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604B1 -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 Google Patents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604B1
KR101498604B1 KR20140169952A KR20140169952A KR101498604B1 KR 101498604 B1 KR101498604 B1 KR 101498604B1 KR 20140169952 A KR20140169952 A KR 20140169952A KR 20140169952 A KR20140169952 A KR 20140169952A KR 101498604 B1 KR101498604 B1 KR 101498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ing
double
main body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9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거희
정재원
정한기
박점옥
조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20140169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에 관한 것으로서, 오링 형상에 대응하여 산과 골이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외벽과, 상기 외벽의 골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합체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벽을 갖는 이중벽관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관의 일측에서 상기 내벽 및 상기 외벽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이중벽관의 타측에서 상기 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관되어 있는 내벽 및 외벽을 구비한 소켓부; 상기 본체부의 끝단을 기준으로 일측 외벽과 타측 외벽 사이의 첫 번째 골부에 장착되는 스토퍼링; 및 상기 본체부의 두 번째 골부에 장착되는 수밀용 고무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DOUBLE WALL CORRUGATED PIPE HAVING STOPPER RING}
본 발명은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하수 및 빗물과 정화 처리된 산업폐수 등을 집수장 또는 하천으로 방류하는데 사용되는 하수관거로서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벽관은 지하에 매설되어서 우수, 오폐수 농업용수 등을 통과시키는데 사용되는 합성수지소재의 파이프 배관 부재로서, 장시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고, 시공상 간편하고, 배관 부재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어야 하고, 토질, 계절, 습기, 물기 등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비 절약 및 공기단축에 유리하며, 내약품성에 강하고, 중량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여야 한다.
우수, 오폐수 등과 같은 각종 하수나 농업용수 등은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에 의해 수송되는데 하수관 내부는 물이 정지되었다가 흐르는 반복적인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이중벽관은 합성수지소재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으로서, 직경 10 ㎝ 에서부터 직경 60 ㎝, 통상 길이 6m 정도의 다양한 규격과 재질(소재)을 갖는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이중벽관은 특허문헌1 또는 특허문헌2에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 형상의 내벽과, 내벽의 외부에서 배관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열된 복수개의 오링(o-ring)과 같이 주름진 외벽을 갖는다.
이러한 이중벽관은 통상적으로 내벽과 외벽을 합하였을 때의 두께가 1.5 ∼ 2.6㎜ 중 어느 하나의 두께 치수를 가지고 있고, 내벽의 내원주면으로부터 외벽의 외원주면까지의 산 높이는 8 ∼ 25㎜ 내외일 수 있다.
또한, 이중벽관은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 중공형태의 공기층 또는 중공층을 형성하고 있고, 압출 당시 가열되고, 이후 냉각 또는 자연 대로에 의해 온도가 떨어지는 온도 변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상기 공기층 또는 중공층으로 인하여, 울퉁불퉁한 표면이 내벽의 내주면에서 배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기도 한다.
특히, 이중벽관은 특허문헌2와 같이, 본체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일체형 소켓부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소켓부의 내벽의 내주면에는 역시 앞서 언급한 울툴불퉁한 표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측 이중벽관의 소켓부에 결합시키려는 타측 이중벽관의 본체부의 끝단부 및 그 끝단부에 미리 결합되어 있는 수밀용 고무링이 손쉽게 소켓부에 삽입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종래 기술의 이중벽관은 전체 외형 규격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고 산 높이에 대응한 중공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운반, 적재시 부주위로 지면에 떨어질 경우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외벽과 내벽이 합체되어 있는 이중벽관의 본체부의 끝단 또는 소켓부의 끝단은 압출 제작에 의한 공정상 한계 또는 재질적 한계로 인해서, 외벽과 내벽이 맞닿아 있는 끝단에서 내구성 또는 강성 유지가 어려운 상태이다.
또한, 취급 단계에서 충격이 이중벽관의 본체부 또는 소켓부의 끝단에 가해질 경우, 끝단에 크랙이 발생되고, 배관 시공 이후 방치된 크랙으로 인하여 대형의 하수 누출사고의 발생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재 배관 작업 및 보수에 따르는 자재의 낭비와 인건비의 추가 등 경제적인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상황이다.
