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531Y1 -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 - Google Patents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531Y1
KR200426531Y1 KR2020060017041U KR20060017041U KR200426531Y1 KR 200426531 Y1 KR200426531 Y1 KR 200426531Y1 KR 2020060017041 U KR2020060017041 U KR 2020060017041U KR 20060017041 U KR20060017041 U KR 20060017041U KR 200426531 Y1 KR200426531 Y1 KR 200426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small
porous
small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폴리텍
Priority to KR2020060017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5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5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개시된 다공관은 사각 중공관이 밀착, 권취되어 이중으로 형성되는 관에 있어서, 상기 사각 중공관은 내부에 소형 보강관이 더 내장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은 연속되는 사각의 중공관 내에 적어도 4개 이상의 소형 보강관을 더 내장하여 구성함으로써 깨짐과 부러짐이 방지되는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여 상품가치를 한 차원 높이게 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다공관, 소형 보강관, 수지, 중공부

Description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 {MULTI-HOLE PIPE }
도 1은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다공관
21:사각 중공관
22:소형 중공관
본 고안은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되는 사각의 중공관 내에 적어도 4개 이상의 소형 보강관을 더 내장되어 구성됨으로써 깨짐과 부러짐이 방지되면서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여 상품가치를 한 차원 높이는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벽과 내벽으로 분리되는 격벽 구성을 가지는 이중관은 외벽과 내벽이 상호 연결되면서 평행하게 또는 스파이럴 형상으로 성형된 관체로서, 농수 로, 하수관로, 배수관로, 매입관로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통상 폴리에틸렌 수지와 같은 비교적 저렴한 재료로 일관되게 성형되고, 내식성이 우수하여 장기간의 매설 사용시에도 누수가 없는 장점이 있다.
대개 이중관은 폴리에틸렌수지를 적절히 배합한 후 압출 성형하면서 사이징(sizing)이 설치된 진공 냉각조에서 사각형상의 금형을 통과시켜 공간부를 갖도록 한 압출봉을 형성하고, 이어 이 압출봉을 와인더기에 부착된 몰딩 롤러에 권취시키면서 와인딩 함과 동시에 사이드압출기를 통해 압출된 수지로 봉과 봉 사이를 접착하여 성형 냉각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상의 관을 구성하는 내, 외벽 사이 중공부는 공기가 함입된 부분으로 대략 사각형상을 갖도록 하여 단면계수(sectional coefficient)를 증대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이중관(2)은 단일벽으로 이루어진 관의 외면에 원형 또는 다각형의 중공(11)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재(12)가 일정 간격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중관은 경량이면서도 내식성이 높아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압축강도가 낮아 일정깊이 이상 매설할 경우 토압(土壓)에 대한 내구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그 사용상 제한이 따르게 되고, 수중 매설시에는 부압(浮壓)에 의하여 일정한 위치에 매설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속되는 사각의 중공관 내에 4개의 소형 보강관을 더 내장하여 구성함으로써 깨짐과 부러짐이 방지되면서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여 상품가치를 한 차원 높이게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각 중공관이 밀착, 권취되어 이중으로 형성되는 관에 있어서,
상기 사각 중공관은 내부에 소형 보강관이 더 내장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소형 보강관은 4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형 보강관은 관의 수지재 보다 강성이 강한 폴리프로필렌, 고강성의 특성을 가진 것 또는 혼합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20)은 사각 중공관(21)이 밀착, 권취되어 형성되고, 상기 사각 중공관(21) 내부에 소형 보강관(22)이 더 내장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소형 보강관(22)은 사각 중공관(21)내에 적어도 4개 이상 내장된다.
상기 소형 보강관(22)은 사각 중공관(21)으로, 수지재의 관보다 강성이 강한 폴리프로필렌, 고강성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 소형 보강관(22)은 재활용 자재, 유리섬유, 회분등을 첨가한 원료를 이용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각 중공관(21)에 소형 보강관(22)이 내장됨에 따라 높은 강성에 따른 깨짐과, 부러짐이 외부 사각중공관(21)이 이를 지지하므로 방지되어 내구성을 높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사각 중공관(21) 내에 4개의 소형 보강관(22)이 내장된 다공관(20)을 형성함으로써, 강성 증대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4개의 소형 보강관(22)은 폴리에틸렌 수지보다 강성이 우수한 PP, 사출용 PE를 재질로 제작되어 다공관(20)을 형성한 사각 중공관(21)내에 내장된다.
따라서 사각 중공관(21)과 내장된 4개의 소형 보강관(22)에 의하여 다공관(20)이 사출 성형 제작함으로써 강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다공관(20)에서 사각 중공관(21) 내벽과 소형 보강관(22) 간의 접착과 소형 보강관(22) 간의 접착되어 제조됨에 따라 내구성의 향상이 종래의 사각 중공관(21)만으로 형성되던 경우보다 증대되어 질 높은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사각 중공관 내에 적어도 4개 이상의 소형 보강관이 구비되어 제조됨으로써 강성이 증대된 다공관(20)의 높은 활용도와 상품가치가 향상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중공관의 강성 취약성을 향상시켜 내구성, 유연성 등의 면에서 다공관이 가지는 본래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면서도 제조와 시공시 파손율이 적고, 계절변화에 따른 압축. 이완이 반복되어도 쉽게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 는 효과가 있다.
폴리에틸렌 수지보다 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고강성 폴리에틸렌, 또는 재활용 자재, 유리섬유 등을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강성이 증대된 다공관을 제조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공관의 사각 중공관 내에 소형 보강관이 적어도 4개 이상을 내장함으로써, 강성을 높이게 되고, 폴리에틸렌수지로 내,외벽이 형성되는 관은 강성에 따른 깨짐이나, 부러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각 중공관이 밀착, 권취되어 이중으로 형성되는 관에 있어서,
    상기 사각 중공관은 내부에 소형 보강관이 더 내장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형 보강관은 4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형 보강관은 폴리프로필렌, 고강성사출용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
KR2020060017041U 2006-06-23 2006-06-23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 KR200426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41U KR200426531Y1 (ko) 2006-06-23 2006-06-23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41U KR200426531Y1 (ko) 2006-06-23 2006-06-23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857 Division 2006-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531Y1 true KR200426531Y1 (ko) 2006-09-19

