 보조 중공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 중공부(120)의 중공에는 충진재(122)를 첨가할 수 있는데, 충진재(122)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흡수작용이 뛰어난 재료를 사용한다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중공부(120)의 형태는 사각 형상뿐만 아니라 원형상 또는 삼각형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보조 중공부(120)의 형상은 사각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보강대(114)가 프로파일(110)에 형성되지 아니하더라도 윤압이나 하중에 견디는 강도가 미약한 점을 보조 중공부(120)를 더 형성함으로써, 이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로파일(110)들은 접합수지(130)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프로파일(110)의 상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120)의 내부에 는 충진재를(122)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내압에 대한 강도와 외압에 대한 강도를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7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8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9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은, 프로파일(110)이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프로파일(110)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 형태의 중공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중공부(112)는 중공부(112)를 지지하는 보강대(11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강대(114)는 프로파일(1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112)를 지지하는데, + 자형 또는 I 자형 보강대(114)가 프로파일(110)과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대(114)가 형성되지 않도록 프로파일(110)을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파일(110)의 상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외측 원주둘레의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사각형태의 보조 중공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보강대(114)는 프로파일(1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112)를 지지하는데, + 자형 또는 I자형 보강대(114)가 프로파일(110)과 일체형으로 성형하 되, 보조 중공부(120)도 프로파일(110)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 중공부(1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데 보조 중공부(120)의 내부에는 합성수지로만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프로파일(110)들은 접합수지(130)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중공부(120)의 형태는 사각 형상뿐만 아니라 원형상 또는 삼각형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보조 중공부(120)의 형상은 사각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프로파일(110)의 중공부(120)의 중공 내부로는 충진재(122)를 첨가할 수 있는데, 충진재(122)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로파일(110)의 중공부(120)의 중공 내부로 충진재(122)를 첨가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보강대(114)가 프로파일(110)에 형성되지 아니하더라도 윤압이나 하중에 견디는 강도가 미약한 점을 보조 중공부(120)를 더 형성함으로써, 이를 보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외압에 대한 강도와 내압에 대한 강도를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합성수지가 공급되어 용융되는 제1 압출성형기(201)와 제2 압출성형기(202)는 합성수지로 압출 성형된 사각형태의 프로파일(110)을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다이스(203)로 공급한다.
이때, 다이스(203)는 + 자형 또는 I자형 보강대(114)와 보조 중공부(120)가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된 금형에 의해 압출 성형된다.
또한, 다이스(203)는 보강대(114) 또는 보조 중공부(120)를 사각, 원 및 삼각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다이싱 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어서, 다이스(203)에서 압출 성형 된 프로파일(110)은 진공 사이징 탱크(204)를 통해 규격 사이즈(Size)로 사이징 되는데 진공 사이징 탱크(204)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진공 사이징 탱크(204)에서는 규격 사이즈로 진공 사이징 된 프로파일(110)을 냉각장치(205)로 공급한다.
냉각장치(205)는 진공 사이징 된 프로파일(110)을 냉각과정을 통하여 프로파일(110)에 형성된 + 자형 또는 I 자형 보강대(114)의 성형상태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냉각장치(205)를 통해 냉각된 프로파일(110)은 제1 압착롤러(206)에 의해 압착되는데, 제1 압착롤러(206)는 프로파일(110)이 권취드럼(207)에 의해 권취 될 때, 프로파일(110)의 상면을 강하게 압착하여 프로파일(110)이 권취드럼(207)의 외주면에 평활하게 권취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권취드럼(207)에 권취되는 프로파일(110)의 사이로 제1 보조압출기(208)에서 용융된 접착수지가 공급됨과 동시에 제2 압착롤러(210)는 권취드럼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프로파일(110)의 상면을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압착롤러(210)는 권취드럼(207)에서 권취되는 프로파일(110)의 상면을 강하게 압착하는데, 프로파일(11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보조 중공부(120)의 사이의 표면을 강하게 압착하여 외주면이 평활한 나선관이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압착롤러(206)에 의해 압착되는 프로파일(110)과 권취드럼에서 권취되는 프로파일(110)의 사이로 제1 보조압출기(208)에서 접착수지가 공급됨으로써, 나선관이 성형되는데, 제2 보조압출기(209)는 접착수지(130)가 공급된 부분에 칼라수지를 더 공급하여 접착수지(130) 표면에 색상을 첨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렇게 성형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은 컷팅기(211)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이 성형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을 연결하는 장치로 합성수지 나선관을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로 합성수지 나선관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을 연결하는 연결장치(300)는, 제1 나선관(310a)과 제2 나선관(310b)은 중공부(112)에는 사각형태의 프로파일(110)을 지지하는 보강대(114)가 형성되어 양 측면이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나선관(310a)의 일측으로 제1 나선관 연결구(320a)가 결합되고 제2 나선관(310b)의 일측으로는 제2 나선관 연결구(320b)가 결합된다.