또한, 종래의 이중벽관의 제조시 내벽의 내측에 별도의 벽 또는 층을 더 형성시킬 경우, 내벽 두께 및 외벽 두께를 서로 일치시킬 수 없어 품질관리가 어렵고, 일반적인 이중벽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시공 및 취급 관리가 불편하고, 시공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중벽관의 제조시 내벽과 외벽의 경계지점의 끝단에 불규칙한 돌기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중벽관의 내부에 미리 조립되어 있는 단차 제거용 링부와 기밀하게 면접촉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중벽관은 일측 관체의 본체부와 타측 관체의 소켓부를 삽입하고, 접착제를 사용하나, 그 접착제가 마르기 전에 이중벽관 관체의 설치 위치의 경사 구배가 있는 경우, 혹은 수밀용 고무링이 씹힌 상태에서 소켓부의 내경과 본체부의 외경 사이에 유격이 발생된 상태의 경우, 연결 상태가 불완전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본체부의 끝단이 소켓부에 안정되게 유지되지 못하거나, 압력 또는 열팽창계수 등에 의해 밀려나오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1)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36646호(2003.12.09)
(특허문헌2)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31505호(2003.10.18)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중벽관의 관체의 본체부에 스토퍼링을 구비함으로써, 본체부와 소켓부간 연결 이후 연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본체부가 밀려 나오지 않게 방지할 수 있거나, 본체부와 소켓부간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벽의 슬릿부에 이중압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마찰을 줄이고 윤활 성능을 증대시켜서, 내벽을 이중압출부의 합성수지소재로 보강하여 이중벽관의 내구성 및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중압출부가 형성된 내벽의 끝단 및 외벽의 끝단에 끝단보호링을 더 결합시켜서,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이중압출부를 비롯한 이중벽관의 끝단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중벽관의 보관, 운반, 조립 시공 도중, 크랙 또는 스크래치가 이중벽관의 끝단에 발생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는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링 형상에 대응하여 산과 골이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외벽과, 상기 외벽의 골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합체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벽을 갖는 이중벽관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관의 일측에서 상기 내벽 및 상기 외벽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이중벽관의 타측에서 상기 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관되어 있는 내벽 및 외벽을 구비한 소켓부; 상기 본체부의 끝단을 기준으로 일측 외벽과 타측 외벽 사이의 첫 번째 골부에 장착되는 스토퍼링; 및 상기 본체부의 두 번째 골부에 장착되는 수밀용 고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링은, 상기 첫 번째 골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링기저부; 상기 링기저부의 상부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기저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상광 하협의 단면을 갖는 링상부; 상기 링상부의 내부에 배치된 금속재질의 꺾쇠부; 상기 꺾쇠부와 동일한 금속재질로서 상기 꺾쇠부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절곡된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와 동일한 금속재질로서 상기 수평연장부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부; 및 상기 수직연장부에서 만곡되게 절곡되어서 상기 링상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후 상경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연장부와 동일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경사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링은, 상기 꺾쇠부, 상기 수평연장부, 상기 수직연장부 및 상기 경사블레이드로 이루어진 금속부품이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상기 금속부품이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사출 장치 내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링기저부 및 상기 링상부용 고무재질의 사출원료가 상기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사출 장치 내부에 충진되었을 때, 상기 금속부품의 상기 꺾쇠부, 상기 수평연장부 및 상기 수직연장부가 상기 링상부에 합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링은, 상기 꺾쇠부, 상기 수평연장부 및 상기 수직연장부는 판금 가공 및 용접을 통해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링 구조물의 형태로 제작되어 있고, 경사블레이드가 상기 링 구조물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링 구조물의 수직연장부의 외곽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켓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소켓부의 내벽의 양측 끝단에서 개방되고, 상기 이중벽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개의 슬릿부; 및 상기 내벽의 이중압출성형시 상기 슬릿부에 채워져서 일체형으로 합체되고, 상기 내벽의 합성수지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마찰을 줄이기 위한 이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진 이중압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중벽관의 관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바깥쪽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 가공부가 상기 관체의 소켓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중압출부의 두께는 상기 내벽의 두께 대비 30~50% 두께를 갖는다.
