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965Y1 - 합성수지 나선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나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965Y1
KR200423965Y1 KR2020060009067U KR20060009067U KR200423965Y1 KR 200423965 Y1 KR200423965 Y1 KR 200423965Y1 KR 2020060009067 U KR2020060009067 U KR 2020060009067U KR 20060009067 U KR20060009067 U KR 20060009067U KR 200423965 Y1 KR200423965 Y1 KR 200423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synthetic resin
hollow
spiral tub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미
Original Assignee
박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미 filed Critical 박주미
Priority to KR2020060009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9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9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9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flattening, fold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 나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압출기에서 압출 성형한 후 냉각과정을 거쳐 권취드럼에 공급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드럼에서 권취하여 성형된 합성수지 나선관에 있어서, 프로파일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에는 상기 중공부를 지지하도록 + 자형 또는 I 자형으로 형성된 보강대와, 사각형상의 형상의 중공을 갖도록 상기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중공의 내부에는 충진재 또는 합성수지로 채워질 수 있는 보조 중공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나선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프로파일에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에 + 자형 또는 I 자형 보강대가 형성하고,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외토압 견디는 강도를 보강하고 파손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
합성수지, 나선관, 프로파일, 보강대, 보조 중공부, 충진재

Description

합성수지 나선관{Corrugated plastic pip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6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7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8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9 실시예의 단면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
110: 프로파일 112: 중공부
114: 보강대 120: 보조 중공부
122; 충진재 130: 접착수지
본 고안은 합성수지 나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압출기에서 압출 성형한 후 냉각과정을 거쳐 권취드럼에서 권취하여 성형된 나선관은, 프로파일에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에는 + 자형 또는 I 자형 보강대를 형성하고, 상기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외토압에 견디는 강도의 보강 및 파손강도의 보강 등을 위한 합성수지 나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나선관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는데, 대체로 가볍고 내식성이 좋으며 접합이 용이하여 많이 이용되며 굽힘에 대한 강도를 증가시키기고 관의 지름방향의 변형에 대한 버팀력 증강 및 내부 물질의 보온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합성수지 나선관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합성수지 나선관은 성형노즐을 통하여 내부에 중공을 갖는 사각형의 프로파일이 성형되는 합성수지 나선관을 사용하는 곳이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수지 나선관은 사각형의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대체로 사각 형태의 중공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강도가 크게 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상술한 종래의 합성수지 나선관의 강도가 요구치에 이르지 못하여 내부에 중공부에 I 자 형태로 보강대가 형성되도록 성형한 합성수지 나선관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중공부에 I 자 형태로 보강대가 형성된 종래의 합성수지 나선관 역시 외부의 윤압이나 하중에 견디는 강도가 미약하므로 쉽게 파손되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그러므로, 합성수지 나선관이 토압 또는 윤압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로파일에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에 + 자형 또는 I 자형 보강대가 형성되어있고,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를 더 형성됨으로써, 외토압에 견디는 강도를 보강하고 파손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를 더 형성됨으로써, 합성수지 나선관이 외토압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은,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압출기에서 압출 성형한 후 냉각과정을 거쳐 권취드럼에 공급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드럼에서 권취하여 성형된 합성수지 나선관에 있어서, 프로파일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에는 상기 중공부를 지지하도록 + 자형 또는 I 자형으로 형성된 보강대와, 사각형상의 중공을 갖도록 상기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중공의 내부에는 충진재 또는 합성수지로 채워질 수 있는 보조 중공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은, 프로파일(110)이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프로파일(110)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 형태의 중공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중공부(112)에는 프로파일(110)을 지지하는 + 자 형태의 보강대(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강대(114)는 프로파일(1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112)에 형성되는데, 프로파일(11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 자형 보강대(114)와 프로파일(11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프로파일(110)의 상면에는 외측 원주둘레의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태의 보조 중공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 중공부(120)의 형태는 사각 형상뿐만 아니라 원형상 또는 삼각형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보조 중공부(120)의 형상은 사각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로파일(110)의 상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120)를 프로파일(110)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내압 강도와 외압 강도를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은, 프로파일(110)이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프로파일(110)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 형태의 중공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중공부(112)는 프로파일(110)을 지지하는 I 자형 보강대(114)가 더 형 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대(114)가 형성되지 않도록 프로파일(1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파일(110)의 상면에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외측 원주둘레의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사각형태의 보조 중공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I 자형 보강대(114)의 윤압이나 하중에 견디는 강도가 미약한 점을 보조 중공부(120)를 더 형성함으로써, 이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로파일(110)들은 접합수지(130)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프로파일(110)의 상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120)를 프로파일(110)과 일체로 형성하여도,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내압에 대한 강도와 외압에 대한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6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은, 프로파일(110)이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프로파일(110)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 형태의 중공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중공부(112)에는 프로파일(110)을 지지하는 보강대(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강대(114)는 프로파일(1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112)를 지지하는데 + 자형 또는 I 자형 보강대(114)가 프로파일(110)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내압에 대한 강도와 내압에 대한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대(114)가 형성되지 않도록 프로파일(1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파일(110)의 상면에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외측 원주둘레의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사각형태의 보조 중공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 중공부(120)의 중공에는 충진재(122)를 첨가할 수 있는데, 충진재(122)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흡수작용이 뛰어난 재료를 사용한다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중공부(120)의 형태는 사각 형상뿐만 아니라 원형상 또는 삼각형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보조 중공부(120)의 형상은 사각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보강대(114)가 프로파일(110)에 형성되지 아니하더라도 윤압이나 하중에 견디는 강도가 미약한 점을 보조 중공부(120)를 더 형성함으로써, 이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로파일(110)들은 접합수지(130)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프로파일(110)의 상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120)의 내부에 는 충진재를(122) 첨가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내압에 대한 강도와 외압에 대한 강도를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7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8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9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은, 프로파일(110)이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프로파일(110)의 중앙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 형태의 중공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중공부(112)는 중공부(112)를 지지하는 보강대(11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강대(114)는 프로파일(1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112)를 지지하는데, + 자형 또는 I 자형 보강대(114)가 프로파일(110)과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대(114)가 형성되지 않도록 프로파일(110)을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파일(110)의 상면에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외측 원주둘레의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사각형태의 보조 중공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보강대(114)는 프로파일(1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112)를 지지하는데, + 자형 또는 I자형 보강대(114)가 프로파일(110)과 일체형으로 성형하 되, 보조 중공부(120)도 프로파일(110)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 중공부(1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데 보조 중공부(120)의 내부에는 합성수지로만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프로파일(110)들은 접합수지(130)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중공부(120)의 형태는 사각 형상뿐만 아니라 원형상 또는 삼각형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보조 중공부(120)의 형상은 사각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프로파일(110)의 중공부(120)의 중공 내부로는 충진재(122)를 첨가할 수 있는데, 충진재(122)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로파일(110)의 중공부(120)의 중공 내부로 충진재(122)를 첨가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보강대(114)가 프로파일(110)에 형성되지 아니하더라도 윤압이나 하중에 견디는 강도가 미약한 점을 보조 중공부(120)를 더 형성함으로써, 이를 보완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나선관(100)의 외압에 대한 강도와 내압에 대한 강도를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프로파일에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에 + 자형 또는 I 자형 보강대가 형성되어있고,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외토압에 견디는 강도를 보강하고 파손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프로파일 외측 상면으로 돌출된 보조 중공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 나선관이 외토압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나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Claims (5)