Family

ID=4177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041U KR200426531Y1 (ko) 2006-06-23 2006-06-23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5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170B1 (ko) 2008-02-29 2010-02-10 이두기 강도를 향상시킨 합성수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170B1 (ko) 2008-02-29 2010-02-10 이두기 강도를 향상시킨 합성수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6531Y1 (ko)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
CN205190987U (zh) 一种聚丙烯波纹管
CN104482319A (zh) 一种保温塑料管
CN102182882A (zh) 一种高环刚度结构壁管材及成型方法
CN2883851Y (zh) 聚乙烯缠绕结构壁管材
KR101160052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JP5202768B2 (ja) 継手付き合成樹脂管およびその接続構造
KR100780674B1 (ko) 유리섬유 강화 합성수지 이중벽관
KR20080017158A (ko) 합성수지관의 이중 삼각형 보강구조 및 그 제조방법
CN101462363A (zh) 一种管接头的制造方法及其制造的产品
CN203309384U (zh) 加强型中空壁缠绕管
KR101090296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CN208831908U (zh) 一种双壁加强筋管及管路
CN204328240U (zh) 一种加强型保温塑料管结构
KR101111447B1 (ko)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
KR101102299B1 (ko) 유리섬유 피복관
CN103672214B (zh) 一种玻璃钢衬塑管及其生产方法
CN207796300U (zh) 一种玻璃钢复合顶管
KR200307459Y1 (ko) 토목용 합성수지관
CN203847849U (zh) 一种玻璃钢衬塑管
KR100603812B1 (ko) 파이프
JP2008062471A (ja) 繊維強化樹脂製円筒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270013Y1 (ko) 마름모꼴 보강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200381548Y1 (ko) 다단형 이중 격실을 갖는 피이 이중 하수관
CN210716346U (zh) 一种带有支撑筋的多孔加筋缠绕波纹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