또한,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의 끝단에는 끝단보호링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끝단보호링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의 끝단의 내벽의 내주면을 감싸는 링내측부; 상기 링내측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의 끝단의 내벽 및 외벽의 측면을 감싸는 링측면부; 및 상기 링측면부의 상부에서 상기 외벽의 산을 향하여 경사진 외경사면을 갖는 링경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에 의하면, 스토퍼링은 이중벽관의 관체의 본체부의 끝단을 기준으로 일측 외벽과 타측 외벽 사이의 첫 번째 골부에 장착된다. 또한, 본체부의 두 번째 골부에는 수밀용 고무링이 장착된다. 이렇게 스토퍼링이 수밀용 고무링의 전방에 위치한다. 이때, 스토퍼링의 경사블레이드는 진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본체부를 소켓부에 인입시키는데 가이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고, 본체부의 끝단을 소켓부의 구멍에 용이하게 인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와 소켓부의 연결 이후, 스토퍼링의 경사블레이드가 날카로운 끝단을 이용하여 소켓부의 내벽의 내주면에 박혀 지지됨으로써, 본체부가 연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 나오지 않고, 본체부와 소켓부간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압출성형을 통해서 내벽을 형성할 때 슬릿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슬릿부에 이중압출부를 성형시킴으로써, 일반적인 이중벽관과 대동소이한 중량을 가질 수 있으면서, 내벽 자체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내벽 두께 및 외벽 두께를 서로 일치시킬 수 있고, 두께 품질관리가 용이하다. 예컨대, 하수관거 유지관리 및 정비사업에 접합한 기술규격에는 하수관거 규격별로 평균바깥지름, 외벽, 내벽, 골, 피치 등의 최소두께가 미리 정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압출부는 유리섬유, 윤활 폴리아미드, 테프론 등의 합성수지소재 또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벽을 보강하는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기존의 내벽용 합성수지소재로만 이루어진 내벽에 비하여 내구성 및 강도를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압출부는 유리섬유, 윤활 폴리아미드, 테프론 등의 마찰 저감 또는 윤활 특성을 이용하여, 배관 작업시 일측 이중벽관의 소켓부와 타측 이중벽관의 본체부를 서로 삽입 결합시킬 때, 기존 이중벽관 제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마찰을 줄이고 윤활 성능을 증대시킴으로써,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압출부의 윤활 성능을 통해서 이중벽관의 본체부가 조립하려는 이중벽관의 소켓부에 삽입될 때, 수밀용 고무링이 마찰 또는 결합 방향 불량으로 인하여 밀리거나 이탈 또는 국부적으로 씹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서, 관체 연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압출부가 형성된 내벽의 끝단 및 외벽의 끝단에 끝단보호링을 더 구비하여,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이중압출부를 비롯한 이중벽관의 끝단의 손상, 크랙, 스크래치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끝단보호링의 링측면부의 외표면이 평활한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중벽관의 내부에 미리 조립되어 있는 단차 제거용 링부의 수직부에 대하여 기밀하게 면접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끝단보호링 및 이중압출부를 통해서 월등한 외압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부등침하가 발생하는 연약지반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크립(creep)특성이 낮아 장기간 하중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활하중에 의한 연직토압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고,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중공층이 없는 파이프 배관 부재에 비하여, 동일 체적 대비 상대적으로 중량이 가벼워서, 운반, 취급 및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우천시에나 수중에서도 시공이 가능하여 공기가 단축되며 더불어 시공비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소켓부를 통해서 별도의 소켓 연결 부재가 필요하지 않고 관대 관연결의 원터치 시공으로 수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 시공에 따른 공기단축 및 경제성이 우수하고, 또한, 본 발명은 부속자재의 간소화로 시공성 우수 및 부속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토퍼링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토퍼링, 수밀용 고무링 및 관체간 결합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중벽관의 일측 관체를 타측 관체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중벽관의 관체에 끝단보호링, 스토퍼링 및 수밀용 고무링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원 A의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응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이중벽관의 관체(1)의 내벽(2) 또는 외벽(3)은 폴리에틸렌(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중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중벽관의 관체(1)는 연속 압출성형법을 기초로 하여 내벽(2) 및 외벽(3)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횡단면 기준으로, 내벽(2)과 외벽(3)의 사이에 중공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중벽관 제조장치는 본 실시예 또는 하기의 응용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복수대의 압출기, 압출기 다이스, 원통형 냉각기, 외벽(3)용 제1노즐, 공기노즐, 내벽(2)용 제2노즐, 이중압출부(100)(도 5참조)용 제3노즐, 원통형 냉각기, 캐터필터 몰드 장치, 관체 절단장치, 관체 지지 및 이송 구조물, 소켓 확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출기는 이중벽관의 내벽(2), 외벽(3) 또는 이중압출부(100)용 합성수지소재(콤파운드)를 용융시켜 압출기 다이스 쪽으로 압출용 가용성 소재를 공급하는 관 제작용 압출 설비이다.
압출기 다이스는 압출기의 출구쪽에 배관되어서 압출용 가용성 소재 또는 이중압출부(100)용 가용성 소재를 공급받고, 상기 제1노즐, 제2노즐, 제3노즐에 각각 대응하게 해당 가용성 소재를 공급한다. 여기서, 제3노즐이 위치한 압출기 다이스에는 슬릿부(21)를 형성할 수 있도록 압출 출구 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제3노즐은 해당 가용성 소재를 내벽의 슬릿부에 충진시켜서, 그 결과 내벽(2) 및 이중압출부(100)의 이중압출성형이 이루어지게 한다.