즉, 제1 나선관 연결구(320a)는 외측의 원주둘레의 둘레방향으로 제1 테두리돌출부(322a)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개방된 양 측면 중 일측의 내측 원주 둘레의 둘레방향에는 연결홈(3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나선관(310a)은 연결홈(324)이 있는 반대 방향으로 결합되고, 연결홈(324)에는 후술할 제2 나선관 연결구(320b)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홈(326)이 연결홈(324)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나선관 연결구(320b)는 외측의 원주둘레 둘레방향으로 제2 테두리돌출부(322b)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개방된 측면의 내측 원주 둘레의 둘레방향으로 돌출홈(3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2 나선관(310b)은 돌출홈(326)이 있는 반대 방향으로 결합되고, 돌출홈(326)에는 상술한 제1 나선관 연결구(320a)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홈(324)이 돌출홈(326)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이어서, 제1 나선관(310a)과 제1 나선관 연결구(320a)를 서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나선관(310b)과 제2 나선관 연결구(320b)를 서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나선관 연결구(320a)에 형성된 연결홈(324)과 제2 나선관 연결구(320b)에 형성된 돌출홈(326) 사이로 결합링(330)을 배치한 상태에서 제1 나선관 연결구(320a)와 제2 나선관 연결구(320b)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링(330)은 탄성이 좋은 합성수지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나선관 연결구(320a)와 제2 나선관 연결구(320b)가 결합했을 때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제1 나선관(310a)과 제2 나선관(310b)이 결합되어 있는 제1 나선관 연결구(320a)와 제2 나선관 연결구(320b)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나선관 연결구(320a)와 제2 나선관 연결구(320b)의 외측의 원주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테두리돌출부(322a)에 제1 클램프 밴드(340a)가 결합되고, 제2 테두리돌출부(322b)에는 제2 클램프 밴드(340b)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클램프 밴드(340a)와 제2 클램프 밴드(340b)는, 제1 클램프 몸체(341a)와 제2 클램프 몸체(341b)로 이루어진다.
제1 클램프 몸체(341a)는 길이방향 외측의 양 측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공(3420a, 342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길이방향 끝단이 '『' 형태인 반원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내주면의 중앙으로 단면이 'ㄷ' 형태인 제1 가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제1 가이드 홈(미도시)의 길이방향의 일측 끝단에는 중앙부에 체결공(3460a, 3460b)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태의 제1 플랜지부(346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클램프 몸체(341b)는, 길이방향 외측의 양 측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공(3420a, 342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길이방향 끝단이 '』' 형태인 반원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내주면의 중앙으로 단면이 'ㄷ' 형태인 제2 가이드 홈(342b)이 형성되어 있고, 제2 가이드 홈(342b)의 길이방향의 일측 끝단에는 중앙부에 체결공(3420a, 3420b)을 형성한 사각형태의 제2 플랜지부(346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플랜지(346a)와 제2 플랜지(3460b)의 타측에는 제1 클램프 몸체(341a)와 제2 클램프 몸체(341b)가 '『』' 형태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1 플랜지(346a)와 타측의 길이방향 끝단에는 '『'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2 플랜지(3460b)의 타측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는 '』'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플랜지(346a)와 타측의 길이방향 끝단에는 '『'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제2 플랜지(3460b)의 타측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는 '』'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서로 '『』' 형태로 맞물리게 체결한 후,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미도시)에 통상의 볼트와 너트로 조여 체결하면 제1 클램프 몸체(341a)와 제2 클램프 몸체(341b)는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1 클램프 밴드(340a)와 제2 클램프 밴드(340b)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클램프 밴드(340a)와 제2 클램프 밴드(340b)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1 클램프 몸체(341a)와 제2 클램프 몸체(341b)를 일정간격 벌려 제1 나선관 연결구(320a)의 원주 둘레에 형성된 제1 테두리돌출부(322a)에 결합되고, 제2 나선관 연결구(320b)의 원주 둘레에 형성된 제2 테두리돌출부(322b)에 제2 클램프 밴드(340b)가 결합된다.
