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447B1 -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447B1
KR101111447B1 KR1020090096255A KR20090096255A KR101111447B1 KR 101111447 B1 KR101111447 B1 KR 101111447B1 KR 1020090096255 A KR1020090096255 A KR 1020090096255A KR 20090096255 A KR20090096255 A KR 20090096255A KR 101111447 B1 KR101111447 B1 KR 101111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coating layer
tube
winding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675A (ko
Inventor
이문승
Original Assignee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정디씨피 filed Critical (주) 삼정디씨피
Publication of KR20110023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thr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4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3/00Amusement devices: games
    • Y10S273/07Glass f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합성수지관 표면에 유리섬유사를 좌측 사선방향으로 권선하여 제1피복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피복층 표면에 유리섬유사를 우측 사선방향으로 권선하여 제2피복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피복층과 제2피복층의 형성단계를 다수 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수지관의 두께를 얇게 하더라도 유리섬유층을 보강 피복함으로써 PVC재질로만 구성된 이중벽관에 비해 더 좋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강도로 인해 산업상의 이용범위가 매우 넓은 후속효과가 기대된다.
유리섬유, 이중벽관, 제조방법

Description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glass fiber covered pipe 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표면에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피복층을 형성하기 위한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은 폴리에틸렌(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등의 합성수지소재로 성형된 연성 하수관, 집수관, 배수관으로서, 오수, 우수 분류화 공사에 가정선 및 차집관로로 사용된다.
이런 합성수지관은 상기 언급한 합성수지소재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으로서, 설치공정이 간단하여 시공이 빠르고 협소한 장소에서 시공이 용이하며, 토질, 계절, 습기, 물기 등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비 절약 및 공기단축에 유리하며, 내약품성에 강하고, 중량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합성수지관중 이중벽관을 일예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따른 합성수지관은 직경 10㎝ 에서부터 직경 100㎝, 통상 길이 6m 정도의 다양한 규격과 재질(소재)을 갖되, 관 형상의 내피, 즉 내벽(2)과,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개의 오링과 같이 주름지게 배열된 외피, 즉 외벽(3)을 갖는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내벽(2)과 외벽(3)이 합체되었을 때, 그의 내부에 중공층(4)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산부(5)와 골부(6)가 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게 된다.
이런 종래의 합성수지관은 그의 내부에 중공형태의 공기층 또는 중공층(4)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균일한 밀도를 갖는 강성관에 비해서, 설치 지형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균열 및 이탈이 적은 연성관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PVC관의 경우 충분한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또는 트리플관과 같이 이중벽관에 한 겹을 더 입히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전자와 같이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은 관의 자중을 증대시켜서 취급성을 저하시키고, 후자와 같이 트리플관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반 용융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 사이의 접착성능이 현저히 떨어져 쉽게 분리되거나, 뒤틀리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합성수지관 표면에 유리섬유 피복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고강도의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관점에 따르면,
합성수지관의 표면에 유리섬유사를 좌측 사선방향으로 권선하여 제1피복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피복층 표면에 유리섬유사를 우측 사선방향으로 권선하여 제2피복층을 형성하며, 상기 제1피복층과 제2피복층을 반복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합성수지관을 얇게 형성한 상태에서 그 표면에 유리섬유 피복층을 형성시켜 PVC재질은 줄이면서도 경량의 합성수지관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피복관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피복관의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합성수지(PVC) 재질의 이중벽관 표면에 강도보강을 위한 유리섬유피복층(260)이 형성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합성수지관(100)은 내벽(110)과 외벽(1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벽(120)은 주름진 형태의 산부(130)와 골부(140)를 형성하고, 내벽(110)과의 사이에 중공층(150)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주름관 형태의 합성수지관(100)은 균일한 밀도를 갖는 강성관에 비해서, 가볍고, 설치 지형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균열 및 이탈이 적은 연성관 형태를 갖는 동시에,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합성수지관(100) 표면에는 유리섬유사(210)를 권선하는 방법으로 유리섬유피복층(26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유리섬유라 함은, 유리를 섬유 형태로 만든 것으로서, 실과 직물을 제조할 때 절연재로 사용하고 플라스틱의 강화재로 쓰이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유리섬유를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에 침적하여 합성수지관(100) 표면에 권선한 후, 이를 경화시킴으로써, 유리섬유피복층(260)을 형성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에 유리섬유사를 좌측 사선방향으로 권선하는 공정도로서, 합성수지관(100) 표면에 