원통형 냉각기는 압출기 다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1노즐, 제2노즐, 제3노즐에서 각각 압출되는 가용성 소재를 오링 형상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도록 하면서 냉각 및 경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캐터필터 몰드 장치는 복수개로서, 각각 한 조를 이루는 몰드들을 갖는다. 각 몰드들은 관체(1)의 축심을 기준으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배열된 한 쌍의 무한궤도형 체인에 결합되어 있다. 이런 무한궤도형 체인에 의해서 복수의 몰드들은 이중벽관의 관체(1)의 초기 위치에서 상하로 벌려져 있다가 비율적으로 축심쪽으로 이동하면서 마주 보는 몰드들끼리 형합 및 합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합체된 복수의 몰드 조합들은 내벽(2)과 외벽(3)을 서로 융착시켜 안정화시키는 중간 위치를 수평하게 이동한 이후, 후기 위치에서 다시 상하로 벌려지면서 분체되고, 이렇게 분체된 복수의 몰드 조합들이 다시 무한궤도처럼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반복적 작동을 동력 차단, 급정지, 고장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 연속적으로 내벽(2) 및 외벽(3)의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관체 절단장치는 캐터필터 몰드 장치를 통과한 이중벽관의 관체(1)를 미리 정한 길이(예 : 6m) 만큼 절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관체 지지 구조물은 복수의 롤러 또는 반송장치를 이용하여 절단된 관체(1)를 가이드하거나 축방향(예: 관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소켓 확관장치는 관체지지 구조물의 후단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관체(1)의 직경 확장을 위하여 본체부의 끝단 내부에 삽입되는 체적 확장 장치, 본체부(M)의 끝단 외부에 배치되는 확관용 합체 및 분체 몰드, 확관용 합체 및 분체 몰드에 구비되는 가열부 및 냉각부를 포함한다. 소켓 확관장치는 본체부(M)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소켓부(S)를 형성하면서, 소켓부(S)의 끝단에 테이퍼 가공부(22)(도 2 참조)를 형성하는 제조 수단일 수 있다.
관체(1)는 오링 형상에 대응하여 산과 골이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외벽(3)과, 상기 외벽(3)의 골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합체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벽(2)을 갖는다. 즉, 관체(1)의 외벽(3)은 전체적으로 반복된 산 및 골에 의해 주름진 외형상을 갖지만, 각각의 주름이 오링 형상과 같이 독립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강성 및 수밀 특성이 매우 양호할 수 있다.
스토퍼링(300)은 고무재질과 금속재질의 결합체일 수 있다.
스토퍼링(300)의 고무재질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불소 고무(fluoro elastomers), 에피크롤로하이드린 폴리머(epichlorohydrin polymer), EPM(ethylene propylene monomer), IIR(isobutylene isoprene rubber), HNBR(hydrogenated nitrile butadiene rubber) 중 어느 하나의 고무재질로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고, 장착 위치에서 기밀하게 밀착되면서도 탄성력에 기초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예컨대, EPDM 고무재질은 탄성력뿐만 아니라, 내화학성, 내염소성, 내오존성 등과 같은 공인된 성능 특성을 가지고 있고,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스토퍼링(300)의 고무재질을 제외한 다른 부위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링(300)은 이중벽관의 관체(1)의 본체부(M)의 끝단을 기준으로 일측 외벽(3)과 타측 외벽 사이의 첫 번째 골부(4)에 장착된다.
수밀용 고무링(40)도 스토퍼링(300)과 동일 손재로서, EPDM, 불소 고무, 에피크롤로하이드린 폴리머, EPM, IIR, HNBR 중 어느 하나의 고무재질로서 접합방식을 통해 우수한 수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수밀용 고무링(40)은 본체부(M)의 두 번째 골부(5)에 장착된다.
즉 장착 순서상, 스토퍼링(300)은 수밀용 고무링(40)의 전방에 위치한다. 또한, 스토퍼링(300)은 수밀용 고무링(40)이 연결 대상의 관체(1)의 소켓부의 내주면에 접촉하기 전에 먼저 접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토퍼링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토퍼링(300)은 앞서 언급한 고무재질로서 골부에 끼워지는 링형상의 링기저부(310)와, 상기 링기저부(310)의 상부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기저부(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상광 하협의 단면을 갖는 링상부(320)를 포함한다.
또한, 스토퍼링(300)은 앞서 언급한 금속재질로서 상기 링상부(320)의 내부에 배치된 꺾쇠부(330)와, 상기 꺾쇠부(330)와 동일한 금속재질로서 상기 꺾쇠부(330)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절곡된 수평연장부(340)와, 상기 수평연장부(340)와 동일한 금속재질로서 상기 수평연장부(340)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부(350)와, 상기 수직연장부(350)에서 만곡되게 절곡되어서 상기 링상부(320)의 외측으로 돌출된 후 상경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연장부(350)와 동일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경사블레이드(360)를 포함한다.
특히, 스토퍼링(300)은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사출을 통해서 제작될 수 있고, 이때 스토퍼링(300)의 꺾쇠부(330), 수평연장부(340) 및 수직연장부(350)는 고무재질의 링상부(320)의 내부에 배치된다.
반면, 스토퍼링(300)의 경사블레이드(360)는 고무재질의 링상부(320)를 기초로 탄성 변형, 즉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링상부(320) 쪽에 가까워지거나 경우에 따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를 갖게 된다.