  1.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압출기에서 압출 성형한 후 냉각과정을 거쳐 권취드럼에 공급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드럼에서 권취하여 성형된 합성수지 나선관에 있어서,
    프로파일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에는 + 자형 또는 I 자형으로 형성된 보강대; 및
    사각형상의 형상의 중공을 갖도록 상기 프로파일의 외측 상면의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내부에는 충진재 또는 합성수지로 채워질 수 있는 보조 중공부; 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나선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060009067U 2006-04-05 2006-04-05 합성수지 나선관 KR200423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067U KR200423965Y1 (ko) 2006-04-05 2006-04-05 합성수지 나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067U KR200423965Y1 (ko) 2006-04-05 2006-04-05 합성수지 나선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048A Division KR100749717B1 (ko) 2006-04-05 2006-04-05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965Y1 true KR200423965Y1 (ko) 2006-08-14

Family

ID=4177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067U KR200423965Y1 (ko) 2006-04-05 2006-04-05 합성수지 나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9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9568B2 (en) 2019-01-04 2024-01-23 Canadian Pressure Control Inc. Pipeline-leak-containment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9568B2 (en) 2019-01-04 2024-01-23 Canadian Pressure Control Inc. Pipeline-leak-containmen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15769A (zh) 双层桁架双色复合管
KR100749717B1 (ko)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23965Y1 (ko) 합성수지 나선관
KR101160052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KR101160647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CN107269951A (zh) 多肋增强复合中空缠绕管及排水管道
KR20070102975A (ko) 강도가 향상된 합성수지 다중벽관
WO2012042666A1 (ja) 継手付き合成樹脂管およびその接続構造
CN104390074A (zh) 加强克拉管
AU2011208600A1 (en) Hollow profil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pipe
CN204176172U (zh) 加强克拉管
CN215908581U (zh) 无缝双腔增强塑料排水管
KR200426531Y1 (ko)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
CN203309383U (zh) 加强型克拉管
CN206846107U (zh) 埋地式pvc改性三层结构实壁排水管
CN207034432U (zh) 多肋增强复合中空缠绕管及排水管道
CN206310106U (zh) 内肋增强聚乙烯pe螺旋波纹管及其带材
CN204692799U (zh) 一种具有聚丙烯加强筋的缠绕增强管
CN210716346U (zh) 一种带有支撑筋的多孔加筋缠绕波纹管
CN205026360U (zh) 改良型用于制造内肋增强外波纹型塑料缠绕结构壁管材的带材
CN205048009U (zh) 一种钢塑复合增强螺旋双波管
CN219866927U (zh) 一种嵌入型增强聚乙烯缠绕复合管
RU2005129718A (ru) Полный профиль, используемый при изготовлении трубы
KR100603812B1 (ko) 파이프
CN212430020U (zh) Hdpe双塑双复合缠绕增强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