유리섬유사(210)를 좌측 사선방향으로 권선시켜 제1피복층(230)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사(210)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에 침적된 상태의 유리섬유사(210)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리섬유사(210)의 권선 중간 중간에 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사(220)를 함께 권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탄성사(220)는 고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유리섬유사(210)가 권선되는 과정에 골부(140)에 쳐져 변형되지 않도록 팽창시키는 장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리섬유사(210)의 권선과 더불어 정량피딩장치(미도시)로부터 무기물 첨가제가 권선 표면에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기물 첨가제는 규사 또는 모래가 이용되는데, 합성수지관(100)과 유리섬유사(210), 유리섬유사(210)와 유리섬유사(210) 사이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한편, 유리섬유사의 경화를 앞당기며, 내압과 강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무기물 첨가제에는 유리섬유사(210)의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경화 촉진제가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공정을 통해 제1피복층(230)이 형성되면, 상기 권선방향의 반대방향 으로 유리섬유사(210)를 권선시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에 유리섬유사를 우측 사선방향으로 권선하는 공정도로서, 이중벽관(100) 표면에 유리섬유사(210)를 우측 사선방향으로 권선시켜 제2피복층(24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2피복층(240)의 권선방법은 제1피복층(230)의 권선방법과 동일하며, 교차 권선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제1피복층(230)과 제2피복층(240)의 형성단계를 다수 회 반복함으로써, 유리섬유피복층(260)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에 유리섬유직조물을 피복하는 공정도이다.
합성수지관(100) 표면에 유리섬유직조물(250)을 감아서 유리섬유피복층(260)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유리섬유직조물(250)은 유리섬유사(210)를 천 형태로 직조한 것으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에 침적된 상태의 유리섬유직조물(250)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유리섬유직조물(250)은 합성수지관(100) 표면에 다수회 권선되어 피복두께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리섬유직조물(250)의 권선과 더불어 정량피딩장치(미도시)로부 터 무기물 첨가제가 권선 표면에 함께 도포되도록 하여 유리섬유직조물(250)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리섬유직조물(250)의 경화를 앞당기며, 내압과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합성수지관(100) 표면에 유리섬유사(210)를 좌측 사선방향으로 권선하여 제1피복층(230)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1피복층(230) 표면에 유리섬유사(210)를 우측 사선방향으로 권선하여 제2피복층(240)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제1피복층(230)과 제2피복층(240)의 형성단계를 다수 회 반복 수행함으로써, 유리섬유 피복관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은, 합성수지관(100)의 표면에 유리섬유 직조물(250)을 감아서 유리섬유피복층(260)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피복관을 도시하고 있다.
위 도면에 따른 합성수지관(100)은 일단부에 다른 구간에 비해 확관된 확관부(16)를 갖는 경우에, 다른 합성수지관의 확관부(160)가 끼워지는 부분에는 유리섬유피복층(260)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이하 비 피복부(170)라 함).
그 이유는 유리섬유피복층을 피복하는 근본 이유는 합성수지관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서인데, 확관부(160)를 갖는 경우에는 비 피복부(170)가 확관부(160)의 내부로 끼워져 중첩된 상태가 되므로 굳이 강도를 강화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유리섬유피복층을 전면에 모두 피복하는 합성수지관(100)에 비해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다만, 비 피복부(170)의 특정 산부에는 수밀성을 위해 수밀패킹(18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피복관을 도시하고 있다.
위 도면에 따른 합성수지관(100)은 평활한 형태로서, 이에 도시된 합성수지관(100)은 외주 전면에 유리섬유피복층(260)을 전부 피복하는 형태이고, 이러한 합성수지관(100)은 양수형 소켓(3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수형 소켓(300)의 내면에는 수밀성을 위해 수밀패킹(31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피복관을 도시하고 있다.
위 도면에 따른 합성수지관(100)은 일정간격마다 관경보다 큰 직경의 리브(101)들이 형성된 리브관으로서, 그 표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유리섬유피복층(260)을 형성한 것이다. 유리섬유피복층(260)의 형성과정은 앞서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피복관을 도시하고 있다.
위 도면에 따른 합성수지관(100)은 일정간격마다 관경보다 큰 직경의 리브(101)들이 형성된 리브관이되, 상기 각 리브(101)의 외주를 따라 보강띠(102)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 표면에는 앞서와 같이 유리섬유피복층(260)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유리섬유피복층(260)의 형성과정은 앞서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합성수지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피복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피복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관에 유리섬유사를 좌측 사선방향으로 권선하는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관에 유리섬유사를 우측 사선방향으로 권선하는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관에 유리섬유직조물을 피복하는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피복관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따른 유리섬유 피복관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따른 유리섬유 피복관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제5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피복관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중벽관 110: 내벽
120: 외벽 130: 산부
140: 골부 150: 중공층
210: 유리섬유사 220: 탄성사
230: 제1피복층 240: 제2피복층
250: 유리섬유직조물 260: 유리섬유피복층

Claims (12)