특히, 스토퍼링(300)의 경사블레이드(360)는 세그먼트 형태의 탄성판 구조물로서, 스토퍼링(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스토퍼링(300)의 제작 방법의 방안으로서, 꺾쇠부(330), 수평연장부(340), 수직연장부(350), 경사블레이드(360)로 이루어진 금속부품이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상기 금속부품이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사출 장치 내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그 다음 링기저부(310) 및 링상부(320)용 고무재질의 사출원료가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사출 장치 내부에 충진되었을 때, 상기 금속부품의 꺾쇠부(330), 수평연장부(340) 및 수직연장부(350)가 링상부(320)에 합체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링(300)의 제작 방법의 다른 방안으로서, 꺾쇠부(330), 수평연장부(340) 및 수직연장부(350)는 판금 가공 및 용접을 통해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링 구조물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경사블레이드(360)는 링 구조물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링 구조물의 수직연장부(350)의 외곽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링 구조물이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사출 장치 내에 투입되고, 이와 함께, 링기저부(310) 및 링상부(320)용 고무재질의 사출원료가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사출 장치 내부에서 공급된 후, 사출성형 됨에 따라서, 상기 링 구조물 형태의 꺾쇠부(330), 수평연장부(340) 및 수직연장부(350)가 고무재질의 링상부(320)에 합체되고, 경사블레이드(360)는 링상부(320)의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단차 제거용 링부(30)는 내벽(2)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내경부(31)와, 상기 천이부(23)에 대응하여 면접촉할 수 있는 경사외경부(32)와, 내경부(31)에서 수직하게 경사외경부(32)까지 연장된 수직부(33)를 가지고 있다.
단차 제거용 링부(30)의 경사외경부(32)는 천이부(23)의 내측 경사면에 대하여 접합될 수 있다. 즉, 단차 제거용 링부(30)는 본체부(M)로부터 소켓부(S)쪽으로 확장이 시작되는 천이부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일측 관체(1)의 소켓부(S)의 끝단은 소켓부(S)의 평활 원통 부위에 비하여 테이퍼 가공이 더 되어 있어서, 관체 연결 자유도를 더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일측 관체(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바깥쪽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 가공부(22)가 일측 관체(1)의 소켓부(S)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 가공부(22)의 경사 각도(Q)만큼 바깥쪽으로 갈수록 확대된 구멍이 일측 관체(1)의 소켓부(S)의 끝단에 형성됨으로써, 타측 관체(1a)의 삽입 방향이 일측 관체(1)의 길이방향에서 완전히 일치되지 않더라도 관체 연결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토퍼링, 수밀용 고무링 및 관체간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토퍼링(300)의 경사블레이드(360)는 진입 방향, 즉 일측 관체(1)의 본체부(M)가 타측 관체의 소켓부(S) 쪽으로 삽입 또는 인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링(300)의 경사블레이드(360)가 수밀용 고무링(40) 보다 먼저 소켓부(S)의 내벽(2)의 내주면에 먼저 접촉하기 때문에, 본체부(M)를 소켓부(S)에 인입시키는데 가이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고, 본체부(M)의 끝단을 소켓부(S)의 구멍에 용이하게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M)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소켓부(S)가 시작되는 지점에는 천이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천이부(23)의 내측 경사면에는 단차 제거용 링부(30)가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와 같이 이중벽관의 일측 관체(1)와 타측 관체(1a)가 서로 연결되고, 즉 일측 관체(1)의 본체부(M)가 타측 관체(1a)의 소켓부(a)의 구멍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지만, 반대로 빠져나오기 매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연결 이후, 스토퍼링(300)의 경사블레이드(360)는 날카로운 끝단을 이용하여 소켓부(S)의 내벽(2)의 내주면에 박히게 된다.
그 결과, 일측 관체(1)와 타측 관체(1a)가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즉, 일측 관체(1)의 본체부(M)가 연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 나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체부(M)와 소켓부(S)간 연결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중압출부(100)는 내벽(2)의 합성수지소재 총 100 중량%에 대하여 유리섬유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리섬유는 내벽(2)의 강도 및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역할과 함께, 마찰 저감 및 윤활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중압출부(100) 및 내벽(2)은 조도계수 0.010을 갖는 것으로서, 통수율이 높은 특징을 갖는다.
이중압출부(100)를 제외한 내벽(2) 및 외벽(3)의 소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PE, HDPE, PC, PP, ABS,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내벽(2)에는 이중압출성형을 통해서 슬릿부(21)가 형성된다. 즉, 슬릿부(21)는 이중압출성형을 통하여 내벽(2)의 내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이때, 이중압출부(100)가 슬릿부(21)에 형성된다.
이중압출성형은 이중벽관 제조장치에 구비되어 내벽(2), 슬릿부(21) 및 이중압출부(100)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공정을 지칭한다.
관체(1)는 이중벽관의 일측에서 내벽(2) 및 외벽(3)을 구비한 본체부(M)와, 이중벽관의 타측에서 본체부(M)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M)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관되어 있는 내벽(2) 및 외벽(3)을 구비한 소켓부(S)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이중벽관 제조장치는 본체부(M)를 만든다. 이후, 본체부(M)의 끝단은 소켓 확관장치를 경유하여 소켓부(S)가 된다.