이때, 반원형의 제1 클램프 몸체(341a)와 제2 클램프 몸체(341b)에 일측에 형성된 제1 플랜지(346a)와 제2 플랜지(3460b)를 볼트와 너트로 조여이면 제1 클램프 밴드(340a)는 제1 나선관 연결구(320a)에 결합되고 제2 클램프 몸체(340b)는 제2 나선관 연결구(320b)에 서로 결합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346a)와 제2 플랜지(3460b)에 통상의 볼트와 너트로 조여 체결한 후, 제1 클램프 몸체(341a)와 제2 클램프 몸체(341b)에 길이방향 외측의 양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체결공(3420a, 3420b)에 볼트와 너트로 조여 체결함으로써, 제1 나선관(310a)과 제2 나선관(310b)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파일에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에 + 자형 및 I 자형 보강대가 형성되어있고,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외토압에 견디는 강도를 보강하고 파손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 나선관이 외토압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 제조방법은, 프로파일에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에 + 자형 및 I 자형 보강대와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가 더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외토압에 견디는 강도를 보강하고 파손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 제조방법은, 상기 나선관의 양 측면을 접합 수지로 접합하되 접합된 표면에 제2 보조압출기에서 칼라 접합 수지를 공급하여 다양한 색상이 첨가된 합성수지 나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는, 원주둘레 방향으로 테두리돌출부가 형성된 한 쌍의 나선관 연결구에 한 쌍의 나선관을 서로 맞물리게 결합하되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돌출부에 한 쌍의 클램프밴드로 체결하면 지하에 매설되는 나선관을 균일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나선관의 부식 또는 열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한 연결부분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구조와 설치가 간단하므로 시공현장에서 나선관 연결작업시 신속하게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으므로 시공시간이 절약되고 신속한 시공생산으로 비용 절감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압출기에서 압출 성형한 후 냉각과정을 거쳐 권취드럼에 공급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드럼에서 권취하여 성형된 합성수지 나선관에 있어서,
    프로파일(11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112)에는 + 자형 또는 I 자형으로 형성된 보강대(114); 및
    사각형상, 원형상 및 삼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의 중공을 갖도록 상기 프로파일(110)의 외측 상면의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내부에는 충진재(122) 또는 합성수지로 채워질 수 있는 보조 중공부(120); 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나선관.
  2. 압출성형기(201, 202)에서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프로파일(110)로 압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파일(110)의 중공부(112)에 형성되는 보강대(114)를 + 자형 또는 I 자 형상으로, 프로파일(110) 상면으로 형성되는 보조 중공부(120)를 사각형상, 원형상 및 삼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 되도록 다이싱(203) 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112)에 보강대(114)가 형성된 프로파일(110)을 진공 사이징 탱크(204)를 통과시켜 규격 사이즈로 사이징하는 단계;
    상기 사이징 된 프로파일(110)을 냉각 장치(205)로 냉각하는 단계;
    상기 프로파일(110)의 상면을 제1 압착 롤러(206)로 압착하는 단계;
    상기 냉각 장치(205)에서 냉각된 프로파일(110)을 권취드럼(207)에서 나선형 나선관으로 권취 하는 단계;
    상기 권취드럼(207)에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상기 나선관(100)의 사이로 제1 보조압출기(208)에서 접합 수지(130)를 공급하여 상기 권취되는 나선관(100)의 양 측면을 접합하는 단계;
    접합 수지(130) 표면에 제2 보조압출기(209)에서 칼라 접합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나선관(100)에 색상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나선형으로 접합 된 나선관(100)의 상면을 제2 압착 롤러(210)로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나선형으로 성형된 나선관(100)을 컷팅기(211)로 컷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나선관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60031048A 2006-04-05 2006-04-05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49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048A KR100749717B1 (ko) 2006-04-05 2006-04-05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048A KR100749717B1 (ko) 2006-04-05 2006-04-05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067U Division KR200423965Y1 (ko) 2006-04-05 2006-04-05 합성수지 나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717B1 true KR100749717B1 (ko) 2007-08-21

Family