  1. 합성수지관(100) 표면에 유리섬유사(210)를 좌측 사선방향으로 권선하여 제1피복층(23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피복층(230) 표면에 유리섬유사(210)를 우측 사선방향으로 권선하여 제2피복층(24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피복층(230)과 제2피복층(240)의 형성단계를 다수 회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리섬유사(210)의 권선 중간 중간에 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사(220)를 함께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사(210)의 권선과 더불어 정량피딩장치에 의해 무기물 첨가제가 동시 공급되도록 하되,
    상기 무기물 첨가제는 규사 또는 모래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첨가제에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경화 촉진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
  6. 합성수지관(100) 표면에 유리섬유 직조물(250)을 감아서 유리섬유피복층(260)을 형성하고,
    상기 유리섬유 직조물(250)의 권선과 더불어 정량피딩장치에 의해 무기물 첨가제가 동시 공급되도록 하되,
    상기 무기물 첨가제는 규사 또는 모래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첨가제에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경화 촉진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
  10.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100)은 주름진 외벽(120)과 평활한 내벽(110)으로 이루어진 이중벽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
  11.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100)은 일정간격마다 관경보다 큰 직경의 리브(101)들이 형성된 리브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리브(101)의 외주에 빙둘러 형성되는 보강띠(102)를 더 포함하는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
KR1020090096255A 2009-08-31 2009-10-09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 KR101111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81323 2009-08-31
KR1020090081323 2009-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675A KR20110023675A (ko) 2011-03-08
KR101111447B1 true KR101111447B1 (ko) 2012-02-15

Family

ID=4393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255A KR101111447B1 (ko) 2009-08-31 2009-10-09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660B1 (ko) * 2011-10-06 2013-09-13 대현산업 (주)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2361105A (zh) * 2020-10-27 2021-02-12 贵州昊华中意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环保玻璃钢夹砂管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045A (ja) * 1993-09-28 1995-04-04 Osaki Electric Co Ltd 飲料抽出装置用飲料分配装置
KR20030005942A (ko) * 2001-07-11 2003-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섬유 정렬장치의 구조
KR200305942Y1 (ko) 2002-07-12 2003-03-04 김수호 고강도 관
KR100673416B1 (ko) * 2006-10-31 2007-01-24 현대피.에프산업 (주) 강도와 내식성을 높이는 합성수지 파이프의 제조방법
KR20090090878A (ko) * 2008-02-22 2009-08-26 동원철강 주식회사 유리섬유 복합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045A (ja) * 1993-09-28 1995-04-04 Osaki Electric Co Ltd 飲料抽出装置用飲料分配装置
KR20030005942A (ko) * 2001-07-11 2003-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섬유 정렬장치의 구조
KR200305942Y1 (ko) 2002-07-12 2003-03-04 김수호 고강도 관
KR100673416B1 (ko) * 2006-10-31 2007-01-24 현대피.에프산업 (주) 강도와 내식성을 높이는 합성수지 파이프의 제조방법
KR20090090878A (ko) * 2008-02-22 2009-08-26 동원철강 주식회사 유리섬유 복합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675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195858U (zh) 纤维增强塑料排水管
KR20070092257A (ko) 가소성 중공체, 특히 가소성 파이프
KR101111447B1 (ko)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
KR101102299B1 (ko) 유리섬유 피복관
KR100780674B1 (ko) 유리섬유 강화 합성수지 이중벽관
CN109027446B (zh) 热塑性连续纤维预浸编织绳热熔缠绕波纹管及其制造设备
CN214466734U (zh) 一种用玻纤增强的中空壁缠绕管
CN2882985Y (zh) 金属增强塑料带材及由其制造的金属增强塑料排水管
JP4870152B2 (ja) 合成樹脂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293243C2 (ru) Стеклопластиковая труба
CN210007284U (zh) 一种复合材料电力用电缆保护管
US1544592A (en) Lining for conduits
CN101292108A (zh) 型材螺旋缠绕管
CN208900878U (zh) 一种高抗压波纹管
ITMI970557U1 (it) Tubo a piu&#39; strati
CN209557874U (zh) 一种承插式玻璃纤维增强塑料夹砂管
RU2752749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плошного многослойного шланга
KR101034517B1 (ko) 결속부재가 구비된 합성수지 코로게이트관
CN215172912U (zh) Uhmwpe复合增强缠绕管
KR100311687B1 (ko)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
CN205207942U (zh) 一种改进型缠绕结构壁复合管
CN211821102U (zh) 三峰结构壁增强塑料排水管
CN217328846U (zh) 骨架增强缠绕结构壁管材
CN210716348U (zh) 一种聚乙烯pp增强加筋中空缠绕结构壁管
KR200314232Y1 (ko) 나선형 합성수지관용 프로파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