특히, 이중벽관 제조장치 및 소켓 확관장치에 의해서, 복수개의 슬릿부(21)는 소켓부(S) 및 본체부(M)의 내벽(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본체부(M) 및 소켓부(S)의 내벽의 양측 끝단에서 개방되고, 이중벽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중압출부(100)는 내벽(2)의 이중압출성형시 슬릿부(21)에 채워져서 일체형으로 합체된다.
여기서, 이중압출부(100)의 두께(t)는 내벽(2)의 두께(H) 대비 30~50% 두께를 갖는다.
만일, 이중압출부(100)의 두께(t)가 내벽(2)의 두께(H) 대비 30% 미만일 경우, 이중압출부(100)가 내벽(2)의 슬릿부(21)에 견고하게 합체되기 어렵거나 내구성 및 강성 증대 효과가 미비하고, 내벽(2)의 두께(H) 대비 50% 초과일 경우 내벽(2) 자체가 이중압출부(100)에 의해 구획되어서 내벽(2)의 물리적 파라미터에 과도한 변화가 발생되거나, 내구성 및 강성 이외의 제품 요구 성능에 영향을 과도하게 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두께 % 수치는 임계적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내구성 및 강성 이외의 제품 요구 성능이나 굴곡탄성율 또는 인장강도 등이 될 수 있다.
이중압출부(100)는 내벽(2)의 합성수지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마찰을 줄이기 위한 이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이중압출부(100)는 이질의 합성수지소재로서, 내벽(2)의 합성수지소재 총 100 중량%에 대하여 윤활 중합체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윤활 중합체는 예컨대, 윤활 폴리아미드 및 테프론을 50:50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압출용 가용성 소재이다.
여기서, 윤활 폴리아미드 및 테프론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소재, 즉 압출용 가용성 소재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서, 내벽(2)의 강도 및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역할과 함께, 마찰 저감 및 윤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라 이중압출부(100)를 갖는 이중벽관용 관체(1)에 대한 끝단보호링(200), 스토퍼링(300) 및 수밀용 고무링(40)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중벽관의 관체에 끝단보호링, 스토퍼링 및 수밀용 고무링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원 A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토퍼링(300) 및 수밀용 고무링(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측 관체(1)의 본체부(M)의 끝단 주변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골부에 각각 장착된다.
이런 스토퍼링(300) 및 수밀용 고무링(40) 장착 상태에서 타측 관체의 소켓부의 구멍에는 외부 작업자 또는 배관 연결 장비의 도움을 받아서, 일측 관체(1)의 본체부(M)의 끝단이 삽입된다.
특히, 배관 현장 여건상, 타측 관체는 배관 현장에 미리 배치된 상태이나, 일측 관체(1)는 외부 작업자 또는 설치 장비에 의해 들려서 운반되는 상태이므로, 일측 관체(1)의 길이방향과 타측 관체의 길이방향이 서로 일치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런 연유로, 일측 관체(1)의 본체부(M)의 끝단이 타측 관체의 소켓부의 내주면에 원활하게 삽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타측 관체의 소켓부의 구멍의 내주면에도 마찰 저감 및 윤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이중압출부(10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일측 관체(1)의 본체부(M)의 끝단, 스토퍼링(300) 및 수밀용 고무링(40)이 이중압출부(100)에 의해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일측 관체(1)의 본체부(M)가 타측 관체의 소켓부의 구멍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특히, 스토퍼링(300)의 경사블레이드 또는 수밀용 고무링(40)과의 상대적 마찰 감소로 인하여 스토퍼링(300) 및 수밀용 고무링(40)이 밀리거나 해당 장착 위치(예: 첫 번째 골부 또는 두 번째 골부)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고, 스토퍼링(300) 또는 수밀용 고무링(40)이 국부적으로 씹히는 문제점도 해소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용이한 관체 결합 또는 연결이 이루어져서 관체 연결 품질도 역시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이중벽관의 관체(1)에서 본체부(M) 또는 소켓부의 끝단에는 끝단보호링(200)이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끝단보호링(200)은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면서 관체(1)의 끝단과 끝단보호링(200) 사이에 개재된 해당 접합층(210)에 의해 각각 접합될 수 있다.
끝단보호링(200)은 관체(1)의 규격에 대응하게 다양한 직경 사이즈를 갖도록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끝단보호링(200)은 이중압출부(100)의 끝단을 감싸면서 보호하거나, 이중압출부(100) 및 그 주변의 내벽(2) 또는 외벽(3)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끝단보호링(200)은 관체(1)의 운반, 적재, 이동 또는 설치 이후, 충격력, 지속적인 지반하중에 의한 하중 등의 외력이 작용되는 곳으로서, 크랙 발생 예상 부위에 해당하는 본체부(M) 또는 소켓부의 끝단을 감싸듯이 보강하여 끝단의 강도 증가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끝단에 밀착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끝단보호링(200)은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고, 관체(1)의 외벽(3) 및 내벽(2)에 사용한 합성수지소재보다 강도 또는 경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연질의 합성수지소재이거나,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실리콘, 우레탄, 열가소성 탄성체, 열가소성 고무 및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와 같은 탄성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연질의 합성수지소재는 쇼어 경도 Hs 30∼6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도를 갖을 수 있다.