ID=3861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048A KR100749717B1 (ko) 2006-04-05 2006-04-05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71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5596A (zh) * 2012-01-20 2012-10-03 浙江双林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中空波纹管及制作方法
CN103511765A (zh) * 2013-09-22 2014-01-15 江苏百安居管业有限公司 一种中空壁塑钢缠绕排水管材及其制造方法
KR101511983B1 (ko) 2014-12-18 2015-04-14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프로파일의 빈 공간을 순차적으로 막는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제조장치
KR101651989B1 (ko) 2015-11-16 2016-08-30 주식회사 대경산업 풀림 방지용 날개부가 형성된 나선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966299B1 (ko) 2018-10-30 2019-04-05 박주미 합성수지 나선관과 그 제조방법
KR102418754B1 (ko) * 2022-03-02 2022-07-08 (주)동원프라스틱 풀림이 방지되고 강성이 향상되며 연결구가 일체화된 친환경 폴리에틸렌관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776Y1 (ko) 2003-10-23 2004-01-24 (주)명성화학 내/외압 강도를 향상시키는 합성수지관
KR20040014621A (ko) * 2004-01-19 2004-02-14 김학건 소경관 일체형 다중 합성수지관
KR200389566Y1 (ko) 2005-04-13 2005-07-14 (주)이아이씨 다중관 제조장치
KR100550062B1 (ko) 2002-11-19 2006-02-16 (주)백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및 도로와 같은 토목공사에서 지중 매설되는 암거배수로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062B1 (ko) 2002-11-19 2006-02-16 (주)백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및 도로와 같은 토목공사에서 지중 매설되는 암거배수로관
KR200339776Y1 (ko) 2003-10-23 2004-01-24 (주)명성화학 내/외압 강도를 향상시키는 합성수지관
KR20040014621A (ko) * 2004-01-19 2004-02-14 김학건 소경관 일체형 다중 합성수지관
KR200389566Y1 (ko) 2005-04-13 2005-07-14 (주)이아이씨 다중관 제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5596A (zh) * 2012-01-20 2012-10-03 浙江双林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中空波纹管及制作方法
CN102705596B (zh) * 2012-01-20 2015-12-16 浙江双林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中空波纹管及制作方法
CN103511765A (zh) * 2013-09-22 2014-01-15 江苏百安居管业有限公司 一种中空壁塑钢缠绕排水管材及其制造方法
KR101511983B1 (ko) 2014-12-18 2015-04-14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프로파일의 빈 공간을 순차적으로 막는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제조장치
KR101651989B1 (ko) 2015-11-16 2016-08-30 주식회사 대경산업 풀림 방지용 날개부가 형성된 나선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966299B1 (ko) 2018-10-30 2019-04-05 박주미 합성수지 나선관과 그 제조방법
KR102418754B1 (ko) * 2022-03-02 2022-07-08 (주)동원프라스틱 풀림이 방지되고 강성이 향상되며 연결구가 일체화된 친환경 폴리에틸렌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0554B1 (ko) 고강도 구조 합성수지 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49717B1 (ko)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96372A (ko) 파형 합성수지관의 접속구조 및 상기 접속구조에 사용하는 파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612924B1 (ko)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CN109140059B (zh) 中空壁管材及其制造方法
US20050106347A1 (en) Interlocked strip structure
KR101117243B1 (ko)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101110240B1 (ko) 플랜지형 합성수지 파형관
KR200365608Y1 (ko) 합성수지관의 구조
KR101094779B1 (ko) 복합 단면 구조를 이루는 코러게이트 합성 수지관 성형장치
CN2882985Y (zh) 金属增强塑料带材及由其制造的金属增强塑料排水管
CN215215130U (zh) 一种内外双承压多孔骨架复合增强管
KR101627772B1 (ko)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
CN110630828A (zh) 一种中空壁多孔加筋缠绕波纹管
KR101966299B1 (ko) 합성수지 나선관과 그 제조방법
KR101618778B1 (ko)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의 제조방법
CN209991020U (zh) 异形带材及缠绕型内肋波纹管及其生产的专用装置
KR100537088B1 (ko) 강도를 향상시킨 이중벽 하수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932022B1 (ko) 내, 외경 보강용 복층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KR200423965Y1 (ko) 합성수지 나선관
KR101735402B1 (ko)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
KR101132239B1 (ko)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CN210716346U (zh) 一种带有支撑筋的多孔加筋缠绕波纹管
KR101090302B1 (ko) 원료 절약형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CN215568540U (zh) 一种克拉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