특히, 타측 관체의 소켓부의 구멍에 삽입하려는 일측 관체(1)의 끝단에 결합된 끝단보호링(200)은 일측 관체(1)의 끝단을 보호하면서, 상기 타측 관체의 소켓부의 구멍과의 마찰을 통해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일측 관체(1)의 끝단 대신 끝단보호링(200) 자체가 마모 또는 희생되는 웨어부(wear member)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즉, 끝단보호링(200)도 이중압출부(100)에 접촉하여 원활하게 미끄러지듯이 타측 관체의 소켓부의 구멍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끝단보호링(200)은 이중벽관의 관체(1)의 본체부 또는 소켓부의 끝단의 직경에 대응하게 링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 또는 소켓부의 내벽(2)의 내주면을 감싸는 링내측부(220)와, 상기 링내측부(220)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의 끝단의 내벽(2) 및 외벽(3)의 측면을 감싸는 링측면부(230)를 포함한다.
특히, 끝단보호링(200)의 링측면부(230)의 외표면이 평활한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제거용 링부(30)의 수직부에 대하여 기밀하게 면접촉될 수 있다.
또한, 끝단보호링(200)은 상기 링측면부(230)의 상부에서 상기 외벽의 산을 향하여 경사진 외경사면(241)을 갖는 링경사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끝단보호링(200)의 링내측부(220), 링측면부(230) 및 링경사부(240)의 내표면(201)의 형상은 본체부 또는 소켓부의 끝단의 레이아웃 또는 외벽(3) 외측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게 곡면 또는 직선면으로 이루어져서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다른 응용예에 따르면, 끝단보호링(200)에서 링경사부(240), 링측면부(230) 및 링내측부(220)의 내표면에는 돌기 없는 표면이 형성되거나, 돌기 없는 표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접착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복수개의 접합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접합돌기(250)는 0.5 ~ 1㎜ 직경 및 높이를 갖는 소형 돌기로서 사출 성형을 통해서 끝단보호링(2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접합돌기는 링경사부(240), 링측면부(230) 및 링내측부(220)의 내표면(201)의 평면적을 증대시켜서 접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과, 접합면에 미세 먼지 등을 포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되어 접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끝단보호링(200)은 링경사부(240), 링측면부(230) 및 링내측부(220)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의 외형 또는 디자인은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그려진 것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또 다른 응용예에 따르면, 끝단보호링은 링경사부(240), 링측면부(230) 및 링내측부(220)의 내표면(201)에 프라이머층을 더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프라이머층은 접합용으로 코팅 가공되어서 접합층(210)에 대한 접합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고, 충격에 강한 끝단보호링(200)의 접착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1,1a: 관체 2: 내벽
3: 외벽 21: 슬릿부
22: 테이퍼 가공부 30: 단차 제거용 링부
40: 수밀용 고무링 100: 이중압출부
200: 끝단보호링 210: 접합층
220: 링내측부 230: 링측면부
240: 링경사부 241: 외경사면
300: 스토퍼링 310: 링기저부
320: 링상부 330: 꺾쇠부
340: 수평연장부 350: 경사블레이드

Claims (9)

  1. 오링 형상에 대응하여 산과 골이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외벽과, 상기 외벽의 골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합체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벽을 갖는 이중벽관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관의 일측에서 상기 내벽 및 상기 외벽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이중벽관의 타측에서 상기 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관되어 있는 내벽 및 외벽을 구비한 소켓부;
    상기 본체부의 끝단을 기준으로 일측 외벽과 타측 외벽 사이의 첫 번째 골부에 장착되는 스토퍼링; 및
    상기 본체부의 두 번째 골부에 장착되는 수밀용 고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링은,
    상기 첫 번째 골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링기저부;
    상기 링기저부의 상부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기저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상광 하협의 단면을 갖는 링상부;
    상기 링상부의 내부에 배치된 금속재질의 꺾쇠부;
    상기 꺾쇠부와 동일한 금속재질로서 상기 꺾쇠부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절곡된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와 동일한 금속재질로서 상기 수평연장부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부; 및
    상기 수직연장부에서 만곡되게 절곡되어서 상기 링상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후 상경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연장부와 동일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경사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링은,
    상기 꺾쇠부, 상기 수평연장부, 상기 수직연장부 및 상기 경사블레이드로 이루어진 금속부품이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상기 금속부품이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사출 장치 내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링기저부 및 상기 링상부용 고무재질의 사출원료가 상기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사출 장치 내부에 충진되었을 때, 상기 금속부품의 상기 꺾쇠부, 상기 수평연장부 및 상기 수직연장부가 상기 링상부에 합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링은,
    상기 꺾쇠부, 상기 수평연장부 및 상기 수직연장부는 판금 가공 및 용접을 통해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링 구조물의 형태로 제작되어 있고, 경사블레이드가 상기 링 구조물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링 구조물의 수직연장부의 외곽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소켓부의 내벽의 양측 끝단에서 개방되고, 상기 이중벽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개의 슬릿부; 및
    상기 내벽의 이중압출성형시 상기 슬릿부에 채워져서 일체형으로 합체되고, 상기 내벽의 합성수지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마찰을 줄이기 위한 이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진 이중압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관의 관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바깥쪽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 가공부가 상기 관체의 소켓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압출부의 두께는 상기 내벽의 두께 대비 30~50%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의 끝단에는 끝단보호링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보호링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의 끝단의 내벽의 내주면을 감싸는 링내측부;
    상기 링내측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의 끝단의 내벽 및 외벽의 측면을 감싸는 링측면부; 및
    상기 링측면부의 상부에서 상기 외벽의 산을 향하여 경사진 외경사면을 갖는 링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KR20140169952A 2014-12-01 2014-12-01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KR101498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9952A KR101498604B1 (ko) 2014-12-01 2014-12-01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9952A KR101498604B1 (ko) 2014-12-01 2014-12-01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604B1 true KR101498604B1 (ko) 2015-03-05

Family

ID=5302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9952A KR101498604B1 (ko) 2014-12-01 2014-12-01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6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273B1 (ko) 2015-06-17 2015-12-02 주식회사 대경산업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KR102074199B1 (ko) 2019-05-21 2020-02-06 주식회사 용전 제조의 단순화와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음 부분이 견고하며 수밀성이 향상된 이중관
CN111365536A (zh) * 2020-02-26 2020-07-03 陈弘旋 一种伸缩软管及其生产工艺
CN114704701A (zh) * 2022-03-31 2022-07-05 公元股份有限公司 三壁波纹管的连接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689Y1 (ko) * 2004-06-07 2004-09-01 한승희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KR200393558Y1 (ko) * 2005-06-13 2005-08-22 한승희 소켓이중벽관의 단차링 결합구조
KR200438887Y1 (ko) * 2006-12-08 2008-03-07 손용호 이중벽관 이음용 패킹
KR101005763B1 (ko) * 2010-08-30 2011-01-06 (주)폴리텍 파이프 연결용 소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689Y1 (ko) * 2004-06-07 2004-09-01 한승희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KR200393558Y1 (ko) * 2005-06-13 2005-08-22 한승희 소켓이중벽관의 단차링 결합구조
KR200438887Y1 (ko) * 2006-12-08 2008-03-07 손용호 이중벽관 이음용 패킹
KR101005763B1 (ko) * 2010-08-30 2011-01-06 (주)폴리텍 파이프 연결용 소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273B1 (ko) 2015-06-17 2015-12-02 주식회사 대경산업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KR102074199B1 (ko) 2019-05-21 2020-02-06 주식회사 용전 제조의 단순화와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음 부분이 견고하며 수밀성이 향상된 이중관
CN111365536A (zh) * 2020-02-26 2020-07-03 陈弘旋 一种伸缩软管及其生产工艺
CN114704701A (zh) * 2022-03-31 2022-07-05 公元股份有限公司 三壁波纹管的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0801B2 (en) Multi-wall corrugated pipe couplings and methods
KR101498604B1 (ko)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US8820800B2 (en) Multi-wall corrugated pipe couplings and methods
CA2175106C (en) Joint for variable wall thickness pipe
CA2726090C (en) Pipe coupling assembly
CA2966116C (en) System and method of inspecting inner smooth wall of corrugated dual wall pipe
US20120038117A1 (en) Flexible hinge gasket
KR101534600B1 (ko)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JP2007147029A (ja) フレキシブル管
KR102036168B1 (ko) 하수관용 이중벽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935432B1 (ko) 연결부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장치
KR101556217B1 (ko) 내식성 및 내구성 합성수지조성물로 성형된 이중벽관
KR100786220B1 (ko)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연결구
JP4755581B2 (ja) 管路形成用既製管材
KR200484502Y1 (ko) 수도관 수밀구조
KR200360689Y1 (ko)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KR100642295B1 (ko) 맨홀 접속관 및 그 연결구조
CN218935537U (zh) 一种具有耐高温结构的聚乙烯管道
KR200393558Y1 (ko) 소켓이중벽관의 단차링 결합구조
CN206070705U (zh) 一种雨水口井
CN210336936U (zh) 一种塑料管道接合辅助装置
JP2011252296A (ja) マンホール用耐震性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取付け方法
KR100690626B1 (ko) 합성수지 관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합성수지 통수관
KR100869208B1 (ko) 나선형 부재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장치
CN105715897B (zh) 一种承插式柔性连接装置及连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6